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현배의 문학관과 외솔시조의 의미

        이민규,박애경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1

        Korean language scholar Choi Hyeon-bae, who insisted on the use of pure Korean text from 1894 to 1970, was also interested in Korean literature, and his interest led to the creating of Oesol.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meaning of Sijo Oesol through Choi Hyun-bae's view on literature. As a Korean language scholar, Choi Hyeon-Bae defined literary demand as a demand for life and aimed for literature that encompasses the individual’s life and the nation’s, fate and history. Oesol expressed years in prison, thoughts of his hometown, traveling, and longing for Ju Si-gyeong. In that sijo, Choi Hyun-bae’s personal feelings and his reflection on the nation were in balance and harmony. The sentiment of the sijo reflects his literary view that literary demand is the demand of life. Meanwhile, Choi Hyun-bae also revealed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Jeong In-bo. While Jeong In-bo focused on the musicality of sijo based o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t was important for Choi Hyun-bae to maintain the linguistic structure of sijo. However, this difference should not be viewed as a conflict between Choi Hyun-bae’s and Jeong In-bo’s sijo literature. To analyze and deeply reflect on Choi Hyun-bae’s and Jeong In-bo’s literature, this paper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earch history. 1894년부터 1970년까지 순한글전용을 주장해온 국어학자 외솔 최현배는 국문학에도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그 관심의 성과가 외솔시조였다. 본고는 최현배의 문학관을 통해 이 외솔시조가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최현배는 문학적 요구란 생명의 요구라고 규정하면서, 개인의 생애와 민족의 역사를 아우르는 문학을 지향했다. 외솔시조는 이 최현배의 문학관이 드러나는 문학적 성과였다. 평생을 국어학자로 살아온 최현배에게 언어란 인간 감정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수단이었고, 언어적 발화란 인간의 존재론적 본질을 규정짓는 근원이었다. 외솔시조는 바로 인간이 어떻게 새로운 문학 문화를 창달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성찰의 결과였다. 이 최현배의 외솔시조는 동시기의 정인보가 지은 위당시조와도 중요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정인보가 한문 고전에 기반한 시조의 음악성과 정통성에 집중했다면, 최현배에게는 시조의 언어성에 집중하면서 시조의 언어적 형식에 좀 더 집중했다. 다만 최현배와 정인보의 시조문학이 상충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최현배와 정인보 모두 문학과 생명을 연관짓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이러한 점을 좀 더 심도 있게 성찰하기 위한 연구사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외솔 최현배의 철학 개념 연구 (1) -"살음(生)", "생기(生氣)" 개념을 중심으로-

        임명희 ( Myung-hee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7

        본 논문은 외솔 최현배(1894-1970)의 사상을 연구한 것으로, 특별히 최현배의 『조선민족 갱생의 도』에 나타난 “살음(生)”, “생기(生氣)” 등의 개념에 주목하였다. 최현배는 기존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도(道), 이(理), 상제(上帝), 로고스(logos) 등의 철학 개념을 순우리말인 “살음”으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또한 살음의 작용성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살려는 뜻”의 함의를 가진 “생기” 개념을 제출하였다. 최현배의 이러한 시도에는 우리말을 통해 사유하고 표현하고자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나아가 본 문은 최현배의 언어관 속에 근대를 열었던 새로운 가치인 자유와 창조의 정신이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최현배 사상이 가지는 철학사적 위상을 제고하고, 아울러 존재의 원리 내지 본질에 관한 한국적사유의 일단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deals with Choi Hyun-bae``s thought, focused upon "Salum(살음)" and "Sengki(생기)" of his writings The Way to Rebirth of the Chosun Nation. Choi Hyun-bae interpreted "Dao(道)", "Li(理)", "Shang-di(上帝)" and "Logos" as "Salum (살음)". In addition, he provided the concepts of "Sengki(생기)", as the Will of life. Second, this paper aimed to show Choi Hyun-Bae``s thought of Korean language by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his philosophic explanat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freedom and creativity.

