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朝鮮時代 宮中 宴享에 裝飾된 綵花에 관한 硏究 : 조선시대 궁중 연향 장식된 채화에 관한 연구

        김혜자 한국꽃예술학회 2008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1

        꽃은 예(禮)를 거행하는 크고 성대한 의식에서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품목이다. 꽃은 아름답고 화려하며 영화로운 일에는 빠짐없이 사용되어 행사의 품격과 운치를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꽃으로 의식의 장소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꽃을 바치는 행위는 예우를 받는 사람에 대한 최고의 정중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더구나 궁중연향과 같은 품위 있는 의례에서는 더욱 장엄한 역할을 하였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왕의 즉위, 왕이나 왕세자․왕손의 성혼, 책봉 등의 예식인 가례(嘉禮), 외국 사신과 왕실의 어른들에게 베푸는 연회 등 여러 가지 의식과 연향(宴享)이 있었다. 이러한 궁중연향에는 설행장소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윗전에 대한 극진한 예우를 표현하기 위해 많은 꽃을 사용하였다. 궁중연향에서는 가화(假花)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행사를 기록한 의궤(儀軌)에는 가화를 채화(綵花)라 기록하고 있다. 궁중연향에 쓰인 채화의 종류는 연꽃, 모란, 홍도화(桃花), 국화, 사계화, 월계화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포도, 복숭아, 유자, 감, 복분자 등의 열매 달린 가지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들 꽃과 과일은 모두 장수(長壽), 부귀(富貴), 번화(繁華), 부덕(婦德), 다산(多産) 등의 상징적인 뜻을 내포하고 있어, 경축의 의미와 함께 길상의 의미를 더하여 윗전에 대한 극진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Floral decoration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any grand, majestic ceremony of courtesy. Flowers are found in every occasion with splendor and glory, and bring dignity and ambiance to the event. To decorate the venue of ceremony with flowers and to present flowers to someone of a high ranking represents the highest form of courtesy. In ceremonies like royal feasts, in particular, flowers added a sense of dignity to the atmosphere. Ceremonies and feasts took place at the royal court of the Chosun dynasty to celebrate a variety of royal events, such as coronations, royal weddings and appointments, and banquets were held to entertain foreign missionaries and elderly members of the royal court. For these events, flowers were used to decorate the venue and to pay the highest respect to persons of high status. Artificial flowers were used at the royal court, and they are referred to as "Chae-hwa" in the "Ui-gwe" (protocol for royal feasts). The "Chae-hwa"s most often used at royal feasts include lotus, tree peony, peach, chrysanthemum, "Sa-ge-hwa" and "Wol-ge-hwa", which were placed along with twigs with fruits from grapes, peaches, citrons, persimmons and wild berries. As these flowers and fruits were deemed to represent longevity, wealth, prosperity, womanly virtues and fertility, they were used for celebration, to wish good luck and to express heartfelt respect to persons of high status.

