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란기 영주·봉화 지역의 유학과 학맥

        박원재(朴元在)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임진왜란은 전쟁 수행 주체의 성격과 관련하여 종종 ‘의병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조선중기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기 시작한 사족士族 세력이 임진왜란 극복의 주요 동력 가운데 하나였음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임란기 영주 봉화 지역 또한 마찬가지인데, 이 지역 사족들은 혼반과 학맥 등으로 연결된 여러 층위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의병활동에 활발히 참여하였다. 특히 학맥상으로 볼 때, 이 지역 의병활동의 주류를 이룬 사족 집단은 퇴계학파이다. 임란기는 퇴계의 직전 및 재전 제자들에 의해 퇴계학맥의 초기 흐름이 형성되어 가던 때였다. 이런 사정은 영주 봉화 지역도 비슷하여, 이른바 퇴계학맥 4대 분파의 일원으로서 뒤에 경북북부 유학 학맥을 양분했던 서애(류성룡) 계열과 학봉(김성일) 계열은 아직 뿌리를 내리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대신하여 퇴계학맥 구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은 지역에 연고를 둔 소고(박승임) 계열과 삼송당(남몽오) 계열이다. 여기에 안동권씨와 풍산김씨 그리고 창원황씨 등의 가학이 날줄로 엮이면서 이 시기 영주 봉화 지역 유학 학맥의 밑그림이 형성된다. 임란기 영주 봉화 지역의 의병활동은 조선초부터 절의를 중시했던 지역의 유풍儒風과 당시 사족들의 학문적 네트워크를 매개한 이와 같은 학맥 관계에 힘입은 바 크다. Imjin war(壬辰倭亂: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s often considered as ‘righteous army(義兵) war’ because of its character on the main agent conducting the war. This means the Confucian scholars who entered historical stage in the mid-Joseon period were one of the main forces in overcoming the war. In the same way, the Confucian scholars in Yeongju(榮州) and Bonghwa(奉化) regions also vigorous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based on may levels of network created by marriages and school ties. Especially, when considering its school relations, it was Toegye(退溪) school who played main role in the movement of th ese areas. Imjin war period was th e time when the early stream of Toigye school was being molded by its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students. Under the similar situation, Seoae(西厓: 柳成龍) and Hakbong(鶴峯: 金誠一) families, who divided academic line of the northern Kyeongbuk region into two as members of 4th faction of Toegye school, did not put down roots yet at that time. Instead, Sogo(嘯皐 : 朴承任) and Samsongdang(三松堂 : 南夢鰲) families, who were local-based, took the leading role in forming Toegye school. As academic traditions of families like the Andong-Kwons(權), the Pungsan-Kims(金) and the Changwon-Hwangs(黃) getting involved, the big picture of Yeongju and Bonghwa region’s school get formed.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these regions during Imjin war owed a lot to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which had put emphasis on the fidelity to the right thing from early Joseon dynasty and to school relation which mediated academic network of Confucian scholars of those days.

