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와 현실 권력 추수주의의 결합 : 김형효의 자생적 철학체계 수립 기획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김형효는 본래 서구철학의 본산지라고 할 유럽의 한복판에서 서양의 철학과 사상, 문화를 공부했으며 그에 심취했던 전형적인 유학파(留學派) 철학자였다. 그럼에도 70년대 초반, 패기만만한 소장 사회철학자 김형효는 ‘한국적 특수성의 체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보편적 이론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지적 모험과 고민에 빠져 있었다. 아울러 그 방향으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를 정립해 나가고자 시도하였다. 그렇게 해서 (잠정) 도달한 곳이 ‘양가성(兩價性) 논리에 기초한 (사회)철학체계’이다. 김형효는 그 같은 자신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한국사회의 현실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자 했으며 실제 정치일선에 뛰어들어 사회현실의 변화를 꾀하고자 기도하였다. 곧 그의 현실 참여적인 철학적 움직임은, 박정희 유신정권을 거쳐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이르기까지, 정치 현장에 적극 개입하여 정책 수립에 관여하는 등 예의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수행을 통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문제는 김형효가 구상하여 제시한 나름의 ‘독창적인’ 철학적 사상체계가 ‘과연 고유한 자생적 철학체계로서의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는가?’하는 점이다. 더불어 ‘그러한 문제성 있는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감행된 현실 정치에로의 개입이 제대로 된 철학적 방향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지닌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방식이었는가?’하는 점도 깊이 있게 검토해 봐야 할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이다. 이러한 물음들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1970년대 유신정권과 뒤 이은 80년대 신군부 군사독재 정권 하에서 선도적인 현실 참여적 사회철학자로서 맹활약했던 김형효의 독창적 철학체계의 본질과 실체를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도 외래 (서구)철학에 대한 각주달기 철학에서 벗어나 고유한 사상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던 그의 ‘자생철학 수립 기획’이 애초의 목표와 달리, ‘독재 정권의 이념적 정당화 기획’으로 변질되게 만든 ‘근본 원인’을 비판적으로 폭로해 보여주는 데 주안점이 두어져 있다. 곧 그러한 원인은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에 자리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그것이 현실 권력에 대한 무반성적 추수주의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결정적으로 초래된 것이라는 점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여 주고자 한다. In the early 1970s, Kim Hyung-Hyo as an ebullient young philosopher was caught in the serious intellectual agony on the philosophical theme, that is to say “How can a universalist philosophical thoughts system be created based on Korean unique specificity of situation?” Thus in that direction displaying the creative imagination, Kim tried to establish his own original practical philosophy type. In so doing, the destination at which he had arrived temporally was the social philosophy type based on ‘the logic of ambivalence’. Also in reliance on such his own proper practical philosophy type, Kim Hyung-Hyo made an attempt to engage himself directly in the various politicalsoci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For example, he really plunged into the full-time politics and endeavored to solve and change the difficult political-ideological situations and obstacles, from Park"s Yooshin Regime to Chun"s Neo-Military Dictatorial Regime. The question is “Did Kim"s original philosophy type ‘in his own way’ fulfill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s the proper spontaneous philosophical system?” Besides, “Was his philosophical intervention into the real politics on the basis of such a problematic philosophy type an appropriate way of actual doing-philosophy which has the philosophical directivity and the normative justification?” is another important question which is to examine critically. Taking these controversial point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critically and closely the essence and substance of the original philosophy type of Kim Hyung-Hyo who played very actively as both a representative reality-participant social philosopher and a leading system-advocation ideologue under the dictatorial regimes over two decades from 70s to 80s. Above all, this essay tries to do its best in order to disclose critically the fundamental cause that allows Kim"s project of establishment of spontaneous philosophy type to change into the project of ideo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dictatorial regime, contrary to its initial intention and purpose. Name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explicitly the fact that the critical cause of such deteriorated change lies i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t the same time it comes to appear definitely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nd the blind conformism toward real dominant power.
