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해석에서 주체성 논의의 필요성 및 헌법상 실존하는 주체성에 관한 고찰 ― 국민주권의 관점에서 ―

        박찬권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4

        Because each positive law is prescribed by detailed rule, it can secure a legal stability with a propriety or soundness to some extent if it is not contradictory to formal logic. However, a constitution that is prescribed by abstract and open principles can hardly secure that type of stability, even if it is not contradictory to formal logic. The logical contradiction in constitution has significance for the whole process of the constitutional performance that realiz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Through this proces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s done properly. When evaluating performance of a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objects, the principles and the system, which are interpreted, but also the subjects who realize them. The latter refers to the subjects who form a constitution. It is an issue regarding the subjects of sovereignty, the people and the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the individual. A matter of the subject itself that is the premise of the constitutional subject. Above all, it is considered how each individual's reflective thinking, self-identity, is elevated to the subjectivity of Volk, which is an integrative field in which each subject's thinking is realized for itself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Constitutional law is discussed, which is the formulation of every single aspect of norms that are revealed in the integrative process of the subjectivity of Volk and of the principles and the system that are immanent in this process. It is considered what the subjectivity of Volk means in relation to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ough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reveals the individual personality through the decisions of the state organ at the highest level, it exists as an organic state because its members that are mediated by the will of Volk unite together. Nevertheless, if the normativity is limi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e subjectivity of Volk has only a psychosocial effectiveness and ends in a standard of judgment whether the powerful action of the state is valid or not. The normativity of the subjectivity of Volk is therefore also forced to be acknowledged. In this case, the will that is formed by Volk exists as a public opinion and the starting ground for every subject's thinking. But the subjectivity of Volk should be conver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so that each individual's thoughts for oneself are condensed with authority as the center, in order to become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faces the risks of power abuse because a decision-making authority emerges as the specific will, not the general will. It reveals the sound subjectivity when it is complemented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lity through a reflective thinking on a level of Volk. In this way, the subjectivity of Volk realizes popular sovereignt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nd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has democratic legitimacy.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reveals the sound subjectivit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Nation and Volk. Furthermore, the realization of popular sovereignty is reconfirmed after the state organization has been established when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interact with each other. 상세한 내용으로 규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형식적 논리의 모순이 없는 것만으로도 구체적 타당성을 갖춘 법적 안정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 개별 실정 법률과 달리, 추상적이고 개방적인 원리들을 중심으로 규정된 헌법은 형식적 논리의 무모순만으로 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헌법에서 논리적 모순은 헌법원리를 실현하는 전체적 수행과정에서 그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통해 헌법해석은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한 올바른 해석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행과정은 해석의 대상인 원리 및 체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를 해석하는 주체에 대한 고찰을 함께 요구한다. 이는 헌법을 형성하는 주체에 대한 고찰이며, 주권의 주체인 국민과 기본권의 주체인 개인이 이러한 헌법상 주체에 해당한다. 헌법상 주체에 대한 문제의 전제로 주체 그 자체의 문제를 먼저 고찰한다. 특히, 주체로서 각 개인들의 자기동일성의 반성적 의식작용이 어떻게 공동의 의사를 토대로 각자의 의식작용이 실현되는 통합의 장인 Volk의 주체성으로 고양되는지를 살펴본다. Volk의 주체성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규범의 개별적 측면으로서 헌법과 그러한 헌법 안에 내재한 원리와 체계의 공식화로서 실정헌법을 논한다. 국가의 주체성과의 관계에서 Volk의 주체성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정점에 있는 기관의 결단에 의해 개체적 인격을 발현하는 국가의 주체성도 국가의 구성원들이 배후에 있는 Volk의 의사를 매개로 하나로 수렴됨으로써 유기적 국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주체성에만 규범성을 인정할 경우 Volk의 주체성은 사회심리적 실효성만을 지니면서 국가의 권력작용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그치게 된다. 그러므로 국가의 주체성과 함께 Volk의 주체성에도 규범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Volk의 의한 의사형성은 공론으로 존재하면서 국가에 있어서 모든 의식작용의 원천적 기반으로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Volk의 주체성도 국가의 주체성으로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권위를 중심으로 개인들의 대자적 의식작용들이 응집된 Nation의 주체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Nation의 주체성 실현은 결단을 통한 특수한 의사로 나타나므로 남용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Volk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성적 의식작용을 통한 보편성의 확인을 통해 보완될 때 온전한 주체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olk의 주체성은 진정한 국민주권의 실현으로 작용면서 국가의 주체성에 대하여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Nation과 Volk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온전한 주체성의 근거 위에 국가의 주체성이 발현됨은 국가가 조직된 이후에도 헌법에 규정된 각 조항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국민주권의 실현으로 재차 확인되어진다.