      • KCI등재

        申之悌의 酬唱詩를 통해 본 영남 학맥 소통의 一斷面

        김기엽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9

        A communication between writers in a region is usually made by or within a group of writers, who forms the particular academic stream, and it has them in its center. However,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 writer is in, the writer’s own literary activities could be continued to proceed in various ways. Accordingly, there were various ways of exchanging poems could be seen. This study focuses on the diverse human relation network found in Obongjip(梧峯集). Then, the study looked into Shin Ji-je, including his friendship, academic stream, way of exchanging poems and so on by subdividing the school of Yeongnam into Toegye-studies(退溪學) of Naksang(洛上), Nammyeong-studies(南冥學) of Nakha(洛下), Hanryo-studies(寒旅學) of Nakjung(洛中) and so on. Shin Ji-je(申之悌) is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school of Toegye(退溪) from the poem written for the scroll of poems of Kim Bu-ryun(金富倫) in the way of Rhyme-matching(步韻), and the fact of exchanging poems in the way of Rhyme-sharing(分韻) with Kim Gang(金堈) during the sightseeing to Mt. Cheongryang(淸凉山) with Kum Nan-su(琴蘭秀), along with the story between him and Lee Hwang(李滉)’s disciples found in the annals of Toegye. But his literary activities were not limited by his own academic stream. He exchanged poems with Lee Yun-woo(李潤雨) ,the disciples of Jung Gu(鄭逑), in the way of Rhyme-Proposing(呼韻). He also had a poetry club with Lee Min-seong(李民宬) and Lee Min-hwan(李民寏), who admired Chang Hyeon-gwang(張顯光). In addition, he exchanged poems with Cho Im-do(趙任道), who is his cousin’s brother in-law, in the way of rhyming words(用韻), interacting with writers in Haman where his in-laws lived. As stated above, It is clear that he also actively interacted with writers of Nakjung(洛中) Furthermore, with his poem on showing respect for Cho Sik(曺植), he exchanged poems with Kwak Jae-woo(郭再祐), Yoe Dae-ro(呂大老) and Park Seo-gui(朴瑞龜) in the school of Nammyeong(南冥) and among them, Park Seo-gui was the one he exchanged most poems with, when he served as the magistrate in Changwon(昌原). Uiseong-born Shin Ji-je was married to the one from Cho clan residing in Haman, and he serv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n Changwon for the considerable amount of time before going back to his hometown following the wartime. His particular position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him which he was encouraged to socialize with writers of Nakjung(洛中) and Nakha(洛下) ultimately allowed him to interact with writers and produce literary output regardless of academic stream. 지역 문인의 소통은 대개 해당 학맥을 구성하는 문인 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문학 활동은 작자가 처한 특수한 상황에 따라 다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酬唱 방식도 다양한 면모를 보인다. 이에 『梧峯集』의 酬唱詩에 나타난 다양한 관계망에 주목하고, 영남 학맥을 洛上의 退溪學ㆍ洛下의 南冥學ㆍ洛中의 寒旅學 등으로 세분화하여 申之悌의 교유와 학맥, 酬唱 방식 등을 살폈다. 年譜에 밝혀진 李滉 제자들과의 일화를 비롯하여 金富倫의 詩軸에 步韻한 작품, 琴蘭秀와 청량산을 유람하며 金堈과 分韻의 방식으로 수창한 일들을 통해 신지제가 退溪學脈의 일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문학 활동은 학맥에 구애되지 않았다. 鄭逑의 문인 李潤雨와 呼韻으로 수창하고, 張顯光을 종유한 李民宬ㆍ李民寏 형제와 詩會를 가졌으며, 처가인 咸安 지역의 문인들과 어울리며 사촌 처남인 趙任道와 用韻의 방식으로 수창하는 등 洛中의 문인들과도 활발히 교유하였다. 또한 曺植을 존숭하는 시를 남겼던 申之悌는 南冥學脈의 郭再祐ㆍ呂大老ㆍ朴瑞龜와 수창하였는데, 昌原에서 府使로 재직하던 시기에는 朴瑞龜와 가장 많은 시를 수창하였다. 의성 출신의 신지제는 함안의 趙氏 문중 사람을 부인으로 맞이했으며, 전란 후 고향에 돌아오기 전까지 창원에서 짧지 않은 고을살이를 하였다. 洛中ㆍ洛下의 문인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된 주변 상황들은 결과적으로 그에게 학맥을 뛰어넘는 교유와 문학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임란 전후 보성 장흥지방 재지사족(在地士族)의 사회적 기반 -임란 당시 전라좌의병 지도층과 그 가문을 중심으로-