      • 천마총 출토 채화판(彩畵板)에 대한 기초적 검토 : 서조도와 기마인물도를 중심으로

        유병하,성재현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동원학술논문집 Vol.11 No.-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은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 천마도를 특별 공개할 목적으로 정밀 적외선 촬영을 실시하였다. 적외선 촬영을 통해 무덤 내부에서의 부장맥락과 제작기법, 용도를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채화판 전면에 그려진 서조도와 기마인물도를 검토하고, 이를 주변국의 관련 자료와 비교·분석해볼 수 있었다. 그 결과 채화판은 여러 종류의 유물과 함께 일정한 순서 하에 수장궤에 부장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채화판의 제작은 형상 만들기와 그림 그리기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완성된 채화판은 신라 고분의 부장 양상과 고구려 벽화에 묘사된 그림을 통해, 관모의 부속구로 사용되었거나 말 등에 올리는 장식판으로 추정되었다. 채화판에 그려진 서조도와 기마인물도는 5~6세기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채화칠기나 금속공예품에서도 나타난다. 그리고 주변국이었던 고구려의 벽화, 백제의 목칠·금속 공예품에서도 다수 확인되었다. 따라서 서조도와 기마인물도는 신라, 백제, 고구려에서 비슷한 시기에 널리 이용되었던 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에도 유사한 사례를 폭넓게 확인할 수 있는데, 4~7세기에 만들어진 동북·서북·남방·남경지역 무덤의 벽화와 화상전이 그러하다. 이러한 사실은 신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이 오랫동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그 범위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 같은 당시의 정치·경제·문화적 친연(親緣) 관계를 넘어서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The painted plate excavated at the Heavenly Horse Tomb was recently photographed with infrared ligh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ts burial contexts, manufacture technology as well as function. This study also examines auspicious birds and horseback riding figures pain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late and as compared with related material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painted plate was buried in the coffin together with a number of different objects in a specific order. The plate seems to have been buried at the end with a saddle flap depicting the heavenly horse, saddle and stirrups. The manufacture of the painted plate is comprised of two phases: forming the shape and painting of the plate. The painted plate is assumed to have been attached to a crown or used as an ornament on the horseback, judging from its burial contexts and painted examples in Goguryeo wall paintings. Auspicious birds and horsemen painted on the plate can be seen on the painted lacquer and metal works excavated from Silla tombs dating to the 5th and 6th centuries. They are also found in the wooden and metal crafts of Baekje and Goguryeo wall paintings.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bird-horseman iconography was popular and widely used in Silla, Baekje and Goguryeo during the same period. Moreover, such iconography can be seen in numerous examples from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s evidenced in wall paintings and pictorial stones of tombs in the northeast, northwest, and south regions and Nanjing area. This fact clearly shows that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illa, were culturally tied to each other.

      • KCI등재

        궁중행사도와 의궤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연향과 채화(綵花)-진화의식과 잠화를 중심으로-

        유재빈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8

