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자의 ‘孺子入井 - 惻隱之心’에 대한 조선유학자들의 윤리적 입장 - 退溪, 栗谷, 茶山, 惠岡을 중심으로 -

        이영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3

        In this thesis, we study the ethical thoughts of Chosun Confucian scholars on the theory of Mencius’s the primary focus of the human’s good in-nature, ‘Ruzirujing[孺子入井] - Ceyinzhixin[惻隱之心]’, And we discuss the ethical thoughts of this issue centered on 4 eminent confucian scholars of Chosun Dynasty such as Toegye[退溪], Yulgok[栗谷], Dasan[茶山] and Haegang[惠岡].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oegye, Yulgok, and Dasan showed that they concentrated on explaining the origins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Ruzirujing – Ceyinzhixin’ discourse. Second, Yulgok and Dasan reflect the spirit of studying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he personality of the confucian norm and ethical meaningful life which is focusing on the act of moral practice. Third, Dasan was regarded ‘Ceyinzhixin’ as one of the manifestations of various minds rather than the absolute good mind that can not be changed. It can be said that was 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criticizing the main virtue theory of Zhuzi[朱子] Fourth, Haegang criticized Mencius's innate moral theory. So we can define that his theory shows a typical example of a ethical thoughts of Silhak[實學], and his thoughts became an opportunity to open up new horizons of confucian thoughts. As a whole, The argument of the ‘Ruzirujing – Ceyinzhixin’ of Toegye, Yulgok, Dasan and Haegang was to strengthen and deepen 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본 연구는 ‘孺子入井’이라는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윤리적인 문제 상황을 제시하면서, 이 상황에서 사람들은 모두 ‘惻隱之心’을 가지게 된다고 주장한 孟子의 ‘孺子入井 – 惻隱之心’의 性善論的 논의에 대해서 조선 유학자들이 어떠한 윤리적 입장을 견지해 왔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맹자의 ‘유자입정 – 측은지심’ 논변에 대한 조선의 주요 유학자 退溪, 栗谷, 茶山, 惠岡의 윤리적 입장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유학의 윤리적 사유 양상을 해명하였다. 퇴계, 율곡, 다산은 ‘유자입정 – 측은지심’의 논의에서 측은지심의 발출 來源과 마음의 작용 문제를 초점으로 삼아 윤리적 입장을 구축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율곡과 다산이 ‘유자입정 – 측은지심’의 논의에 있어서 실천적 도덕 행위라는 측은지심의 실천 문제에 집중하여 탐구한 측면은 조선 유학의 인격 수양과 참된 삶의 도리 구현을 지향한 실천 유학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다산은 측은지심을 變易不可한 절대적인 仁의 마음으로 보기 보다는 다양한 마음의 발출가운데 하나로 보았는데, 이는 주자학이 견지하는 인성의 본체적 덕론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혜강은 ‘유자입정 – 측은지심’의 논의에서 맹자의 선천적 도덕성론을 비판함으로써 성선론이라는 유학사상의 근본적인 신념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려는 실학적 사유의 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퇴계, 율곡, 다산, 혜강이 전개한 ‘유자입정 – 측은지심’에 대한 논의는 조선 유학사상을 강고화하고 심층화하는 것이었으며, 한편으로는 조선 유학사상의 실천정신과 창의적 사유의 표출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선진 유학의 철학적 치료주의 이념과 방법 一考 - 측은지심의 문화철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박길수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6 No.-