        송은일 ( Eun Il S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50

        이 글은 임란 당시 전라좌의병 지도층 가문의 사례를 통해 임란 전후 보성 장흥지방 재지사족에 대한 사회적 기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전라좌의병 지도층과 그 가문의 사회적 기반을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이들 가문의 입향동기 및 통혼 권, 그리고 학맥과 사우관계 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이 발견되었다. 우선 入鄕동기 및 通婚圈을 보면 전라좌의병 지도층 가문들은 대부분 외부에서 보성 장흥지방으로 직접 입 향하거나 또는 다른 지역을 일차적으로 걸쳐 입 향하는 경우가 많았었는데, 그 이유는 지도층 선대들이 조선왕조의 개창 이후 크고 작은 정치적 파동기에 절의를 고집했거나 정쟁에 연루된 사대부들이었다는 점과 그로 인한 정치적 박해를 피해 중앙으로부터 전라도로 落南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일부 가문은 개인적인 사정이나 妻 鄕을 따라 입 향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보성 장흥의 인근 지역에서 관직생활을 하다가 이 지방에 정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보성 장흥지방에 정착하게 된 이들 가문들은 이 지방의 유력 가문들과 혼인을 통해서 사회적 기반을 확고히 닦고 유지해 나갔다. 이들의 통혼관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우선 世系상 유력가문들 간에 집중적으로 얽혀 나타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원, 진사와 문과에 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가문에서는 외부의 유력 가문들과도 통혼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셋째, 전라좌의병 지도층 가문이나 지도층 당사자들과 통혼이 連婚되는 것은 물론이고 중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으로 학맥과 사우관계를 보면 이 지방 사족들의 학맥은 대부분 단선적이지 않고 각 학맥을 넘나드는 중첩적인 관계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6세기경 호남 학맥은 김굉필ㆍ최부ㆍ송흠ㆍ박상 등 네 그룹이 있었는데, 이 시기 보성 장흥지방의 학맥에서도 이네 그룹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통혼 권 및 학맥 등은 이 지방 사족들이 사회적 기반을 다지고 유지해 나가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며, 한편으로 전라좌의병 성군기반이 되었던 것은 물론이고 의병활동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ocial bases of the Jaejisajok in Jangheung, Boseong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to Korea in 1592 by looking into the cases of the families of the commanders that led the Jeollajwa loyal troops during the war. The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for entrance, marriage spheres, school connections, and colleague relations of the commanders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figure out their social base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s for their motivations for entrance and marriage spheres, most of their families directly entered Jangheung, Boseong from other areas or indirectly entered Jangheung through other areas first. This was because their predecessors were illustrious officials that maintained their fide lity to the king during great or small political upheavals or were involved in political strifes and thus moved down from the central region to Jeolla Province to escape political persecution. Some of the families entered Jangheung for their own personal reasons or to be located near the family of the wife, while others held a government office in the surrounding area and got to settle down in it. Whatever their motivations were for entering Jangheung, those families settled down in the area and formed relationships with powerful local families through marriage, thus creating and solidifying their social base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ir marriage relationships is the concentration of such relationships among powerful families in an entangled fashion. Secondly, the families that produced many members who passed the Saengwon, Jinsa and Mungwa exam actively formed relationships with powerful families outside the area through marriage. Thirdly, the commanders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and their families overlapped with one another in marriage relationships as well as forme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rough Yeonhon. As for school connections and colleague relations, most of the local noble families had overlapping school connections among different schools that were not fragmentary. There were four groups of Kim Goingpil, Choi Bu, Song Heum, and Park Sang in the Honam School in the 16th century. The school connections of Jangheung, Boseong were not far from those categories at that time. The marriage spheres and school connections of the local noble families must have been a driving force behind their efforts to solidify and maintain their social bases. In addition, they must have been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and offered considerable advantages to the activities of loyal troops.

      • 퇴계학파 학문방법에 대한 일고찰 -매헌(梅軒) 금보(琴輔)의 「도산기고증(陶山記考證)」과 「정존재잠고증(靜存齋箴考證)」을 중심으로-

        이군선 ( Goon Seong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7 No.-

        조선 중기 퇴계의 문하에는 유수의 학자들이 모여 학문에 잠심하였다. 한 학자에게서 이렇게 많은 학자와 문인이 배출되어 학단을 형성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이 학맥은 꾸준히 전개되어 조선 학술사에 유래가 없는 풍성한 업적을 남겼다. 퇴계의 학맥이 지속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인가? 梅軒 琴輔의 陶山記考證과 靜存齋箴考證은 그 단서를 푸는 열쇠라고 생각한다. 도산기고증과 정존재잠고증은 스승인 퇴계의 글에 주석 작업을 한 것이다. 우리는 고전을 연구하며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는데 치중해 왔다. 문집에 대한 주석 작업을 소홀히 여겼던 것도 사실이다. 퇴계 문하의 학문 방법은 원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퇴계에서 시작하여 퇴계 일문의 공부하는 정통적인 방법으로 굳어지게 되었고, 그 결과 이와 같이 스승의 글에 주석을 단 자료까지 생기게 된 것이다. 자신의 시문에 주석을 달아 독자의 이해를 돕는 경우는 종종 있으나 도산기고증과 정존재잠고증처럼 스승의 글에 대하여 주석을 단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이는 퇴계와 같이 공부했던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원전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도이다. 이러한 원전에 대한 꼼꼼한 주석 작업이 퇴계의 문인들이 퇴계의 학맥을 이어나가며 지속적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 이후 이러한 공부방법이 전통으로 굳어져 학문에 대한 정밀한 탐색이 이루어졌기에 퇴계의 학맥이 끊임없는 생명력을 가지고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산기고증과 정존재잠고증은 퇴계 일문의 학문 방법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금보의 퇴계에 대한 존모의 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In Mid-Choisun Period, there were many foremost scholars gathered to study under Thoike. It’s not a usual situation that one scholar influences these many students. In addition, this Thoike doctrine has kept developing and leaving abundant achievements in academic history for the first time. Then, what is the motive power that Thoike’s doctrine has maintained? We think that Dosankigozeung(陶山記考證) and Jeongjonjaejamgozeung(靜存齋箴考證) of Maeheon(梅軒) Kumbo(琴輔)can be the key to solve this question. Dosankigozeung and Jeongjonjaejamgozeung is students’ annotated works to his teacher’s work. We have been trying to observe and analyze to find the meanings of Thoike’s doctrine and his work. It is true that we, somewhat, ignored about annotated works. To know Thoike’s doctrine, it is basedon the completion of understanding of ways of the doctrine. This system had started from Thoike, so it became to be recognized as a legitimate way of studying. As a result, students’ annotated works and documents have been formed in this manner. Of course, often, scholars annotate to their own works, but there are not many cases that students annotated to their teacher’s work, such as Dosankigozeung and Jeongjonjaejamgozeung. This is one of the ways, which was generated under Thoike’s teaching, which makes to understand Thoike’s work perfect. We believe that this thorough annotated work is the motive power that lets Thoike’s doctrine has developed and left historical achievements. After that, these ways of studying in this elaborate annotation works have become the tradition, so that is the reason how this way of studying has been developing continuously. Dosankigozeung and Jeongjonjaejamgozeung are the perfect documents that have shown the Thoike’s doctrine. At the same time, this can be the document that makes sure of the affection between Thoike and his following students.