        Chaehwa, artificial flowers made for the court, had several different roles in the state rituals of Joseon Dynasty. They were offered to the guests during the ritual, dressed on their heads, and used as decorations for the ceremonial space. This article focused on 'the flower offering rite', Jinhwa(進花) and 'flowers dressed on their head', Jamhwa(簪花) after being received in the rite. Jinhwa rite was included in the banquet ceremony and practiced as a part of table setting stage, where the napkins and tables were given for each of participants in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Five Rites of the Nation(國朝五禮儀). Jinhwa rite, however, were apart from the table setting and became independent rite accompanied by its own music and dance performance in 19th century. Moreover, the act of rite in distributing flowers was specified: the officials and royals guests stepped out and received the flowers as they were being called in the oder of position. The development of Jinhwa rite is related to the change of banquet ceremony in general in 19th century, in which act of rites were elaborated and the scale of performance was expanded. The flowers offered to the participants were put on their head. 'The flowers on the head', Jamhwa was symbol of joy and splendor of the ceremony. Therefore, in case of natural disaster and the funeral period, Jamhwa was often disused. King Yeongjo who considered frugality a virtue, abolished Jamhwa made with silk. He later approved to use Jamhwa again when his grandson, Jeongjo asked to offer it as a means of filial piety. In the reign of Jeongjo, Jamhwa was actively in use to distribute to all the participants in the ceremony to reinforce the meaning of 'the joy of the banquet shared with people(與民同樂)'. The documentary paintings and the illustrations of the ritual protocols, uiguwe(儀軌), described the flower designs in details and represented each people and space decorated with flowers in order to emphasize the symbol of flower, joy and splendor of the ceremony. 조선시대 국가 의례에서 채화는 의례 공간을 장식하고, 참가자에게 나누어져 머리에 꽂아지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 꽃을 나누는 진화· 산화의식과 참가자의의 머리에 올려진 잠화에 주목하였다. 우선 조선 초기의 의례를 국조오례의를 통해 살펴본 결과 진화·산화의식은 술과 음식을 나누는 연향의례에 주로사용되었다. 진화 산화의식이 의례 중에 포함된 위치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의례 참석자의 상차림에 부속되었다. 이러한 기본 원칙은 1795년 정조가 혜경궁에게 올린 연향을 기점으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진화·산화 의식이 상차림 의식과 분리되고, 꽃을 나누는 하나의 의식으로 독립된 것이 된 것이다. 19세기 들어 진화와 산화 의식에는 개별적인 음악과 무용, 행위 규범이 부가되었다. 왕과 왕세자의 진화 의식 동안에는 음악과함께 ‘가인전목단’, ‘육화대’ ‘헌천화’ 등 꽃과 관련된 정재가 수반되었고, 또한 산화 의식 중에는 참가자들의 이름을 호명하면 나와서 무릎 꿇고 꽃을 받는다는 행위가 구체화되었다. 이처럼 19세기 이후 진화와 산화 의식은 정교화되고 독립된 의식으로서의면모를 갖추어 갔다. 이는 19세기 연향이 전반적으로 의식이 세분화되고 그 의식마다음악· 무용 등의 공연 요소가 강화되는 현상과도 맞닿아 있다. 진화·산화 의식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받친 꽃은 머리에 꽂는 잠화가 되었다. 잠화는 연향의 기쁨과 화려함의 상징이었다. 따라서 재난과 상을 겪고 부득이하게 연향을진행하여야 할 때는 잠화를 폐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영조에게 잠화를 권유하였던 세손 정조의 일화를 통해서 잠화는 효의 상징으로 비치기도 하였으며, 모든 참가자들이 꽃을 꽂고 돌아가는 모습을 통해 백성과 함께 즐기는 여민동락의 상징으로 인식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향에서 꽃은 술이나 음식에 비해 부수적인 요소에 속했다. 그러나 궁중 행사도는모든 참석자의 머리에 잠화를 그리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으며, 의궤도는 사용된 채화를 종류별로 다양하게 그려 기록하였다. 궁중행사도는 의례에 대한 사실적 기록임과동시에 시각적인 재구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궁중행사도에서 꽃을 적극적으로 재현한것은 실제로 채화의 사용이 늘어났음을 보여줌과 함께 이를 통해 기쁨과 화려함이라는연향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강화 참성단 초례상의 도교적 재구성과 유교적 변용