        이 글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 사상을 문화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그것이 당대에 지녔던 철학적 치료주의의 이념과 의의를 논구한 것이다. 흔히 유학사에서 측은지심은 인(仁)의 단서(端緖)로서 윤리학 탐구의 중심 주제가 되어 왔다. 하지만 문화철학의 시각에서 그 개념의 함의를 고찰하면, 측은지심은 본래 ‘심리 상태’, ‘도덕 감정’, ‘정치의식’ 등과 같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며, 그 기원과 배경에는 ‘유자입정(孺子入井)’, ‘여보적자(如保赤子)’, ‘민지부모(民之父母)’, ‘우환의식(憂患意識)과 같은 고대 중국의 독특한 문화적 심리 구조를 반영하고 있는 전형적인 문화적 상징 의미들이 깊이 투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측은지심 개념은 무엇보다도 이러한 고대의 문화적 전통과 맹자가 직면했던 시대의 시대정신이 창조적으로 결합하여 탄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맹자가 이처럼 기존의 문화 전통과 상징 의미 체계 안에서 그의 측은지심 사상을 새롭게 확립한 까닭은 고질적인 도덕적 부패와 정치적 무책임에 빠져있던 당대 통치 계급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사상적 근거를 확보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또한 통치 계급으로 하여금 인정(仁政)을 통해 오랜 전란 및 경제적·정치적 혼란 때문에 고통 받던 백성들의 마음과 생존을 위무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점에서 맹자의 측은지심 사상은 일종의 문화철학적 내용과 성격을 띠며, 그 이념과 대안은 통치 계급의 왜곡된 심성 상태와 정치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치유하려는 ‘문화철학적 치료주의’를 근간으로 삼는다. This article contemplates Mencius’s theory of Ceyinzhixin in cultural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attempts to discuss the philosophical therapism of that time and ponders on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Confucianism, Ceyinzhixin has often been a main topic of discussion as a Clue of Ren in ethics. However, considering its concepts and implications in cultural philosophical perspective, Ceyinzhixin originally implies numerous meanings such as ‘psychological condition’, ‘moral feelings’, and ‘political awareness’, and typical cultural symbolic meanings which reflect distinctive cultural mental structures of ancient China - such as ‘Ruzheruzheng’, ‘Rubaochizi’, ‘Minzhifumu’, ‘Youhuanyishi - are deeply projected on its origins and background. Therefore the concept of Ceyinzhixin was created from creatively fusing these ancient cultural traditions with the spirit of the times Mencius faced. The reason Mencius newly established his theory of Ceyinzhixin within existing cultural traditions and symbolic meaning systems is because he tried to secure an ideological basis to effectively persuade the ruling class of his times, who were into incorrigible moral corruption and political irresponsibility. Moreover, it was for the ruling class to pacify the minds and care for the survivals of the people with Renzheng who were suffering from the long wars and economical·political chaos. In these aspects, Mencius’s theory of Ceyinzhixin takes on kinds of cultural philosophica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ts ideology and alternative aspects are based on the ‘cultural philosophical therapism’ which try to actively repair the distorted mind-states and political awareness of the ruling class.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나는 惻隱之心

