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점제형 고등학교의 학습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학교 공간 조성 사업 선정 거점형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박보윤,이태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학생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인 고교학점제는 일반계고 부분 도입을 거쳐 2025년부터 전체 고등학교에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학급 중심이 아닌 교과 중심의 운영을 위해 학급의 개념은 모호해지고 휴게 및 거점 공간인 학습 커뮤니티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교육부와 교육청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춰 크게‘학교 공간 조성 사업’과 ‘학교 공간혁신 사업’을 진행 중이다. 두 사업 모두 학점제형 공간 조성을 위한 재구조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사업 규모 및 예산 등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를 위해 공간 재구조화를 마친 학교 공간 조성 사업 해당 학교의 공간 사례를 분석하여 적절히 도입되었는지 파악하고자 시작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내 학교 공간 조성 사업 해당 학교 중 꿈 두레 공동 교육과정의 거점형에 해당하는 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 연구와 현장답사로 이루어졌다. 첫째, 선행연구와 보고서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요구되는 공간의 조성 원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2019년도부터 2023년도까지 인천광역시 고교학점제 운용 현황과 학점 제형 공간 조성 사업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어서 학교 공간 조성 사업이 완료된 거점형 학교를 선정하여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학교 단위 사업의 계획안을 참고하여 영역 단위 사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결과) 학교 공간 조성 사업 대상 학교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습 커뮤니티 공간은 첫째, 수용성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접근성은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파악되었다. 둘째, 부분적인 리모델링이 진행되어 대부분이 소규모의 학습 커뮤니티 공간이었다. 셋째, 학습 커뮤니티 공간이 개실형 또는 홀형과 연결형으로 계획되었는데, 유형이 적절히 조절된 학교는 학생들의 공간 활용도가 좋았으나, 연결형만으로 조성된 경우에는 영역성이 부족하여 공간의 기능이 유기적이지 못했다. 넷째,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세부 계획을 통해 효율성, 유연성, 연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구의 종류와 배치 형태, 바닥재 등의 마감 재료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결론)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을 위한 고등학교의 리모델링 및 증개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거점형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학습 커뮤니티 공간은 학생들의 원활한 소통과 교류 활동을 위해 대규모의 중앙집중형으로 조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접근성과 공간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특정 유형으로만 구성하지 않고 개실형 또는 홀형과 연결형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유기적인 공간을 위해 다양한 가구를 사용하여 이용자들이 공간을 연계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소통 및 교류 공간을 조성하는 데 효과적인 학교 단위 사업인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과 달리, 영역 단위 사업인 학교 공간 조성 사업은 고교학점제에서 추구하는 유기적이고 입체적인 공간계획을 위해 보다 확장된 범위 내에서 공간 재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중고통합운영학교 조성을 위한 사전기획의 공간재구조화와 특화공간디자인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임오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1998년 통합운영학교 제도가 마련된 이래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학교급별로 유연하게 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바탕으로 최근 통합학교 신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 전체 교사동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공간조성사업의 사전기획을 통해 공간재구조화를 제안하고 특화공간디자인을 계획하여 향후 통합운영학교로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전기획 업무수행지침을 토대로 공간재구조화와 특화공간디자인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공간재구조화란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의 전체 교사동 교실 전면 재배치를 의미하며, 먼저 학교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기획의 사용자(교사) 참여를 통해 의견수렴 후 구체적인 공간재구조화안을 제안하고, 사용자 협의회를 통해 최종 공간재구조화를 결정하였다. 