        박채린 동아시아고대학회 2012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7

        마니산 제천행사의 연원은 단군代까지 소급되기도 하나 마니산 제사 상차림의 재현을 문헌에 기반하여 제시하는 것은 고려대 이후의 모습부터 가능하다. 현존 문헌에 등장하는 마니산 참성단 제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고려 원종 때이다. 고려시대의 참성단 제례는 도교적 초례 형태로 치러졌고 이와 같은 형식은 소격서에서 참성 초례를 관장하던 임진왜란 전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렇게 마니산 참성단 초례는 조선시대 들어 대다수의 도교적 초제가 철폐되는 가운데서도 살아남았지만 임란 이후 소격서의 철폐로 도교의례 전문 주관부서가 사라지고, 유교적 이념이 더욱 강력해짐에 따라 한번 맥이 끊긴 도교적 초례 형식이 완벽하게 복원되기는 불가능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숙종 때 기록인 江都誌나 조선후기 왕실 제사 담당 기구의 실무지침을 기록한 태상지와 육전조례의 내용은 마니산 제사가 유교적 정사에 편입되면서 그 설행 방식과 설찬 형식 역시 유교적으로 변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고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교적 초례형태로 지냈던 고려시대 마니산 참성단 초례의 상차림의 형태와, 조선후기이후 유교적으로 변용되었을 마니산 제사 상차림의 형태를 추적해보았다. 고려의 도교초례는 송代 모델을 수용한 것이므로 고려시대 마니산 초례 상차림은 송·원대에 걸쳐 정비된 정통도장에 나타난 초례 상차림의 제물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쌀, 조, 수수 등의 곡류(米)와 새로 난 과일 및 견과류(果), 채소류(蔬), 떡(餅), 포(脯), 차와 탕(茶‧湯), 물(水), 술(酒)을 비롯해 신상(神像), 향, 오색비단 등의 기물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교 초례의 제찬은 그 시대의 조리기술을 유연하게 흡수하고 그 방식을 이용한 음식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고려~조선시대의 제사의 俗禮的 유풍도 상당히 흡수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속례 제사상차림의 필수품으로 여겨졌던 채화(綵花)와 유밀과가 도교적 초례상에도 차려졌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 후기에 들어 마니산 참성단 제사는 유교적 형식으로 변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그 형태에 있어 하나는 時俗을 유연하게 수용한 형태로 왕실의 俗禮와 家家禮에서 보이는 상차림 형식이다. 탕, 과, 주, 과, 포, 병을 기본으로 하되 그릇의 숫자나 조리법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다. 생곡이 아닌 밥이 올라간다는 것만 제외하면 도교적 초례상에 차렸던 제물의 속성과도 유사하다. 나머지 하나는 조선시대 국가정식 祀典 기준에 충실한 상차림법이다. 17세기이후 마니산은 공식 산천 제사 대상으로서 小祀에 편재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기우제의 경우처럼 도무속적인 요소와 혼합되어 치러졌을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정사에 편재되었다고 해서 상차림이 그 기준에 맞추어졌으리라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상차림 방식이 小祀에 준한 유교적 상차림을 준용하였다면 定期 제사에는 籩·豆 각 8개에 醢와 菹 각 4종을 담아 이행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history of the sacrificial rite in Mt. Mani is believed to trace back to the Age of Dangun, but the earliest records based on which the table setting for the sacrificial rite in Mt. Mani can be reproduced is literature from the Koryo Dynasty. The first record extant on the sacrificial rite on the Chamseongdan Altar in Mt. Mani is from King Wonjong in the Koryo Dynasty.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rituals on the Chamseongdan Altar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Taoist Chorae Ritual, and this form is believed to have continued until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when Sogyeokseo (Taoist Office) supervised the Chorae Ritual at the Chamseong Altar. The Chorae Ritual on the Chamseongdan Altar in Mt. Mani survived while most of Taoist rituals were abolished in the Chosun Dynasty, but with the abolition of Sogyeokseo after the war with Japan between 1592‐1599, there was no governmental agency in charge of Taoist rituals and Confucian ideologies were solidified.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impossible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Taoist Chorae Ritual completely. Gangdoji recorded in King Sukjong or Taesangji and Yukjeonjorye that recorded practical guidelines for court sacrificial rit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sacrificial rite in Mt. Mani might be incorporated as an official Confucian ceremony and its performance and table setting be acculturated into a Confucian form. Thus, the present study traced the form of table setting for the Taoist Chorae Ritual on the Chamseongdan Altar in Mt. Mani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that for the sacrificial rite in Mt. Mani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cculturated into a Confucian form. The Taoist Chorae Ritual in Koryo was modeled on that in the Sung Dynasty in China. The table setting of the Chorae Ritual in Mt. Mani during the Koryo Dynasty seems not much different from offerings in the table setting of the Chorae Ritual described in Jeongtongdojang established through the Sung and Yuan Dynasties. Accordingly, it is believed to have used grains such as rice, foxtail millet and Indian millet, fresh fruit and nut, vegetable, rick cake, dried fish, tea and stew, water and wine as well as utensils such as deity images and five‐color silk. Because ritual food for the Taoist Chorae Ritual is characterized by the flexible absorbance of cooking methods in those days and the use of food cooked by the method as it was, it is believed to have adopted many of customs in folk sacrificial rites in the Koryo and Chosun Dynasties. For this reason, it is highly likely that flower decoration and oil‐and‐honey pastry, which were considered essential in the table setting of folk sacrificial rites, were also used in the table of the Taoist Chorae Ritual. It is believed that, ente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 sacrificial rite on the Chamseongdan Altar in Mt. Mani might be acculturated into a Confucian form, which reflected folk customs in those days flexibly as seen in the table setting of court rituals and common people’s house rituals. The table setting basically included stew, fruit, wine, nut, dried fish and cake, but the number of dishes or cooking methods was not bound by form. Except the fact that cooked rice was used instead of uncooked grain, it was similar by nature to the offerings set on the table of the Taoist Chorae Ritual. Another notable thing is the table setting method faithful to the national ritual code of the Chosun Dynasty. It was found that since the 17th century the sacrificial rite in Mt. Mani was included as one of small‐scale ritual performed in mountains and rivers. Becau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eremony might include Taoist and shamanic elements like a ritual for rain, we cannot say definitely that the table setting followed the guideline. If the table setting observed the guidelines of Confucian table setting for small‐scale rituals, periodical sacrificial rites might be carried out with four byeons (woven vowels for dried food) for four kinds of fermented sea food and four dus (wood vowels for wet food) for four kinds of salted vegetable.