        김미선(Kim, Mi-Sun)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백석 시에 나타나는 측은지심의 유발 원리와 그 효과를 살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백석의 시에서 측은지심은 시적 주체와 대상의 거리감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데 그 유형이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백석의 시에서 측은지심은 시적 주체가 대상과 거리를 두지 않는데서 발생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대상은 타인이거나 외부 사물로서 주체와의 거리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이러한 시에서 측은지심이 일으키는 타인에 대한 공감과 다른 사람을 향한 연민의 시선은 쓸쓸함의 정서로 드러난다. 또한 시적 화자의 시선이 타자와 외부로 향하면서 당대 일제강점기 근대현실에 대한 발견과 인식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다른 하나는, 백석의 시에서 시적 주체가 대상과 거리를 두고 있는 데서 측은지심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시적 화자 자신이었다. 시적 화자는 자신을 대상화시키는 상황으로 자기 자신과 거리두기를 한다. 백석의 시에서 타자로 향했던 시선이 시적 화자 자신으로 향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측은지심은 자기 성찰의 과정에 이른다. 여기서 자신에 대한 공감과 자신을 향한 연민은 타자화된 나의 표현이며 근대적 개인의 발견을 가져왔다. 백석의 시에서 자신을 응시하며 자기성찰로 향하는 과정은 쓸쓸함의 정서 표출을 극대화하는 자리가 되고 있다. 백석의 시에 드러나는 쓸쓸함은 삶에 대한 관조가 담긴 지식인의 정서로 볼 수 있는데 측은지심은 쓸쓸함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시적 기재가 되고 있다. 현실에 대한 인식과 자신에 대한 성찰을 불러온 측은지심은 식민지 근대 지식인인 시인의 절망과 고독을 극복할 수 있는 승화로 이끌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laced to study the cause and the effect of the principle of compassion that appears in the poems of Baekseok. In the poems of compassion Baekseok There is formed by the distance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targe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appearing in two aspects. One is compassion in the poems of Baekseok, was generated without the poetic subject and not the destination distance. Here the target is a person or entity has an external object distance of the target and not the street. The eyes of sympathy and compassion towards others, compassion for others is causing in these poems is evident in the emotional loneliness. Also it has a feature that looks the discovery and percep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occupation modern reality of poetic gaze and external speaker while facing a batter. The other is the poetic subject in the poems of Baekseok,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compassion, which is formed with the target and the distance. It is targeted at those who make their own poems was a poetic speaker. Poetic narrator is himself and put away his target solidifying their situation. He headed to the batter in the eye of poems Baekseok is happening compassion toward the poetic narrator of his reach in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he empathy and compassion toward myself for my own representation tajahwa and brought the discovery of the modern individual. Staring at himself in the poems of Baekseok and has become a place that maximizes the process towards the self-reflection is expressed sentiments of loneliness. Loneliness is revealed in the poems of Baekseok we can see the emotion filled the intellectuals to contemplate compassion for life has become a poetic description that evokes the emotion of loneliness. Call a reflection on compassion for the recognition and led to sublimate themselves to the reality that you can overcome the despair and loneliness of the poet in the colonies of modern intellectuals.

      • KCI등재

        니체가 본 중국적인 도덕과 맹자의 윤리 비교 연구-니체의 『도덕의 계보』 제1 논문에서의 주인/노예 도덕과 『맹자』의 측은지심을 중심으로-

        손희욱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0 No.-

        Nietzsche divides morality into the morality of the master (the noble) and the morality of the slave (the non- noble), and criticizes the Christian morality of Europe at the time when Nietzsche lived as slave morality and Chinese morality. Nietzsche’s main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ose who affirm everything, including aggression, are energetic, evaluate value independently, and create value. Slave morality, on the other hand, is an altruistic morality derived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rong, not from the human subject, which makes humans inactive and dwarfed. However, Mencius says that altruistic morality is morality derived from the subject. Mencius refers to heart of compassion(惻隱之心) that cannot be cruel to others, and says that heart of compassion is a clue to sensitive concern for others(仁) that everyone has. And Mencius emphasized that politics based on the people should be based on heart of compassion and sensitive concern for others. In addition, Mencius says that this heart of compassion doesn’t make human be dwarfed, and belongs to a heart(心)-human nature(性)-sky(天) structure. It connects with human nature and an intrinsic and transcendent sky. This also contrasts with the content that Nietzsche’s master/slave morality arises from the conditions of life in reality. Through this basis, I think it is not reasonable for Nietzsche to view Chinese morality as altruistic slave morality. 니체는 도덕을 주인(고귀한 자)의 도덕과 노예(고귀하지 않는 자)의 도덕으로 구분한 뒤, 니체가 살던 당시 유럽의 그리스도교 도덕은 노예 도덕이며 중국적인 도덕이라고 비판한다. 니체가 지향하는 주인 도덕은 공격성도 포함하여 자신의 모든 것을 긍정하며 활력이 넘치고, 주체적으로 가치를 평가하며, 가치를 창조하는 자들의 도덕이다. 이에 반해 노예 도덕은 인간 주체에서 비롯된 감정이 아닌 강자에 대한 원한 감정에서 비롯된 이타적인 도덕으로 인간을 활력이 없고 왜소하게 만드는 도덕이다. 그러나 맹자는 이타적인 도덕이 주체로부터 비롯되는 도덕이라고 말한다. 맹자는 차마 남에게 잔인하게 하지 못하는 마음인 측은지심(惻隱之心=不忍人之心)을 말하면서, 이러한 측은지심은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의 본성인 인(仁)의 단서라고 말한다. 그리고 맹자는 이 측은지심과 인(仁)을 바탕으로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를 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이 측은지심은 인간을 왜소하게 만들지 않으며, 심(心)-성(性)-천(天) 구조로 인간의 본성과 또 내재적이면서 초월적인 천과 이어진다고 말하였다. 이는 니체는 주인/노예 도덕이 현실에서 삶의 조건으로부터 생겨난다고 하는 내용과도 또한 대비된다. 이러한 논거를 통해 니체가 중국적인 도덕을 이타적인 노예 도덕이라고 본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측은지심(惻隱之心)과 부인지심(不忍之心)의 미학적 인식에 관한 연구