      • KCI등재

        기획논문 : 율곡학파의 학맥과 학풍: 그 위상과 변주

        김경호 ( Kyung Ho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5 No.-

        이 글은 율곡을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의 학맥이 조선시대 유학사의 흐름에서 갖는 위상을 검토하고 그 구체상을 고찰한 글이다. 율곡학파는 율곡철학이 보여주는 실천지향의 학문관과 무실적 경세관, 개방적이면서도 자득을 강조하는 학문태도를 계승하고, 리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세계 인식에 기초한 철학적 탐색과 도덕감정에 대한 정교한 이론화 작업 및 도덕인격 실현을 위한 윤리적 실천을 중시한다. 이러한 율곡학의 특징은 시대의 변천과정에서 변주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기존의 관례적인 연구방식에 따라 율곡학파를 기호학의 범주에서 논의하는 한계를 지적하고 구체적인 학맥과 학풍의 전개 양상에 따라 학파를 구획할 것을 제안한다. 즉 학맥연구를 통하여 ``학맥의 계통도``를 확정하고, 학맥의 학문적 경향을 패턴화하는 연구방법론을 통해 ``학풍``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율곡학파의 인물 변화양상을 DB화 작업을 통해 도표로 제시함으로써 실제적인 위상을 확인하고, 율곡학맥도 제작 과정을 통해 율곡학파의 구체상을 실증한다. 율곡학맥에 대한 기초연구와 학풍의 검토를 통하여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첫째, 율곡학파는 다른 여타의 학파에 비견하여 그들이 처한 ``삶의 현실``과 ``시대의 문제``에 대하여 합리적으로 접근하면서도 정감에 호소하는 해결책을 모색하였으며, 둘째, 그러한 감성적 사유와 실천은 율곡학파의 인물들로 하여금 ``진리의 수호자``임을 자임하게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tatus of philosophical thought of Yulgok-School in the Confucian history of Choseon and its specific image with Yulgok in its center. Yulgok-School succeeded in practical oriented view of study, pragmatic governing view and open and self-apprehending attitude of learning that is shown in the philosophy of Yulgok. It stresses philosophical exploration based on rational world view to secure public benefit of ethical practice, minute theorizing work for moral emotion and ethical practice to realize moral characteristics. Such characteristics of Yulgok philosophy underwent a variation in the process of periodical transformation. In this article, I point out limitation of dealing with Yulgok-School in terms of Giho-School boundary according to conventional researches and suggest the method of figuring it out in accordance with specific academic genealogy and tradition of the school. Through genealogical study the ``genealogical system`` can be confirmed, and ``academic tradition`` can be visualized according to methodology to make a pattern of academic tendency. Accordingly, I suggest the change of Yulgok-School in the table by Database work, and embodies specific image of Yulgok-School through the manufacturing diagram of its genealogy. With the study and review of academic genealogy and tradition of Yulgok-School, I draw results as follows. First, Yulgok-School made a reasonable and emotional approach to the ``reality of life`` and ``matters of their times,`` compared with other school to seek solution. Second, such emotional thinking and practice made persons in the school to regard themselves as ``guardians of truth``.

      • KCI등재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연구(硏究)(1)

