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朝 支配의 理念的 指向과 國家祭祀 運營 : -順治~乾隆時期를 중심으로

        최갑순(崔甲洵),김상범(金相範)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국가제사의 운영정황과 관련논의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淸朝의 이념적 지향과 국가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정권수립과 중국지배의 정당화문제와 관련하여 천명론과 교천의례를 검토하였다. 청조의 천명론은 초기에는 金朝와의 족적인 연계를 중시했지만, 다양한 구성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세계제국을 건설했던 大元의 천명론을 계승했다. 천명의 근거에 있어서도 種族문제보다는 도덕성을 강조했다. 입관 후 강희제는 특히 성리학적 입장에서 ‘天人感應의 內省化’를 이룩하였고, 自譴과 改革을 통해 天理에 골몰하는 도덕군주상을 제시했다. 천명론을 확산시키고 자신들의 중국지배를 정당화하기위해 청 전기의 황제들은 郊天儀禮를 적극 활용하였다. 강희제는 ‘無故不攝’의 원칙을 주장하며 재위 60년간 교천례의 실행에 모범을 보였다. 이는 향후에 祖法처럼 전승되어 옹정, 건륭시기에는 교천례의 친제율이 100%에 육박한다. 주목되는 것은 전체 郊祀가운데 교천의례의 친제율이 方澤, 太廟, 社稷보다 월등히 높다는 점인데, 이는 확대된 제국으로 성장한 청조가 祖上神의 族的 權威보다는, ‘天’이라는 좀 더 公的인 권위를 선호했음을 반영해준다. 청 전기의 황제들은 이민족 출신이라는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治統承繼를 강조하며 ‘歷代帝王祭祀’를 중시했다. 明朝와의 관계도 정복보다는 계승임을 강조했는데, 入關을 ‘除暴安民’의 義擧로 미화했다. 崇禎帝의 喪葬禮를 주도하고, 명황제릉에 대한 보호조치를 하달함으로써 士人과 백성들의 지지를 획득하려 했다. 순치제는 역대제왕묘를 건립하여 이러한 계승의지를 명조이전의 전통왕조로 확대했다. 역대제왕제사가 뚜렷한 발전을 보이는 것은 강희제시기인데, 開國君主에한정되던 崇祀 대상을 143位까지 확대했으며, 朝代를 초월한 군신관계를 강조하여, 臣權에 대한 皇權의 우월성을 강화했다. 역대제왕제사의 확장과 적극적인 운영은 前代와 비교가 불가능한데, 건륭시기에는 祀典을 전면 수정하여 제사를 더욱 확장했고, 일시적이지만 역대제왕제사를 국가제사의 최상레벨인 大祀로 승격시키기도 했다. 역대제왕제사가 ‘治統承繼’를 의미한다면, 釋奠儀禮는 유교국가를 상징하는 ‘道統’의 승계를 확인하는 의례이다. 순치제가 ‘崇儒重道’가 국시임을 선포한 이래 청전기의 황제들은 적극적으로 유교이념의 실천자를 자임했다. 강희제는 北京 文廟에서 親祭를 거행하였고, 역대제왕 가운데 처음으로 曲阜 孔廟에서 三?九叩頭의 예를 행했다. 이러한 노력은 옹정, 건륭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또한 ‘經筵日講’을 통해 倫常의 학습과 실천에도 모범을 보였다. 강희제는 心法이 治法의 근본이라며 朱子가 修身의 요체로 여긴 ‘居敬’을 중시했는데, 학인군주의 모습으로 이민족군주에 대한 한인관료들의 거부감을 불식시켰다. ‘傳心殿’의 설치도 주목되는데,治統을 상징하는 역대 성왕들과 道統을 상징하는 성현들을 한 건물에서 숭배함으로써, 황제가 道統과 治統이 합류되는 중심선에 위치하게 되었다. 적어도 상징적으로는 황제가 제국의 정치권력 뿐 아니라 사상 · 문화 권력의 핵심적 위상을 점하게 된 것이다. 옹정제시기에는 공자탄신일의 公休가 확정되었고, 文廟내부제사의 조정을 통해 중앙정부에 대한 구심력을 강화했다. 무려 9차례에 걸쳐 곡부공묘를 방문했던 乾隆帝는 역대제왕묘와 마찬가지로 孔廟도 황권을 상징하는 황색 유리 기와로 교체하며 황실의 지지와 사상적 지향성을 표출했다. 이처럼 석전의례에 기울인 관심은 공자와 문묘의 儀禮的 위상을 격하시켜 황권의 상대적인 提高를 시도한 明代 孔廟改革과 뚜렷이 대조된다. 청조는 내부적으로는 만주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기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제국차원에서는 확대된 제국의 위상에 걸맞게 전통국가의례를 적극 활용하였다. 本?文?合???代前期?家祭祀的?用情?及其相???,考察了?朝的?治思想及其?家特性。首先,??政?合法化的??工具'天命?'而言,?代初期的天命???重??金朝的?族?系,而?着?家的成?,?了?得多?族成?的支持,?承了曾?建?世界帝?的大元之??,?在天命?的理?上,替?族?系,?始注重'道德'??。入主中原后,康熙?理?的角度,把天人感???向化,?通?自譴及改革,提?出追求天理的道德君主面貌。?代前期的皇帝,?了?散天命?,???用了郊天禮。康熙提倡郊天禮‘無故不攝’的原?,在位六十年?,?心主持郊天禮,成?后世的典范。直至雍正,乾隆?期,郊天?的?祭率接近100%.?得注目的是,郊天?的?祭率在整?郊祀?系中最高,??超?太廟?,方澤?,社稷?。?反映着已?成??大的帝?,?朝政府比祖先神的?族??,更重?昊天上帝所具的公式的,?放的??。?政府,?了??異族出身的缺陷,特?强?'治統?承',而重?'歷代帝王祭祀'。入?初期,?政府??明?之?的?史?承??,?系重大。先把入主中原的征服行?美化成‘除暴安民’的義擧,而后主??行崇禎帝的喪葬禮,?下令?施明皇帝陵的保?措施,?得士人及基?人民的支持。順治建立歷代帝王?,??史?承的意志?大到明朝以前的傳統王朝。康熙年?,在歷代帝王祭祀制度上,?生了明? 的?化,限制于??君主的崇祀范?,?大到143位。康熙皇帝?提及超越朝代的君臣?系,加强皇??臣?的?越性。如此,?代前期的皇帝???用'歷代帝王祭祀,?前代无法比?。乾隆?期,曾把相?祀典全面修?,帝王祭祀的范?更??大。?得注意的是,一?把歷代帝王祭祀,提升?國家祭祀?中最高?次的‘大祀’。如果?代帝王祭祀象征着‘治統?承’,?奠?就是象征着?承儒??家‘道統’的??。順治年?,宣布‘崇儒重道’的政?以?,?代前期的皇帝,??自以儒?思想的追踪者?任。康熙在北京文?,?自?行?奠?。,??曲阜孔廟?,先?的神位面前,初次?行'三?九叩??'表示无限的尊敬。?些努力,成?祖法,直接影?于雍正,乾隆皇帝。而且,康熙每日?行‘經筵日講’,自以??而??倫常?理的模范?任。康熙??,心法就是治法之本,而??重?朱子所提的修身要?‘居敬’。康熙一??的相?活?中,‘傳心殿’的建立,?得??。‘傳心殿是’把象征'治統'的?代?王?象征'道?'意?的?代??,在同一?里聚在一起,合同祭祀的地方。在此?里,皇帝能站在治統?道統合流的位置,主持典?。至少在象征意?上,?示出皇帝不?是帝?政治?力的核心,也是思想及文化?力的核心。此外,雍正?定孔?日的公休,??整一些文廟的附?祭祀,加强?中央政府的向心力量。多?九次,??曲阜孔?的乾隆皇帝,如?代帝王?一般,?曲阜孔?覆盖着?色琉璃瓦,表示皇室的支持。?代前期的皇帝??奠?的?心及支持?曾?把推行孔?改革,降下孔子及文廟在??上的位置,相???强化皇?的明朝,成?明?