      • KCI등재

        주체철학의 세계관, 인간관, 역사관에 대한 비판적 연구- 몰트만 신학을 중심으로

        이춘영 기독교통일학회 2023 기독교와 통일 Vol.14 No.2

        This thesis deals with a critical comparison between the philosophical world view, human view, social history view of the Juche idea and Moltmann's Christian world view, human view, and eschatological history view. The definition of the Juche philosophy is that human beings shape their own destiny independently, creatively and consciously. This can confirm that the Juche philosophy started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 ‘destiny’. However, as a result of the Juche idea that human beings started as ‘Juche’, human's ‘Juche’ was excluded, by emphasizing only the Juche of ‘Suryo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uman 'destiny' resulted in ‘eternal life’ through the endowment of the Suryong's sociopolitical life. However, the ‘Juche’ nature of the Juche philosophy is the unique rule of the ‘Suryong’, the head of the masses, because it has the coercive function of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it has no lasting vitality. Moltmann argued that independence, creativity, and consciousness are not human products, it is said that human beings, God's creatures, received from God, the God-centered ‘Juche’ nature claims to have the vitality of ‘eternal life’ within it. The ‘Juche’ nature of the Triune God presented by Moltman includes the truth that can accommodate everyone and change themselves. Above all, if the Juche philosophy tried to build a communist utopia in the atheistic hope that history progresses through the leader, who presupposes an infinite and eternal existence beyond the permanence of finite human beings, moltmann's theology criticizes that it is an illusion that man can transcend his circumstances toward utopia without God, it presents the hope of eschatological Christianity beyond communist utopia. He presents the eschatology of hope by claiming that the messianic eschatology will complete all historical events. 본 논문은 주체사상의 철학적 세계관, 인간관, 사회역사관과 몰트만의 기독교적 세계관, 인간관, 종말론적 역사관의 비판적 비교를 다룬 것이다. 주체철학의 정의는 인간이 자기운명을 자주적으로, 창조적으로, 의식적으로 개척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는 주체철학이 인간의 ‘운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발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주체’라고 시작한 주체사상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주체’는 빼고, ‘수령’의 주체성만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운명’ 문제에 대한 해답을 수령의 사회정치적 생명의 부여를 통한 ‘영생’에 귀결시켰다. 그런데 주체철학의 ‘주체’성은 인민 대중의 수뇌부인 ‘수령’의 유일무이한 통치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강압적인 기능을 갖기에, 그 안에는 영속하는 생명력이 없다. 몰트만은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이 인간의 산물이 아니라 하나님의 피조물인 인간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하면서 하나님 중심의 ‘주체’성은 그 속에 ‘영생’하는 생명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몰트만이 제시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주체’성은 모든 사람을 수용하고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진리가 포함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주체철학이 유한한 인간이 자신의 영속성을 넘어 무한한 영속 존재를 전제한 수령을 통해 역사가 진보한다는 무신론적 희망 안에서 공산주의 유토피아를 건설하려고 했다면, 몰트만 신학은 인간이 하나님 없이, 유토피아를 향해 자신의 상황을 초월할 수 있다는 것은 환상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면서, 공산주의 유토피아를 넘어선 종말론적 기독교의 희망을 제시한다. 그는 메시아적 종말론이 모든 역사적 사건들을 완성할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희망의 종말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주체문예론 연구(1) ― ‘주체문예리론체계’의 통시적 분석

