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 사업에 대한 중장노년층의 인식

        조미림,박수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 From September 1st to 30th 2023,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and older people's nationwide. Total of 161 surveys were used as data and frequency analysis, Pearson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program. Methods : From September 1st to 30th 2023,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and older people's nationwide. Total of 161 surveys were used as data and frequency analysis, Pearson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Don't know'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in all projects except disaster health service support wor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rojects of the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rojects of the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wareness depending on gender, age, residential area, marital status, child status, religion, highest academic qualification, type of occupation, family monthly income, family and relative experiences of mental illness, experience using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mong them, in the case of experience using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there was a exception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ption in all projects. Conclusion : Active promotion of the projects and education on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should be conducted to raise the level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s awareness of the projects provided by the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to provide effective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public.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 사업에 대한 중장노년층의 인식수준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장노년층의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 사업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만 35세 이상의 전국 중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총 161부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Pearson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재난정신건강서비스 지원업무를 제외한 모든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 사업은 ‘들어본적 없다’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사업에 대한인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거주지역, 자녀유무, 종교, 학력수준, 직업유형, 가족월수입, 가족 및 친인척 정신과질환 유무,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경험 유무에 따라 각각 유의한 인식수준의차이를 보이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업들은 각각 상이하였다. 이 중,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경험 유무의 경우, 모든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사업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 사업에 대한 중장노년층의 인식 수준을 높이고 정신건강서비스가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에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사업 홍보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조선영,최송식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4

        An ability to care own mental health is critical for the socio-psychological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 new concept, Mental Health Literacy(MHL) is a prerequisite for self health care especially in terms of early recognition and appropriate service choice. This study has aims of examining MHL amo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identifying its disparities i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MHL,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with survey questionnaire with a scale-based measure developed by O’Connor & Casey (2015). Univariate analysi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pprehen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identify disparities of MHL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 sample of 203 people with mental disorder in South Korea found the results. As a result, the MHL level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was revealed considerably low, compared with those in Australia,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ir MHL. There are disparities in MHL level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co-residence with family and family income. Lastly, it was identified the correlations among MHL,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which propose the need of future studies to demonstrate the detailed relationships among MHL and other variables, for instance, higher MHL may influence the better self-esteem and ability of caring own mental health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a novel approach has been suggested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o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ake care of their own health. 지역사회중심의 정신보건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정신장애인의 심리사회적 복귀와 지역사회통합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정신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 MHL)은 치료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극복하고, 정신건강정보에 대한 비전문가들의 이해능력을 향상시켜 자신의 정신건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관리하도록 돕기 위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먼저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다. 이어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 가족과의 동거, 가족월소득에 따라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필요성을 논의하고, 주요 변인들과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정신보건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접근을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독일의 정신건강제도 발전과 정신건강 현황