      • KCI등재

        고구려 국가제사(國家祭祀) 연구의 경향 및 쟁점 -한국학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강진원 ( Kang Jin-w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4

        고구려의 대표적인 國家祭祀로는 祭天大會 東盟, 始祖廟 제사, 宗廟·社稷 제사, 墓祭 등이 있다. 제천대회는 현재 연구 성과가 가장 많이 축적되었는데, 관련 기록이 비교적 풍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입장이 정리되지 못한 채 논의가 여러 방면으로 확산되었고, 특정 시기에 관심이 두어진 경향이 있다. 시조묘 제사 기사는 『三國史記』 고구려 제사 기록의 대부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전 시기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 가치가 상당하지만, 본격적인 연구 성과는 드문 편이다. 종묘와 사직은 관련 기록이 단편적이다. 그래서 종묘·사직 제사에 대해서는 일부 사항에 대한 입장 표명이 주를 이루었다. 묘제는 관련 사료가 매우 적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는데, 집안고구려비의 발견 이후 점차 논의가 축적되고 있다. 제장이 무덤 부근이기 때문에, 고고학적 성과를 비롯한 다양한 측면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國家祭祀는 국가권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고구려 국가제사연구는 고구려사의 실상을 복원하는 데 있어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앞으로도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가 다채롭고 깊이 있게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The typical examples of the rite of the state in Goguryeo include the grand harvest ritual(祭天大會), the ritual to progenitor`s shrine(始祖廟), the rite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宗廟) and the earth-god`s altar(社稷), and the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墓祭). The studies on the grand harvest ritual have accomplished many achievements, because many records are still remaining. However, they have limits in that there is no consensus and that their scope is limited only to a particular period. The records about the ritual to progenitor`s shrine not only comprise a large percentage of the Goguryeo`s ritual record in Samguk Sagi(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but they were also produced throughout the period of Goguryeo dynasty. Therefore, they have a value of studying. Yet they were hardly studied. The rite of the royal ancestor`s shrine and the earth-god`s altar has only fragmentary records, and therefore the scholars who studied them expressed their opinions on some issues only. The studies on the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have been hardly done, because we have few records relating to them. But they have got more attention after the discovery of Jian Goguryeo Bi. Because the rite was practiced near tombs, we have to consider multiple aspects including archaeological researches. Considering that the national rite was closely connected with state power, the studies on the national rite in Goguryeo dynasty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Goguryeo`s history. I hope that we add diversity and depth to our studies on the national state in Goguryeo dynasty.

      • KCI등재

        전한(前漢) 말(末) 국가제사(國家祭祀)의 중앙집중(中央集中) 편제(編制)

