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소비목표 재인식이 제품 사용 후 지각된 인지부조화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현민 ( Lee Hyunmin ),유병희 ( Yu Grace B.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3

        혁신적 기능을 가진 기술제품의 출시가 증대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이러한 기술제품에 대한 구매 확신을 갖지 못할 경우 이들은 제품 사용 과정에서 인지부조화를 빈번하게 경험하게 된다. 효과적인 소비자 인지부조화 감소 전략은 소비자의 적극적인 신제품 수용을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수요 기반을 안정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 기반의 인지부조화 모델(Harmon-Jones, 1999, 2000)에 근거하여 행동-유도된 인지변화의 인지부조화 감소전략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회의 실험을 통해 소비자의 사전 소비목표와 실제 사용결과가 불일치하여 인지부조화가 발생한 경우, 소비자는 소비목표 재인식과 소비목표에 대한 가치재평가 등의 인지변화를 통해 인지부조화를 줄이고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을 높일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실험 1을 통하여 새로 구매한 스마트폰에 대한 인지부조화 상황에서 소비자가 소비목표를 재인식할 경우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이 증대됨을 보임으로써 소비목표 재인식이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소비목표 재인식이 시간적 심적표상 유형에 따라 인지부조화 감소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회상적 심적표상에서 재인식된 소비목표보다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에서 재인식된 소비목표가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을 더 크게 증대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을 통해 재인식된 소비목표가 인지부조화 감소에 더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확인된 소비목표 재인식이 시간적 심적표상에 따라 인지부조화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제공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 2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 사용에 대한 소비목표 재인식이 인지부조화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치재평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2의 결과, 실험 1과 마찬가지로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으로 재인식된 소비목표의 인지부조화 감소 효과가 검증되었고, 그 효과는 가치재평가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미래예측적 심적표상에서 재인식된 소비목표가 더 높은 가치로 재평가됨에 따라 제품사용의향을 증대시킨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신제품 수용을 위한 소비목표 재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소비목표 불일치가 발생한 상황에서 소비목표 재인식은 소비목표 수정을 통해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제품사용의향을 증대시킴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인지부조화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s the release of high-tech products with innovative features increases, consumers who are not certain about their new product purchase decisions are likely to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Based on an action-based model of dissonance (Harmon-Jones, 1999, 2000), this study shows a way to reduce cognitive dissonance induced by the inconsistency between product consumption outcomes and pre-existing consumption goal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test the effects of consumption goal activation on consumers` dissonance reduction and continued consumption intention of the chosen product, mediated by value appraisals toward the consumption goals. In study 1, using smartphone consumption experience as a context, we showed that consumption goal ac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dissonance reduction, moderated by temporal mental representations. To be specific, the consumption goal activation through the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increased consumers` continued consumption intention of their smartphones, while the retrospective mental representation condition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i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sumption goal activation through an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is more effective for dissonance reduction than a retrospective mental representation. Study 2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consumption goal activation and temporal mental representation.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study 1, the consumption goal activation through an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is more effective for dissonance reduction toward the digital camera.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respondents` value appraisals of the activated consumption goal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consumption goals activated by the anticipatory mental representation are evaluated as of higher values, which in turn increase continued consumption intention of the chosen product. These two studies provide consistent evidences that consumers can reduce their post- purchase dissonance by activating anticipatory consumption goals and value appraisal process of the goal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요인과 오프라인 요인이 택시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이후형(HuHyeong Lee),전정현(Junghyun Jun),최지호(Jiho Choi)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O2O 택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본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요인과 오프라인 요인이 택시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실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온라인 요인은 경제적 혜택, 시간적 혜택, 이용적 혜택이며, 오프라인 요인은 택시서비스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미국과 함께 자국의 인터넷 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시장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고려된 온라인 이용요인과 오프라인 이용요인은 O2O 택시 앱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온라인 요인 중 경제적 혜택과 이용적 혜택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시간적 혜택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오프라인 요인(택시 서비스)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온라인 요인에 비해 높은 정(+)의 영향을 미쳐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O2O 택시 앱 서비스의 온라인 이용요인과 오프라인 이용요인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실무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O2O 서비스를 준비하는 사업자는 온·오프라인 앱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에 대한 채널별 이용요인의 긍정적인 평가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taxi apps for experienced users using the O2O taxi application. The online factors are economic benefits, time benefits, and usage benefits, while offline factors are taxi services. In the mobile application area, data collected for the rapidly growing Chinese market, centered on domestic Internet companies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and offline use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the O2O taxi app. Among online factors, economic benefits and utilization benefi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ntion, but temporal benefit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The offline factor (taxi serv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scrimination because it had a higher positive (+) effect than the online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 and offline use factors of the O2O taxi app service have a discriminating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operators who prepare new O2O servic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require efforts to increase positive evaluation of usage factors for each channel for con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online and offline app services.