        김성수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1

        이 글은 북한 주체문예론의 이론사적 전개와 유일체계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남북 통합 문학사 서술을 위한 북한문학비 평사(1945~2019) 기획 연구의 일환이다. 북한은 ‘주체사상의 유일사상 체계 화’(1967)에 따라 주체문예 담론을 창안하여 창작과 비평의 절대적 기준으로 삼고 있다. 주체문예론의 이데올로그들은 먼저 김일성의 ‘항일혁명문학예술’과 김 형직, 강반석 등 ‘혁명 가정(가계)’의 계몽적인 문학예술을 발굴, 기록하여 문학 사적 전통으로 삼았다. 그들은 김정일의 지도를 받아 『영화예술론』(1973)에서 처음 선보인 새로운 이론을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1975)을 통해 문학 예술 전 장르로 확대, 일반화하였다. 그것을 기초로 『문예리론총서 주체적문예사 상』(1982), 『김정일 문예리론총서』(1982~87), 『주체적문예리론연구』(1989~2007), 『주체문학전서』(2000~) 등 방대한 ‘주체문예리론체계’로 집대성되어 유일이론 으로 군림하였다. 주체문예론의 전개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니, 전일적인 유 일사상으로 체계화됨에 따라 이론 체계 밖의 다른 반증을 전혀 용납하지 않는 자기완결적 논리가 동어반복됨을 알 수 있다. 문학예술에 대한 지도자의 교시와 당 정책이 명제화되면, 비판적 논쟁 없이 위계화된 해석과 해설만 경전처럼 작 동되는 것이다. 주체의 환상에 빠진 마리오네트가 수령과 당의 뜻대로 창작과 비평을 수행하는 문화정치적 기능이 전일적으로 수행되는 셈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unique system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s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This is part of a planning study o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Criticism History(1945-2019) for the descrip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North Korea has created the discourse of Juche lit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ization of the Only Ideology of Juche Thought” (1967) and uses it as an absolute standard for creation and criticism. The ideologues of the Juche literary theory first discovered and recorded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 Art’ of Kim Il-sung and the enlightening literary arts of the ‘revolutionary family’ such as Kim Hyeong-jik and Kang Ban-seok, and made them into literary history traditions. Under the guidance of Kim Jong-il, they expanded and generalized the new theory first presented in Theory of Film Art(1973) to the entire genres of literature and art through Theory of Literature Based on the Juche Idea(1975). Based on it, A Series of Theories on Juche’s Literary and Artistic Thought (1982), A Series of Studies on Juche’s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1989~), Juche Literary Theory (1992), Juche Literary Encyclopedia (2000~), etc. They created a vast system and made it a unique theory.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reveals that the self-contained logic that does not tolerate any other falsification outside the theoretical system is repeated synchronously as it is systematized as a unique ideology. When Supreme Leader’s comments on literature and art and the party’s policy come out, only hierarchical explanations follow as if they were scriptural interpretations without any critical debate. The cultural and political function of Marionette, who has fallen into the illusion that she is a Juche and performs creation and criticism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Supreme Leader and the party, is fully performed.