        김용찬 수선사학회 2018 史林 Vol.0 No.66

        以西漢末平帝時期爲准的《漢書ㆍ地理志》里的各個地域擁有些祭祀設施,這些跟從成帝時期開始登場的郊祀應有密切關系。這些是國家權力從秦到西漢末期抓住的全國的祭祀設施中特別被選定的。位置上分開了三個部分。 第一,位于邊境的,它們與邊境外邊的五族――西南夷、越、羗、匈奴和朝鮮等五個異民族――有關系。它們一方面包括‘天下’,另一方面代表五族。五族可以與南郊中營的五星相比。 第二,在邊境內,有五岳四渎。除了淮渎淮水以外,別的都在《漢書ㆍ地理志》內。這似乎是五岳比四渎更優先考慮的,實際上南郊里,五岳在中營,四渎跟四海、名山和大川一起在外營。五岳代表中央和東、西、南、北的‘天下’。 邊境的五族和這里邊的五岳跟南郊中營的五星和五官相比。五族和五星是威脅天地的秩序的,五岳和五官是代表天地的秩序。 第三,幾乎所有的祭祀設施都集中在司隸和齊地域,除了雍――秦以來的祭祀中心――以外,它們的比例相當。 然而,齊地域的一些祭祀設施被復制在司隸,爲了消除齊地域的强大的神力,幷將其力量集中在漢皇帝常住的司隸。齊地域的祭祀設施的中心是齊的八神,其中之核心天主天齊被搬到司隸,幷被降級爲天齊公。結果齊地域的完備的祭祀體制被破碎了。還一些齊地域的祭祀設施在司隸里再現的大部分集中到谷口。如果茂陵視爲天極的話,谷口的位置屬于齊的分野。因此,齊地域的祭祀設施將集中在谷口。此外,茂陵孝武廟、谷口仙人ㆍ天齊公ㆍ五帝、云陽甘泉泰畤的結構導致齊地域的臨淄天齊、朱虛五帝、不其仙人ㆍ明堂ㆍ太一再現的,這個結構是把齊地域固有的祭祀中心移到了司隸的。 司隸本身也一樣。雍是從秦把一百多祭祀設施被集中到,其中心是四畤――爲了各個方位的上帝――,高祖把四畤擴大到五畤。然后,在《漢書ㆍ地理志》的階段,雍的祭祀設施的數量增加到三百三個。此外,雍和周圍的黃帝、黃帝子(玄嚣ㆍ昌意)、黃帝孫(帝颛顼)此祭祀施設布置已成立秦的正統性。漢帝國繼承專注祭祀施設在雍,幷能勾負責秦區。 卽漢帝國把太一、天齊和五帝從齊地域集中到云陽,把五帝和黃帝相關神集中到雍,以漢皇帝親祭爲展示了“天下”的統治地位和絶對性。 這個復雜的祭祀制度雙重體系自成帝時期以來通過郊祀重建到漢皇帝中心的一元的國家祭祀。這個過程中,太一― ―齊地域的最高天神― ―被完全排除,天齊被降級爲天齊公,成爲地方祭祀的對象。五畤― ―秦地域的最高天神― ―也白改造成地方祭祀設施。郊祀登場以前把各個地域的所有的神集中到司隸,司隸里的祭祀設施逐漸增加了,漢帝國的支配力越來越擴大了。郊祀登場以后把集中到司隸的神被統一爲郊祀,‘天下’被系統化爲五岳、四渎、名山和大川。現在,“天下”幷不是各個列國的簡單集合,而是被重新組織爲一個集中的“天下”,其中天上的秩序是由漢皇帝爲中心實施的。象征它是郊祀。

      • KCI등재

        조상제사와 상황화, 세계관, 그리고 성육신 선교

        목만수(Man Soo Mok)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한국 개신교에서는 교단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제사가 큰 어려움 없이 추도예배로 정착된 것 같다. 그러나 제사문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 모 교회 주일예배를 참석하는 중 대표기도 하는 분이 추석을 맞이하여 고향을 찾는 성도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예식을 참여함으로’ 믿음을 흐리게 하는 일이 없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바람직하지 못한 예식’이라 함은 물론 제사를 칭하는 듯하다. 조상제사는 신자의 가정에서 추도예배로 대치하기 때문에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결혼하여 불신자 가정에서 생활하든지 혹은 불신자 가정에서 예수를 믿게 되어 그 집안에 첫 신자가 되었을 때 제사 문제로 인한 갈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복음이 전파된 후 한국 천주교는 정부의 극한 박해를 거쳐 조상제사를 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제사문제를 우상숭배가 아닌, 조상에 대한 공경인 제5계명으로 이해하여 더 이상 교인들이 조상제사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 결과는 나름대로 조상제사에 대한 비판적 상황화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는 복음이 전파된지 약 1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조상제사에 대한 일치된 해석이 없어 신자들은 불신자 가정에서 행해지는 조상제사 의식 앞에서 어떻게 처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절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세계관(worldview)이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이다. 어떤 세계관을 가지고 조상제사를 이해하느냐에 따라 조상제사에 대한 태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조상제사의 의미는 신학적인 조명과 함께 그 문화 안에서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식, 가치, 의식구조, 평가 등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결정된다. 그 결정된 조상제사의 의미는 내부자 스스로의 상황화 과정을 통하여 현지문화에 정착이 되고, 마지막으로 그 상황화가 삶의 현장으로 이어질 때 가장 바람직한 성육신적인 선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소고는 신학적 접근으로는 조상제사와 상황화를, 문화적인 접근으로는 조상제사와 세계관을, 그리고 끝으로 삶의 현장으로 조상제사와 성육신에 대해 기술하려고 한다. 이들이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닌, 상호간에 연관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본 소고로 불신자 가정에서 갈등하는 신자들이 조상제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넓어지고 타문화 사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조그마한 선교적인 교훈이 되기를 희망한다. Although there are little variance among denominations in Korean evangelical churches, the memorial rite to ancestor has been changed into Ecclesial service without a gross hardship. However, the problem of ancestor worship has not been solved yet. During a Sunday worship service, one member prayed for those who are heading back to their hometown for the holiday. That member prayed that the people would not lose their faith by ‘practicing undesirable ritual.’ In other words, one prayed that the people of faith will not be part of ancestral worship. Ancestor worship has no longer been much of a problem for evangelical Christians, because it has been replaced by church memorial service. In contrast, Christians who have been married with non-Christians or those who could become the first believer among unbelievers’ household, conflict caused by the ancestor worship seem to be unavoidable. After the gospel had been preach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faced severe intimidation by the government and reinterpreted the ancestral sacrifices theologically. For the Catholic Church, ancestor sacrifices becomes understood as the fifth commandment as reverence of the ancestors, her followers no longer to worry about ancestor sacrifices. Korean Catholic Church seems to have achieved a critical contextualization with her own effort. However, Korean evangelical churches after 130 years, do not have the agreement on ancestral sacrifices even until present day. Believers who live at unbelievers’ family house are worried how to conduct themselves in front of ancestral rituals performed, specially whether they should bow or not. Worldview is a viewpoint overlooking the world. Depending how one perceives worldview, their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ancestral sacrifices differs. The most desirable incarnational mission is formed when the evaluation of a religious rite of the culture and contextualization happen based on theological illumination as well as on the worldview.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describe ancestor worship and contextualization by theological approach, ancestor worship and worldview by cultural approach. Last of all, ancestor worship and incarnation by the approach of actual life. It should be come across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not separate from that of another. The understanding of ancestor worship could give believers at unbelievers’ home a broader perspective about its issue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ross-cultural ministry may be able to have more insight about its matter.