근대 시민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정당화 논리로서 ‘Cogito ergo sum’
사회와철학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2009 No.17
<P>이 글은 데카르트 철학―특히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새로운 철학체계의 정립 의도 및 방법론적 전략―에 관한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해석상의 문제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봄으로써 ‘텍스트 중심주의’에 지나치게 한정하여 이루어진 ‘전통적인 데카르트 상(像)’에 반(反)하여, 데카르트 철학과 그 근본토대로서 ‘Cogito ergo sum’을 17세기 당시의 시ㆍ공간적 맥락과 현실적 상황에 연관지어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비판적으로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무엇보다 철학의 제1원리로서 기능하는 ‘Cogito ergo sum’과 그것에 기초한 데카르트의 철학적 기획은,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던 17세기 당시 유럽의 ‘낡은 신분제적 질서’를 타파하고 ‘인간 중심의 근대 시민사회’를 건립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한편으로는 그러한 근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이념적 정당화 논리’로서 개진된 것이라는 점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처럼 탈종교적이며 탈신분제적인 근대적 시민사회 질서를 구현해 나갈 선도적 주체로서 당시 부상하고 있던 ‘시민계급’의 시대적 역할과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옹호하는 ‘계급적 정당화 논리’로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P>
비판에서 체계로, 다시 체계에서 비판으로 -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과 그 전개과정
정성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1990년대 한국의 ‘하버마스 이상열기’를 주도한 장춘익은 2010년대에 루만의 체계이론을 번역하고 연구했다. 그리고 이후 다시 비판이론으로 관심을 돌렸다. 이 논문은 장춘익이 독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후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썼던 글들을 토대로 그의 사회철학이 가진 문제의식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장춘익은 마르크스 이론을 모델로 경험적 분석과 비판적 관점이 상호 상승 작용하는 사회철학을 추구했으며, 이를 위한 오늘날의 유망한 이론으로 하버마스를 선택했다. 그리고 그는 비판의 측면과 경험적 측면의 두 측면에서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고자 했으며, 특히 전략적 고려와 제도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보완 문제의식 속에서 그는 루만의 체계이론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게 되었고, 윤리학, 합리성, 여론 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다시 하버마스의 최근 저작에 대한 연구를 비롯한 비판이론 연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연구를 멈추게 되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을 수평적 관계에 대한 지향을 중심으로 정리해보았다.
동네(neighborhood)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
신희주(Heeju Shi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4
이 논문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사회 통합을 담당해 왔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약화되는 대신 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은 채 발전해 온 한국의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공동체의 회복을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회적 자본과 집합적 효능감이라는 요소를 지역사회 거버넌스라는 개념과 연결시켜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공동체적 가치와 좋은 공동체의 구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전의 연구들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동네일수록 안전하고 건강하며 더 높은 삶의 질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전통적 형태의 결속력이 결여된 현대사회에서 이런 관계가 성립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응집력과 비공식적 사회적 통제라는 개념이 결합되어 결정되는 집합적 효능감의 수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높은 집합적 효능감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초로 정치적인 영역에서 집합적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거버넌스의 기본 요건이 된다. 따라서 동네주민들이 공동체적 삶의 형성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그 지역의 집합적 효능감을 높이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 논문은 집합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1) 제도적 측면에서 공동체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우호적인 법률, 정치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2) 윤리적 측면에서는 정치적으로 옳지 못한 차별적 행위를 지양할 수 있는 반 차별정책을 강화해야 하고, 3) 공정한 사회적 관계를 저해하는 불평등한 노동조건에 대한 구조적 개선 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esirable local communities can be restored in South Korea where new types of communities to provide people with values and norms have not been built while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have been weakened with the advance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s good communities and community values required in modern society by combining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efficacy with local governance. Prior research has emphasized that the neighborhoods with greater social capital are safer and healthier, and enjoy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less social capital. The author insists that this relationship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of which level is determined by how social cohes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work together at local level. Also, the high level of collective efficacy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good governance that facilitates empowerment of civil society in political are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to heighten collective efficacy as follows: 1) a friendly leg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communities can function properly, 2) antidiscrimination policies that could check socially and politically incorrect discriminative behaviors should be reinforced, and 3) structural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unequal labor conditions that hamper just social relationships.