      • KCI등재

        ‘쓰기-주체-되기’의 정치성

        양경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6 No.-

        This study examines women’s writing, which is part of discursive practice. The writing encompasses all forms of writing activities by those who are not allowed to speak out but struggle to make their voices heard as a subject. Rewriting the words dominated by men’s view, women can pioneer a space for free speech. For this reason, writing activity by women should be encouraged and emphasized in the society dominated by gender inequality. This paper explores outside of academic world in which performativity of the writing subjects is executed, specifically, Shinyeoseong, a Korean magazine in the 1920s. In this magazine, women were hated and belittled by men who became subjects in the modern society. Women, however, did not sit on their hands and stand up against such view by writing articles full of parody and irony. Such confrontations are witnessed on the internet these days. Women’s confession of painful stories on social media, for example, is changed in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ereby generating discourses on who is to blame for dating abuse and sexual assault. Women’s writing activities on online communities such as Megalia also give women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what to do in dealing with gender inequality issues. Thus, the writing-subjects come to be recognized when their voices, which have been mute in history of gender inequality, begin to be heard by writing, and what they can do is as follows: first, the writing-subjects criticize those with greater power in relationship by making use of irony and parody in writing; second, such critiques spark heated discussions, thereby changing the writings into conversations with listeners/readers of the critiques. The change to conversation produced by performativity of writing-subjects, in the end, generates open discourse. 본고는 언어가 ‘불평등한 세상을 공고히 하는 권력의 주체’라는 것을 인식한 여성들이 ‘담론적 실천’으로 펼치는 ‘쓰기 활동’을 살핀다. 이때 주목하는 ‘쓰기’란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제한된 위치에 처해있는 이가 저 자신을 스스로 주체화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쓰기 활동을 삼는 상황을 포괄하여 이른다. 여성은 남성의 문자를 다시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말할 장소를 개척하는 ‘쓰기-주체’로 거듭난다. 특히 승인된 학문의 장(場)이나 문학 장이 아닌, 제도의 가장자리에서 ‘쓰기-주체’들은 가부장제와 젠더 관습의 억압적 양태를 교란시키고 새로운 담론 지형을 형성하는 일을 훨씬 더 자유롭게 수행한다. 그와 같은 활동을 탐색하다보면 ‘메갈리아’에서 우세하게 활용되는 ‘미러링 화법’은 메갈리안들이 고안한 최초의 방식이 아님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쓰기-주체-되기’에 대한 해석을 진행할 때 여성의 역사 역시 다시 쓰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가 분석대상으로 삼는 ‘쓰기 주체’의 수행성이 발휘되는 장소는 학문 장 바깥에 있다. 우선 그와 같은 활동을 1920년대 잡지 『신여성』 에서 살폈다. 남성이 근대적인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여성을 업신여기는 내용의 글이 잡지에 수록될 때, 여학생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패러디’와 ‘아이러니’를 활용하여 여성혐오를 일삼는 남성에 맞섰다. 이를 잇는 최근의 활동은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기 고백적인 서사를 사회적인 현안으로 전환해내는 쓰기 방식은 데이트폭력, 성폭력과 관련한 사안이 ‘누구의 문제인지’를 질문하는 방향으로 담론을 형성한다. 또한, ‘메갈리아’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여성들의 쓰기 활동은, 여성들이 스스로 젠더관계의 불균형과 관련한 여러 문제 사안에 실천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젠더 관계의 불균형적인 힘의 구도 속에서 삭제되어왔던 ‘저항-목소리들’을 역사의 한복판으로 출연시킬 때 확인할 수 있는 ‘쓰기-주체’는 첫째, ‘패러디’ 및 ‘아이러니’를 활용한 화법을 구사함으로써 권력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이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둘째, 그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이들의 격론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말을 듣거나/읽는 이들과 대화적인 전환을 이루어낸다. ‘쓰기-주체’의 수행을 통해 이뤄지는 ‘대화적 전환’은 종국에는 ‘열린 구조’의 담론을 형성하는 정치성을 발휘한다.