      • KCI등재

        제사 설화의 전승의식과 가족공동체의 문화적 의미

        류명옥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0

        The legend of the rite is passed down around the ritual for ancestors. One type of ritual tale that is handed down is ‘a story that the spirit causes due to lack of sincerity.’ The folktale of the rite, which is handed down in the oral tale, tells little about the formalities of the rite, and mostly about the sincerity or mindset of the rite. The meaning of devotion, which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folklore of ancestral rites, is mainly to require the preparation of food for ancestral rites. nyone can agree that they should pay close attention when holding a memorial service. However, behind the preceptual theme of preparation of sacrificial food with due care is limited to women who are daughters-in-law. For women who had to pay close attention, the ritual of sacrificial rites had an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and the meaning of devotion had to be rigid. In the folktale of the rite, sincerity is taken as the meaning of labor by women. However, the tales of ancestral rites are still handed down today, and some are handed d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nging times. According to the folktale of the current rite, women'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labor continues. However, problems that were limited to women appear to change in two directions. First of all, women raised the issue of the need for ancestral rites, leading to marital conflict, which changed their view from women to marital problems. And the folktale of the rite changes into a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The folktales criticizes men who are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ritual due to their busy lives or forget the date of the rite. Men increasingly don't value ancestral rites and women fill their vacancies. Women prepare food for ancestral rites that men cannot participate in and take the initiative in holding rituals. The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s of ancestral rites, which were either the eldest or male-centered, weakened and the role of women expanded. As the view of generational conflict changes, men become less interested, and women perform ancestral rites with previous responsibilities. In this era of weakening intergenerational ties, the tales of ancestral rites seem unlikely to be handed down anymore, but they are still changing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how the culture of paternal ancestral rites is changing in the present,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how the center of modern families are changing. 제사 설화는 조상에 대한 의례인 제사를 지내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구비 전승되는 제사 설화의 유형으로 ‘정성이 부족해서 혼령이 해 끼치는 이야기’가 있다. 구비 설화에 전승되는 제사 설화는 제사의 격식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제사를 지내는 정성 또는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처럼 제사 설화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정성의 의미를 살펴보면 주로 제사 음식을 깨끗하게 준비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제사를 지낼 때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다. 그러나 제사를 정성껏 준비해야 한다는 교훈적인 주제의 이면에는 제사 음식을 정성껏 준비해야 하는 대상이 며느리인 여성으로 한정되어 나타난다. 정성을 기울여야 하는 여성에게 제사라는 의례는 과도한 책임감과 부담감을 가지게 하여, 정성이라는 의미가 경직될 수밖에 없다. 제사 설화에서 정성은 여성들에게 노동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하지만 제사 설화는 현재에도 여전히 구비 전승되고 있으며 변하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전승되는 설화들도 있다. 금기시되어 온 제사 음식을 올리는 설화나 제사 지내는 시간을 현대에 맞게 바꾸는 설화를 통해서 제사의 의미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전승되는 제사 설화를 보면 여성이 제사의 불필요함을 남편에게 토로하면서 과거에는 고부 사이에 중요한 문제였던 것이 부부의 갈등으로 관점이 변화되었다. 그리고 제사 설화는 세대 간의 갈등으로 변화되어 나타난다. 설화에서 바쁜 생활로 제사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제사 날짜를 까먹는 남성들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다. 남성들은 점점 제사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며 남성들의 빈자리를 여성들이 채우고 있다. 남성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제사에 여성이 음식을 준비하고 제사를 주도적으로 지낸다. 장자 또는 남성 중심적이었던 제사의 세대 간의 연대는 약화 되고 여성들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세대 갈등의 관점으로 변화되면서 남성들은 관심이 없어지고, 여성들은 이전의 책임감으로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처럼 세대 간의 유대관계가 돈독하지 못한 지금 시대에 제사 설화는 더 이상 전승되지 않을 것 같지만 여전히 제사 설화는 변하는 시대에 맞추어 변화되고 있다. 부계중심의 제사 문화가 현재에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제사 설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러한 모습은 현대 가족의 구심점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를 가늠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조선전기의 제사 담론―人情과 交感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숙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In the early Joseon, discourse on ancestral rites were active. It contains the reform by Jujagarai (朱子家禮) and the resistance of conventional rituals to it. Joseon which used the Neo-Confucian worldview as a political ideology was the first to promote Confucianization of everyday rituals while excluding conventional rituals. This article attempted to reveal its nature and meaning by paying attention to conventional rituals that resisted Jujagarai. While a conventional rituals considered it important to serve the deceased and interact with the deceased, but Jujagarai differ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aimed to organize paternal relatives through common ancestors. This articl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ritual Gobihapseol [考妣合設] and a ritual to remember the birthday of the deceased[生辰祭]. Through Mukje-ilgi (默齋日記) and Byeongja-ilgi (丙子日記), I looked at the feelings of rituals of people in reality. Compared to Jujagarai it was revealed that their rituals were less normative, and the way they remembered the deceased was specific and emotional. 15세기에서 17세기 전반에 이르는, 조선전기는 제사 관련 담론이 활발했던 시기다. 조선 건국의 주체들은 신유학의 정치이념에 의해 가장 먼저 제례의 유교화를 추진하는데, 속례(俗禮)의 많은 부분과 갈등을 일으켜 개혁이 원활하지는 못했다. 이 과정에서 제사의 본질적 의미나 제사의 권력화 문제 등의 다층적인 제사 담론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가례 와는 다른, 속례의 제사 관행에 주목하여 조선전기 제사 담론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속례의 윤회봉사는 가례 의 가묘(家廟)와는 달리 제사공간과 봉사자를 특정하지 않았다. 의례 행위에는 의무와 권리가 함께 주어진다고 할 때, 윤회봉사는 그것을 혈연 근속들이 나누어 갖는 의미가 있다. 또 가례 의 제사가 공동의 조상을 통한 부계친의 조직화를 지향한다면, 속례의 제사는 봉양과 교감 등 망자(亡者)를 향한 의미가 크다. 조선전기 예학자들에 의해 비례(非禮)로 규정된 속례의 고비합설(考妣合設)과 생신제(生辰祭)는 인정과 교감을 추구한 조선전기 제례 정신을 대표한다고 보았다. 자연 감정에 충실한 속례의 제사를 일정부분 인정한 것은 속례의 저항이 컸기 때문인데, 이것이 곧 조선전기 제사 담론의 특징이기도 하다. 조선전기 제사 설행의 기록들은 억눌려 있던 감정들이 제사를 매개로 유출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제사에 임하는 감정은 망자와의 관계나 망자에 대한 기억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제사 설행자의 성별에 따라 감정의 차이가 컸다. 가례 와 비교할 때, 조선전기 사람들의 제사 의식은 덜 추상적이고 덜 규범적이었으며 망자(亡者)를 기억하는 방식이 구체적이고 정감적이었다. 제사가 고도의 감정을 요구하는 의례인 점에 주목하여 조선전기 제사 관행을 의미화했다.

