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꽃작품과 전통 object의 사용현황

        김경자 한국꽃예술학회 2000 한국꽃예술학회지 Vol.2 No.-

        꽃예술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던 일상생활의 기구들을 꽃작품에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문제로 제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81년부터 1999년까지 19년간 한국꽃꽂이협회, 한국꽃예술작가협회의 전시회 작품에 표현한 작품집 중에서 전통 object의 사용현황을 조사하는 데 있다. 본연구의 내용은 두 단체 한국꽃꽂이협회, 한국꽃예술작가협회 전시회작품집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생활기구를 생활기구, 생활용품, 주방기구, 농기구, 민속품으로 구분하여 사용빈도를 조사하였다. 19년동안 한국꽃꽂이협회, 한국꽃예술작가협회가 발표한 총 4,482작품 중에서 전통 object를 사용한 작품수는 500작품(11.2%)이고 작품에 사용된 object수는 600점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구분하여 사용빈도를 알아보면 제일 많이 사용된 전통 object 수는 생활용품(29.7%), 민속품(28.8%), 주방기구(18.2%), 농기구(14.3%), 생활기구(9.0%)의 순(順)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출품작품수가 많은 한국꽃꽂이협회가 object의 사용수도 많으나 생활용품과 민속품에서는 반대로 한국꽃예술작가협회가 object를 더 많이 사용한 특이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object의 전체적인 사용현황을 보면 1981년도에 가장 많이 사용하였는데, 아주 특별한 경향으로 보이고 있고 그 후에는 절반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데 진폭이 심하게 교차되면서 반복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한국꽃꽂이협회는 1981년과 1988년에 높게 나타나고 있고 그 외는 낮으나 진폭이 교차되고 있으며 한국꽃예술작가협회는 1981년도에 월등히 높다가 계속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하향하다가 다시 높아지는 경향으로 반복하고 있고 두 단체 모두 1999년에는 다시 높아지는 추세를 암시하고 있었다.

      •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꽃작품의 특성 및 식물소재에 관한 고찰

        김희성 한국꽃예술학회 2011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7 No.-

        본 연구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되었으며, 2010년도 한국중앙박물관과 1981년 중앙일보사에서 발간된 고려불화대전 및 고려불화 등의 도록에 나타난 꽃작품이 있는 수월관음도 20점을 목적표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고려시대 불화 중 특히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꽃작품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고찰과 식물에 대한 분석이다. 수월관음도에서 관찰된 꽃작품은 크게 연꽃과 버드나무 소재 꽃작품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버드나무 소재 꽃작품은 정병에 꽂은 병꽃꽂이 형태와 관음상 손에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고, 연꽃 소재의 꽃작품은 관음상이 한 줄기의 연꽃을 손에 든 모습을 비롯하여 보살상의 발아래 꽃작품으로 연꽃의 봉오리 혹은 양감이 풍부한 만개한 연꽃 형상, 꽃다발 형태의 반구형 작품 등을 찾을 수 있었다. 수월관음도에 나타난 꽃작품의 식물을 분석한 결과, 연꽃, 대나무, 버드나무, 모란, 장미 또는 산다화로 추측되는 붉은 꽃, 국화, 매화, 연밥, 백합꽃으로 추정되는 흰색의 별꽃 등이 조사되었다. 특히 국화의 경우 고려에 국화가 유입되기 전보다 10년 먼저 제작된 등경재성회소장(1321)작품 한 작품에만 나타났다. 이 작품을 통해 고려 시대 이미 토종국화를 재배하고 있지 않았나 하는 점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중국에선 이미 병사 등의 기록이 존재하고 있었으나, 우리 꽃예술 문화사에서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꽃예술의 문헌이 많지 않다.본 연구를 통해 수월관음도와 같이 회화에 나타난 꽃작품을 정리해봄으로써 당시의 꽃문화를 유추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기록이 쌓여 훌륭한 꽃예술의 역사가 정리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인터넷 꽃배달시 꽃상품의 선호도 조사 - 경사를 중심으로 -