      • KCI등재

        초기 국어문법에서의 품사 분류와 ‘보조어간’ 설정에 관한 문제

        김병문 ( Kim Byung-moon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우리말 연구사를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하든 최현배의《우리말본》이 누리는 지위는 확고부동하다. 그 이전과 달리 어미를 용언의 일부로 설정하고 이를 ‘활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용언의 활용이라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방안은 현재까지도 대체로 의심받지 않고 있으며 학교 문법 역시 이에 근간을 두고 있다. 그런데 이 활용이라는 개념적 장치를 위해서는 이전에 충분히 조명 받지 못하던 용언의 여러 요소들과 그 층위가 규명되어야만 했는데, 그 과정에서 포착된 것이 바로 ‘보조어간’이다. 물론 현재는 이 ‘보조어간’을 이루는 것들 중 일부는 접사로, 나머지는 선어말어미로 분류되고 있으나, 이 ‘보조어간’은 최현배가 자신의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며 가장 강조했던 것 가운데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최현배의 이 ‘보조어간’이 주시경이나 김두봉과 같은 앞 세대의 문법 이론이 가지고 있던 내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제시된 것인 동시에, 당시에 제출된 전혀 다른 이론에 대한 대응의 결과였음을 밝히려고 했다. 다른 이론이란 박승빈의 활용설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형태를 밝혀 적는 주시경식 표기법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현배의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선어말어미만으로는 통사적 단위가 성립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 문법적 층위가 어말어미와는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고 있는 북한문법에서는 ‘보조어간’에 해당하는 것들을 여전히 단일한 부류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현배의 ‘보조어간’이라는 개념이 제시한 이론적 과제들은 현재에도 온전히 해결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Whatever perspective is employed to approach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history, the status enjoyed by Choe, Hyeon-base's 『Urimalbon』 (Korean Phraseology) is undisputed. It's because Choe Hyeon-bae set up an ending as a part of predicates, which Choe Hyeon-bae explained in the concept of 'Conjugation' unlike former times. Naturally, conjugation of predicates, which was an innovative plan in that day, remains unquestioned on the whole even until the present, and school grammar is also based on this. However, for the conceptual device of this 'Conjugation', there was the necessity of having to inquire into several elements in predicates, on which adequate light was shed previously, and their layers, and it was the very 'Stem Supplement' that was grasp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course, a part of the things which form this 'Stem Supplement' is classified as an affix, and the remaining parts as endings at present; however, this 'Stem Supplement' is one of the things, on which Choe, Hyeon-bae put emphasis the most while presenting his own new theory. This study intended to make it clear that Choe, Hyeon-bae's 'Stem Supplement' was presented as a part of endeavors to tide over the internal contradiction of the grammar theory argued by an earlier generation like Ju, Si-gyeong, or Kim, Du-bong, and also that Choe, Hyeon-bae's 'Stem Supplement' was the result of the response to the entirely different grammar theory presented at that time. The different theory refers to Park, Seung-bin's conjugation theory, which basically denied the Ju, Si-gyeong-mode notation, which is the way of writing down a word based on the clarified word form; therefore, from the position of Choe, Hyeon-base, it is presumed that it couldn't but be urgent for him to respond against the trend. Nevertheless, it seems that the theoretical tasks suggested by the concept of Choe, Hyeon-bae's 'Stem Supplement' fail to be solved in their entirety even today in that the North Korean grammar explains the things belonging to this 'Stem Supplement' as a single category even at present, and in that a syntactic unit cannot be established only through pre-endings unlike other endings.