        안영탁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4

        본고의 연구 목적은 맹자의 측은지심과 불인지심을 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무목적성의 목적성이라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를 인간의 ``심성미학(心性美學)``으로 이해하고 확장하는데 있다. 인의예지는 ``인성(人性)``의 덕(德)이며 ``성``은 곧 도덕실천의 객관적 원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직 性만이 인의예지라는 덕의 투영을 통해서 마음[心]이라는 도덕실천의 주관적 원칙을 드러내고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미학적 차원에서 자연미와 인간미, 문화미와 예술미가 완전한 독립의 미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에 ``측은지심``이라는 맹자의 ``선단(善端)``은 인간의 행위실천을 통한 ``심성미학(心性美學)``으로 이해할 수 있다. 本論文要從美學角度分析孟子的惻隱之心, 要把``無目的之目的性``的人類道德行爲, 拓寬倂解釋爲人類的心性美學. 仁義禮智是``人性``之德, ``性``是道德實踐之客觀原則. 所以只有性才能通過仁義禮智, 這一道德映射來顯現和實現``心``── 這一道德實踐的主觀原則. 但是從美學角度分析的話,自然美和人類美、文化美和藝術美不是完全獨立的美來存在的, 而是當直接或者間接地相連接時, 惻隱之心, 這一孟子的``善端``才可能理解爲通過人類實踐行爲顯現的``心性美學``.

      • KCI등재

        저항과 연대의 감정, 인(仁) - 5・18에 대한 감정론적 재해석 -

        정영수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본 연구는 5・18의 사건 전개에서 보이는 두려움, 분노, 측은지심(惻隱之心)의 감정을 인(仁) 개념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이 감정들로부터 발견되는 보편적 가치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5・18 초기에 보이는 두려움은 전두환 일당이 부당한 정권찬탈을 은폐하기 위해 동원한 군의 무자비한 폭력으로부터 발생한 감정이다. 두려움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감정이지만 저항과 연대를 방해하는 감정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분노는 광주 시민들이 5・18에 전면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끈 감정이다. 이 분노는 충동적 분노가 아니라 부당한 국가폭력에 대한 도덕적 분노이자 인자(仁者)의 분노이다. 끝으로, 측은지심은 광주 시민들이 공동체의 연대를 통해 보여준 연민의 감정이다. 측은지심은 타인의 고통에 대해 공감하고 밥과 피를 나눌 수 있는 공동체 형성의 원동력이 되었다. 측은지심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는 혈연중심적 인간관계를 초월하고 구성원 모두가 하나가 된 인(仁)의 공동체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feelings of fear, anger, and compassion(惻隱之心) shown in the development of the May 18 Uprising through the concept of rén(仁) to apply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universal values that are found in these emotions. First, the fear shown in the early days of the May 18 Uprising arose in response to the merciless violence of the military, which Chun Doo-hwan and his party mobilized to cover up the unjust exploitation of power. Fear is a necessary emotion for human survival, but it functions as a hindrance to resistance and solidarity. Next, anger is the emotion that motivated Gwangju citizens to fully participate in the May 18 Uprising. That anger was not impulsive, but a resistance to unjust state violence and a moral rage to save lives. In other words, the anger of the citizens of Gwangju is the anger of rénzhě(仁者). Finally, compassion(惻隱之心) is the feeling that Gwangju citizens showed through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The compassion of the citizens was the driving force in leading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in which people could sympathize with the suffering of others and share their blood and their food. A community formed by compassion is a community whose members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blood-related community and is united by its members.