      • KCI우수등재

        양자역학적 주체: 후썰 현상학적 주체와 칸트 비판철학적 주체 사이에서

        이유숙(Yusuk)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인식주체의 의미와 역할, 그것이 객체와 맺는 관계 등은 전통적으로 서구형이상학의 핵심 의제였다. 한편 객체결정론에 대한 양자역학적 문제제기와 그에 따른 양자역학의 혁신성 평가에 있어서 인식주체의 개념은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럼에도 정작 양자역학적 인식주체 해석과 전통형이상학 주체이론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과학철학, 철학일반 모두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이 논문은 그러한 문제의식의 발로에서 양자역학적 인식주체가 서구 근대 철학사를 통해 가장 영향력이 컸던 후썰과 칸트의 주체이론과 어떤 관련을 맺을 수 있는가 살펴보고, 그에 바탕해 양자역학적 인식주체론이 과연 서구형이상학 전통의 극복인지 아니면 강화인지 따져보며 양자역학에 대한 혁신성 평가를 재검토 한다. Traditionally the role and meaning of the knowing subject has been a salient issue for the Western metaphysics, particularly for the modern one. The notion of the measuring subject, corresponding more or less to the knowing subject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sense, whose measuring act directly interferes in the dynamic state of being of an object, takes up a central place in the philosophical narration of quantum mechanics.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for the metaphysical subject and the quantum mechanical subject to have a certain co-relation has not been thought out in both spheres. This paper addresses and discusses precisely that topic: How is the quantum mechanically playing subject to relate to the metaphysical transcendental subject traditionally set out, specifically to the Kantian subject and the Husserlian subject each? Meanwhile it raises a question as to the so-called ‘progressive’ character of quantum mechanics whether the quantum mechanical theory of subject ‘really’ resists the inertia of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or rather inherits and faithfully upholds it.

      • KCI등재

        사유주체의 주이상스와 정신분석 상담의 한계

        남경아 ( Nam¸ Kyung-ah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2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은 그 고유한 방식의 상담을 통해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그는 신경증의 원인을 언어에 고착된 주체의 의식에서 찾는다. 그리고 사유주체가 사유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정함으로써 신경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증상을 가진 주체가 또 다른 차원의 증상을 다시 경험한다는 점 다시 말해 신경증이 완치될 수 없다는 점에서 라캉의 정신분석 상담이 한계를 가진다고 본다. 그리고 필자는 그 이유를 주체 사유의 분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라캉이 해명한 주체 분열의 구조는 한편에서는 기표에 대한 집착의 무용성을 역설해주지만, 증상의 재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상실되고 있는 것에 주목한다면 분열되고 있는 사유는 무용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기표를 결코 떠날 수 없는 “말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있어 실재를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순간은 분열의 순간뿐이다. 따라서 인간은 상실을 감내하고서라도 분열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운명 속에 있는 존재이다. 이는 라캉이 말하는 주이상스의 구조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필자는 주체의 분열을 상담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대상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본다. 더불어 분열하는 주체, 곧 증상을 가진 주체를 ‘주체성을 회복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는 것에도 반대한다. 오히려 주체는 분열할 수밖에 없는 구조 안에서 언어 바깥에 위치한 모종의 차원을 경험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분열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주체가 행한 일종의 ‘주체적인 결단’으로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The psychoanalysis of Jacques Lacan expects that it can cure a neurotic patient by the psychoanalytic counseling. Lacan seeks a cause of the neurosi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stalled the language. In addition, he says that the split subject can be relieved from the neurosis by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thinking with subjectivity. However, I think the psychoanalysis of Lacan has a limitation because the subject who has a symptom suffers from the other symptoms again; the neurosis can never be completely cured. Moreover, I think that the cause of it can be found in the thought of the split subject. The structure of split subject explained by Lacan stresses uselessness of obsession over the signifier, meanwhile it also suggests why the symptom reoccurs again. The split thoughts of subject must be useless if we pay attention to something being lost, but we, human beings as the ‘speaking beings’ can only experience the realm of the “Real” when we face the moment of split. Thus human being have no option but to choose the way of split although he has to endure the alienation: this is the same to the structure of jouissance. In this sense, I think that we can not regard the split subject as a subject who has a symptom which can be overcome by counseling. In addition, I gainsay that the psychoanalysis regards a subject who suffers from a symptom as an object who has to recover his subjectivity. Rather, the subject unconsciously chooses the way of split to experience a certain dimension which is located the outside of language; it is appropriate for us to regard this as a kind of autonomous decision.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서 주체 개념의 의미