      • KCI등재

        정보보호 : 조직의 실시간 보안관리 체계 확립을 위한 "인터페이스 보안" 강화에 대한 연구

        박준정 ( Joon Jeong Park ),김소라 ( So Ra Kim ),안수현 ( Soo Hyun Ahn ),임채호 ( Chae Ho Lim ),김광조 ( Kwang J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4 No.5

        특정 보안 기술만으로는 나날이 치밀해지는 공격을 방어할 수 없기 때문에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등 다양한 보안관리 모델 등이 적용되고 있지만, 너무 많은 항목에 대한 일반적인 보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취약점이 높은 부분에 집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 수년간 우리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주요 정보 및 기밀 유출 관련 사건을 분석한 결과, 공격자는 주로 이메일, 웹 서버, 휴대용 저장매체, 외주업체 직원 등 조직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통로인 ``인터페이스(interface)`` 취약점을 이용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보안에 투자해야 할 시간과 자원이 제한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공격자가 악용할 가능성이 높은 인터페이스에 대한 현재 보안 실태를 적시한 후 관리적·기술적·물리적 측면을 융합한 보안대책을 제시하고,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한 중점적이고 지속적인 관리(continuous management)를 통해 투자 비용 대비 효과적으로 조직의 실시간 보안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Because the specific security technology alone can not cope with sophisticated attacks, various security management models are applied. But, they do not focus on the vulnerability of the highest part because they offer so many common security management criteria. By analyzing the main information and confidential leakage cases inflicting enormous damage to our society, we found that attackers are using mainly an interface vulnerabilities - the paths that connect the internal and external of the organization, such as e-mail, web server, portable devices, and subcontractor employees.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ime and resources to invest in security domain are limited, we point out the interface security vulnerabilities the possibility of attackers to exploit and present a convergence method of security measures. Finally, based of ROI(Return on Investment), we propose the real-time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intensive and continuous management.

      • KCI등재

        오정희 소설 「옛우물」에 나타난 애도의 형식 연구

        김혜영 ( Kim¸ Hye-young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3

        이 논문은 오정희 「옛우물」이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애도하는 형식을 갖고 있다고 보고, 이 소설에 나타난 서사 배치, 공간 이동 과정과 심리적 변모, 존재와 죽음, 시간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이 소설에서는 공간의 이동에 따라 죽음과 대면하고, 자신의 고통을 객관화하면서 삶과 죽음, 과거와 현재가 서로 중첩되어 있다는 인식의 전환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수용해 나가고 있었다. 「옛우물」은 사랑하는 이에게 쏟았던 리비도를 소진한다는 점에서 리비도의 회수를 말하는 프로이트식 애도에 맞지 않으며, 자아 상실 상태에 있으면서도 자기 비하와 같은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울증적 경향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옛우물」의 애도가 우울증적 경향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존재, 죽음, 시간에 대한 인식에서 찾을 수 있다.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에 대한 인식과 죽음을 하나의 세계와의 단절이면서 또 다른 세계로의 이행으로 바라보는 지속의 시간관은 죽음 이후의 세계를 가능하게 하여 죽은 이를 옛우물 속에 사는 금빛 잉어와 같은 존재로 변이시킨다. 이를 통해 이 소설의 애도가 단지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수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죽은 이가 영원한 시간 속에 살게 하는 상상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deemed 「Old Well」 written by O Jeonghi to have a style of mourning a beloved person and analyzed the arrange of narrative, space movement course and psychological transfiguration, existence and death, and recognition in time implicated in the novel. The unique point in this mourning type implicated in 「Old Well」 was that the character accepted death of a beloved person after a symbolic suggestion by which the character entered the world of death together with the beloved person and put death of beloved person in the stream of continuous stream of time by changing death into the subject about ‘When the beloved person died’. The point of view was that severance from the world might be a transition to the other world under the assumption of continuous time that included the period before birth as well as that after death. This point of view about time enabled one to think of the world after death and changed the dead person into a golden-gleam carp which lived in the old well. It also enabled one to finish mourning by which the character accepted the dead person.

