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객체기반 셀룰러오토마타 모형을 이용한하남시 토지이용변화 모의

        김일권,권혁수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Urban land use changes by human activities affect spatial configuration of urban areas and their surrounding ecosystem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atterns of urban land use changes and to simulate future changes for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simulation of land use changes is still challenging due to their uncertainty and complexity. Cellular automata model is widely used to simulate urban land use changes based on cell-based approaches. However, cell-based models can not reflect features of actual land use changes and tend to simulate fragmented patterns. To solve these problems, object-based cellular automata models are developed, which simulate land use changes by land patches. This study simulate future land use changes in Hanam city using an object-based cellular automata model. Figure of merit of the model is 24.1%, which assess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s. When a baseline scenario was applied, urban decreased by 16.4% while agriculture land increased by 9.0% and grass increased by 19.3% in a simulation result of 2038 years. In an urban development scenario, urban increased by 22.4% and agriculture land decreased by 26.1% while forest and grass did not have significant changes. In a natural conservation scenario, urban decreased by 29.5% and agriculture land decreased by 8.8% while each forest and grass increased by 6% and 42.8%. The model can be useful to simulate realistic urban land use change effectively, and then, appli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spatial planning. 인간 활동에 의한 도시의 토지이용변화는 도시의 공간구조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토지이용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모의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 관리를 위해 필요하지만, 토지이용변화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으로 인해서 이를 효과적으로 모의하기 어렵다. 셀룰러오토마타 모형은 도시토지이용변화에 널리 사용되는 모형으로, 격자기반의 변화를 모의한다. 하지만, 격자기반의 모의는 실제 토지이용변화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토지이용의 파편화가 나타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제작된 객체기반 셀룰러오토마타모형은 토지패치 객체별변화를 모의한다. 본 연구는 하남시를 대상으로 객체기반 토지이용변화 모형을 제작하여 미래의토지이용변화를 모의하였다. 제작된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성능지수는 24.1%로 평가되었다. 기준시나리오를 적용한 2038년의 토지이용변화 모의결과, 시가지는 16.4% 감소한 반면, 농경지는 9.0% 증가하였고, 초지는 19.3% 증가하였다. 개발시나리오의 경우 시가지는 22.4% 증가하였고, 농경지는 26.1% 감소한 반면, 산림과 초지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전시나리오의 경우 시가지는 29.5%, 농경지는 8.8%감소하였고, 산림과 초지는 각각 6%, 42.8% 증가하였다. 본모형은 실제 도시 토지이용변화를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공간계획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도시성장관리모형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김태경,박헌수,권대한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5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저술된 선행연구 및 보고서들과, 최근 미국의 각 도시 또는 주( ) 차원의 펀딩을 받아 여러 대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구축 및 적용사례 등을 활용하여,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도시성장관리모형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최근에 개발된 여러 모형 중 Transportation Economic and Land Use Model(TELUM)과 Integrated Transportation and Land Use Package(ITLUP)을 참조한 Gravity-based Land Use Model(G-LUM)(Zhou et al., 2008)을 활용하여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시ㆍ군ㆍ구 단위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성장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수도권에 대한 도시성장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미국에서는 1990 CAAA, 1991 ISTEA, 1998 TEA21, 2003 SAFETEA 등을 통해 교통계획에 있어 토지이용계획과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사항들이 법률적 의무사항으로 부과되었으며, 각 주와 MPO차원에서 많은 프로그램 구축노력들이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의 성장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일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앙과 지방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진보된 토지이용모형에 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 수준에 머물러 있다. 도시성장관리에 필요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 능력과 이론적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지에 필요한 재원을 확충해야 한다. 토지이용-통합모형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자체모형의 구축에 따른 혜택은 이러한 비용을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다. 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시뮬레이션모형들은 크게 4개정도의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는 Lowry의 중력모형에 기초한 공간적 상호작용 모형(spatial interaction model), 확률적 효용이론(random utility theory)에 기초한 지역경제 및 토지시장에 관련된 비집합적 계량경제모형(econometric model), 동적이고 복합한 도시의 시스템들에 대한 행위기반통행모형(activity-based travel model), 주체기반모형(agent-based microsimulation model) 등의 microsimulation 모형,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에 기초한 셀(cell)기반의 모형 등이다. 각 모형은 아직까지 도시의 토지이용-교통에 대한 완벽한 설명이 가능한 모형은 없으며, 각 모형의 모듈을 결합시켜 일부 변형시킨 모형들을 구축하는 것이 대세가 되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모형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모형은 PECAS와 UrbanSim인데, PECAS는 공간 I/O모형을 사용하여 공간개발모듈과 행위배치모듈의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는 모형이며, UrbanSim의 경우, 철저하게 분리된 모형들의 조합에 의해 얼마든지 새롭고 종합적인 모형의 구축이 가능한 모형시스템이다. 향후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을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에 있어 본 연구에서 설명된 도시성장관리모형들에 관한 전반적인 검토는 향후 우리나라에서 전개될 모형 구축노력에 있어 매뉴얼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사례로써 연구기간이 짧은 단기 정책과제의 성격상 통합모형에 대한 틀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비교적 데이터 요구량이 적고 통합모형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기 편하면서, 모형 추정과정이 비교적 단순한 TELUM모형의 변형인 G-LUM을 사용하여 경기도의 성장관리모형을 구축해보고자 하였다. 구축된 모형시스템은 주거입지모형, 고용입지모형, 토지소비모형, 교통수요모형 등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0년과 2005년 두 시점에 대한 수도권 65개 시ㆍ군ㆍ구에 대한 고용자수와 가구원수, 토지이용자료 등이다. 이를 통해 2020년의 각 시ㆍ군별 인구와 고용의 변화, 신도시 수요 등을 예측하였으나, 가용토지 등에 대한 보정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한 관계로 추정치의 사용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향후 보다 진보된 모형을 만들기 위한 기초사례로써 의미를 한정한다. 경기도 및 수도권에 적합한 모형의 구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현재 상태에 근거한 미래의 도시성장방향을 예측하여, 다양한 개발정책의 영향을 미리 추정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책의 수정이 가능하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현재까지의 정책방향이 단지 가용지가 있기 때문에 개발한다는 단순한 논리에서 벗어나 정책에 따른 도시의 성장방향 및 파급효과를 시뮬레이션 하여 가장 적합한 정책을 찾아낼 수 있다는데 도시성장모형 구축의 매력이 있다. 모형구축에 있어 중앙정부 또는 경기도 차원의 중장기적 검토사항들을 살펴보면, 첫째, 최소공간단위에 대한 자료DB를 구축하는데 우선적인 투자와 지원 ; 둘째, 기존에 만들어진 모형들의 이론적 가치, 장ㆍ단점에 대한 세부적인 비교분석을 통한 실제 모형구축에 있어 에러의 최소화 및 기존 모형을 활용한 최소비용의 최대효과 추구 ; 셋째, 자체적인 모형구축을 위한 전문가의 발굴 및 투자, 모형의 구축,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대규모 지원 ; 마지막으로, 구축된 모형의 활용을 위한 법적체계 마련 및 지자체 차원의 전담기구 및 전문가집단의 구성 등이다.