      • KCI등재

        유교 윤리는 의무론인가, 덕윤리인가? - 측은지심을 중심으로 -

        정재현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3

        유교 윤리를 서양의 의무론으로 보는 해석은 측은지심을 실천이성이나 선의지와 연결시킨다. 이러한 해석의 장점은 단순히 유교 윤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만들 뿐만이 아니라 칸트 의무론에 있어서 감정의 긍정적 역할을 더욱 제고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유교의 측은지심에는 일반적으로 의무론에서 보이는, 실천이성이나 선의지와 연결되어 거론될 수 있는 자유의지, 선택과 같은 요소가 부재한다는 점에서 유교 윤리의 본성을 드러내는 데에 있어서는 취약점을 지닌다. 유교 윤리를 덕 윤리의 일종으로 보는 해석은 측은지심을 일종의 도덕 감정이나 자연감정으로 보고, 이러한 감정들이 도덕적 삶 혹은 덕의 주요 토대임을 더욱 잘 드러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교 윤리의 측은지심은 서양의 의무론이나 덕윤리의 그것과는 조금 다른 특징을 지닌 것이다. 그것은 유교의 덕이 서양의 의무론이나 덕윤리에서처럼 인간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서의 이성적 사실이나 인간 본성, 혹은 인간의 자연적 본능과 같은 객관적 사실을 가리킨다기보다, 사회 정치적 안정이라는 현실의 구체적 목표를 두고 추진되는 일종의 전략, 즉 자기 희생을 통한 평화로운 문제 해결방식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유교 윤리는 과학이나 형이상학과 같은 이론적 활동의 강조, 감정과 이성의 엄격한 구분에 기초하기보다는 구체적 상황 속에서의 합리적 활동의 강조나 감정과 이성의 느슨한 구분 등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유교 윤리는 단순히 서양의 의무론이나 덕윤리 체계에 귀속되지 않는 제3의 입장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Western de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Confucian ethics links compassion to practical reason or good will. The advantage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it not only allows for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onfucian ethics, but also for a greater appreciation of the positive role of emotions in Kantian deontological ethic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has a weakness in revealing the nature of Confucian ethics in that Confucian compassion lacks the elements of free will and choice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practical reason and good will of deontology. An interpretation that sees Confucian ethics as a form of virtue ethics has the advantage of seeing compassion as a kind of moral or natural emotion, and better reveals that these emotions are the main foundation of the moral life or virtue. However, Confucian compassion is characterized in a slightly different way from that of Western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This is because Confucian virtue does not refer to objective facts such as facts of reason, human nature, or natural instincts as goals to be pursued by human beings as in Western deontology or virtue ethics, but rather to a strategy, a peaceful way of solving problems through self-sacrifice, that is promoted with the specific goal of social and political stability. Confucian ethics is not based on an emphasis on theoretical activities such as science and metaphysics, nor on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but rather on rational activities in concrete situations and a loose distinc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As such, we can say that Confucian ethics is a third position that is not simply attributable to Western deontological or virtue ethics systems.