        尹弼銀 한국꽃예술학회 2003 한국꽃예술학회지 Vol.5 No.-

        본 연구는 인터넷 꽃배달시 경사를 중심으로 꽃상품의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만들어 공급하는 데 있다. 이는 소비자의 꽃소비 경향을 통해 창업자 또는 인터넷 운영자에게 운영의 효율성과 영업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함으로써 상품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20대 이상 50대 남녀, 학생, 직장인, 주부, 기타계층을 대상으로 자주 사용하는 검색엔진, 인터넷으로 꽃상품을 주문하는 이유, 꽃배달 시 용도, 꽃상품의 형태 등 이와 관련된 선호도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인터넷 배달시 꽃상품의 선호도를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꽃배달시 Daum을 통해 검색하며 편리성 때문에 주문하며, 생일에 3-5만원 미만의 꽃바구니를 주문하며, 주문시 꽃의 종류를 고려하며, 빨강색의 장미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내는 대상은 가족이며, 수도권 포함 지방으로 행사시간대에 보내길 원하며, 카드결제를 선호하고 꽃과 함께 케익을 선물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별, 직업별 유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Х²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 주로 사용하는 검색엔진, 꽃상품 주문이유, 배송지를 제외하고는 전 항목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꾳예술최고지도자전문교육과정 수강생들의 인식 연구

        원혜경 한국꽃예술학회 2003 한국꽃예술학회지 Vol.5 No.-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꽃예술최고지도자전문교육과정 수료생들의 이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 동료 수강생들에 대한 평가, 교과과정의 중요도, 작품제작에 가장 도움이 된 교육내용 등을 조사하였으며, 향후 작가생활을 하는데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꽃예술최고지도자전문교육과정의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꽃예술최고지도자전문교육과정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환경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도를 보였는데, 그 중에서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실기실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동료 수강생들에 대한 평가도 대체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꽃예술최고지도자전문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중에서 꽃예술 작품제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형태구상, 재료선택, 요소의 이해, 원리의 적용, 기법결정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특히 형태구상 교육이 꽃예술 작품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졸업작품을 제작할 때에는 조형주관을 가장 중점적으로 적용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앞으로 작가생활을 하는데 더 선택하고 싶은 과정에 대해서는 심화과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과정에 대한 수강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만족도가 이 과정의 성공적인 결실의 핵심임을 알 수 있었다.

      • 교회의 꽃작품이 예배에 미치는 영향

        박광애 한국꽃예술학회 2000 한국꽃예술학회지 Vol.2 No.-

        현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예배환경의 성스러운 분위기가 신앙의 추구와 전인적 인격형성과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교회 안의 꽃작품이 설교자와 성도들에게 계시적 메시지 뿐만 아니라 선교에 미치는 역동적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꽃작품이 예배행사에서 하나님의 메시지 전달효과와 선교지향성, 그리고 보다 나은 환경창출과 목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개신교의 각 교회를 통한 질문지 조사연구로서 꽃작품으로 인한 교회 안에서의 영향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인지역의 교회로서 대, 중, 소의 교회를 선정하여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의 교역자와 평신도, 교회 꽃작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표집방법으로는 교역자 50명, 평신도 648명, 꽃작가 70명으로 도합 76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교단별로 대, 중, 소규모의 교회를 목적표출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설문항에 따른 빈도를 백분율로 통계처리하고 신앙경력, 연령별, 성별, 교회규모에 대한 의견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5단계로 구분하여 Х²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도를 측정하였다. 꽃작품이 교회예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교회 안에서의 꽃작품은 교역자, 꽃작가, 평신도, 모두에게 예배환경에 큰 영향을 주며, 공간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서는 꽃작품에 따른 다양한 위치변화가 필요하며 목회현장에서 말씀에 입각한 꽃작품 표현으로 인한 말씀선포의 효과를 주었다. 색채의 연구로 인한 조화된 꽃작품이 성도들의 정서적 위로와 평안을 추구하게 되므로 보다 더 계획적으로 연구된 작품으로 인하여 수준 높은 교회의 꽃문화에 대한 창출이 요구된다.