      • KCI등재

        대한제국 적의 직물 제직에 대한 고찰

        심연옥(Sim Yeon Ok) 국립고궁박물관 2011 古宮文化 Vol.- No.4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적의직물에 대한 문헌조사와 적의유물 3점에 대한 조사·분석을 병행하여 적의직물의 구성과 제직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적의직물의 제작지에 대한 규명을 위해 일본의 직조자료를 조사하고, 대한제국시기 왕실직물제직에 대한 기록과 유물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1. 대한제국시기 황제국으로서 위상을 확립하기 위하여 적의제도를 새로 마련하고 이 내용을『 대한예전(大韓禮典)』과『 예복(禮服)』에 담았다. 적의제도는『 대명회전(大明會典)』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적의 직물의 종류도 명대의 직물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적의에 적문(苧絲, 紗, 羅), 선단에 직금(織金)(苧絲, 紗, 羅)를 임의대로 사용하였다. 대한제국시기의『 순종순종비가례도감의궤』22)에는 당시 실제 사용된 적의 직물명과 소요량을 적고 있다. 직물의 종류는 채적문필단, 직금운용문필단, 안감에 필단, 사를 사용했다. 2. 적의유물의 제직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적의 직물 3점은 모두 7매 수자조직의 채화단이며, 선단은 연금사(撚金絲)로 짠 직금직물로서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는 직금능이며 역사박물관 적의는 직금단이다. 고궁박물관과 세종대학교 유물은 문양과 구성에는 차이는 있으나 적의와 선단에 사용한 견사, 금사가 같고, 조직 및 제직특성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역사박물관 적의는 조직에 있어서는 고궁과 세종대 12등 적의와 같으나 경사의 짜임이 성글고 문위사가 가늘며 직물의 도안이나 제직상태의 완성도가 떨어진다. 선단과 안감의 직물도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제직환경에서 제직했음이 나타난다. 3. 적의직물의 제작지에 대해 고찰한 결과 고궁박물관 소장 영친왕비 9등 적의의 채적문단과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순정효황후 적의의 채적문단은 일본 쿄토 가와시마직물(川島織物)셀콘에서 제직한 것을 확인했다. 모두 4점의 직물샘플을 조사했으며 A샘플은 12등 적의 뒷길의 하단부분이며, B샘플은 12등 적의 폐슬의 부분이었으며, C샘플은 9등 적의 폐슬부분과 앞길, 뒷길이 이어지는 부분의 시직으로 판단되지만 문양의 간격에는 차이가 있어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D샘플 9등 적의의 소매부분의 샘플임을 확인했다. 정확한 제작연대나 경위 등에 대해서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4. 역사박물관 적의는 영친왕비 9등 적의와 순정효황후 12등 적의와는 제직특성상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것이 대한제국시기 국내에서 제직된 직물이라고 추정하였다. 대한제국 궁내부(宮內府)에 1904년 직조과(織造科)를 따로 설치하여 황실의 의복을 만들었으며, 어용 직조기(御用織造機)를 두어 황실의 직물을 제직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 9등 적의 제작시기는 궁내부 직조과가 설치되었던 1904년에서 한일합방되어 궁내부가 폐지되는 1910년 사이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때의 국혼으로는 순정효황후 윤씨의 가례가 있어 이때 소용된 복식이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좀 더 보완된 연구가 필요하다. 조선시대 후기 문직물 직조기술은 영조시대 사치를 금하기 위한 조처로 상방의 직기를 철폐시킨 이후부터 답보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직조기술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직조과를 새로 설치하고 황실의 복식을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직한 것은 황제국 체제 정비를 통한 자주독립국으로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세우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이었다.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form and weaving characteristics of jeogui textil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documents and the textiles of the three pieces of jeogui relics. And by researching Japan’s weaving document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rea of jeogui textile and researching the documents and relics of the Korean Empire Period’s royal woven textile, this research has resulted in gaining conclusion as below; 1. The Korean Empire had newly prepared a jeogui system to establish stature as emperor country. And left this contents in『 Daehan-yejeon(大韓禮典)』and『 Yebok(禮服)』. The jeogui system follows the contents of 『Da-Ming huidian(大明會典)』 and the type of jeogui textile uses the same name from Ming period. The ramie, gauze(苧絲, 紗, 羅) for jeogui, and Jikgeum(織金) for Sundan. In the Korean Empire’s『 Garaedogam(嘉禮都監儀軌)』, shows the textile name and demand quantity of jeogui used in that period. For the fabric type there were Dahn with pheasant(彩翟紋匹緞) and Dahn with Jikguem cloud and dragons(織金雲龍 紋匹緞) for the lining, Dahn and Sa was used. 2. Researched and compared the weaving characteristics of jeogui relic. The three pieces of jeogui textile were all Dahn with flowers(彩花緞) of seven-end satin binding. Sundan is a Jikgeum textile woven by twisted-gold thread(撚金絲). The jeogu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are Jikgeum Nueng and the one in Seoul Museum of History is Jikgeum Dahn. The relic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show difference in pattern and composition, but the silk and gold thread used in jeogui and sundan are the same and so is the composition and weaving characteristic. The composition of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but has loose warp threads, thin supplementary weft, and the execution of design and weaving status is depreciated. It shows that they were woven in a different weaving environment from the difference in sundan and lining fabric. 3. In researching the production area of jeogui textile, the Dahn with pheasant-patterned jeogui of the consort of the imperial prince Yeong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Empress Yun’s jeogui at Sejong University Museum were woven in Kawasima-selcon(川島織 物) Kyoto, Japan. This study has researched total of 4 woven fabric sample pieces. A sample is the lower part of twelve-tier jeogui, B sample is part of twelve-tier jeogui’s pyeseul(蔽膝), C sample is judged to be the test weaving of the pyeseul part and connecting part of from the nine-tier jeogui. D sample is the sleeve sample part of the nine-tier jeogui. 4. The weaving characteristic of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nine-tier jeogui of the consort of the imperial prince Yeong and Empress Yun’s twelve-tier jeogui, so it is assumed to be made in domestic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n 1904, Department of Weaving(織造科) and a government-patronized loom(御用織造機)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Empire Gungnaebu(宮內府) to produce the imperial family’s garments and fabrics. The production period of nine-tier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assumed to be from 1904 to 1910. There was a royal wedding for Empress Yun, and this might be the dressing used, but this theory needs more research. The weaving technology of late Joseon Dahn was an action to prohibit luxury during the King Yeongjo period, so the loom of Sangeuiwon(尙衣院) was abolished and after that everything was on standstill. The Korean Empire tried to set up its status as an independence country by establishing Department of Weaving(織造科) and weaving the imperial family’s garments.