      • KCI등재

        馬一浮 心論

        천병돈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8 No.-

        馬一浮에 의하면 六藝는 13經을 포함한 經ㆍ史ㆍ子ㆍ集 등 四部를 통섭할 뿐 아니라, 서양 학술까지도 통섭한다. 이러한 六藝는 다시 心으로 통섭된다. 따라서 六藝의 핵심은 心에 있는 것이지, 六藝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馬一浮에게 있어서 心은 어떤 心인가이다. 馬一浮는 陸王心學의 계승자이며, 馬一浮 스스로도 陸王을 존경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六藝統攝 一心’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馬一浮가 말하는 心의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馬一浮의 心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도덕본심으로서의 惻隱之心. 둘째, 惻隱之心은 성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이것 이 心의 普遍性이다. 셋째, 心은 天地之心 넷째,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다섯째, 心統性情이란 心으로 하여금 情을 ‘거두어(혹은 쥐고)’ 體로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情이 心의 통제를 통해 體로 돌아가면 體用이 하나가 되고, 情은 仁心이 그대로 드러난 情이 된다. 이때가 바로 體用不二다. 이처럼 馬一浮 사상에서 心은 性이고 天이며, 太極이고, 理이다. 그의 心外無物ㆍ心外無性ㆍ心外無道는 모두 이를 바탕으로 나온 개념이며, 心統性情 또한 바로 이런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据馬一浮六藝不儘統攝經史子集等的四部包括十三經在內, 竝統攝西方學. 如此的六藝又爲心所統攝因此六藝的核心是在于心的, 竝不是在六藝本身的.在此 我們必須考慮馬一浮所言的心是如何的心此問題.馬一浮繼鞭王心學, 且曾說尊 崇陸王.然而, 以往硏究‘六藝統攝’論的學者們都还沒對馬一浮所言之心代表什麼意思此問題提出確切的說明. 馬一浮所言的心有以下幾個意義. 一, 心卽惻隱之心. 二, 惻隱之心不是聖人專有的, 而是人所固有, 莫不皆同.這是心之普遍性. 三, 心卽是天地之心. 四, 心卽性卽天卽太極卽理. 五, 心統性情就是使心收(或 ‘攝’)情歸體. 就是說, 情經由心的空制而回歸于體, 體用則一, 而且情便成爲仁心顯著的情. 此時正是體用不二的. 如此在馬一浮思想, 心卽是性卽是无也卽是太極, 也卽是理. 馬一浮所言的心外無物ㆍ心外無性ㆍ心外無道等這些槪念都淵源于這個觀點. 所以心疏性情亦是必須從這個觀點來理解.