      • 17∼19세기 서양회화에 나타난 두발장식화

        채수미 한국꽃예술학회 2008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1

        인류가 자신의 신체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치장하거나 장식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다. 또한 사회적 신분의 상징이기도 하며, 시대적 미의식의 표현이기도 하다. 두발장식화(頭髮裝飾花)는 인간이 머리에 장식하는 꽃을 일컫는 말로,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을 꽃과 함께 조화시켜 두발을 아름답게 치장함으로써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한 것을 말한다. 17∼19세기 서양회화에 나타난 두발장식화는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그 형태는 꽃줄형, 꽃모음형, 한송이형이다. 꽃줄형은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이 가장 길게 연결된 형태이다. 꽃줄형의 두발장식화는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17세기, 18세기, 19세기의 역사화나 신화 그리고 이야기 전체가 하나의 총제적인 은유인 알레고리화에 등장하고 있다. 꽃모음형은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이 두발(頭髮)의 부분에 사용된 형태이다. 꽃모음형 역시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17세기 바로크와 18세기 로코코미술에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8세기 낭만주의미술과 19세기 인상주의 회화에서 인물의 성격과 그림의 주제에 어울리는 꽃모음형 두발장식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상류층과 사교계 여성들을 주로 그렸던 인상주의 회화에서 여성의 개성과 복식에 어울리는 꽃모음형 두발장식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송이형은 생화(生花)나 가화(假花) 또는 식물줄기, 잎 등을 사용하여 두발(頭髮)을 장식하는 것으로 커다란 한 송이의 꽃을 중심으로 하는 형태이다. 작은 꽃과 잎 등을 함께 사용하기도 하며, 인물의 위상과 더불어 개성과 심미성을 표출한 것이다. 한송이형의 두발장식화는 18∼19세기의 로코코와 낭만주의 그리고 인상주의 회화에서 나타나며, 여성의 아름다움이나 여성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보다 더 아름다워 보이고자 하는 여성의 본능과 의지 그리고 사회적 신분을 나타나고 있다. 서양의 회화작품에 나타난 두발장식화를 연구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인식을 고양시킴과 동시에 꽃 문화와 꽃 예술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자기성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화작품과 문헌을 통한 이와 같은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human being's basic desire for mankind to decorate or ornament part or all of its body. In addition, it is a symbol of social status and expression of aesthetic sense of the times. Floral Hairdressing which means human being's ornament with flowers on head is to express person's personality and aestheticism as well as status by harmonizing flowers with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plant stems, leaves etc. to decorate hair beautifully. Floral Hairdressing shown in the western paintings in the 17th to 19th century was categorized into 3 types and the types are Wreath-Shaped Floral Hairdressing Type,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 and One Floral Hairdressing. Wreath-Shaped Floral Hairdressing Type is a type linked the longest with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or plant stems, leaves. Wreath-Shaped Floral Hairdressing Type as a Floral Hairdressing expresses person's personality and aestheticism as well as status and appears in the historical paintings or myth and allegorical paintings in which a story is the general metaphor.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 as a Floral Hairdressing is a type which is used for part of hair with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or plant stems, leaves.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 also express person's personality and aestheticism as well as status and was used as a tool to emphasize women's beauty in baroque art of the 17th century and rococo art of the 18th century. Furthermore, there was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d Floral Hairdressing which became the subjects of person's personality and paintings in romantic art of the 18th century and impressionistic art of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Floral Gathered Hairdressing Typed Floral Hairdressing which matches women's personality and style of a dress was shown in impressionistic art which draw the upper middle class and society women. One Floral Hairdressing is a type to decorate hair with emphasis on a big flower by using natural flowers or artificial flowers or plant stems, leaves. Small flowers and leaves are used and person's status and aestheticism are expressed. The Floral Hairdressing of One Floral Hairdressing appears in impressionistic as well as rococo and romantic arts ranging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and implies the emphasis of women's beauty and womanliness. In addition, it expresses women's instinct and willingness to show more beauty of women and their social status. Studying the Floral Hairdressing shown in the western painting works can be considered to be meanings of not only uplift of recognition to history but also much deeper self-reflection about flower culture and art.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painting works and literatures should be continued.