최종 공간재구조화에서 특화공간을 선정한 후 공간기획의 사용자(학생) 참여를 통해 공간조성방향 및 컨셉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공간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수업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후 기본계획안을 작성하며, 최종 기본계획안은 사용자협의회를 통해 결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황은 학교의 일반현황, 교육현황, 시설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교육기획의 사용자 참여를 통해 미래교수학습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공간통합운영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이동동선을 고려하여 각 학년별 학급교실, 홈베이스, 교무센터를 동일한 층에 배치되도록 수평조닝을 하였고, 각 교사동을 잇는 증축부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함께 사용이 가능한 공간을 배치하여 공간재구조화(안)를 완성하였다. 넷째, 다정다감 도서관을 특화공간으로 선정하고 공간기획의 사용자 참여를 실시하여 기본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결론) 본 논문은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가 발생하는 농촌지역의 기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합운영학교 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System in 1998, integrated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based on the advantage of the flexible creation of school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spatial restructuring and planned specialized space design through pre-planning of a spatial creation project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argeting all teaching buildings at Konyang Middle School and Konyang High School. The study aimed to create a foundation for future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Method) Based on pre-planning guidelines, spatial restructuring and specialized space design were performed separately. Spatial restructuring refers to the total rearrangement of all classrooms in the teaching buildings of Konyang Middle School and Konyang High School.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schools was investigated: opinions of teachers were collected regarding educational planning, a specific spatial restructuring plan was proposed, and the final spatial restructuring plan was decided in a user council. After selecting a specialized space in the final spatial restructuring, the direction and concept of spatial creation were determined through user (students) participation in space planning. User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classes to devise specific spatial creation ideas, a basic plan was determined, and a final basic plan was decided through a user council. (Results)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school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general status, educational status, and facility status. Second,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possibility of spatially integrated operation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identified through use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lanning. Third, horizontal zoning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movement of students; therefore, classrooms, home bases, and academic centers for each grade were placed on the same floor, and spatial restructuring was made such that commonly usable spaces b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placed in the extended connecting building between each teaching building. Fourth, the library (learning center) was selected as a specialized space and a basic plan was created through user participation in space planning.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to determine how integrated school operations apply to exist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rural areas where there is a rapid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 KCI등재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교 공간조성 방안 연구