        최진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2

        주체ʼ는 철학사적으로 가장 논쟁적인 개념 중 하나이다. 그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왜냐하면 우리 삶을 바꾸는 문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실천은 언제나 주체 문제로 회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체에 대한 현대적논쟁은 탈-데카르트적 관점에서 마련될 수 있는 주체의 다양한 함의와 가능성의 지평을 제시해주었다. 그 중에서도 라캉은 주체를 무의식적 욕망의존재로 정의함으로써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주체를 새로이 복원시켰던 반면, 들뢰즈・가타리는 주체를 반-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무한한 생산의차원으로 규정함으로써 전통적 주체를 넘어선 새로운 주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들뢰즈의 사상에서 주체 개념은 끊임없이 여러 다른 개념어로 대체되었다. 초기에 들뢰즈가 주체를 존재론적-인식론적 차원에서다루었다면, 이후 가타리와의 공동 작업을 통해서 주체에 대한 논의는 정치・사회적 변화를 실현시키는 혁명적 운동으로 확장된다. 특히 주체의 ʻ욕망하는 생산ʼ은 주체가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끊임없이 자신의 생산력을사회로 확장하는 자기-분열적인 주체성 생산이며, 이것은 곧 사회 전반에 욕망하는 미시-다양체의 다양한 흐름과 배치를 한다는 점에서 실천적이고혁명적이다. ʻSubjectʼ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oncepts in philosophical history. That is a natural conclusion. That's because philosophical reflection and practice on the matters of changing our lives always cannot help reverting to the Subject problem. The contemporary debate on the Subject has provided a horizon of the various implic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Subject being arranged from a post-Descartes perspective. Among them, while Lacan newly restored the Subject from a psychoanalysis perspective by defining it as the existence of unconscious desire, Deleuze and Guattari showed the possibility of a new subject beyond the traditional Subject by defining it as an infinite dimension of production from an anti-psychoanalytical stance. Actually, in Deleuze's thought, the concept of the Subject was constantly replaced by several different conceptual words. If, at an early stage, Deleuze addressed the Subject on the ontological-epistemological level, then through joint work with Guattari, the discussion of the Subject extends into a revolutionary movement to realize political and social change. In particular, the ʻDesiring Productionʼ of the Subject is a self-divergent subjectivity-production in which the Subject endlessly expands own productive forces into society as it forms social relationships. And it is practicable and revolutionary in that it is contrary to the diverse flow of micro-diversity that desires throughout society.