      • KCI등재

        최현배의 ‘바꿈’, 계승과 변화

        정한데로 형태론 2022 형태론 Vol.24 No.1

        In the Korean traditional grammar, the initial study on the bakkum(change) of words(gi, ssi) focused on change of part-of-speech introduced for functional purposes to construct the correct sentence. A representative example is gimom-bakkum by Ju Sigyeong (1910). Then in Gim Dubong (1916), which described tteut-bakkum(change of meaning) and mom-bakkum(change of part-of-speech) in a balanced manner, the search for change of meaning began in earnest, and as a result, the use of bakkum was expanded to a wider area. A series of studies from Choe Hyeonbae (1930, 1934, 1936) to Choe Hyeonbae (1937) show that bakkum has entered another stage. While actively discussing change of shape centered on ssikkeut-bakkum(change of ending) and kkol-bakkum(change of shape), the concept of bakkum were expanded to another area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hange of part-of-speech and change of meaning. In the process, the role of ssigaji, which leads ssikkeut-bakkum, was greatly emphasized and interest in the word composition began, and contents directly related to word formation theory appeared in the literature through jjahim of ssi. This article discusses the succession and change aspects surrounding bakkum from Ju Sigyeong (1910) and Gim Dubong (1916) to Choe Hyeonbae (1937). 한국어 전통 문법에서 단어(기, 씨)의 ‘바꿈’에 관한 초기 연구는 올바른 문장 구성을 위해 기능적 목적으로 도입된 ‘품사 변화’에 초점이 있었다. 주시경(1910)의 ‘기몸박굼’이 대표적이다. 이후 ‘뜻바꿈’과 ‘몸바꿈’을 균형적으로 서술한 김두봉(1916)에서 ‘의미 변화’에 관한 탐색이 본격화되었고, 그 결과 더욱 넓은 영역으로 ‘바꿈’의 쓰임이 확대된다. 최현배(1930, 1934, 1936)을 거쳐 최현배(1937)에 이르는 일련의 논저는 ‘바꿈’이 또 다른 단계에 진입한 모습을 보여 준다. ‘씨끝바꿈’, ‘꼴바꿈’ 중심의 ‘형태 변화’를 활발하게 논의하면서, 종래의 품사 변화, 의미 변화와는 또 다른 영역으로 ‘바꿈’의 외연을 확장한다. 그 과정에서 씨끝바꿈을 주도하는 ‘씨가지’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아울러 ‘단어 구성’에 관한 관심이 싹트게 되면서, ‘씨의 짜힘, 단어의 조성’을 통해 단어형성론과 직접 관련한 기술들이 문헌에 등장하게 된다. 이 글은 주시경(1910), 김두봉(1916)에서 시작하여 최현배(1937)에 이르기까지 ‘바꿈’을 둘러싼 계승 및 변화 양상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논쟁적 담론구성체 『조선민족 갱생의 도』, 그 의미

        방민호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20

        최현배의 조선 민족 갱생의 도 는 「민족개조론」에서 이광수가 내비친 두려움이나 타협에의 유혹으로부터 자유롭다. 이광수의 견해를 상당한 정도로 참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최현배는 조선의 전통과 가치를 숭상했던 선배들의 사상을 보다 깊이 흡수했다. 그는 신칸트주의나 니체주의, 그리고 베르그송이나 오이켄의 생철학, 그리고 마르크시즘과 같은 서양철학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성찰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정신의 능동적이고도 창조적인 가능성을 믿었고, 조선 민족의 본원적 가치를 믿는 신념 위에서 글을 썼다. 이로 인해 조선 민족 갱생의 도 는 다윈적 진화론, 퇴화론의 영향에서 건져 올려졌다. 이 저서는 민족의 갱생, 부활에의 길에 대한 최현배의 신념을 보여준다. Choi Hyun-bae's The Way of Joseon National Rebirth is free from the fear or temptation to compromise expressed by Lee Kwang-soo in National Reformation Theory . Although he referred to Lee Kwang-su's views to a significant extent, Choi Hyun-bae more deeply absorbed the ideas of his predecessors who revered Joseon's traditions and values. He had critical reflection on Western philosophy such as neo-Kantianism, Nietzscheanism, the bio-philosophy of Bergson and Euken, and Marxism. He believed in the active and creative potential of the mind and wrote based on his belief in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Joseon people. As a result, The Way of Joseon National Rebirth was saved from the influence of Darwinian evolution theory and degeneration theory. This book demonstrates Choi Hyun-bae's beliefs about the path to national rehabilitation and resurrection.