      • KCI등재

        『매씨서평』의 문헌적 검토 ─ 『채화정집』과 『정본 여유당전서』의 비교

        노지현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9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nge in form and content of the Critique of Mr. Mei’s Book of Documents from that of the Chaehwajeong Collection to that of the Official Edition of Yeoyudang Jeonseo. The focus of the change is from “「Sa」 50” to “「Wonsa」 40 ”. For this analysis, first, letters exchanged with Gyeonggi scholars between 1819 and 1827 after Tasan was released from his bannishment were examined. Among them, our focus was especially put on the content related to “「Sa」 50” of the Critique of Mr. Mei’s Book of Documents. What the Gyeonggi scholars shared in reading Tasan’s book was his harsh tone and fictional writing style. These data serve as the basis for the analysis in the third chapter. Second, the formal change from “「Sa」 50” to “「Wonsa」 40” was analysed with the help of two charts. Finally, based on the second chart of the two, the changes in literary style and content were analyzed in detail by examples. Through the changes in Tasan’s writing according to the remarks of Gyeonggi scholar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asan’s character and style as a writer and scholar, as well as the depth of his thought. 본 논문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채화정집』의 『매씨상서평』에서 최종본 『정본 여유당전서』 『매씨서평』으로의 형식과 내용 변화를 “「사」 50”에서 “「원사」 40”으로의 변화에 촛점을 맞추어 분석한 것이다. 이 분석을 위해 첫째로 다산이 해배 후 1819년에서 1827년 사이에 경기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글들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매씨상서평』의 “「사」 50”과 관련된 내용에 집중했다. 경기학자들이 다산의 글을 읽으면서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은 그의 거친 어조와 허구적인 글쓰기 방식이었다. 둘째로 “「사」 50”에서 “「원사」 40”로의 형식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도표를 작성했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 도표에 바탕해 글쓰기와 내용의 변화를 예를 들어가며 자세히 분석했다. 경기학자들의 지적에 따른 다산의 글쓰기의 변화를 통해서, 다산의 작가와 학자로서의 성격과 문체와 더불어 그의 생각의 깊이를 헤아려 볼수 있다.