        류영수 ( Young Su Ryu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4

        본고는 定齋 柳致明(1777~1861, 字誠伯)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첫 단계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정재 류치명``이라는 인물 자체를 고찰하기 위하여, 먼저 연보와 행장 등을 통해서 정재의 생애를 4期로 구분함과 동시에, 그 가계를 확인하여 정리하였고[2장], 이어서 그의 대·내외적인 학문 연원을 찾아가면서 정재를 전후 한 학맥[학통]의 계보를 정리하였다[3장]. 마지막으로 그의 학문·사상적 성과를 대변하고 있는 『정재선생문집』의 규모와 별도의 저술 현황을 통해서 그 학문적 성향의 일단을 살펴보았다.[4장]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재 류치명``의 학문 형성의 기저와 퇴계학맥 상의 사상적 위치, 그리고 도학가로서의 면모와 그 영향, 조선후기 퇴계학맥의 재정립 등을 위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의 성격은 그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정재의 가문은 가계내적으로 퇴계의 학문을 계승하면서, 大山李象靖의 ``湖門``에서 수학하거나 혈연적 관계까지 맺었고, 그 결과 ``湖學`` 계승의 중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정재는 가학의 핵심을 퇴계·대산의 학문과 사상에 둔 가문과 그 학자들 속에서 태어나, 그 영향 아래에서 약 30여년의 수학기를 보냈다. 특히 이 시기에 가학의 전수와 더불어 대산의 학문을 계승한 柳長源·南漢朝두 스승을 연이어 사사한 점은 또 다른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30대 중반부터 考終까지 그의 삶은, 여러 사환의 이력과 더불어 성리학적 학문 및 사상에 대한 講論·講學·著述, 또 文集및 著書에 대한 校勘등의 왕성한 활동으로 대부분 점철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정재의 학문적 위상과 역할을 대변해주는 실증적 사실들이다. 그리고 퇴계 학맥 상 정재의 학문연원은 퇴계를 기점으로 한 지역적 전개 과정 속에 있었으며, 또 가학·혈연·사승 관계가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결코 그 테 두리를 벗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정재의 가학 연원의 흐름은 그의 직전 세대인 류도원·류장원 이후에도 대산 이상정 문하의 다수 제자를 배출하는 과정을 밟아 가고 있었다. 이 점은 특히 그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정재의 문집과 저술에 있어서는, 방대한 규모로 인해서 그 전모를 고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대체는 확인할 수 있었다. 그의 학문은 수사적 문장이나 문학적 소양보다는 서신 토론 및 강론 등과 같은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성향을 보인다. 그리고 그 학문의 지향점이 經學·性理學·禮學 등에 집중되어 논변과 학설로 드러나고 있다. 또 그의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載道``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재는 19세기에 퇴계 학맥을 잇는 ``道學者``이면서 ``文人官僚``이다. 끝으로, 후속 연구에서 문집과 저술에 대한 개별분석, 교유 관계의 양상, ``사환``의 이력, 학맥 계보와 전승 과정 등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통해서 ``定齋柳致明`` 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체계화 될 것이다. As author`s knowledge, until now there is no attempt on shedding light on the life of JungJae Ryu Chi-Myeong (定齋 柳致明, 1777-1861) and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JungJae Ryu Chi-Myeong, his lifetime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from the chronology and activities of his life and then his family tree was confirmed (Chapter II). In chapter III, the pedigree for his scholarly lineage was listed by tracing the private and public roots of his study. In chapter IV, his academic tendency was examined from the collection of his works so called JungJae-Sunsaeng-Moonjip 『a collection of JungJae(定齋)`s works』, in which his academic and ideological accomplishments were well revealed, and another academic writing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JungJae Ryu Chi-Myeong`s study, his ideological status within Toegye`s School and his role as a scholar studying on moral philosophy(道學) and the reestablishment of Toegye`s School in the late Choson Dynasty. Many scholars of JungJae`s family have succeeded T`oegye`s study, entered to DaeSan(大山) Lee Sang-Jeong(李象靖)`s ``Ho-mun(湖門)`` and tied blood relationship by marriage with DaeSan`s family, resulting in playing a key role in succession of ``Ho-hak(湖學)``. Accordingly, it is natural that since the lineage study of JungJae`s familiy was based on T`oeGye`s and DaeSan`s studies and thoughts, he spent about 30 years in early years of his life in studying under its influence. Especially, it is noted that at that time he studied under a renowned scholar such as Ryu Jang-Won(柳長源) and Nam Han-Jo (南漢朝) who were also scholastic successors of DaeSan`s studies. From the middle of thirties of his life to late years, he served as a government officer and also he focused on communicating with the study and thought of Neo-Confucianism(性理學) through the educations, decorum, writings, the collections of works, books so on. This represents well JungJae`s academic position and role at that contemporary time. JungJae`s academic origin within Toegye`s school was positioned in the course of regional evolution starting from T`oeGye and it never get out this boundary as lineage study, blood relationship and maste-pupil relationship acted organically each other. Even since Ryu Do-Won(柳道源) and Ryu Jang-Won who were famous scholars at generation just before JungJae, the origin of JungJae`s lineage study continued to be developed following the process that pupils were produced at DaSan`s school. Conclusionally, this fact means that this process give a decisive influence on him. Though it is hard to discuss fully JungJae`s work collections and writings due to their huge scal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his work was practical from the fact that he focus on discussion via letter and sermon rather than rhetorical sentence and literary knowledge. His argument and theory showed that his study was mainly aimed at studying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Confucianism] (經學),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the study of courtesy[Ye-hak](禮學) and also, it was found that final goal of his study is JaeDo(載道). JungJae was great scholar as a successor of Toegye`s school as well as a literary government officer in the 19th century. Finally, in further study, an overall review about ``JungJae, Ryu Chi-Myeong`` is required to be systematically organized by making the individual analysis for the collection of works and writings and considering in detail the career as a government officer, the pedigree of scholarly lineage and its transmission to next generation.