        임정선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4

        Since the first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in Korea and its amendment in 2017, discussions on mental health policies and system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system in Germany, and by analyzing the recent status of German mental health, to provide basic data on preparing policies and systems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Korea. In Germany,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ad been the target of poor relief, and after the 1800s, they were sequestered and treated in large mental hospitals. Later, through the social reforms that began in the 1960s,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ere recognized as persons with human rights, and then, as social psychiatry develope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ere being treated. And mental health systems and mental health services have been built around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return to society. Mental disorders are also subject to social insurance as they are recognized for their status just as physical illness. In this mental health system,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treatment, rehabilitation and awarenes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particular, over the past 20 years when mental health systems and mental health services have been operating reliably,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mental disorders and the aspect and distribution of mental disorders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 change from the perception that mental disorder is a minority disease, to the perception that it could happen to anyone along with the spread of depression. In recent years, mental health has emerged as a forerunner in quality of life and curr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has become the subject of German society as a whole. The fact that mental health is no longer limited to psychiatric services, but has become a “cross‐cutting issue” involving child care, education and labor, suggests a great implication for the arrangement of Korea's mental health system and policies. 한국에서 1995년에 정신보건법이 처음 제정된 후 2017년에 개정되면서 정신건강정책 및 제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정신건강제도 발전의 역사적 배경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최근의 독일 정신건강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책 및 제도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독일에서 정신장애인은 빈민구제의 대상이었다가 1800년대 이후에는 대형정신병원에 격리되어서 치료 및 보호를 받았다. 이후 1960년대 시작된 사회개혁을 통해 정신장애인을 인권을 가진 인격체로 인정하게 되었고, 사회정신의학이 발전하면서 정신장애인을 치료하고, 이들이 다시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제도 및 정신건강서비스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구축되었다. 또한 정신장애는 신체질환과 같은 지위를 인정받게 되면서 사회보험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정신건강 체계에서 정신장애인의 치료 및 재활과 인식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특히 정신건강제도와 정신건강서비스가 안정되게 운영된 지난 20여 년간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과 정신장애의 양상 및 분포에 큰 변화가 있었다. 정신장애가 소수에게서 발생하는 질병이라는 인식에서 우울증의 확산을 계기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장애라는 인식으로 변화하였고, 최근에 와서는 정신건강이 삶의 질과 현재의 산업구조에서 전면으로 부상하면서 독일 사회 전체의 주제가 되었다. 정신건강은 더 이상 정신의학적인 서비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육아, 교육, 노동 등을 포함하는 ‘크로스 커팅 이슈(cross-cutting issue)’가 되었다는 점은 한국의 정신건강제도 및 정책 마련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인에 대한 문헌적 고찰

        임은정(Lim, Yen-Jung) SH도시연구원 2021 주택도시연구 Vol.11 No.3

        도시환경은 거주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밝히고 향후 정신건강 증진의 주체로서 도시환경에 적용 가능한 계획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방법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는 국내ㆍ외 문헌들을 수집 및 분석하고, 핵심어를 선정하여 구체적 요인들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정신건강과 도시환경의 상관성을 밝히는 연구들은 주로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 실험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문헌의 초록 및 본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총 11가지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개인이 조절할 수 있는 영역 내 물리적 환경요인으로 소음, 채광, 조망, 거주밀도, 고층 주거가 있으며, 공공의 개입이 필요한 영역의 환경요인으로 커뮤니티 환경, 업무환경, 교육환경, 근린환경,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환경, 녹지환경이 있다. 본문에서는 11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도시민 정신건강의 보호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서의 특성을 설명하고, 향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건축 및 도시환경 계획의 측면에서의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 와해로 정신질환자가 증가하고 심각한 자살률이 문제로 등장한 현시점에서 도시민의 정신건강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서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신건강 증진요인들을 고려한 총체적 환경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urban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of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to clarify planning characteristics applicable to the urban environment as the subject of mental health promotion in future mental health promo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hat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city, and selecting keywords to describe specific factors. Studies that have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urban environment mainly used three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bstract and text contents of the study subject literatur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were related to a total of 11 factors.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areas that can be controlled by individuals include noise, natural lighting, view, density of residence, and high-rise housing. Additionally, environmental factors in areas requiring public intervention include community environment, work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neighborhood environment, mental health service linkage environment, and green environment. Focusing on 11 keywords, the tex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mental health as protection factors and negative factors, and suggests considerations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urban environment plans for future mental health promotion.

      • KCI등재

        보호관찰대상자의 정신건강 및 음주 관련 요인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Kim, Jiseon),정슬기(Chung, Sulk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3