        조진일,최형주,김성중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2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온라인 교육 공간’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권을 충분히 보장하면서 양질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방향, 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 및 공간의 종류 등 온라인 교육을 위한 공간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특성, 온라인 교육 공간의 특성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외의 온라인 교육 운영 및 공간조성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는 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①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원칙과 방향, ②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융복합성, 편리성, 탈장소성(De-place)), ③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33개의 공간을 제시<Table . 참조>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online education space” in which the nee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school field in the future. As a way to create an online education space that can provide quality online education while sufficiently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online learning, the basic direction, attributes of space, and types of spaces were presented. To this end, the literature review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functions of the online education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literature review, domestic and overseas online education operation and space creation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the perception of and demand for online education of teachers who operate online education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①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online education space creation, ② attributes of online education space (convergence, convenience, de-place), and ③ 33 spaces (see Table 8) required for online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현대 기념 경관 디자인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여문정(Yu, Wenting),김은정(Kim, Eunjung),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2

        20세기 이후 기념경관은 도시 주민들에게 휴식과 정신적 긴장을 풀고, 소통의 공공장소의 공간으로 사용되면서 기념적 공간의 문화적, 시대적 특징을 넓혔다. 기념경관은 그 시대 이데올로기가 반영될 뿐 아니라 사회적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념물의 형태와 표현방식은 그 시대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이후 국내외 기념공원, 광장, 기념관 외부 공간 등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기념적 경관의 역사성 및 특징, 발전과 사회문화, 기술 영역 등을 분석하여 현대디자인에 있어 지향해야 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다양한 기념시설을 디자인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기념적 경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고찰을 통해 기념경관의 정의와 발전형태, 공간 구성요소와 시퀀스 분석요소 및 경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 사례인 기념적 경관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 이후의 문헌연구를 통한 선행연구 사례들을 앞서 분석하여 중국과 한국을 대표하는 실제사례 4곳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기념공간의 내용은 인물, 사건에 대한 표현과 감정을 포함하며 시퀀스는 공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기념공간의 조성은 공간형식의 형태, 비례와 척도의 처리, 인접공간의 비교와 변화, 공간 사이의 연결 등의 방면이 포함된다. 기념경관의 요소는 하드요소(조각, 건축물, 포장)와 소프트요소(식물, 수경), 기타요소(색채, 질감, 조명)들로 구성되면서 하나의 완전하고 통일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20th century memorial landscape in the city residents, rest and mental relaxation, communication, public places, expanding the tim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emorial landscape. Memorial landscape not only reflects the ideology of the times, but also contains a social tendency, and the monuments of form and expression also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s. The aim of the study abroad since the 20th century, Memorial Park, Square, Memorial outside space and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history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memorial, cultur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areas, and analysis should be oriented to a modern design a variety of creative and unique designs in the need to raise commemorative and memorial landscapes that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ethod of the research literature through discussion of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commemorative landscape form, space and landscape components, sequence analysis and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cent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which typically appears in the case of memorial landscape cases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e research literature since 2000, over the previou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ases before them in person on behalf of China and South Korea, who had five real cases analyzed in-depth.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celebratory space character, and emotion expression event comprising a sequence o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pace formed. Greeting space in the form of the composition of the spatial type, proportion and treatment of the measure, compare and change in the adjacent space, such as spa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ld and the like. The elements of the landscape commemorating the hard elements (sculpture, architecture, packaging) and soft elements (plants, hydroponics), and other elements (color, texture, lighting) consists of a complete and unified as a single spatial structure should be formed.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트윈세대 공간 조성에 관한 사서 인식 연구

        서유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3

        공공도서관이 트윈세대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 및 청소년의 여가 및 활동의 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확대의 기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트윈세대 및 트윈세대 공간 조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63명의 설문 조사 응답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윈세대에 대한 인지도나 이해도는 보통 수준 이하인 반면, 도서관 이용자로서의 중요성 및 공간 제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트윈세대 공간 및 서비스 제공 시 트윈세대의 도서관 이용률 및 만족도 역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셋째, 트윈세대 공간은 전용 공간으로 마련하는 것이 적합하며, 공간 확보 및 예산 확보가 선결되어야 할 중요한 요건이었다. 이에 공공도서관 트윈세대 공간 조성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트윈세대 및 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사서들의 올바른 인식 및 공감대 형성, 충분한 예산 확보를 위한 홍보 전략 마련, 다양한 트윈세대 공간 조성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초등학교 공간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최형주,조진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8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pace planning direction that can more effectively suppor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space creation and the space utilization of schools that operat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user satisfaction and demand for school space in term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3 design criteria were drawn for each main space in which creative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re conducted. Second, we investigated the priority and satisfaction of the space that is frequently used in the school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ird, we surveyed the types and priorities of new spaces need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Fourth, 14 concrete space planning directions for cre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창의‧인성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조성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공간조성 현황과 공간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창의·인성 교육 측면에서 학교공간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및 요구도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공간별 총 23가지의 구체적인 디자인 기준(Design Criteria)을 도출하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들의 우선순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해 새로이 필요한 공간의 종류와 우선순위로 조사하였다. 넷째,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14가지의 구체적인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강태순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5