      • 설화를 통해 본 조상제사의 인식 체계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계보연구회 2013 한국계보연구 Vol.4 No.-

        ‘제사설화’란 조상제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이야기를 일컫는다. 대개 제삿날에 조상의 혼령이 실제로 방문한다는 내용, 자손이 아닌 사람이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혹은 조상이 아닌 사람의 제사를 지내준 내용), 정성껏 차린 제사상을 받은 조상이 자손들에게 복(福)을 내렸다는 내용(혹은 성의 없이 제사를 지낸 탓으로 화를 당한 내용), 제물의 장만과 진설에 관한 내용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유교식 제사 규범 에서 보면 조상 제사의 수행 목적, 조상제사의 주제자(主祭者), 조상제사의 격식 등에 해당하는데, 흥미로운 점은 설화에 나타난 내용들은 유교식 제사 이념과는 또 다른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조상제사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예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행해 온 탓에 실제 현장에서 제사를 수행하고 있는 전승 담당자들의 문화적 인식에는 거의 주목하지 못해 왔다. 즉, 조상제사의 규범서로 여겨지고 있는 『주자가례』를 토대로 제례의 구조와 성격을 비롯해 제례 절차와 제물의 진설 방식 등에 관한 연구가 보편적이었다. 반면, 구비설화에 나타난 제례 문화는 절차와 형식 등과 같이 외형적 규범이 아니라 주제자들의 내면적 의식 세계를 함축하고 있는데, 이는 곧 조상제사를 둘러싼 우리 고유의 정서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설화에 나타난 제례문화 중에서도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조상신의 존재와 제사 방식을 중심으로 일반 서민들의 제사 인식 체계를 살펴보았다. 설화에 나타난 제사 양상은 기존의 제사 규범과는 명확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사설화에는 강신례와 초헌례 등과 같은 제사 절차를 비롯하여 도적과 탕(湯) 등의 제물, 조율이시(棗栗梨柹)와 좌포우혜 (左脯右醯) 등의 진설 방식에 대한 언급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를 기존의 규범적 측면에서 보면 원칙과 질서가 없는 제사 관행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그러는 가운데 한 가지 핵심적 내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것은 바로 ‘정성(精誠)’이다. 즉, 물 한 그릇, 죽 한 사발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 더라도 마음에서 우러나는 정성이 깃들어 있으면 조상이 응감(應感)을 하고, 반면에 격식을 갖춘 제물을 차리고 엄격한 절차를 준수하더라도 정성이 담겨 있지 않으면 조상이 외면한다는 이치다. 아울러 조상이 흡족하게 응감을 하면 복(福)이 주어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징벌[禍]이 내려진 다는 결과를 설정해 둠으로써 정성의 중요성을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이로 볼 때 제사설화의 키워드는 정성ㆍ응감ㆍ화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이들 요소가 상호의존적이라는 사실이다. 즉, 조상의 응감은 정성을 전제로 행해지고, 화복의 유형은 조상의 응감 여부(흡족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응감이나 화복 모두 정성의 여하에 의해 파생되는 결과로, 궁극적으로는 ‘정성’이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놓인다는 사실이다. 사실 제례는 사람들이 정해 놓은 사회문화적 규범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에 구애되어 정작 헤아려야 할 조상의 혼령을 불안하게 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오직 예(禮)를 수행하기 위한 외형적 예에 불과할 뿐, 조상을 섬기는 예는 아니다. 이를 테면〈설화 5〉에서 황 진사는 누구보다 예에 통달한 사람이지만, 이렇다 할 격식 없이 그야말로 두서없이 제사를 거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예법에 맞게 제사를 지내면 미천한 출신인 아버지가 불편한 나 머지 흠향을 제대로 못할 것을 우려해서이다. 아울러 이는, 예의 기본 정 신이란 격식과 규범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는 진정성, 곧 ‘정성’이라는 점을 일깨워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ancestral rite folk tale refers to a story related to the commemoration of the ancestors. It consists mainly of stories focused on the spirit of the ancestors who are actually visiting during the ancestral rite day, the ancestral rites performed by the persons who are not the relevant descendants, the ancestral rites performed for the persons who are not the relevant ancestors, the ancestors who received elaborate ancestral rite meals and blessed the descendants, the descendants who performed insincere ancestral rites and suffered misfortune, and prepa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ancestral rites table. These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performing ancestral rites, the chief of ancestral rites, and the formality of ancestral rites within the Confucian ancestral rite norms. What is interesting, though, is that the contents of the ancestral rite folk tales reveal another aspec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ideology of ancestral rites. Meanwhile, most of the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on ancestral rite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manners, but have barely paid attention to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inheritors who performed the ancestral rites on the actual location. In other word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have been conducted were focused on the ancestral rite procedures and arrangement of food on the ancestral rite table, including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ral rites, based on the book of ancestral rite norms, Chu Hsi Family Formalities. Unlike this, the ancestral rite cultures represented in the oral folk tales are not external norms such as procedures and forms but connote internal consciousness world, which also represents our inherent sentiments surrounding ancestral rites. Accordingly, the ancestral rite awareness of ordinary people was examined in this thesis,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ancestral spirits and various ancestral rite procedures, which are the key elements of ancestral rite cultures that were represented in the folk tales. The ancestral rite aspects represented in the folk tales reveal clear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ancestral rite norms. In the ancestral rite folk tales, for instance, there is no mention of ancestral rite procedures such as spiritualistic ceremony, first cup of wine offering ceremony, ancestral rite offerings such as spiritualistic ceremony, first cup of wine offering ceremony, ancestral rite offerings such as dojeok and soup, and ways of arranging ancestral rite offerings such as arrangement of fruits, and the beef jerky on the left and sikhye on the right on the ancestral rite table. This can be regarded as an ancestral rite practice without principles and order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norms; however, one important factor appears and it is the ‘devotion’. In other words, the logic is that the ancestors appreciate an ancestral rite that is performed with heartfelt devotion, even though the offerings consisted of only one glass of water and one bowl of rice porridge, but turn away from an ancestral rite that is performed with all the formal offerings and strict procedures without any heartfelt devotion. Furthermore, it maximizes the importance of devotion by setting a didactic morality that if the ancestors are satisfied with the offerings, blessing will be rewarded, while punishment will be inflicted if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offerings. '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keywords of the ancestral rite folk tales are devotion, appreciation, fortune, and misfortun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se elements are interdependent. In other words, the ancestors appreciation depends on devotion, while the types of fortune and misfortune depend on the ancestors appreciation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Noteworthy is the fact that appreciation and fortune and misfortune a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devotion, and thus ‘devotion’ is placed in the most central position. In fact, ancestral rite procedures are nothing but social and cultural norms set up by people. Accordingly, if the insistence on the formalities makes the spirit of ancestors uneasy, it is only external manners to perform manners, and not to serve ancestors. For example, Hwangjinsa in Tale 5 is a person who is well -versed in manners more than anyone else, but he performs the an cestral rites without formalities and without method because he fears that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s in accordance with established manners will result in making his father, who is of obscure birth, feel too uncomfortable to eat the ancestral rite offerings. This also reminds us of the fact that the basic spirit of manners is not formalities and norms but heartfelt sincerity, that is, ‘devotion’.