        음주와 정신건강상태 그리고 범죄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 요인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보호관찰체계와 지역사회 내에서 보호관찰대상자를 위한 정신건강 및 음주에 대한 개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주와 정신건강상태가 범죄횟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호관찰대상자에게 관련 서비스 제공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음주시작연령과 음주수준, 정신건강상태가 재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보다 효과적인 재범예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보호관찰소 56개소에서 431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대상자의 음주시작연령이 음주수준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음주시작연령이 낮을수록 음주수준과 정신건강문제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관찰대상자의 음주시작연령, 음주수준, 정신건강상태가 재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신건강상태가 부정적일수록 음주수준이 높고 음주수준이 높을수록 범죄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호관찰대상자의 음주수준이 정신건강상태와 재범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음주로 인한 폐해가 장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과 개인의 정신건강상태와 음주수준에 따라 범죄횟수가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에서 밝혀진 재범영향 요인은 효과적인 재범예방을 달성하고자 하는 교정체계와 지역사회구성원의 정신건강증진을 목표로 하는 관련 기관들에게 실천적 근거를 제공한다. There i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alcohol use and crime. Many studies have shown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alcohol related problems among probationers. However, the issue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Korea, and almost no mental health services are available for probati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of drinking onset, level of drinking,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crime recidivism among probationers using path analysis. The study utilized data collected among probationers in 56 probation offices in Korea. Data from 431 probation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ge of onset and level of drinking were found to influence probationers’ recidivism. Earlier onset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drinking, which influenced the number of recidivism. Second, earlier onset of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negative mental health status, which wa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drinking. Third, the level of drinking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status and crime recidivism.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point towards th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ntal health services for probationers. Probation system needs to develop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at includes adequate intervention as well as referrals to mental health services including services for substance abuse problems.

      • KCI우수등재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모바일 정신건강 앱 이용에 관한 연구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의 적용

        안순태,이하나 한국언론학회 2018 한국언론학보 Vol.62 No.6

        Although the positiv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s on health care have been well-documented,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one’s intention for using a mental health application. Given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ental health illnesses and high suicide rates, mobile applications are a promising too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in Korean socie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the mental health app use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A total of 228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the information factor (ex. level of mental health knowledge) did not show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intention to use the mental health app. The motivation factor (ex. social support, subjective norm, and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app use), however, demonstrated both indirect and direct influences. Further, behavioral skill (ex.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otiva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app.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model by adding a cultural variable (ex.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TSPH).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ATSPH and intention to use the app.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mobile app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by promoting individual and social motivation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건강관리에 대한 모바일 앱의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정신건강 앱 이용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미흡하다.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과 정신질환 증가율을 고려했을 때, 모바일 앱은 정신건강 관리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을 토대로 정신건강 앱 이용에 미치는 개인적, 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조사에는 총 228명의 성인 남녀가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분석 결과, 정신건강 앱 이용 의도에 대한 정보 요인(예, 정신건강 지식)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정신건강 앱 이용에 대한 동기 요인(예, 사회적 지지, 주관적 규범, 정신건강 앱 이용 태도)의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행동 능력(예, 자기 효능감)은 동기와 앱 이용 의도 사이를 매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에 문화적 변인인 정신과 상담/치료에 대한 태도를 추가하였으며, 해당 변인은 앱 이용 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 이용 및 정신건강 중재 방안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동기의 촉진과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중요함을 지적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윤리교육

        김나연 ( Kim Na-yeon ),김동춘 ( Kim Dong-chun ),김종훈 ( Kim Jong-hun ),김수안 ( Kim Su-an ),최용성 ( Choi Yong-seong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3 No.1