      • KCI등재

        광복 이후 1970년대까지의 한글전용 논쟁과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위상(位相)

        이현일 ( Lee Hyun-il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올해는 1981년에 설립된 韓國漢文敎育學會가 創立 4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학회 설립의 기반인 각 대학의 漢文敎育科 중에는 조만간 학과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중등교육에서 漢文科의 位相은 상당히 嚴酷한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런 시점에 그 始源으로 돌아가 당시 한국 사회에서 우리 교과에 기대했던 바를 다시 되짚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근대전환기에 日帝의 식민지로 전락하여 급기야 말과 글을 빼앗겼던 우리 민족은 光復과 더불어 신속하게 일본어를 몰아내고 한국어를 부활시켰다. 한국과 북한이 재빨리 언어 독립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체계화하고, 표준어를 査定하고, 맞춤법을 통일시키고, 한국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말글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까지 바쳐가며 헌신한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주춧돌이 되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연원은 대체로 한힌샘 周時經(1876∼1914)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복 이후 남과 북에서 한글전용론을 앞장서 주장한 학자들은 대체로 周時經을 淵源으로 하며, 광복 이후 남한에서 모든 논쟁은 崔鉉培(1894∼1970)가 軍政廳 學務局의 編修局長에 취임하여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교과서의 한글 전용 및 가로쓰기와 풀어쓰기를 시도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현배의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趙潤濟(1904∼1976)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뒤로도 漢字 폐지 여부를 두고 국어학자와 다른 분야의 지식인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지속적인 갈등이 벌어졌고, 정권에 따라서는 이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을 부각시키는 데 이용하려 하기도 하였다. 특히 1969년 三選改憲과 1972년 維新憲法을 관철시켰던 박정희 정부에서는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이라는 稀有의 정책을 강력하게 집행하면서도, 그 반대 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 漢文科를 국어과에서 독립시키고 중등 교육에서 필수 교과로 자리 잡게 하였고, 이에 따라 漢文敎育科가 창설되었다. 곧 한글전용과 중등학교에서의 漢文 교육은 애초부터 相補的 관계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또 중등교육에서 漢文科를 독립시키고, 대학에 漢文學科를 창설하고, 동양고전과 우리 한문학 유산을 전문적으로 번역시키고, 이런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漢學者를 우대해야 한다는 의론이 한글전용을 주장하는 학자들로부터 먼저 나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무리 부분에서는 한글전용이 돌이킬 수 없는 대세가 된 지금의 시점에서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중ㆍ고등학교에서 漢文科의 위상이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했고, 마지막으로 “한글=국어”라는 뿌리 깊고 폭 넓은 오해에 대해서 변증하였다. This year is the fortieth anniversary of Societ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foundation of this society were composed of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mong them some department will be their fiftieth anniversary in two years later. But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has been mediocr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society, Korea people were deprived of Korean speech and language by the colonialist, Japan. As soon as the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revived the language and derived out the Japanese. During the crucial Colonial days the Korean Scholars systematized the Korean grammar, screened standard language, unified spelling, edited the dictionary of Korean laguage, in spite of their prisoning. After liberation, the advocate of using Hangul exclusively was followers of Ju Si-keyung. Representative hangul advocate was Choi Hyun-bae who supervised editing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and Citizenship. At that time, he attempted to write using Hangul exclusively. This paper reviews Choi Hyun-bae’s assertion and the oppositionist Jo Yoon-jae’s assertion. Choi’s assertion is well described in his Revolution of Letters And opposition party, Jo Yoon-jae’s The Immidiate Problem of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was representavie. Under the President Park Jeong-hee’s government, he announced 5 year plan of Hangul only use. And he make Chines Classics and Sion- Korean literature as compulsory subjec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let establish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ngul use only policy and Chines Classics and Sion-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re not hostile,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우리말본』 유인본에 나타난 최현배의 체언 체계 및 내용 변천 과정 연구