      • KCI등재

        주체에 대한 새로운 해석학으로서의 주체의 콘텐츠화

        윤지영(Yun, Ji-yeong)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본 논문은 주체가 더 이상 참과 거짓이란 진리치를 보증하는 거대 텍스트로 기능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자,‘주체의 콘텐츠화’란 개념을 창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주체의 콘텐츠화란 근대적 주체상에 대한 비판이며 나아가 하이브리드적 주체화 과정의 분석들이 될 것이다. 주체의 콘텐츠화는 기존 주체성이 정신과 육체, 자연과 인위, 유기체와 테크놀로지 등이라는 이분법적 도식항에 의해 구획된 것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주체의 콘텐츠화란 곧 유기적인 것과 테크놀로지적인 것,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의 혼재항이며 나아가 이질적 접면들에 의해 생성되는 열린 양태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하이브라드적 주체들이란 힘들의 다각화된 유희의 장으로서, 변화와 생동이란 불연속적 문제 들을 통해 단일하고 총체적, 통일적 자아 개념을 지속적으로 파기, 변환시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하이브리드적이며 괴물적인 주체-휴머노이드, 안드로이드, 사이보그-란 바로 정치적 주체로서 주어진 규범성의 프레임에 순응하지 않고 현실 좌표축을 변환시키려는 행위자이자 연결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이브리드적 주체는 새로운 주체에 대학 해석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et article consiste à montrer le fait que la subjectivité n'est plus un texte qui consolide la vérité, mais est un "contents" qui démontre efficacement le processus de la nouvelle modalité de la subjectivité. Je tente d'élaborer la notion du sujet comme "contents" qui veut dire que le sujet n'est pas une structure transcendantale, mars ce qui est déterminé par la nouvelle technologie du sujet. Celle-ci est un vecteur qui contribue à fabriquer de multiples modalités de la subjectivité hybride qui déconstruit la scission hiérarchique entre l'organique et le technologique, le naturel et l'artificiel, l'humain et l'inhumain. Ces modalités de la subjectivité hybride sont un site de transmutation qw consiste à créer une nouvelle problématique ébranlant le statu quo et les prémisses non questionnées du sujet. Cette tentative d'élaborer des modalités dissidentes du corps multiple et fluide, indéterminable, est une stratégie de critiquer la logique du même et de déceler l'imbrication intime entre la logique du même et celle de la binarité de genre. Parce que ces corps fluides montre la perspective du corps qui produit le site de la jouissance dans lequel les différences multiples et dissidentes qui ne sont plu subsumées sous la logique du même. Il en résulterait que les modalités de la subjectivité hybride telles que l'humanoid, I'andronoid, le cyborg, sont la façon de se constituer en tant que sujet politique de résistance qui désocculte les limites du paradigme de la pensée hégémonique et de la pratique dominante. Les subjectivités hybrides qui sont le vecteur du corps-joueur, sont l'agent et le point d'interconnexion qui consistent à changer le paradigme de la réalité.

      • KCI등재

        세계 내 타자의 밀도와 저항의 방식 : 청소년소설 『원통 안의 소녀』와 「B의 세상」을 중심으로

        박성애(Park, Seong-Ae)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권력주체가 전유하는 공간에서 타자의 공간은 점점 좁아지고 타자들의 밀도는 낮아진다. 타자들이 자발적으로 권력주체의 공간이 되어 주체의 권력으로 머물기도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목소리를 의미 있는 공적 언어로 통합할 수 없기 때문에 권력주체의 공간에 타자성은 드러나기 힘들다. 「B의 세상」과 『원통 안의 소녀』는 타자적 청소년들이 권력의 공간에서 어떤 질량을 가지고, 어떠한 밀도로 존재하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작품 속 청소년 인물들은 주체의 공간에서 주체의 지식으로 해석되는 존재로, 그들의 타자성을 드러내지 못한다. 이에 「B의 세상」은 공적 발화를 시도하고, 공적인 말을 획득함으로써, 그리고 타자들의 연대를 추구함으로써 타자들의 밀도를 높여가고자 한다. 그리고 『원통 안의 소녀』는 “사귐”을 통한 윤리적 주체되기를 통해 그들의 타자성이 세계에 나타날 수 있고 타자를 위한 미래를 꿈꿀 수 있다고 말한다. 청소년소설은 성인작가가 청소년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청소년 세계의 진실에 닿아있는 문학이어야 한다. 청소년은 우리 사회의 타자로 그들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기에 타자의 말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매개자로서 이 세계의 공적 목소리를 소유한 성인작가의 시선과 ‘말’이 필요하다. 목소리 없는 타자가 권력주체의 공간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포착하는 주체의 시선과 그것을 전달하는 말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통합되지 않는 타자의 말을 작가는 주체로서 대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성인작가는 권력의 긍정적인 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권력은 타자의 목소리를 통합하여 사회에서 소통되는 공적인 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우리 세계 청소년 타자에 대해 성인작가주체는 타자의 목소리를 통합하여 그림자 없이 명확한 공적인 말이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타자들을 마주한 성인 작가가 글쓰기를 통해 윤리적 주체가 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space dominated by the subject of power, the space of the Others becomes narrower and the density of the others decreases. Because the Others become the space of the subject of power voluntarily, otherness can not reveal in that space. 「B s World」 and 『The Girl in the Cylinder』 show the youth s mass, density, and way of being in the space of power. Youth characters can not reveal their otherness in the texts, because they are interpreted as the subject s knowledge. Accordingly, youth s character of 「B s World」 trys to increase their density by attempting public utterances, and pursuing solidarity with the Others. 『The Girl in the Cylinder』 says that their otherness can appear in this world and they can dream of a future for the Others through becoming an ethical subject through friendship. The youth novel should be a literature that touches the truth of the youth s world because adult writers deliver texts to the youth reader. Because the youth are the Other in our society and their voices are hard to hear, so in order to reveal the Other s words, we need the eyes and words of the adult writer who possesses the public voice of this world as an intermediary. The gaze of the subject that captures how the Other exists in the space of the subject of power and the words to convey it are necessary. The writer should be able to speak instead of the Other s words that are not integrated through writing. For this, adult writ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power. Power can unite the voices of the Others to become a public word communicated in our society. Adult writers should integrate the youth s voices and make it a clear in this our world. This can be the way for adult writers to become an ethical subject through writing and facing the Others in our society.