      • KCI등재

        華西學脈 인물들의 音樂의 暗誦 歌唱性에 대한認識과 九曲詩歌

        이상주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4 No.-

        Musical recitative(暗誦的) effect of studied research and education using are tradition of Confucian scholar. By the way, Gihosarim(畿湖士林) had applied these to Gugoksiga(九曲詩歌) and then groped the effect of keeping and extending. This case is very rarely, either. The reason of selecting Gugok by Gihosarims was keeping and strengthening the sense of Jonhuadotonguisik(尊華道統意識) through symboli zation in nature of the sense. And Gihosarims' another reason of Huaun(和韻) after composing of Gugoksiga(九曲詩歌)and in order to be succeeded and extended the sense of Jonhuadotonguisik(尊華道統意識) by introducing that sense into Gugoksiga (九曲詩歌) by utilizing of musical recitation vocality (暗誦 歌唱性) effect(效果). This characteristic can be seen especially late Choseon Japanese Colonial period Huaseo Lee, Hangro(華西 李恒老 1792~1868) school tie such as Yu, Junggyo(柳重敎 1821~ 1893), Yu, Inseok(柳麟錫 1842~1915), Kim, Pyeongmuk(金平默 1819~1891), Jeong, Yunyeong(鄭胤永 1833~1898) and so on. This phenomenon is the rare case in the other school tie. Like this, that phenomenon is active peculiar case which corresponded to contemporary circumstances at that time positively, therefore we can recognize the meaning of Gugok cultural history. 음악의 暗誦的 효과를 강학과 교육에 활용한 것은 儒家의 전통이다. 그런데 기호사림들은 이를 九曲詩歌에 적용하여 그 지속 확산을 모색했다. 이런 사례도 흔치 않다. 기호사림들이 구곡을 설정한 이유는 尊華道統意識을 자연에 표상화하여 그 의식을 지속강화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기호사림들이 九曲詩歌를 창작하고和韻한 이유는, 음악의 暗誦 歌唱性의 效果를 활용하여 九曲詩歌에 존화도통의식을 이입하여 그 의식을 계승확산하기 위해서였다. 이런 특징은 특히 조선말 일제강점기 華西 李恒老(1792~1868)의 학맥인 柳重敎(1821~1893), 柳麟錫 (1842~1915), 金平默(1819~1891), 鄭胤永(1833~1898) 등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다른 학맥에서는 보기 힘든 사례이다. 이들은 尊華道統 意識을 계승강화하여 조선말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특이한 사례인 바, 그 구곡문화사적 의의를 인정할 수 있다.

      • KCI등재

        李華와 그의 제자들

        趙殷尙(Eun-Sang Cho)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7

        이화의 제자들은 그의 학맥을 형성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인물들로, 현존하는 자료를 통해서 총 10명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화가 이들에게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강학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확인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비록 이들 제자들이 기본적으로는 복고론적인 문학관을 취하고 있지만, 이화의 학풍을 계승 발전한 문인은 독고급 외에는 한 명도 없다. 이를 통해 이화 고문운동의 학맥이 제자그룹에 이르러 더욱 발전하기 보다는 쇠퇴하였으며 그 파급효과는 미미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론을 얻기 위해 이화와 그와 관련 있는 인물 총 10명의 사료를 살펴보았지만, 안타깝게도 다량의 작품이 남아있는 문인은 그리 많지 않았다. 설사 현존하는 작품이 있더라도 그 수가 미미해서 이화 고문운동의 학맥 구성원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기는 다소 어려움이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얻은 결론이 이화 고문운동의 학맥 형성과 문학적 특징을 모두 아우른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앞으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와 새로운 사료의 발굴이 필요하다. LI Hua(李華) had to train not a few disciples. They are the core of his group. According to the data, he has nurtured the 10 disciples. Because of lack of existing data, we do not know when did he train his disciples, and how did he taught his disciples. His disciples are very smart and many of them passed the Keju(科擧). From here we can see that they impact were very big in that time. In particular, They made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LI Hua and Han Yu(韓愈). Even if they take Ancient literary theory, but they did not contribute very much to the prose creation.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ancient literary theory of LI Hua was increasingly diluted at the period of his disciples.