        Recently, user participatory workshops have been applied as a way to plan landscape spaces that reflects the needsand demands of the user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which is growing rapid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design elements (forest play activities andspace), the basic needs, and the demands of users in making the FECC a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For this,materials for preschooler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nd a step-by-step workshop was conducted to satisfy the demandsof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First, in the pre-workshops phase, design elements standards were deducted through thepreschooler participatory results (41 children aged 6 and 7, Kindergarten). Second, in the main workshop phase, the designelement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Songsan-mulbit FECC) were deducted through the participating preschooler’s selectionand those results were analyzed. The materials used at the preschooler participatory process were ‘drawing a picture’ inthe pre-workshop phase, and the design elements and the standard types charts were the forest play activity pictogramchart, and the forest play space general images chart in the main workshop. As for results, frst, there are 38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activities that have been deducted. It consists of 27cognitive activities (functional 16, constructive 4, symbolic 4, game on rule 3), 9 games (sensory 5, other 4), and twosocial play activities (solo, group). There are 21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spaces. They consist of 8 play facility spaces(5 facility, 3 natural), 2 water spaces, and 11 spaces of 5 type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results to the site,the forest play activitie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were selected, and the functional play was most selected. Additionally,climbing and water play were most selected as the unit activities. Also, functional, constructive, symbolic, games basedon rules were selected, even in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play. In the case of the forest play spaces to be introducedin the site, the preschooler’s selection results by sex and age tended to be similar to the preschooler’s comprehensive selectionresults, but the boys preferred function and adventure spaces more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preferred rest spaces morethan the boy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results, which directly observed the preschooler’s forest play behavior, and analysis that the preschooler recognized the site and selected the design elements introduced on the site. Therefore, the participatory workshop process and the materials process in this study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purposeof the study. It is valuable as a case to be applied in design of the FECC from this point forward. 최근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계획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워크숍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숲체험원의 조성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필요와 요구를 담은 계획요소(숲놀이 활동과 공간)를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해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발달상의 요구가 충족된 유아 참여디자인 주요 도구를 선정하고, 단계별 워크숍을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전 워크숍단계에서 유아참여(K유치원 6, 7세 통합반 41명)의 결과를 통해 계획요소의 표준유형을도출하였다. 두 번째, 본 워크숍단계에서 대상지(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참여유아(사전워크숍참여유아)들의 선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 참여과정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워크숍에서‘그림그리기’, 본 워크숍에서 계획요소 표준유형 차트(숲놀이활동 픽토그램 차트, 숲놀이공간 실사이미지 차트)이다. 그 결과, 첫 번째 도출된 숲놀이 활동의 표준유형은 38개이다. 인지놀이 27개(기능 16, 구성 4, 상징 4, 규칙 있는게임 3), 기타 놀이 9개(감각(탐색) 5, 기타 4), 사회놀이 2개(혼자, 집단) 유형으로 구성된다. 숲놀이 공간의 표준유형은21개이다. 놀이시설 공간 8개(시설 5개, 자연 3개), 수공간 2개 외 5 공간 11개로 구성된다. 두 번째, 대상지에 적용한결과,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활동은 전체적으로는 기능놀이가, 단위활동으로는 오르기와 물놀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아발달놀이 측면에서는 기능, 구성, 상징, 규칙 있는 게임, 기타 놀이가 고르게 선택되었다. 대상지 내 도입할숲놀이 공간의 경우, 유아의 성별 나이별 선택결과는 유아의 전체 선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남아는 여아보다신체, 모험 등의 기능놀이공간을, 여아는 남아보다 쉼터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의 숲놀이행태에 대하여 직접 관찰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유아들이 대상지를 인지하고, 대상지 내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참여디자인 워크숍 과정과 과정별 도구들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축․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유아숲체험원 조성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신라왕경의 공간 확대와 특징