김광식(Kim, Kwangs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한국사회에 널리 퍼진 순종과 복종의 문화가 삼백의 어린 청춘들을 죽음으로 몰아간 세월호 참사를 낳았다. 이 글은 순종과 복종의 문화를 바꾸기 위해 인지문화 철학을 바탕으로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제안한다. 인지문화철학이란 인지현상에 대한 인지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철학의 문제에 접근하는 철학이다. 인지과학의 성과로는 리벳 실험과 마뚜라나의 자기생산체계이론을 바탕으로 삼는다. 한국 사회 말의 역사는 높임말과 반말 싸움의 역사였다. 한국 사회 말의 역사는 반말 공용화로부터 윗사람의 반말과 아랫사람의 높임말을 거쳐 높임말 공용화로 이어져왔다. 하지만 높임말 공용화라는 형식적 평등에 실질적 평등이 뒤따르지 못했다. 그래서 오늘날 높임말 공용화는 겉보기일 뿐, 실제로는 윗사람은 은밀하거나 공공연하게 반말을 하고 아랫사람은 높임말을 하고 있다. 그 결과 순종과 복종의 문화가 널리 퍼져 있다. 그 순종의 관성을 걷어내려면 문어체 반말을 말과 글의 표준 꼴로 공용화해야 한다. 리벳 실험에 따르면 행동을 위한 의식적인 생각을 하기 0.35초 전에 무의식적인 뇌활동이 먼저 일어난다. 이것으로부터 세상을 바꾸는 행동을 하게 만드는 것은 의식적인 생각이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몸에 밴 태도나 성향이라는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이것은 한국 사회에서 세상을 바꾸려는 이들이 말의 내용이나 머릿속 생각에 주목하는 메시지 주의로부터 말의 형식이나 몸에 밴 태도나 성향에 주목하는 싸가지 주의로 전향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마뚜라나의 자기생산체계이론에 따르면 앎의 내용을 결정하는 것은 외부 세계의 정보가 아니라 생명체의 몸에 밴, 앎을 만드는 내부 생산방식이다. 이것으로부터 듣는 이의 말뜻을 결정하는 것도 말하는 이의 말뜻을 담아 전달한다고 여기는 외부 세계의 말이 아니라 듣는 이의 몸에 밴, 외부 체계와 접속하여 말뜻을 만드는 내부 생산방식이라는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이것은 한국 사회에서 세상을 바꾸려는 이들이 듣는 말(뜻)에 주목하는 컨테이너 주의로부터 하는 말(뜻)에 주목하는 콘센트 주의로 전향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가만히 있지 않는 싸가지 없는 태도를 몸에 배게 하는데 듣는 싸가지 없는 반말보다 하는 싸가지 없는 반말이 더 효과적인 이유다. 반말로 맞서는 아랫사람이 잃을 것이라고는 순종뿐이요, 얻을 것은 세계 전체다. 모든 아랫사람들이여, 반말로 단결하라.
장춘익(Jang, Chun-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루만의 사회 합리성 개념은, 일견 보이는 것과 달리, 그의 사회이론을 다른 사회이론들과 구별하고자 할 때, 그리고 그의 사회이론을 현대사회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논의들과 접목시키고자 할 때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이 논문은 아주 복잡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그의 사회 합리성 개념을 분명하게 밝히고 이를 통해 루만의 사회이론에 대한 논의를 ‘정상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사회 합리성 개념을 다룰 때 루만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하나는 행위합리성과 체계합리성을 구별해내고 체계합리성 개념을 사회 합리성 개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능적으로 분화되어 정점도 중심도 없는 근현대 사회에서 사회 합리성이 과연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식으로 가능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루만은 기능체계들의 ‘이중적 반성’에 희망을 거는데, 하지만 자신의 이론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비판적 잠재력을 스스로 제한하고 만다. 나는 체계이론의 ‘기능주의적’ 버전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버전을 택하면 사회 합리성 개념과 관련하여 다소 비관적 색채를 띠는 루만의 전망보다 좀 더 생산적인 전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박구용(Park, Goo Y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철학적 담론에서 사회, 사회적인 것의 지평을 되묻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사회 없는 사회비판’이라는 은유를 통해 사회를 비판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으로만 취급하는 담론 상황을 문제로 설정하고(1), 사회적 지평의 규범적 정당화 가능성을 찾는다(2). 이 과정에서 필자는 자유의 개별성, 보편성, 특수성을 상호주관적으로 인정하는 개인들의 만남, 소통, 연대의 과정으로 사회에 대한 재규정을 시도한다. 그런 다음 필자는 칸트와 헤겔 철학에서 사회가 예정조화 틀로 변형되어 국가 체계로 포섭되는 과정을 비판한다(3). 마지막으로 필자는 자본 시장(회사)만이 아니라 국가행정의 권력 체계와 구별되면서 동시에 두 권력에 대한 실천의 비판의 가능성을 시민사회의 대의제에서 찾는다(4). This article aims to inquire a horizon of a ‘society,’ and the ‘social’ in the frame of philosophical discourses. For the purpose, I criticized a philosophical discourse, which regards a society only as the object of criticism, not the subject of criticism. Metaphorically speaking, the discourse is to ‘criticize a society, which does not exist.’ Second, I attempted to find a normative foundation of a social horizon. In the process, I tried to redefine a society as the process of meetings, communications, solidarity of individuals, who recognize individuality, universality, and speciality in the level of inter-subjectivity. I also criticized a process in which a society is transformed a state in the way of pre-established harmony in the theories of Kant and Hegel. Lastly, I suggested an alternative of a representative system of civil society, which distinguishes itself from not only capital market (company) but also a power system of the state administration.