      • 꽃예술에 있어서 mixed media에 의한 표현효과

        송성호 한국꽃예술학회 2003 한국꽃예술학회지 Vol.5 No.-

        과학 문명의 발달에 의하여 현대의 조형예술은 표현의 다양성과 기법의 자유로움을 갖는다. 그에 따라 꽃예술은 현대미술의 표현경향과 함께 재료와 기법이 확장된 혼합매체를 활용하게 되며, 꽃이 갖는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조적인 표현을 위해 다양한 재료의 혼합기법과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꽃예술의 표현에 있어서 mixed media에 의하여 식물의 생명성을 형상화함으로써 표현되는 기법의 개발에 따른 형태의 특성을 문제로 제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꽃예술의 표현에 있어서 mixed media에 의한 식물이 생명성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법을 시도하고 조형적인 표현특성을 창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양한 혼합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방된 타원형의 반복에 의한 수직과 수평형태를 형성하고 생명성을 상징하여 2点의 작품을 표현하고, 그 조형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꽃예술에 있어서 mixed media에 의하여 생명력을 표현하고 그 특성을 형태, 공간, 질감, 색채, 운동, 동영상, 음향, 향기, 감상자 참여 등의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된 타원형을 같은 방향으로 중복시켜 적극적인 수렴성 구심공간에 의하여 성장하는 수직형태와 수평형태가 구성되었고, 재료의 반복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된 타원형은 생명성이 상징되고, 생동감이 표현되었다. 서로 마주보는 타원형의 내부로 향한 질서는 개방된 중앙공간의 구심공간에 의한 공간의 적극성이 강조되어 확장성과 성장성이 나타났다. 초산 처리된 철판의 부식은 검정색의 강한 철판의 표면에서 갈색의 유연한 질감으로 변화되어 삼지닥나무와 소나무와의 질감대비에 의하여 생동성이 강조되고 크림색의 삼지닥나무와 명도대비를 이루어 명쾌함이 표현되었다. 동영상으로 표현된 모니터의 소나무는 한국 전통색채 오방색으로 음양오행사상의 우주질서 속의 생명성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교차되는 색채대비에 의한 화려함과 확산감이 극대화되어 나타났고, 소나무의 영상은 시각언어의 다양화와 생명성의 새로운 실험이 시도되었으며, 시각적 운동과 시간성이 도입되어 3차원성과 연계된 4차원성이 표현되었다. 음향은 생명성의 신비를 발현하게 하고 다양한 음의 mixed에 의해 표현재료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소나무향기로 형태와 감상자간의 현상학적 교감을 이루게 하여 후각과 더불어 작품의 물리적, 시각적, 청각적인 양감에 의한 중량감과 재료의 mixed로 확산효과와 생명성이 표현되었다. 금속질감과 꽃, 삼지닥나무, 아크릴 거울은 다양한 질감의 대비와 명도대비를 이루었고, 아크릴 거울에 의한 반영은 질감의 변화에 의한 생동성이 나타났으며, 금속과 나리꽃은 명시성에 의한 시인도를 높이고 잎과 꽃의 점증적인 색의 변화는 질서에 의한 방향성과 성장성이 표현되었다. 감상자 참여는 감상자에 따른 색채의 변화 있는 혼색효과가 나타났고, 감상자의 동작에 의한 움직임의 動感은 아크릴 거울의 반영에 의해 현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이와 같이 꽃예술의 mixed media에 의한 표현은 다양한 재료의 혼합에 의해 생명성이 표현되고 형태, 공간, 질감, 색채, 운동, 동영상, 음향과 향기, 감상자 참여 등의 조형적 특성이 강조된 새로운 시도의 표현특성을 창출하였다.