      • KCI등재

        비순환식 분화 양액재배시 배지와 양액함량에 따른 거베라 ‘Sunny Lemon’의 생육반응

        길미정,심명선,박상근,신학기,정재아,권영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6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and flower quality of gerbera 'Sunny Lemon' by amount of nutrient solution, young seedling plants, 'Sunny Lemon' were transplanted to rock-wool and medium of peat moss and perlite mixed with 1 to 2 and they were acclimatized in greenhouse during about 1 month.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plants is sonneveld solution of 1/2 concentration and treatments launched June 24, 2010 when average plant height was 20±1cm. Nutrient contents as a standard for starting point of irrigation by 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were determined with 60-65%, 70-75%, and 80-85%. Results of growth during vegetative growth, plant height, leaf width and leaf number increased by 10% in rockwool,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for plant growth depending on nutrient content, 80-85%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Leaf number increased by 60%, and leaf width and plant height had a about 40% increase than initial growth. Effectiveness for flower quality, yield and days to flowering were superior when nutrient content of media was higher than in the others. Especially, average days to flowering in 80-85% content was advanced by 7-10 days compared to the day in 60-65% treatment. The total amount of nutrient supply per plant was higher in mixed medium than in rockwool, but change patterns of EC and pH were enhanced in rockwool. Based on our results, we recommended that growth, cut flower, and yield of gerbera 'Sunny Lemon' were more effective when nutrient content of mixed medium was maintained at 80-85%. 거베라 ‘Sunny Lemon'의 양액재배시 양액함량 조절이 생육 및 절화특성을 알아보고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입상암면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배지(2:1, v/v)에 거베라 'Sunny Lemon' 유묘를 정식한 후 약 1달 동안 온실에서 순화시킨 후 배지내 양액의 함량이 각각 80-85%, 70-75%, 60-65%로 유지되도록 TDR센서(UT-TM, Ultra-Tech., Korea)를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양액은 거베라 sonneveld 양액을 1/2농도로 조성하여 초장이 평균 20±1 cm인 6월 24일 개시하였다.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 전환 시점인 2개월 후 거베라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배지종류에 따라서는 입상암면이 혼합배지보다 초장, 엽폭 및 엽수가 약 10% 더 증가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급액함량에 따라서는 2가지 배지 모두 배지내 양액 공급함량이 80-85% 때 가장 생육이 좋았으며, 생육초기보다 엽수는 약 60%이상, 엽폭과 초장은 약 40%정도 증가되었다. 첫 개화시점, 절화 품질 및 수량은 배지내 양액 함량이 높을수록 양호하였으며, 개화시점도 배지내 양액함량이 60-65%일때 보다 약 7-10일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급액량은 입상암면보다 혼합배지내의 양액함량을 80-85%로 유지시킬 때 더 많이 소모되었으나, 배지의 EC, pH 변화는 입상암면에서 큰 것으로 보아 1회 정식 후 3년이상 재배되는 거베라 'Sunny Lemon'의 생육, 절화 품질 및 수량은 혼합배지에서 급액함량을 80-85%로 유지하여 재배할 때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궁중 연향 왕실 방석(方席)에 관한 연구