      • 토지이용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

        이민영,박병호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회전교차로의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교통사고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크게 인적・환경적・물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들 중 특히 토지이용에 중점을 두어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한다. 토지이용과 교통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과 교통사고의 관계를 분 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토지이용은 교통수요를 유발하므로 교통사고 분석에 있어 서 토지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교통량이나 대형차 비율 등 통행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를 것이 다. 따라서 이 연구는 ʻ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이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를 보인다.ʼ는 가설을 전제로, 토지이용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을 구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회전교차로 100개소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TAAS에서 수집한 2007~2014년 에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교통량, 기하구조, 환경 및 운전자 요인 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에 앞서 먼저 회전교차로 주변의 용도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자연녹지지역)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토지이용의 분석 범위는 회전교차로 중심으로부 터 250m내에서 가로망을 따라 형성된 토지용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유형 Ⅰ은 상업용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 해당되며, 유형 Ⅱ는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된 지역, 유형 Ⅲ은 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은 지 역, 그리고 유형 Ⅳ는 자연녹지지역으로 이루어진 지역이 해당된다. 따라서 분류된 토지이용 유형별로 SPSS 20.0을 활용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사고모형을 구축하고자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토지이용 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요인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교차 로에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대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변토지등급을 고려한 토지적성평가결과 비교 분석