      • KCI등재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 여말선초 학맥의 형성

        河政承 ( Ha Jung-seung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우리나라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중국에서 儒學과 漢文이 수입되어 학문과 문학이 발달하였다. 고려조에 들어와서는 과거제의 시행과 학교 교육의 발달, 학자 간 교유와 서적의 수입 등 宋나라와의 활발한 교류 등으로 학문과 문학은 더욱 꽃을 피워 수많은 학자와 문인을 배출하게 되었다. 이 시대의 학문은 주로 孔孟을 근간으로 하는 儒學이 주류를 이루었고, 고려후기에 이르면 元나라로부터 性理學이 수입되었다. 본고의 제 2장에서는 고려전기부터 고려후기에 이르기까지 유학 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각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들과 그들이 교육한 서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예컨대 崔沖→琴儀→安珦→白頤正→權溥·禹倬·李瑱·閔漬 등이 그들이다. 이들을 통해 고려시대 교육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더불어 유학은 꽃을 피워 當代 최신의 학문인 성리학까지 수입되었으며 급기야 조선은 ‘성리학의 나라’로 개국하게 되어 16세기 퇴계·율곡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여말선초 학맥과 집단지성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학맥’, 또는 ‘집단지성’이라 일컬을 수 있는 학술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4세기 전반기 학계의 중심인물은 이제현이었다. 그는 李瑱의 아들이자 權溥의 사위이며 학통으로는 백이정과 권보를 계승하였다. 이제현의 수제자는 목은 이색이다. 이색은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며 국학을 진흥 보급시킨 공로가 크고, 총 5차례에 걸쳐 과거를 主試하여 무려 132명이나 되는 과거급제자를 배출하였다. 목은의 학문은 조선조에 이르러 크게 두 갈래로 이어지는데, 하나는 포은 정몽주를 거쳐 야은 길재와 김숙자 등 조선조 성리학자들에게 계승되며 다른 하나는 양촌 권근을 거쳐 유방선·서거정·성간 등으로 이어진다. 여말선초의 학맥은 단순히 학문의 분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치사·문학사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목은과 같은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소위 ‘牧隱系 士人’이라 불리는 집단지성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갓 도입된 성리학 연구에도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였고, 문학적으로는 같은 학맥·동인들끼리의 교유를 통해 ‘耆老會’ 등과 같은 일종의 ‘詩會’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문학사 발전에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또한 이같은 현상은 조선초의 학계와 문단에도 그대로 이어져 소위 말하는 ‘학파’의 형성과 ‘문풍’의 전개에 영향을 주게 되었고, 보다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조선시대 학술사·문학사의 端初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fucianism and Chinese literature have been imported from China and the study and literature have developed. In the Koryo Dynasty, academic and literary works have been more flowering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nd active exchanges with the Song Dynasty. The study of of the times was mainly based on Confucius and Mencius, and Confucianism was imported from the Yuan Dynasty by the late Koryo Dynasty.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Confucianism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scholarly lineage from the early Koryo period to the late Koryo period were examined focusing on scholars representing each era and books they educated. For example, they are Choi Chung(崔沖) → Geum Ui(琴儀) → An Hyang(安珦) → Baek Leejung(白頤正)→ Kwon Bu(權溥), Woo Tak(禹倬), Lee Jin(李瑱), Minji(閔漬). The education of the Koryo Dynasty was actively carried out by them, and Confucian Studies reached its peak. As a result, the Neo-Confucianism, the latest study of the Tang Dynasty was imported and Chosun was opened as the ‘country of Neo-Confucianism’ and Toegye and Yulgok have brought up the highest level of Chosun Confucianism in the 16th century. In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the trend of literature, writers, and textbooks, which were popular at that time, were examined focusing on how the academic and literary classes of the late Koryo period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were conduc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s that can be called scholarly lineage or collective intelligence was examined. The scholarly lineage of the early days of the late Koryo and early Chosun Dynasty is not merely a field of study, but it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history and literature history. Especially, because of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round specific characters,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newly introduced Confucianism. In literary aspect, a kind of ‘Sihoe(詩會)’ was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the same scholarly lineage, which resulted in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this phenomenon continued to the academic world and paragraph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so-called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Moon-pung’. From a macro perspective, it could be said that it became the beginning of academic history and literature history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定齋 柳致明의 산문을 통해 고찰한 전통 시대 가치의 계승과 그 의미