        석진영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7

        During the Joseon Dynasty, a banquet with sitting cushions was mainly held in the yard of the royal quarters in front of the royal palace. If a leopard sitting cushion was used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banquet, it indicated the highest rank in the royal seat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continued until the Gojong period. The long leaning cushion did not appear in the banquet seats during the Jeongjo period, but was used during the Sunjo period. The dragon-patterned sitting mat was used only for the king’s seat after the Sunjo period. This was to establish the king’s political authority, subdividing the hierarchy based on the mat’s pattern. Banquets held during the Sunjo period used the dragon-patterned sitting mat for the king, the floral sitting mat for Queen Sunwon, Crown Prince Hyomyeong, and the crown princess. For the sitting cushion, Manhwa and leopard sitting cushions were placed. Eventually, the crown prince and princess’s sitting cushions were replaced with leopard sitting cushions. The king’s throne had five levels of mats and Pyeoncha had five levels. The royal throne including the crown prince consisted of five stages, and the Socha bowing seat, and Pyeoncha had three levels. The seat for alcohol offerings had two stages; the arrangement of the sitting cushions indicated the rank of the seat for alcohol offering, the lowest was the crown prince’s seat. The number of stages and ma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Jeongjo period. A pattern of this complex stage appeared in the Sunjo period and settled down after the Heonjong period. In the King’s hierarchy, there was the most, odd number of sitting cushions, and the status was classified by the number of mats used. During a banquet, the sitting cushion was placed according to the seat status. An arrangement by type, pattern, and color was used to distinguish the hierarchy of participants. The sitting cushion established the king’s political hierarchy and more specifically stratified the level of its royal participants. Sitting cushions were used on the royal family seats and for participants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banquet. It was lastly planned in the banquet architectural space division, defining the differences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status and subdividing the royal hierarchy for some increased. 궁궐 연향에서 방석은 다양한 위차에 배설되었으며 유형과 문양, 색상 등이 구분되어 배설된 것은 참여자와 왕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방석은 전하의 정치적 위계를 확립하고 왕실 참여자의 등급을 더욱 구체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방석은 연향의 건축공간에서 왕실과 참여자의 위차를 세분화하여 구분하였으며, 연향 왕실 공간 구획에서 마지막 위차를 규정하고 왕실 위계를 세분화하였다. 조선후기 왕권과 왕실의 정치적 질서·의례적 명분, 유교적 위계질서를 지키며 신분 체제를 견고히 하고자 상징적으로 방석을 이용하였다.

      • KCI등재

        젠더의 혼란을 야기한 남채화(藍彩和)의 형상 연구

        金道榮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2 No.-

        본 연구는 그간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藍采和의 성적 정체성에 의문을 가지고 그 정체를 규명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藍采和는 八仙뿐 아니라, 중국의 수많은 도교신격가운데 최초로 젠더가 변화된 唯一 신선임에도, 지금까지 도교의 다른 神格들과 팔선의 여동빈, 철괴리 등 유명한 구성원에 가려져, 남채화만이 갖는 독자적 의미가 제대로 부각되지 못했다. 그것은 개인, 사회, 종교적인 측면에서 볼 때, 여러 가지 문제로 파급되고 다양한 의미를 갖지만, 간략하게 개인의 성적자유화의 표출, 남성적 사회의 억압과 억눌림에 여성적 저항, 그리고 종교적으로는 남녀의 성별을 초월한 지고지순의 해탈 경지추구로 정리할 수 있다. 元代의 전진교는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천시와 차별을 받은 배우 남채화를 神仙의 반열에 올려 숭배했다. 이는 당시 중국사회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그들의 슬픔과 서러움을 승화시켰다. 남채화는 피억압자, 성소수자, 소외자들의 神으로, 그들에게 安慰를 주는 중요한 신선의 역할을 지니고 있어, 명실상부한 ‘賤의 대표신선’이 된 것이다. A member of the Eight Immortals, Lan Cai-he(藍采和) is to be recognized by his distinctive emblem — castanets(玉板). The first record about Lan Cai-he looks in the 10th-century Continued Biographies of Immortals(續仙傳) by Shen Fen(沈汾), in South Tang Dynasty(南唐937~975). We can not know whether he was a real person. But it’s clear that he was always singing as an entertainer with castanets(拍板). Among the Eight Immortals, that is, the Immortal Lan Cai-he is the only one who had changed Sex. The Immortal Lan Cai-he who is ‘a healthy man’ of mural paintings in the 14th-century Yuan Dynasty had changed ‘a young man’ of Perfect Collected Biographies of Immortals(列仙全傳) in the Ming Dynasty. He was also changed ‘a sort of androgynous appeal’ in the early years of the 18th century. And he was changed ‘a beautiful woman’ in the 19th century again. An exciting research on the following will be accomplished. What is the symbol of Lan Cai-he castanets and Children head shape, and neither in bunches(雙髻)’s Taoist Internal Alchemy(內丹) meanings? Why is he, of course, caused gender’s chaos by mistaken for male or female even in China and Korea? Of Chinese Taoist Immortals, the androgyne Immortal Lan Cai-he who carry the rhetoric of ‘first’ mental bisexual, how is he different with the epicene gods of India, Greek Roman mythology, and it is what are they wanted to talk about somet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