      • KCI등재

        재일 교포 사회에서의 ‘제사’의 변용과 계승문제 고찰

        이유숙(李裕淑)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7 No.-

        재일 코리안 사회에서도 1세가 퇴장해 가고 있고, ‘조국’과의 관계도 크게 변모하고 있다. 그들이 일본에 정착한 것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화는 당연히 재일 코리안의 유교적 사생관을 기초로 행해지고 있는 조상숭배 제사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사 의례에 참여하지 못하지만 제수를 준비하고 사실상 제사를 관리하고 있는 여성들이 제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재일 코리안들이 일본 사회의 불교적 장례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고 고찰했다. 일본사회에 적응하고 잠재된 재일 코리안은 이전과 같이 집주하지 않고, 함께 일을 하지 않게 된 것, 일본 사회에서 일정한 직업을 얻게 된 것, 일본문화의 불교적 장례식과 제사나 성묘에 익숙한 것, 재일 코리안 여성들도 배우게 된 것과 같은 사회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제사의 존재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여성들이 소리를 내고 제사를 문화변용 시키고, 제사 계승에 대해서까지 결정하는 시대가 되었다. 여기에서 소개한 여성들은 제사를 아들에게 지내게 하는 것에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여성들이 재일 코리안의 정체성이 더 복잡하고 다층화하고 있는 시대의 흐름을 알아차리고 주자가례에 입각한 제사가 시대에 맞지 않다는 점을 느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Most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who has immigrated to Japan has been passing awa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country" Korea has undergone a big change. It is natural that the Korean people who were born and brought up in Japan have fitted the Japanese society. This has also been bringing changes in the worship of ancestors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s of life and death of Confucianism in Korean society in Japan. In this paper, I interviewed some Zainichi-women(the Korean women who were born in Japan): they have to prepare food for ancestors worship rites and almost everything else though they cannot attend their rites. Hence, key interview questions: What do these women think of this fact? And what do they think about Buddhism worship in Japan? Zainichi-Koreans used to live conspicuously and live and work together in certain places. As they got regular jobs in the Japanese society, they were able to choose living independently and they were familiar to the funerals of the Buddhism in Japanese culture, they came to think about the value of traditional rites. They decided to transform ritual culture and also to decide whether to inherit these rituals or not. The women who were interviewed are wondering whether to continue the rites to their sons. As ethnic identities of Zainiti-Koreans have been more and more diversified, they feel that the religious services based on Confucianism does not fit the times today.