      • KCI등재
      • KCI등재

        창극(唱劇) <청>과 <춘향 2010>의 공공(公共) 의식

        김향(Kim, Hyang)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1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o apply Yi-meun theory (裏面論), consistent in Pansori’s artistic features, to Changgeuk Cheong and Choonhyang 2010. Since its first performance, Cheong has had an unprecedented 10 million spectators; its sequel, Choonhyang 2010 has received continuous praise by spectators. The messages in these Changgeuks have “plural meanings,” including overcoming “conventional memory,” for example faithfulness (忠), filial piety (孝) and integrity (烈), thereby allowing audiences to experience the female consciousness of self-existence against suffering (death). In order to study Changgeuk, I applied Pasori’s Yi-meun theory to Changgeuk’s adopting “spatial homogeneous time,’ which is appropriately effectiveness for the conclusion. Changgeuk’s Yi-meun theory could be defined as creating an “internal consciousness” by crossing “a continuous time” and “a homogeneous time” “a continuous time” could be experienced by musicalizing poetic diction (辭說) and “a homogeneous time” could be obtained by the visual figuration of the stage. Finally, “internal consciousness” refers to intrinsic consciousness; it does not have a fixed meaning but implies a vague sense. “Internal consciousness” is experienced by the body’s perceptions, which is incomplete and processes making meaning; more than anything else, perception’s truth is proved by “opening.” By means of Yi-meun theory, I extracted 1) “self-consciousness” of Shimcheong and Choonhyang who acquired a humble life, 2) “self-realization” of her struggles for suffering and death, 3) “noble consciousness” of their returning daily life and 4) “popular consciousness” of scenes about the blinds’ playing place and village’s ritual. “A continuous time” and “a homogeneous time” which spectators experienced in the Changgeuk Cheong and Choonhyang 2010, made poetic and formative images and produced the possibility of “opening meaning.” In this article, I insisted that “opening meaning” is the realization of a “public consciousness” that may allow spectators to make “an amusement of thought.” The spectators saw performances as a group in the Hae_o_reum theatre of the National Theatre, but experienced through “plural meanings” it may be argued that they realized “public consciousness.” Changgeuk Cheong and Choonhyang 2010 created a “space of thought,” which produced various kinds of consciousness and substantial communication beyond standardized understanding; for these reasons, they were able to gain popularity among spectators.

      • KCI등재

        비대면(Untact) 수업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세무회계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이태정,윤우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spread of COVID-19 has caused confusion in the education field as it h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untact classes without preparat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design and operate untact classes for tax accounting department. The survey and FGI were conducted on professors and learners. As a result, video classes through lecture shooting and PPT-based video conversion were the most utilized. Students prefer these two types most, because they can learn repeatedly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he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or video classes that reflect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upporting for equipment and human resources is needed, and for professors, teaching support for untact classes and education on equipment manipulation is neede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for untact classes should be overhauled. In the futu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various majors, this will help find ways of untact class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OVID-19의 확산으로 교육 현장에서는 준비 없이 비대면((Untact) 수업을 시행하게 되어 많은 혼란을 겪었다. 본 연구는 세무회계 관련 학습자와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비대면(Untact) 수업을 설계·운영하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FGI 등을 활용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강의 촬영을 통한 동영상 수업, PPT 기반 동영상 전환이 비대면(Untact)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학습자들도 이 두 유형을 가장 선호하였는데,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와 교수자들이 선호하는 동영상 수업을 위해서 교과목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기자재, 인력 등의 지원이 필요하며, 교수자들을 위해 비대면(Untact) 수업 교수법 지원과 매체 제작 및 장비 조작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비대면(Untact) 수업의 지속적교육품질관리(CQI)를 위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한다. 향후 다양한 전공을 대상으로 심층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과목의 특성에 적합한 비대면(Untact) 수업의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운동시간 적용 방식에 따른 줄넘기와 탄력밴드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아동의 혈중 지질과 근골격 성장 인자에 미치는 효과

        박성태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줄넘기와 탄력저항밴드를 복합운동 트레이닝의 운동시간 적용 방식에 따른 아동의 혈중 지질과 근골격 성장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6학년생 남녀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16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의 운동시간 적용 방식(지속적 운동 vs 단속적 운동)에 따른 아동의 혈중 지질과 근골격 성장 인자인 IGF-1과 오스테오칼신(OC)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지속적 운동군은 하루 60-80분간 지속적 운동을 실시하였고, 단속적 운동군은 하루 세 차례 각각 20-30분 단속적 운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혈중 지질 성분들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질(TG), 저밀도지단백(LDL)에서 두 운동군 모두 통제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두 운동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밀도지단백(HDL)은 두 운동군 모두 통제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혈중 IGF-1과 오스테오칼신(OC)의 변화는 모두 16주 중량부하 운동 트레이닝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IGF-1와 OC 두 가지 인자 모두 두 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두 운동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각 집단 내에서의 전후 비교에서는 통제군을 제외한 두 운동군 모두 IGF-1와 OC에서 트레이닝 전에 비해 트레이닝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16주간의 줄넘기와 탄력저항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 트레이닝은 지속적 운동 및 단속적 운동 방식 모두 아동의 혈중 지질 개선과 근골격 성장 인자인 IGF-1과 OC 농도의 증가를 유도하여 아동의 건강 개선과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O2O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 및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중심으로 -

        신주연,남궁영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online and offline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hospitality industry, showing the segmentation of Online and Offline service quality was insufficient.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and total 332 survey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s that both online quality and offline qua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lso, customer satisfaction was a significant influence to revisit intention. Lastly, in the effect of O2O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perceived waiting time as moderator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ed only in information quality in online quality, and in offline quality, both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waiting time were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이용하여 음료 혹은 음식을 주문하고 결제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O2O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을 위해 설문지 300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O2O 서비스 품질인 온라인 품질(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과 오프라인 품질(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격) 모두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2O 서비스 품질인 온라인 품질과 오프라인 품질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객만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2O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대기시간의 조절효과는 온라인 품질에서 정보 품질만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오프라인 품질에서는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대기시간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