        우지영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Jeongjae(定齋) Ryu Chi-myeong(柳致明) was a person who was evaluated to have inherited the legitimacy of Hopa(虎派) affiliation of the Toegye(退溪)’s academic lineage.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 of family learning based on the Toegye’s academic lineage, Jeongjae studied under his great-grandfather’s brother Dongam(東巖) Ryu Jang-won(柳長源), and Sonjae(損齋) Nam Han-jo(南漢朝) who was a disciple of Lee Sang-jeong(李象靖). Jeongjae played a continuous role for the transmission of family learning 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oegye’s academic lineage, while focusing on lectures and writing activities without much intention to become a government official for all his life. As a result, he produced many disciples, so-called ‘Jeongjae School’, they revealed the aspect of practical intellectuals while standing at the center of the Wijeongcheoksa[Protect the Neo-Confucianism and Expel a perverse religion, 衛正斥邪] movement, the righteous army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Yeongnam in response to the chaotic domestic situation and foreign invasio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is paper, with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practical orientation of Jeongjae School disciples and the link between them and their teacher, Jeongjae Ryu Chi-myeong, Jeongjae’s prose works were conside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 examined the works that emphasized the traditional ethics of loyalty, filial piety, and fidelity. As an ideal human figure, Jeongjae pursued a three-dimensional and flexible person who had the values of literary and military arts, and who could show the most appropriate appearance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majeure external situation. Also, he praised and gave high value to a person who had the fidelity to devote his life for a great cause without caring for individual safety in the situation of national crisis. Second, I looked at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ansmission of Confucian academic lineage and related figures in Korea. Ryu Chi-myeong focused on solidifying their position by revealing the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f the successors of the academic lineage which had begun with Jiniljae Ryu Sung-jo, and had continued to Lee Hwang - Kim Seongil - Jang Heunghyo - Lee Hyeonil - Lee Jae - Lee Sangjeong. Also, he concentrated on suggesting what to imitate by setting them as model. Third, I considered the aspects of clarifying the Confucian values such as the loyalty of Chulcheo[出處, entering into and withdrawing from government service] or the reason of composure based on Sincerity[誠意].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he emphasized the constancy of going forward or retreating from the world completely based on loyalty, and pursued the stage of SimgwangCheban[心廣體胖, The mind becomes generous and the body becomes comfortable] that could be guaranteed after practicing benevolence and benevolence by strictly judging the direction of good and evil. The practical orientation shown by the Jeongjae School disciples, during the upheaval of the eastern penetration by Western powers, serves as an indicator that vividly shows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reality of Confucianism. The intense practical orientation they showed seems to have been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process of thoroughly personalizing by in principle accepting the vocation consciousness based on the Genealogy theory of Confucianism, and the fundamental proposition of Confucianism. The value of Jeongjae literature can be evaluated in that the basis and clues can be sufficiently confirmed through prose works implemented by integrating Jeongjae’s studies and ideas. 定齋 柳致明은 퇴계 학맥의 虎派 계열 嫡統을 계승하였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정재는 퇴계 학맥에 기반을 둔 가학의 전통을 바탕으로 종증조부 東巖 柳長源과 李象靖의 제자인 損齋 南漢朝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재는 평생 벼슬하는 데 큰 뜻을 두지 않고 강학과 저술 활동에 주력하면서 가학의 전승 및 퇴계 학맥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결과 일명 ‘정재학파’라고 불리는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는데, 이들은 19세기 말의 혼란한 국내 상황과 외세 침략에 맞서 영남을 중심으로 한 위정척사운동 및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의 중심에 서서 실천적 지식인의 면모를 드러내었다. 본고에서는 정재학파 문인들의 실천 지향성과 스승 정재 류치명과의 연결고리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하여 정재의 산문 작품을 고찰해 보았다. 첫째, 충․효․열의 전통 윤리를 강조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정재는 文과 武의 가치를 겸비하고 있으면서 불가항력적인 외부 상황에 발맞추어 그에 가장 적합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입체적이고 유연한 인물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추구하였으며, 국난의 상황에 개인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절의를 지녔던 인물에 대하여 높은 가치를 부여하여 찬미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유가의 학맥 전승 및 관련 인물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진일재 류숭조에서 시작하여, 이황-김성일-장흥효-이현일-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맥의 계승 인물의 업적과 공로를 드러내 밝혀서 그들의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그들을 모범으로 삼아서 본받아야 할 점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였다. 셋째, 출처의 의리나 誠意에 입각한 평탄함의 도리 등 유교적 가치관을 천명하는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철저히 의리에 입각하여 세상에 나아가거나 물러나는 지조를 강조하고, 선악의 향방을 엄정하게 판단하여 인의를 실천한 뒤에 담보할 수 있는 心廣體胖의 경지를 추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서세동점의 격변기에 정재학파 문인들이 보여준 실천 지향성은 유학의 현실대응력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 작용한다. 이들이 보여준 치열한 실천 지향성은 유가의 도통론에 기반한 소명 의식과 유학의 근본 명제를 원칙론적으로 수용하여 철저히 자기화한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고 보여지며, 그 기저와 단서를 정재의 학문과 사상이 집약되어 구현된 산문 작품을 통하여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재 문학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