        차순철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9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Silla's royal palace centered on Wolseong and expanded to the surrounding area, and it is presumed that land development was also carried out several times. And in the process, changes were made to the interior of the urban space.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redevelopment of the area around the river and development of unannounced land were carried out. The construction of Wolseong and the creation of the Wolseongbuk Ancient Tombs appear to be related to each other, showing that it functioned as the center of Saroguk at the time. With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 the curved terrain formed between the living ruins and the ancient tombs and the development of unused land and wetlands, including the Balcheon area, as new residential land can be seen as an effort to secure insufficient spatial areas within the Silla royal palace. This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developing an area that could secure housing land that was lacking within the already completed royal palace of Silla and reorganizing it into a living space. And among these spaces of Silla's royal palace, the palace area changed from a living space to a wasteland after the founding of Goryeo and the capital was downgraded to a provincial city. As the authority buildings within the palace area were dismantled for use as lumber to repair buildings within Hwangnyongsa Temple. 신라왕경의 건설과 확장은 월성을 중심으로 주변 일대로 공간이 확대되었고, 대지조성 역시 시기를 달리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지면서 왕경 내부에 대한 공간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월성을 중심으로 하천과 주변 일대 정비와 미고지 개발을 통해 새롭게 택지를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월성 건설과 월성북고분군의 조성은 서로 연관된 모습으로 당시 사로국의 중심공간으로 기능했다. 신라왕경 내 도시 공간이 발전하자 생활유적과 고분군 사이에 형성된 곡부지형과 발천 일대를 포함한 미고지와 습지를 새롭게 택지로 개발한 모습은 신라왕경 내 부족한 공간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판단된다. 이는 이미 완성된 신라왕경 안에서 부족한 택지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을 개발하여 생활공간으로 재편성한 모습이다. 고려가 건국되고 도성이 지방 도시로 격하된 이후, 신라왕경 내 궁성영역 내 권위건축물들은 황룡사 건물을 수리하기 위한 목재로 해체된 모습이 사료에 확인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생활공간에서 황무지로 변화했다.

      • 가람시조문학관 건립의 필요성과 건축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은민균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4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9 No.2

        Garam has been appreciated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odern Sijo revival and innovation,for this reason, Garam Sijo Literary House is required to be constructrd. In this study, someCharacteristics of Garam Sijo Literary House are suggested, that is, commemorating writer,providing writing room, displaying relics, educating Sijo and taking a role of culture education. Garam Literature House is in need of being harmonized with the birthplace and Youngwhamountain, where the construction site is adjacent to. In its final analysis, this sudy propses 5Design concepts of Garam Sijo Literary House. 우리나라 대표적 현대시조작가인 가람 이병기 선생은 시조부흥운동과 혁신의 공적으로 학계에서도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에 가람의 업적을 기리며 시조문학의 중심공간 역할을 감당할 가람시조문학관의 건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람시조문학관의 특성을 작가중심, 창작공간지원, 유품 전시 및문화교육과 지역문화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문학관이 생가인 수우재와 인접하여 건축됨으로 소박한 초가의 모습이 훼손되지 않고 용화산과도 조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연구에서는 가람시조문학관 공간조성의 5가지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시조시인, 문학사가, 국어학자, 서지학자, 문화운동가로서의 가람의 생애와 시조작품을 기념하는 공간, 시조문학의 허브역할 공간, 시조문학의 정보센터 및도서관 기능의 공간, 교육 및 체험공간, 지역문화행사의 거점공간 등의 개념이다

      • KCI우수등재

        제주 가시리마을의 목축문화 기반 농촌관광 창출에 관한 연구 -융합관광의 관점에서-

        장혜원,오상훈,최병길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1

        Industry convergence is a phenomenon that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several industries over the past decades. Despite this, industry convergence has only received limite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field. Moreover, there is lack of case work concerning actual convergent industry settings. This paper explores rural tourism creation based on a stock- farming culture focusing specifically on convergence tourism. The research case is Jeju Gasiri Village which was promoted by the New Cultural Spaces Project during 2009~2011. The case sample is the Jeju Horse Park that was created by the New Cultural Spaces Project.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 deep interview were conducted during November, 2014~April, 2016. These results imply that culture based rural tourism involves industry convergence, ecotourism, and sustainable tourism.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limitations of research. 산업융합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온 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융합은 학술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주목해왔다. 더구나 실제 산업 환경에서 융합 사례를 분석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융합관광의 관점에서 문화기반 농촌관광이 창출되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2011년까지 마을 만들기 사업인 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추진한 제주 가시리마을을 사례로 하였으며, 표본은 본 사업을 통해 조성된 제주조랑말체험공원으로 하였다. 2014년 1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가시리 마을주민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문화기반 융합관광은 산업융합, 생태관광, 지속가능한 관광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