      • KCI등재

        중국근대도시에서 농촌전통제사 복원의 목적과 효과

        전중일성 ( Tanaka Issei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8 No.-

        1 농촌의 제사 관념: 중국 농촌제사의 관념은 춘절활동들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죽고 다시 부활한다``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 겨울은 냉랭한 한기와 충만한 음기로 촌민들의 생활을 압박해온다. 농사를 짓고, 끼니를 연명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자녀들을 양육할 수 없게 되어, 집단의 생명은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이때, 촌민들은 제사를 지내고, 북을 치고 춤을 추어, 땅 속에서 잠자고 있는 봄을 큰 소리로 깨운다. 이는 양기를 마을로 불러들여 농사를 지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집단생명을 유지하지 못한 옛 세대는 퇴장하고, 집단생명력을 계승한 젊은 세대가 등장한다. 쇠락한 집단의 생명력은 봄철의 제사를 통해 부활한다. 이것이 곧 원시 농업 사회에서 거행되던 춘절과 원소절의 ``죽고 다시 부활하는`` 의식이다. 이 단계의 사회 속에서 이런 종류의 제사는 집단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코 없어서는 안 될 생산활동 가운데 하나이다. 2 지방성 시장의 제사 관념: 지방 시장에서도 매 해 춘절과 원소절에 제사활동이 있었다. 시장 근교의 농민들은 시장 상인들의 초청을 받아, 음악과 춤 등 곡예를 준비해 와서, 시장 한 가운데서 함께 공연한다. 이를 통해 고객을 모으고, 상업을 확장하였다. 여기서 시장 상인들의 목적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바로 그들이 이런 제사활동을 통해 쇠락해 가는 시장 상업을 부흥시키고자 한 것이다. 상업에서는 봄이라는 계절적인 조건이 필요하진 않지만, 상인들도 여전히 ``죽고 다시 부활하는`` 생각을 이용해 자기 살길을 도모한 것이다. 3 지방정치도시의 제사 관념: 주위에 농촌이 있는 현성(縣城)에서는 매 해 춘절이 되면, 제사활동을 하였는데, 이를 "분춘(扮春)"이라 한다. 근교의 농촌사람들은 사자춤 부대, 용춤 부대, 북춤 부대, 고각(高脚, 높은 장대타기)부대 등의 한무리를 이루고, 또는 어류, 조개류, 방게, 혹은 작은 배 등으로 분장하고, 줄을 지어 현성으로 들어와 각 거리를 돌아다니며 공연하는데, 광장에서는 ``어룡만연(魚龍蔓延)`` 의 춤을 한바탕 추기도 한다. 여기에는 현성 관료들의 의도가 숨겨져 있는데, 그들은 이런 제사활동을 이용해 쇠락해 가는 정치력을 회복하고자 한 것이다. 여전히 ``죽고 다시 부활하는`` 농촌제사 관념에 기대어 기사회생을 도모한 것이다. 4 중앙정부의 제사 관념 최근, UN은 전세계를 향해 전통 무형문화재를 보호하도록 호소하였다. 중국정부도 이에 호응하여 농촌제사문화를 ``문화유산``으로 추천하였다. 모든 정치는 시간이 지나면 그 통치력이 쇠락해지는 경향을 피하기 어렵다. 중국정부가 현재 취하고 있는 ``문화유산``정책의 배후에는 ``문화유산``의 명의를 빌려, 농촌의 ``죽고 다시 부활하는`` 농촌세시제사를 이용해 국위를 떨치고, 쇠락해가는 정치력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가 숨어 있다. 결론하자면, 공업과 상업이 고도로 발달한 근대 도시에서도 여전히 원시농업사회의 ``죽고 다시 부활하는`` 제사 관념이 계승되어오고 있다. 공업사회에 진입하여 ``죽고 다시 부활하는`` 제사는 이미 그 생산 활동으로서의 기능이 사라졌으므로 소멸해야 마땅하다. 그러나 그 제사 관념은 여전히 도시 제사 가운데 잠재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의 추측은 인류의 집단성 가운데 ``죽고 다시 부활하는`` 주술적 마력의 기억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 연유가 아닐까 한다. 1. Farm Villages and the Attitude toward Festivals: The fundamental, underlying view of festivals in China is reflected in the ceremonies that take place at Chinese New Year`s, the beginning of the lunar-calendar spring. The ceremonies are expressive of "death and renewal." As winter turns oppressively cold, they in 陰 ("female, dark, passive") principle increases, reaching its full. Tilling the soil becomes impossible, food becomes scarce, and child-bearing becomes more difficult. The community`s survival enters a dangerous period. Peasants confront the threat by performing festival ceremonies, sounding gongs, and performing dances, all in order to awaken a slumbering spring and summon warm weather to the village, and thereby bring about conditions for ploughing. Those village elders whose responsibility for the life of the community has been diminishing, retire; younger members of the community take center stage and carry on responsibility for the community`s existence. It is through these spring-festival ceremonies - primitive farm-society ones of "death and renewal" that take place at the lunar new year (chunjie春節) and fifteen days later on the first full moon of the new year (yuanxiao元宵) -that the community`s weakened life-force is revitalized. For society at this time, such ceremonies promoting agricultural activity are indispensible to maintaining the community`s very life. 2. Regional Market places and the Attitude toward Festivals At regional marketplaces as well, festivals take place on the lunar new year and on the first full moon. At the request of market merchants, villagers file by in a parade that is replete with music and dance from village ceremonies. Such events are promoted by merchants as a way to inject new life into flagging commerce. In other words, even though such ceremonies are not as essential for commerce as is the advent of spring for agriculture, merchants appropriate the spring ceremonies of "death and renewal," long sustained by agr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revive business. 3. Regional Government and the Attitude toward Festivals: The same occurs with prefectural and provincial officials in c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lunar new year, the festival ceremony known as "dressing up for spring" (banchun扮春) is carried out. Villagers from the area form groups, whether of lion or dragon dancers, mixed-sex dance-troupes sounding waist-drums, long-legged stilt-walkers, or groups simulating water creatures such as fish or crabs, as well as boats. Entering the city, they assemble in the square and carry out a group performance that is called "dance of fish and dragons that snake along" (yulongmanyanwu魚龍蔓延舞). The underlying intent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s is to revive weakened political strength via such New Year-festival ceremonies. In other words, town officials as well have appropriated primitive agriculture`s "death and renewal" ceremonies. 4. Central Government and the Attitude toward Festivals: In recent years, the United Nations has encouraged governments to preserve their intangible, non-material culture as part of its "cultural heritage" campaign. In response to this, the Chinese government has presented the country`s farm-village festivals as its "cultural heritage." But since governments, too, weaken over time, arguably one facet of the current advocacy of "cultural heritage" is the use of farm-village ceremonies by the Chinese state in the attempt to breathe new life into declining political power. Put briefly, in modern city life where commerce, manufacturing, and urban culture have made considerable advances, the attitude toward festivals remains largely intact, inherited from an agricultural society that dates from primitive times. In industrial societies, New Year-festival ceremonies may have lost theft significance in terms of economic production; but, that they are carried out in so many urban areas, is owing to the fact that the memory of their magical authority has not died out from human collective mentality