      • KCI등재

        사단설(四端說)로 본 고정희 시의 정서 연구

        김미선 ( Kim Mi-su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정희 시에 나타나는 정서의 내용과 변화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고정희 시가 갖는 특징은 서정시가 갖는 미학성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인식한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대한 문제점을 낱낱이 지적하며 우리 민족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류 정서의 지배를 받고 있는 여타 시인들의 시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감정의 파동을 그의 시편에서는 읽을 수 있다. 이는 고정희가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의 마음 중 어느 하나에 집중하거나 어느 하나를 배제하지 않고 모두 시에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측은지심의 내용으로 담아내고 있는 것은 혼자 사는 외로움을 통한 자기 정체성에 대한 점검과 운명으로서의 여성의 삶에 대한 인식이다. 고정희 시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적 대우는 가부장적 관습의 인식에서 오는 부끄러움과 사회구조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의 표현으로 수오지심을 드러내는 내용이 되고 있다. 사양지심은 인간으로서의 겸손한 마음이 담긴 종교적 구원의식으로 나타난다. 시비지심의 표현은 정치, 경제, 사회 현상의 비합리적이고 부조리한 문제가 내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정희 시를 대변하고 있는 특징이 그의 시에 표출되고 있는 정서의 작용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 작품을 사단설(四端說)로 짚어보고자 한 본 연구는 인간의 본성과 인간적인 가치들에 대한 재인식과 시대상을 추적해볼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the emotional content and changes that appear at poems of Goh jung-hee. Features at poems of Goh jung-hee may have aesthetic with the lyric, and she pointed out the problems in detail abou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ecognized, is that putting a sharp critique of our nation`s historical reality. For this reason, the surge of emotion that can not be found in a variety of other poets upon receiving the ruling of the mainstream sentiment in her poems can be read. This is because she is put out at the time of both concentrated as in any of the heart, such as release of compassion, release of shame and dislike for eval, release of modesty and deference, release of sense of approval and disappoval of right and wrong, or not ruled out either. Being put out the contents of release of compassion is the recognition of the inspection and the fate of the self-identity as a woman lives through the lonely to live alone. Women have been discriminatory treatment plant is not able to reveal this information to the shame that comes from the recognition of patriarchal customs and inability of the heart to hate right of representation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poems of Goh jung-hee. Specifications geocentric appear in the saving ordinances of religious filled with humility as a human being. Fertilizer geocentric representation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of the irrational and absurd phenomenon and the contents. This study was a feature that represents the poems of Goh jung-hee be seen that signed a closely related function of emotion being expressed in her poetry. In this study, let`s point out to the Four-Kinds of State of Mind of poems perspective makes it possible to try and track new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appearance of age for human values.

      • KCI등재후보

        서정시를 활용한 한국인의 정서 교육 연구

        전숙(Jun Sook)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한국어교육연구 Vol.- No.5

        이 논문은 한국어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의 정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시도되었다. 5000년을 도도하게 흘러온 한국인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정서를 깊게 노래한 대표적인 서정시들을 통하여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를 알리고 한국과 한국인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에 대한 교육내용을 마련하고자 했다. 권력자들에게 끊임없는 수탈을 당하고 무수한 침략을 겪으면서도 대다수의 한국의 민중은 한을 한으로 풀어내지 않고 정과 측은지심과 물아일체와 자기희생으로 승화시켜왔다. 그것이 한민족의 힘이기에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이어가고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이다. 은근과 끈기로 견뎌낸 긍정의 정서들, 이 정서는 또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에게도 확장시키면 얼마든지 공통분모를 찾을 수 있는 인류 공통의 정서이기도 하다. 연구 결과,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를 혈연에 의지한 가족의 정, 삼라만상에 대한 측은지심, 천지만물과의 교감(물아일체), 모성과 자기희생의 네 가지로 집약할 수 있었다. 국가와 민족이 달라도 각 개인들의 오랜 역사 속에 녹아 있는 정서를 노래한 시와 노래를 공유함으로써 인간의 공통 정서를 서로 교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들은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의 학습을 통해서 한국과 한국 문화와 한국인의 정서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한국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 부가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말하기에서도 한국어의 고급스런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implant a just sense of Korean sentiment to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typical Korean lyrics which recite quintessential Korean sentiment that has flowed inside Koreans for 5000 years: introduce typical Korean emotional sentiment to foreign learners and buil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learners to better comprehend Korea and Korean. Most Korean people did not resolve their deep sorrow but sublimated it with affection, compassion, interaction with all creation, and self-sacrifice although Korean had encountered untold exploitation. As with the power of the Korean race, Koreans have managed to keep tradition and culture alive. Korean have held up positive sentiment through courtesy and tenacity. Korean sentiment is also common speech for humanity that we can identify from foreign students. The study integrated the typical Korean sentiment into four aspects: strongly close-knitted family affection, compassion for nature, interaction with all creation, maternal instinct and self-sacrifice. All nations and races can interact using common sentiment with each other through poetry and song which contain individual emotion in a long history. Korean learners are not only expected to better comprehend Korea, Korean culture, and Korean sentiment through typical lyrics, but also to be able to form a social consensus with others. Learners would improve their capacity of expression as well as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