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퇴계학파 학문방법에 대한 일고찰 -매헌(梅軒) 금보(琴輔)의 「도산기고증(陶山記考證)」과 「정존재잠고증(靜存齋箴考證)」을 중심으로-

        이군선 ( Goon Seong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7 No.-

        조선 중기 퇴계의 문하에는 유수의 학자들이 모여 학문에 잠심하였다. 한 학자에게서 이렇게 많은 학자와 문인이 배출되어 학단을 형성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이 학맥은 꾸준히 전개되어 조선 학술사에 유래가 없는 풍성한 업적을 남겼다. 퇴계의 학맥이 지속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인가? 梅軒 琴輔의 陶山記考證과 靜存齋箴考證은 그 단서를 푸는 열쇠라고 생각한다. 도산기고증과 정존재잠고증은 스승인 퇴계의 글에 주석 작업을 한 것이다. 우리는 고전을 연구하며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는데 치중해 왔다. 문집에 대한 주석 작업을 소홀히 여겼던 것도 사실이다. 퇴계 문하의 학문 방법은 원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퇴계에서 시작하여 퇴계 일문의 공부하는 정통적인 방법으로 굳어지게 되었고, 그 결과 이와 같이 스승의 글에 주석을 단 자료까지 생기게 된 것이다. 자신의 시문에 주석을 달아 독자의 이해를 돕는 경우는 종종 있으나 도산기고증과 정존재잠고증처럼 스승의 글에 대하여 주석을 단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이는 퇴계와 같이 공부했던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원전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도이다. 이러한 원전에 대한 꼼꼼한 주석 작업이 퇴계의 문인들이 퇴계의 학맥을 이어나가며 지속적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 이후 이러한 공부방법이 전통으로 굳어져 학문에 대한 정밀한 탐색이 이루어졌기에 퇴계의 학맥이 끊임없는 생명력을 가지고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산기고증과 정존재잠고증은 퇴계 일문의 학문 방법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금보의 퇴계에 대한 존모의 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In Mid-Choisun Period, there were many foremost scholars gathered to study under Thoike. It’s not a usual situation that one scholar influences these many students. In addition, this Thoike doctrine has kept developing and leaving abundant achievements in academic history for the first time. Then, what is the motive power that Thoike’s doctrine has maintained? We think that Dosankigozeung(陶山記考證) and Jeongjonjaejamgozeung(靜存齋箴考證) of Maeheon(梅軒) Kumbo(琴輔)can be the key to solve this question. Dosankigozeung and Jeongjonjaejamgozeung is students’ annotated works to his teacher’s work. We have been trying to observe and analyze to find the meanings of Thoike’s doctrine and his work. It is true that we, somewhat, ignored about annotated works. To know Thoike’s doctrine, it is basedon the completion of understanding of ways of the doctrine. This system had started from Thoike, so it became to be recognized as a legitimate way of studying. As a result, students’ annotated works and documents have been formed in this manner. Of course, often, scholars annotate to their own works, but there are not many cases that students annotated to their teacher’s work, such as Dosankigozeung and Jeongjonjaejamgozeung. This is one of the ways, which was generated under Thoike’s teaching, which makes to understand Thoike’s work perfect. We believe that this thorough annotated work is the motive power that lets Thoike’s doctrine has developed and left historical achievements. After that, these ways of studying in this elaborate annotation works have become the tradition, so that is the reason how this way of studying has been developing continuously. Dosankigozeung and Jeongjonjaejamgozeung are the perfect documents that have shown the Thoike’s doctrine. At the same time, this can be the document that makes sure of the affection between Thoike and his following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교 한문 산문 교육의 실태 및 개선 방향

        박기성 ( Park Gi-seong ),이군선 ( Lee Goon-se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에서 한문 산문을 제재로 한 단원의 비중이 얼마를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학습목표(성취기준)는 어떻게 제시되었는지, 고등학교 현장에서 한문 산문 교육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해 그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개정될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의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현장 조사를 통하여 확인한 것은 고등학교에서 산문을 제재로 한 교육은 한문이 어렵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요인의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문 산문은 교과서 뒷부분에 위치하거나 수업 시수가 부족하여 거의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취기준의 재분배를 통해 교과서 산문 제재 수록 단원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수학능력 시험 문제를 보아도 산문이 대략 1/3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보면 산문 제재 단원 축소를 통해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주어야 하고 이야기 구조를 지닌 일화를 중심으로 산문 관련 성취기준을 소화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일 될 것이다. 시대가 변하면 그에 따라 모든 것이 바뀌게 된다. 옛날의 방식이 꼭 나쁜 것은 아니지만 현재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portion of lessons with classical Chinese prose as the theme in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I” textbooks, how the learning goals (achievement standards) were presented, and how classical Chinese prose education is practiced in high school settings, an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to be revised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current situation. What we confirmed through field research is that prose themed education in high school can act as one of the factors instilling the perception that classical Chinese is difficult. The reality is that classical Chinese prose is scarcely handled properly because it is located at the back of textbooks or because the number of hours of class is insufficien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units included in textbooks prose themes through redistribu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Seeing that prose accounts for about 1/3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question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by reducing the prose theme units, and it would be a realistic way to digest prose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centering on anecdotes with a story structure. When times change, everything changes with it. The old way is not necessarily bad, but if there is something that does not fit the interests and needs of current students, it would be right to find a way to meet those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