정성훈(Jung, Sung-Ho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 사회철학에서 그어졌던 계몽 대 반계몽, 이성 대 반이성, 합리주의 대 해체주의, 모던 대 포스트모던 등의 대립을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의 성과에 기초하여 재정식화하고자 한다. 루만은 사회와 개인의 관계와 사회의 하위체계들의 관계를 끊어 밝힘으로써 사회의 분화된 합리화 메커니즘들과 그로부터 뚜렷이 구별되는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을 밝혀냈다. 그리고 여러 사회적 체계들에 대한 루만의 연구로부터 우리는 연애, 예술 등 개인의 비합리성을 독려하는 사회적 체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를 때, 오늘날 이성비판의 대립은 사회의 분화된 합리성을 동력으로 하는 합리적 이성비판과 개인의 유일무이한 비합리성을 동력으로 하는 비합리적 이성비판의 대립으로 재정식화될 수 있다. The controversy of rationality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been 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antienlightenment, reason and anti-reason, rationalism and irrationalism, modern and postmodern. I have tried to reformulate this opposition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enlightenment by Niklas Luhmann. Luhmann has distinctly cleared the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between subsystems of society. From the result of his distinctly clearing (Abklärung), I have distinguished between differentiated rationality of society and unique irrationality of indivisual. On this point of view, the controversy in critique of reason could be reformul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rational critique of reason and irrational critique of reason.
나종석(Na, Jong Seo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5
이 글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10년 동안 진행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인문한국(HK)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작성된 것이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인문한국연구소는 한국 인문학의 위기를 진단하고 그 위기를 극복할 대안적 인문학으로 사회인문학을 제안했다. 국학연구원 인문한국연구소가 내걸은 총괄 연구 주제는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이었다.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구체화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필자는 대동민주 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그러니까 필자는 대동민주 유학을 통해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 글에서 필자는 사회인문학의 문제의식을 기존 인문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인문학의 사회성 회복을 위한 탐색이라는 이중적 성찰의 관점으로 설명하고, 이런 이중적 성찰이라는 문제의식이 왜 대동민주 유학의 구체화로 이르게 되었는가를 서술해보고자 한다. 이 글의 기본적 문제의식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필자는 대동민주 유학이 왜 사회인문학의 이중적 성찰의 관점을 전통과 근대의 이분법에 의해 사로잡혀 있는 인문학의 서구중심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연결되는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전통에 대한 식민화를 초래하는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하면서 한국의 전통, 특히 조선의 유교 전통이 오늘날의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이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필자의 입장도 명료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 글은 한국의 민주주의가 유교적민본주의를 매개로 하여 서구 민주주의를 번역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임을 강조하고 그렇게 산출된 한국 민주주의가 어떤 점에서 대동민주주의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해명한다. 끝으로 대동민주주의 형성 과정에 대한 학문적 성찰인 대동민주유학이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더 나아가 근대적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우리사회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는 일조할 것임이 강조된다.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as Institute of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s HK Project,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10 years under the patronag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as drawing to a close. Humanities Korea Research Center, Institute of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pointed to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n South Korea and presented “social humanities” as the alternative branch of the humanities to overcome the challenges. Humanities Korea Research Center(Institute of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s endeavors ultimately took the form of “Social Humanities as a practical discipline in the 21st century”, its overarching research thesis. While conducting research to give tangible shape to “Social Humanities as a practical discipline in the 21st century”, the author proposed a new field of study titled Great Harmony Democratic Confucianism. The author’s finding was that “Social Humanities as a practical discipline in the 21st century” could be realized through Great Harmony Democratic Confucianism. In this thesis, the author will 1) critically reflect upon existing humanities studies and 2) explore ways to restore relevance to the humanities. Furthermore, the author will clarify how these dual reflections resulted in Great Harmony Democratic Confucianism. To elucidate the underlying theme of this thesis, the author will illustrate how Great Harmony Democratic Confucianism bridges the two aforementioned thoughts with critical review of Western-centric humanities, which is caught in the dichotomy of the classical vs. the modern. Furthermore, by critiquing Western-centrism – which engenders the colonization of the classical – the author will explain at length the ways in which Korean traditions, especially Joseon’s Confucian traditions, affect Korea’s democracy to this day. In the process, the author will also clearly state how the classical should be interpreted. Going further, the author will clarify that Korea’s democracy was formed by the modulation of Western democracy by the means of Confucian democracy, and explain how the resulting brand of Korean democracy can be understood as Great Harmony Democracy. Finally, the author will emphasize that Great Harmony Democratic Confucianism, as an academic reflection on the emergence of Great Harmony Democracy, opens opportunities of newly interpreting Korea’s democracy and even modern identity, thereby contributing to Korea’s successful victory over its “crisis of the humanities.”