        박효훈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1

        이 연구는 외솔 최현배의 초기 문법의 명사․대명사․수사 체계 정립 과정을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과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우리말본』의 여러 유인본 중 세 가지를 살펴봄으로써 밝히고자 한다. 한편, 이들 유인본은 출판된 형태의 책자가 아니고, 이름 그대로 등사하여 제본한 것으로, 그 저작 년도를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저작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아봄으로써, 『우리말본』의 문법체계가 언제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는지는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체언(명사․대명사․수사) 부분을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 체계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있는데 외솔의 문법체계가 언제부터 구상되어, 어떤 변화를 거쳐 『우리말본』으로 정립되었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setting structures of 'noun', 'pronoun' and 'numeral', which are all of 'Che-un', from the early level of the Choe Hyeon bae’s Korean grammar, through studying three editions among various mimeograph editions of ‘Urimalbon’ owned in Yonsei University Library and the Museum of Yonsei University. We are not able to know when these three mimeograph editions are made, because all these one are hand-transcripted versions, not pressed version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will allow to take a look closely on when and how ‘Urimalbon’ grammar structures are processed and evolved by looking for clues for estimating the time of t writing work. Moreover, through aggressive studying to compare each part of ‘Che-un(noun, pronoun, numeral)’ and examining structure change of the each part, we can find out the time of birth Choe Hyeon bae’s grammar structures and development of ‘Urimalbon’.

      • KCI등재
      • KCI등재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영향관계 : 19세기 말∼20세기 전반기, ‘국어학’ 학술네트워크 고찰을 위하여

        서민정(Seo, Min-jeong),최규수(Choi, Kyu-soo)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훈민정음’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제국에 저항할 수 있는, 민족적 자부심이 담긴 대표적인 유산으로 여겨왔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지식인, 특히 국어학자들의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성과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특히 ‘허웅’은 20세기 전반기의 국어학 연구나 언어에 대한 인식 등을 현재까지 잇는 중간 역할을 하였다는 측면에서 ‘허웅’의 훈민정음 인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앞선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 온 주시경, 권덕규, 김윤경, 최현배, 홍기문 등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이나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허웅(1974가, 나)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말과 글의 관계나, 한글전용과 같은 언어 정책에 대한 입장 등은 대부분 ‘훈민정음’ 특히 ‘어제서문’의 해석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어서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허웅은 학문에 대한 태도는 실증적이고 엄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스스로도 그러한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에서는 앞선연구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실증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허웅의 관점이 허웅의 학문적 태도에서 출발했다기보다는 훈민정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그만큼 맹목적인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은 『한글과 민족 문화』(1974ㄱ)에 선명히 나타나 있는데, 이외에도 『우리말과 글의 내일을 위하여』(1974),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1979), 「세종의 언어 정책과 국어 순화 정신」 (1980),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1981) 등에서도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Since the flowering period, ‘Hunminjeongeum’ has been understood as a representative heritage showing the pride of the people who oppose the Western modernity or resist the Japanese empire. In this process, it was natural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the Hunminjeongeum of intellectuals, especially Korean scholars, became the basis. So far, in the previous study, discussions about Hunminjeongeum such as Ju Si Kyung, Kwon Duk Kyu, Kim Yoon Kyung, Choi Hyun Bae, and Hong Gi Moon have been discussed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a need for this research in that the review of the ‘Hunminjeongeum’ by Mr. Huh has not been done yet. As we can see in Huh Woong(1974, I)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ds and writings, and the position of language policy, such as Hangul, are mostly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Hunminjeongeum’, especially ‘Preface’, which makes it more necessary to examine his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On the other hand, as discussed in Seo Min-jeong(2011), “Hunminjeongeum” and “Preface” were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say) and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material that reveals Huh Woong’s awareness of Hunminjeongeum is “Hangul and National Culture”(1974). Other than that, for the sake of Korean and Writing tomorrow (1974), Korean and Writing Love(1979), Sejong’s Language Policy and Korean Refinement Spirit(1980), Isaac’s Mind, etc.(1981), and the Korean and Korean Cultures(1974, Sejong University, and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1974), The Korean language policy is also discussed,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unminjeongeum can be said to be followed by the Korean language policy. Based on the above dat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by Mr. Huh.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attitude of Huh Hung"s scholarship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And it was examined that such aspect did no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problem of attitude of Heu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time to reinterpret and evaluate Hunminjeong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