        김홍연 ( Hong Yeon Kim ),정남수 ( Nam 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토지적성평가는 도입 이후 토지의 합리적인 평가방안을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평가지표의 경직성이나,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기준적용 등으로 인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며(김인현 외, 2009), 평가결과 또한 개발적성과 보전적성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대부분 개발적성등급인 4등급 이하로 판별되어 변별력 또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를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집단화 되어 있어야 하지만, 토지적성평가시 인접된 필지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농업적성 및 보전적성 내에 개발적성등급이 나타나는 등 평가결과가 이산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토지적성평가결과를 이용한 관리지역세분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는 적성평가시 주변토지등급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위자기반모형(ABM)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각 필지를 다른필지와 인접하는 매트릭스구조로 분류하고, 각 필지의 등급별 점수표를 도출하여, 대상필지 적성등급선정 시 인접한 필지의 등급을 고려하여 등급이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행위자기반모형(ABM)이란 구체적인 행위자 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작은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모형으로, 대상 시스템의 구성 주체들을 면밀히 관찰하여 주요한 속성과 행동규칙을 추출해내고, 이를 기반으로 직접 상호작용을 하도록 모의하는 기법으로 개별적인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할 때 주로 활용되고 있어 토지적성평가결과를 기반으로 주변토지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할 때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변토지등급을 고려한 토지적성평가결과와 현 토지적성평가결과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의 이론 및 적용사례의 고찰과 구축방안 논의

        조성진,유건화 국토연구원 2017 국토연구 Vol.94 No.-

        Meanwhile the keyword for sustainable cities, the inclusive cities, and urban generation is expected to become an important paradigm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Korea, the emphasis is on the importance of a land-use and transportation integrated model (LUTI) as a scientific metho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and analyse the policies and urban activities to realize these paradigms. While various case studies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UTI are report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introducing model theory and the developed countries’ experiencesor a preliminary test for LUTI’s applicability in Korea. Under the circumstance, this study propose the conceptual design and system framework of LUTI best suits the actual urban condition in Sou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ed research trend in South Korea, theories of LUTI models, and case studies on the practical use of LUTI in the developed countries (U.S. and EU). As seen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UTI require consistent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multidisciplinary efforts of experts in relevant fields. 지속가능도시, 포용도시, 도시재생의 키워드가 우리나라 도시개발 및 관리의 중요한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 도시활동체계를 종합적으로 평가・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론으로서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통합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다양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모형이론 및 선진 사례의 소개, 해외 모형의 적용 등에 그치고 있어 아직 실질적으로현장에 적용된 사례가 전무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논문은 관련 국내 연구동향과 통합모형의 이론, 해외실무 적용사례를 차례로 고찰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통합모형의 구축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향후 토지이용-교통 부문에 대한 관련 정책의 미래 효과를 실효성 있게 평가하기 위한 통합모형의 요구조건을 모형이론, 모형구조 및 통합방식, 자료 관리체계, 모형 검증, 정책 평가 활용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통합모형의 개념 및 시스템구조와 함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난 반세기 동안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의 개발 및활용사례에서 보듯이, 실효성 있는 통합모형의 개발을 위한 관련 학계 전문가들의 노력과 더불어 실무활용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