김준수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0 No.48
홉스는 근대 정치철학의 혁명적 창시자다. 그러나 홉스의 정치철학이 지닌 근본적인 혁신성 중 하나가 바로 그의 소유론에 있다는 사실은 흔히 간과되곤 한다. 그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정치철학이 ‘정의에 관한 논의’라고 표방하면서도, 정의를 비전통적인 방식으로 법적 소유권의 문제로 치환한다. 또한 그는 그처럼 정의와 동일시되는 소유권의 문제를 자신의 정치철학 체계 전체의 출발점이자 근간으로 삼는다. 홉스의 정치철학을 통해 처음으로 명확하게 근대적 소유권 개념이 확립되고 또 소유권 문제가 정치철학의 핵심으로 부상한다. 이처럼 홉스의 정치철학에서는 물론이고 근대 법철학의 이론 구성에서 핵심적인 위상과 역할을 갖고 있는 소유론이 막상 대부분의 홉스 연구자로부터 간과되고 있다. 그러나 홉스의 정치철학 전체가 소유론을 중심으로 재구성될 수 있을 만큼 소유권의 문제는 그의 정치철학의 요체다. 본 논문은 홉스의 주요 정치철학적 저서들을 분석하여 그의 소유론을 상세하게 고찰한다. 제2장에서는 사적 소유권의 근원 문제를 살펴볼 터인데, 홉스가 그 특유의 ‘힘의 철학’을 원리로 삼아 소유권의 근원을 자연과 타인에 대한 힘(폭력)에 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제3장에서는 사적 소유권 제도의 타당성과 필연성을 정당화하는 홉스의 논변을 고찰할 것이다. 특히 이 논변의 두 가지 주요 전제인 윤리적 이기주의라는 부정적 인간학과 지극히 부정적인 함의를 띤 소극적 공유로 재해석된 근원적 공유의 이념을 분석하여 그가 전개하는 논변의 타당성과 건전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홉스의 소유론과 관련하여 가장 치열한 쟁점인 ‘소유권은 자연권인가 아니면 사회권인가?’라는 소유권의 권원 문제와 사적 소유권이 홉스의 법론 전체에서 차지하는 법적 위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홉스의 자연권 개념을 세밀히 분석하고 소유권의 자연권적 측면과 법정이론적 측면을 해명할 것이다. Hobbes is a revolutionary founder of modern political philosophy. However, it is often overlooked that one of the fundamental innovations of Hobbes's political philosophy lies in his theory of property. While Hobbes traditionally characterizes his political philosophy as a “discussion of justice”, he unconventionally transforms justice into a matter of the legal right of property. He also uses the problem of property, which he equates with justice, as the starting point and foundation of his entire political philosophy. It is through Hobbes’s political philosophy that the modern concept of property is first clearly established, and the question of property emerges as the centerpiece of political philosophy. Despite its centrality to Hobbes’s political philosophy and its role in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of the modern philosophy of law, the theory of property has been overlooked by most Hobbes scholars. However, the problem of property is so central to Hobbes’s political philosophy that his entire political philosophy can be reconstructed around it. This paper analyzes Hobbes's major political philosophical works to examine his theory of property in detail. In Chap. 2, we will examine the question of the source of the private right of property, and see that Hobbes, in his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power”, rooted property right in power over nature and others. In Chap. 3, we will examine Hobbes’s argument for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a system of private ownership. In particular, we will critically examine the validity and soundness of his argument by analyzing its two main premises: the negative anthropology of ethical egoism and the idea of original community reinterpreted as passive community, which have profoundly negative implications. In Chap. 4, we will examine the most fiercely contested issue in Hobbes’s theory of property: the question of the legal ground of property, whether the right of property is a natural or social right, and the legal topology of the private right of property in Hobbes‘s theory of law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