      • KCI등재

        삼척지역의 제사 모셔가기 고찰

        김태수 ( Tae Soo K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제사 모셔가기``란 기존의 ``제사 분할``과 같은 것으로, 맏아들 혼자서 제사를 전담하는 일반적인 제사문화와는 달리 형제들이 제사를 나누어서 지내는 것을 말한다. 제사 모셔가기에 관하여 그동안 인류학자와 민속학자들이 제주도와 전남, 경남, 경북, 강원도의 일부지역에서 전승사례를 조사하고 일반적인 양식, 의미와 원리, 사회적 기능, 재산상속과 제사상속의 관계 등을 집중 연구하여 밝혔다. 현재까지 보고된 ``제사 모셔가기``의 관행은 주로 산간이나 해안·도서지역인데 이러한 관행의 생성원인으로 경제적 요인과 지리적 요인을 꼽고 있다. 마땅히 상속할 재산이 없다보니 형제간에 자연스럽게 제사를 물려주고 모셔가는 관행이 생겨났고, 지리적으로 중앙과 멀리 떨어져있어 유교이념의 영향을 덜 받았기에 그러한 관행이 지속될 수 있었다는 견해이다. 아울러 그러한 ``제사 모셔가기`` 관행은 유교이념이 정착하기 이전의 제사방식이라는 견해가 공통적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삼척지역에서 지금까지 조사되지 않은 8건의 ``제사 모셔가기``의 사례를 제시하여 연구자들이 새로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고,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성과 특히 삼척 산간지역(도계읍신리)의 ``제사 모셔가기`` 연구성과와의 비교를 통해 삼척지역 ``제사 모셔가기``의 특징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삼척지역의 ``제사 모셔가기``는 첫째, 장남이 조상제사를 모시는 것이 원칙인 점, 둘째, ``제사 모셔가기``를 할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장남이 아버지의 제사를 모시고 제사를 모셔가는 차남 이하는 어머니의 제사를 모시는 경향이 있다는 점, 셋째, ``제사 모셔가기``는 자발적인 요청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제사를 맡고 있는 장남이 동의해야 이루어진다는 점, 넷째, ``제사 모셔가기``의 동기는 장님의 부담을 덜어주고 제사음식을 이웃과 나누어 먹고 싶은 호혜적 동기인 점, 다섯째, 조상제사를 담당하는 자식의 몫인 위토가 전혀 없다는 점, 여섯째, 생일제사가 함께 전승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된다. ``Ancestral Rites Succession`` means the same as ``Ancestral Rites Division``. This is not like the usual ritual culture; the ceremony is led by an oldest son only. It indicates that the brothers all participate in the process, one at a time. The succession cases have been reported all over in Jeju island, Jeollanam-do,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and some areas in Gangwon-do. There have been papers that were published by anthropologists or folklorists about ``Ancestral Rites Succession``, which focus on general culture, meanings and fundamentals, social functioning, the connection between inheritance of property and inheritance of ancestral rites, and so on. The customs of ``Ancestral Rites Succession`` which has been reported up to now is mainly distributed in mountainous or coastal and island areas. The cause of these customs` formation is considered by both economic and geographical factors. The opinion was formed around the idea of passing the ancestral rites over from the eldest brother to another, because they didn`t have much property they could inherit in the first place, and also due to a reason being geographically remote from the central and so they were less influenced by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because of those reasons, they could keep their customs. Moreover, the common grounds for such ``Ancestral Rites Succession`` was that the custom had already existed, even before the settlement of Confucian culture. This paper makes it possible for researchers to utilize the 9 cases of ``Ancestral Rites Succession`` in Samcheok area, which have not been investigated until today. Also, by comparing preceding researchers` results and especially those on mountainous area in Samcheok (Shin-li, Dogae-eub) for ``Ancestral Rites Succession``, the keynotes of this custom was reviewed,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ncestral Rites Succession`` of Samcheok area has the principles of the eldest brother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s. Second, if they follow the rules of ``Ancestral Rites Succession``, the eldest brother hosts the ceremony for his father, whiles the successors, below the second brother, tends to host for the mother. Third, ``Ancestral Rites Succession`` is based on the voluntary request, and the host (the eldest brother) must give them permission for their succession. And fourth, the motive of ``Ancestral Rites Succession`` is for lessening the eldest brother`s burden and reciprocal reason which is to share the rites foods with their neighbors. Fifth, there is no ``Wito`` rewards for the children that host ancestral rites. Lastly, sixth, the Birthday Ancestral Rites are also passed d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