      • KCI등재

        토지이용 변화가 지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시 강북지역을 사례로-

        강창덕 한국부동산연구원 2012 부동산연구 Vol.22 No.2

        Urban and real estate economics suggest that land use considerably determines the level of the price. However, we have less understanding on the impacts of land use change on land price over urban area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land use change creates spatial variation of land price change in Northern Seoul between 2001 and 2007 with Ordinary Least Square and Spatial Econometrics. The model outputs reveal that converting from single-family housing to condominium, commercial, and mixed-use, from mixed-use to commercial, and from commercial to mixed-use tend to increase the land price in developed land models. Meanwhile, land use change from residential raw-land to condominium and from commercial raw-land to commercial and office use enhance the level of land price in raw-land models. This study provides the insightful alternative for appraisal and land valuation through modeling impacts of land use change on land price.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지역을 사례로 2001년과 2007년 사이 같은 필지의 토지 이용 변화가 토지 가격 변화에 미친 효과를 일반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 OLS)과 공간계량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기존토지개발모형의 결과를 보면, 2001년 단독주택에서 2007년 아파트, 상업용, 주상복합으로 변경된 경우와 같은 기간 주상복합에서 상업용, 상업용에서 주상복합으로 바뀐 경우 지가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이 기간에 단독주택에서 다세대주택, 주상복합에서 단독주택으로 용도를 바꾼 경우는 지가 하락효과를 보였다. 그 다음 나지개발모형 결과를 보면, 주거나지에서 아파트로, 상업나지에서 상업용과 업무용으로 바꾼 경우만 지가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주는 정책적 함의는 첫째, 향후 도시공간상 역동적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지가 변화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행 공시지가 평가부문에서 용도 변화에 의한 가격 증감에 대한 명시적 고려가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공시지가 산정 등 다양한 감정평가 부문에서 용도 변경 변수를 적극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존의 다중회귀분석과 더불어 공간계량모형을 적극 도입하여 서로 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최근 대량평가모형(Mass Appraisal Models)에서 공간계량모형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주목받을 사안이 될 전망이다. 끝으로, 이 연구의 유사한 설명변수로 구성한 기존토지개발모형과 나지개발모형의 결정계수와 통계적 유의미성을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나지개발모형의 결정계수가 낮고 동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기존토지개발모형에 비해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나지가격을 추정하는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미래에 대한 기대감과 같은 변수를 모형 구성에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

      • KCI등재

        셀룰러오토마타 모형을 이용한 미시적 토지이용변화 예측

        임창호,최대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4

        이 연구는, 최근 도시 관련 연구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셀룰러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모델의 개념 및 방법론에 기초해, 도시 토지이용의 미시적인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 예측수단으로서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함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개별 필지의 차기(next period) 용도변화 확률을 결정하기 위해, 다항 로짓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을 이용하여, 토지이용 예측모형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토지이용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계수를 추정한 결과, 셀룰러오토마타 모델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근린효과의 적실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의 예측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치와 모형의 결과치를 비교해본 결과, 개별 필지의 차기 용도로 최대확률을 갖는 용도를 배분할 경우, 용도가 전환된 필지를 기준으로 할 때 예측력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종적인 토지이용 패턴은 실제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확률적(stochastic) 접근법을 사용하여 차기 용도를 배분한 결과, 실제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형은 예측수단으로서의 타당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모형을 적용할 때, 예측의 목적에 따라 차별적인 접근법을 마련하는 작업과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거시적 여건 등을 추가하여, 모형의 예측력를 제고하는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산지면적의 공간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곽두안 ( Doo-ahn Kwak ),박소희 ( So-hee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수행된 전국 단위의 정량적 산지면적 변화량을 공간적으로 배분하여 광역시도별 산지면적 변화를 추정함으로써 지역산림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지를 산지, 농지, 도시 및 기타지로 구분하고 토지이용 형태별 변화 여부를 종속변수로, 지형요소, 이용 제한요소, 사회·경제적 요소, 개발 인프라를 독립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전체를 30m×30m 격자로 분할하여 각 Cell에 해당하는 독립변수 자료를 구축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각 토지이용 형태가 타 유형으로 변화하는 확률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토지이용 변화확률을 기반으로 변화순위 지도를 구축하였고, 연도별 토지이용 변화량을 변화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분함으로써 토지이용 변화의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경사도와 지자체별 개발 가능한 경사도 기준이 산지가 도시 및 기타지로 변화될 확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경사도와 개발 가능한 경사도 기준이 낮을수록, 토지가격과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산지가 도시 및 기타지로 변화될 확률이 높아졌다. 그 결과 2027년까지 수도권과 대도시의 산지가 도시 및 기타지로 변화하여 산지면적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8년 이후 2050년까지 서울, 경기,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지면적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는 지방 소도시의 급격한 인구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중앙정부에서는 변화하는 산지면적에 대응하기 위해 산지관리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고, 지자체 단위에서는 인구의 감소 정책과 그에 따른 산지를 포함한 토지의 효율적 보전 및 이용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dict spatial change of future forestland area in South Korea at regional level for supporting forest-related plan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In the study, land use was classified to three types which are forestland, agricultural land, and urban and other lands.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ransitional interaction between each land use type and topographical factors, land use restriction factors, socioeconomic indices, and development infrastructures. In this model, change probability from a target land use type to other land use types was estimated using raster dataset(30m×30m) for each variable. With priority order map based on the probability of land use change, the total annual amount of land use change was allocated to the cell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transition potential for the spatial analysis. In results, it was found that slope degree and slope standard value by the local government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change from forestland to urban and other land. Also, forestland was more likely to change to urban and other land in the conditions of a more gentle slope, lower slope criterion allowed to developed, and higher land price and population density. Consequently, it was predicted that forestland area would decrease by 2027 due to the change from forestland to urban and others, especially in metropolitan and major cities, and that forestland area would increase between 2028 and 2050 in the most local provincial cities except Seoul, Gyeonggi-do, and Jeju Island due to locality extinction with decline in population. Thus, local government is required to set an adequate forestland use criterion for balanced development, reasonable use and conservation, and to establish the regional forest strategies and policies considering the future land use change trends.