      • 한국 기명절지화를 통한 한국화예의 문인적 특성 연구

        한재춘 한국꽃예술학회 2011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7 No.-

        본 연구는 근대 회화의 대표적인 기명절지화 작가 5인의 기명절지화를 목적표출하여, 기명절지화속의 병화작품을 동양화구도론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한국화예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명절지화의 소재는 사군자와 십군자 등의 소재가 많이 사용되어, 그 자체로 사의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군자는 지조와 절개를 매우 소중히 여겼던 문인 사대부들의 마음과 정신을 상징적으로 잘 표현하고, 십군자화는 부귀와 영화, 장수, 다산 등 길상적인 의미를 상징하는 소재로 사군자와 같이 많이 이용되었던 소재였다. 작품의 구성적 특성은 부등변 삼각형 형태의 비대칭 구도가 주를 이루고 있다.소재에 있어서 자연 소재를 이용하고 있으나 있는 그대로를 사용하지 않고, 버림과 취함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 한국 화예의 중요한 특성인 선과 공간, 비움과 채움의 미학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은 표본을 분석하였기에 한국 화예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 다소 미흡한 부분이 한계로 지적된다. 앞으로 한국 화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우리의 것을 계승시키고 발전시켜 나갈 것을 기대한다.

      • Optical Art를 이용한 종소리의 표현 연구

        김미은 한국꽃예술학회 2007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1 No.-

        꽃으로 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작업 중 조형의 원리에 의해 형태를 만들고, 그 대상을 작가의 의도에 의해 꽃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꽃예술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종소리의 파형을 표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Optical 효과를 이용하여 종소리의 전달 모습을 표현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종소리가 퍼져 나가는 형태를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표현하고, 다양한 간격의 망을 사용하여 Optical Art의 효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와 작품 표현과 작품 분석을 도구로 하였다. 크기가 다른 철망을 사용하여 근접시키거나 겹쳐서 Optical Art의 효과를 표현하였으며, 철과 줄기의 질감을 비교하였다. 꽃으로 방향성을 제시하여 주었으며, 가지의 길이로 소리의 강약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꽃을 이용하여 종소리 파형이 진행하는 모습이 목적에서 제시한 대로 나타났고, 선으로 형성된 도형이 간섭하여 이루어지는 Optical Art 효과가 강조되었다. 꽃예술 표현에 있어서 Optical Art의 착시 현상과 종소리에 의한 음파의 동적 image가 시각 언어로 종합되어 표현되었다.

      • 꽃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월주 한국꽃예술학회 2017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장미, 국화, 카네이션 꽃의 색채에 대 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 와 관련된 성별, 연령별, 직업별 관련성을 파악 하는데 있다. 질문지 배포 대상은 서울은 강남·북, 수도권은 동·서로 구분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고 루 분포되도록 할당표출 하였고,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고 교차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 장미, 국화, 카네이션의 색상에 대한 1, 2위의 선호도는 장미와 카네이션에서 빨 강색과 분홍색으로 같은 경향이었고 국화에서는 노랑색과 흰색을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이유 로는 화려함이 장미와 카네이션에서 1위, 국화에서는 2위로 나타나 꽃의 선호도는 색채의 화 려함이 주된 요인임을 실증하고 있다. 장미, 국화, 카네이션에서 싫어하는 색채는 검붉은색, 초록색, 연두색으로 답답함을 이유로 든 것으로 보아 인간은 꽃을 통하여 화려함과 시원하고 경쾌함을 얻는 매개체로 역할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장미, 국화, 카네이션의 순서로 선호하였고, 봄, 여름, 겨울에는 장미, 가을엔 국화를 선호 하였다. 색채의 선호, 불호의 항목에서 대체적으로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의견에 차이를 보여 연관 된 유의성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lor preference of the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which are consumed most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 is classified into Seoul and metropolitan area; Seoul is divided south and north, and metropolitan is divided east and west. and this target is also divided by quota sampling as gender, age, and occupational background. The research materials are treated with statistic proces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cross analysis process, and used significance test with them. As the results, the color preference of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is clearly identified. For the both rose and carnation, red is the first, and pink is the second. For chrysanthemum, yellow is the first and white is the second. Among the reasons of preference, splendor is the fist for rose and carnation, and the second for chrysanthemum. Therefore, we can see the splendor of the color affects the preference of flowers. In this research, the survey also shows that people do not like blackish red, green, and yellow-green color for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and it’s reason is people feel stuffy in these colors. Therefore, this shows that human feel the color of the flower as a medium of the splendor, freshness, and liltingness. This survey also shows that the preference order of the flower among these three flowers as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especially, rose in spring, summer, and winter, and chrysanthemum in autumn. Moreover, the color, gender, age, and occupation have relationship with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of the colors in this survey, so this research verifies the significance on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