      • KCI등재

        아도르노 철학에서 ‘객체’ 개념

        이병탁(Lee Byong-ta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6

        아도르노는 주체 · 객체 상호성의 인식 모델을 제공하려 한다. 이는 첫째 주체와 객체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둘째 독립된 주제와 객체는 배타적으로 그리고 철저하게 분리된 것이 아니며, 따라서 셋째 독립된 주체와 객체는 서로 관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인식경험에서 주체가 객체와의 관계에서 단순히 수동적이지 않으며, 객체가 주체의 개념의 의해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 상호성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주체는 인식활동에 있어 객체를 규정하는 능동적인 역할을 하며, 객체 또한 단순히 주체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의 개념에 포함되지 않은 비개념적인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비개념적인 부분이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의미에서 주체와 객체의 상호 얽혀있음의 관계 속에서 객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명해보고자 한다. 이것은 아도르노의 애매한 객체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주 · 객 상호성의 관계가 왜 포기될 수 없는지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주 · 객 상호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객체’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전개될 것이다. 먼저 주체와 객체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객체 개념의 애매성이 불가피한 이유를 살펴보고, 그런 다음 객체는 주체의 개념에 의해 완전히 규정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비동일성으로서의 객체를 판단형식을 통해 설명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 관계하고 서로를 통해 서로를 구성하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주체와 객체가 상호 매개하는 것으로 파악하며, 이러한 상호 얽힘 속에서 객체는 개념과의 차이를 통해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부분적으로 주체의 개념에 의해 규정된다는 의미에서 객체의 개념적 성격과, 그럼에도 의미 생산에 있어 주체의 개념은 개념과 다른 것에 의해 매개된다는 의미에서 객체의 비개념적 성격을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객체가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주체와 객체를 깔끔하게 분리시켜 규정하려는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주장한다. This Paper tries to study what “object” means in the reciprocal of subject and object. This helps us to understand the equivocal concept of object and the reason why we cannot abandon the reciprocality of subject and object. The discussions of “object” which try to justify the reciprocality of subject and object will be developed this: First, we will examine the inevitability of equivocality which the concept have, and then explain, through the form of judgement, the object as non- identity in the sense that object cannot be determined entirely by the concept of subject. By doing so, we conceive the relation of subject and object in the way they intermediate each other. In the reciprocal intermediation, we insist that object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concept and object. The reason is that object has the conceptual character in the sense that partly object is determined by concept, but also the non-conceptual character in the sense that the concept of subject is intermediated by that which is different from it in the production of meanings. This discussion don't mean that object can be divided in the two pieces, but mean that the concept which is abstraction of individual object cannot determine object entirely, though it can determine object partly. Therefore the attempt to separate subject and object sharply, and define them cannot help fai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