      • KCI우수등재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김황배,이상화,배춘봉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1

        Although the number of users of urban railway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land use plan around the railway station, Korea has beenstudying this problem in a small scale, so that the entrance width is uniformly calculated irrespective of the land use plan, And thereis little devi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emand estimation model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urban railway stations. For this purpose, the demand, land use area,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for each of the 20 urban railway stations were surveyed at200m and 500m Regression model. The model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pendent variable (response variable) of the model is set to 1 day, peak 1 hour, peak time 5 minutes, Education, and park)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population, employer, employee,and student) as independent variables (explanatory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fit of the model is more statisticallysignificant when the use area of the land use by 500 meters of the center radius of the city rail i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the demand for the daily use of the railway station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optimalsize of urban railway entrance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user and the transportation weak in urban railway station. 도시철도역사 이용자는 철도역 주변의 토지이용계획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우리나라는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상태로 토지이용계획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출입구 너비를 산정하여 일부 출입구에서는 대기행렬이 발생 하거나 이용자가 거의 없는 등 편차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 출입구별 이용수요 추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도시철도역 20개소를 대상으로 출입구별 이용수요, 토지이용면적, 사회경제지표 등을 철도역 중심으로 200 m, 500 m로 조사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정립하였다. 모형의 종속변수(반응변수)를 1일, 첨두 1시간, 첨두 시간대 5분 동안의 철도역 방향별 유출입 이용수요로 설정하고, 철도역 반경 500 m, 200 m 범위의 토지용도(주거, 상업·업무, 공업, 교육, 공원) 면적과 사회경제지표(인구, 고용자, 종사자, 학생)를 독립변수(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시철도 중심 반경 500 m 내 토지용도별 이용면적을 독립변수, 철도역 1일 유출입 이용수요를 종속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모형의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이용자 및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 개선을 위해 도시철도 출입구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추후 교통약자 이용자 수를 반영하여 출입구별 이용자 수 추정, 교통약자 편의시설 적정 규모 산정 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 구축 및 계획 간 정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유선철,조규영,왕광익 국토연구원 2011 국토연구 Vol.69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better ways to apply land use-transportation integrated model to identify and address the issues and problems that have emerged and been pended in the urban planning world. We were to construct a new model using G-LUM, a spatial interaction model developed and widely used recent days, and variables that complements the spatial interaction mode. Then we created index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described model evaluation to evaluate the consistency among the established urban plan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 adopted population by Metropolitan City-Region Planning has the highest level of consistency. The integrated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ble to be utilized as a tool to evaluate the planning consistency in urban planning processes, a means to support planning decision making processes and even a methodology to handle th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arbon emission. This study suggested an integrated model by connecting diverse variables and applied the model to an urban area. It is meaningful a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diagnose the consistency among plans based on the cases and ways to apply the model to real-world urban planning processes.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도시계획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을 구축하고, 계획과정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공간상호작용모형인 G-LUM을 기반으로 인구, 고용, 토지이용, 교통, CO2, 공간변수를 연결한 형태로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고용 및 가구, 토지이용, 교통, 공간으로 구분하여 구축했다. 다음으로 상하위계획 간의 정합성 확보를 위해 이전 단계에서 모형을 통해 추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상위계획인 수도권 광역도시계획과의 정합성 확보를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대안별로 이를 구분하여 정합성을 검증했다. 그 결과 광역도시계획의 추정인구를 모형에 적용한 경우가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모형은 계획과정에서 객관적 방법론으로서 계획체계에서 활용, 계획체계를 지원하는 도구, 환경부문에서 CO2 배출량 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하위계획 간의 정합성 확보를 위한 합의와 수단으로서 계획체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모형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분명히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변수들의 연결, 관련 자료의 구축 및 적용, 정합성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