        본 연구는 점차 대두되는 정신건강의 새로운 개념을 긍정심리학적 입장에서 주목하고자 한다. 즉 정신건강은 단순히 정신장애가 부재한 상태라기보다는 개인의 삶의 스트레스와 위기에 대한 사회적 적응력, 환경과의 조정능력, 문제 해결능력을 포함한 정신적 안녕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신건강을 전반적인 정신적 안녕상태로 정의하고 윤리교육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약점과 결함에 치중된 불균형적인 관점 대신에 인간의 강점을 포괄한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관점을 지향하며, 정신건강을 단순히 증상이 없는 상태를 넘어 개인의 강점과 능력이 최대한 발현되는 상태로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이런 관점에 근거하여 윤리교육에서 정신건강이 증진되고 부적응적 증상이 예방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긍정심리학의 건강모델, 즉 질병모델이 아닌 심리적 웰빙을 지향하는 성장모델이 긍정적 정신건강을 이루어가는 구체적인 방안 역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적 정신건강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의 적용방안을 찾되, 강점 개입을 통한 긍정심리치료, 긍정 정서의 교육,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교육, 마음챙김 명상과 인지치료를 통한 정신건강교육, 신체건강과 함께하는 정신건강교육을 구체적인 적용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new concept of the emerging mental health positively.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refers to mental well-being, including mental illness, social adaptability to life stress and crisis, ability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mental health as an overall mental well-being and to promote it in ethical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is an integrated and balanced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human strengths rather than an imbalanced view that is focused on human weaknesses and deficiencies And extended mental health to a state in which the strength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are manifested to the maximum extent beyond the state without symptoms. Based on this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prevent maladaptive symptoms in ethics education. The positive model of positive psychology, that is, the growth model that aim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rather than the disease model, would also provide concrete measures for positive mental health. In addition, positive psychotherapy through strength intervention, positive emotional educatio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education, mindfulness through meditation and cognitive therapy Health education, and mental health education with physical health.

      • KCI등재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인식과 모바일 앱 이용의도: e헬스리터러시와 정신과 상담 태도의 영향력

        강승미,안순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3

        본 연구는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이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조사에는 총 227명의 성인 남녀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e헬스리터러시가 높아지고, 이는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정신건강서비스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대한 e헬스리터러시의 효과는 정신과 상담 태도와 상호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즉, e헬스리터러시의 영향력은 정신과 상담 태도가 낮은 집단에서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이 e헬스리터러시를 거쳐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정신과 상담 태도의 조절적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 증대 및 한국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e헬스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ceived threat toward mental health on the intention for using a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A total of 228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e-Health literacy between perceived threat toward mental health and the level of intention to use a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That is, a higher perceived threat led to higher levels of e-Health literacy, which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intention for using a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Furthermore,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service was found.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was stronger for those with negative attitudes to mental health service than those with positive attitudes to mental health service. This study highlights on the important role of e-Health literacy for promoting the use of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시설 현장의 요구: 대안적 임상심리 자격 제도에 대한 필요성

        이연주,최승원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을 파악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에서의 상근 직원의 현황과 구직 자격 요건에 대한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고 실무자와 관련 업계 종사자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자료 조사 결과에 따르면정신건강증진시설에서 상근직으로 근무하는 전문요원은 38.23%이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는 5.12% 에 해당하며 61.77%는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비전문요원이었다. 1년 동안 게시된 한국정신건강전문요원협회의 구인공고 중에서 40.70%는 임상심리, 사회복지, 간호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되었고, 30.97%는 전문요원 자격증을 요구하였으며 25.66%만이 특정 직역의 전문요원 자격증을 요구하였다. 현장 실무자의 FGI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하는 직무에는 사례관리, 정신건강증진사업, 행정입원 신청, 입원적합성 심사, 응급위기개입, 수련과정 운영이 있었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개별 직무에는 정신질환자의 심리 평가, 심리 상담, 연구가 있었다. 자료 조사와 FGI 결과에 따르면 전문요원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근무 장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의료기관을 제외하고는주로 직역의 특성이 반영되기보다는 국민의 정신건강증진과 지역사회 정신보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공통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을 이해하고 임상심리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도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ffing statistics of full-time employees at mental health improvement facilities and job requirements.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to identify the role of mental health speciali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38.23% of full-time workers at mental health improvement facilities were specialists, 5.12% were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ists, and 61.77% were non-specialists with related certificates. In the job postings by the Korea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over the past year, 40.70% of facilities sought individuals with certificates in clinical psychology, social work, and nursing, 30.97% required specialist certificates, and only 25.66% specifically requested mental health specialist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GI, the common tasks included case management, services aimed at improving mental health, requests for administrative admission, assessment of legitimacy of admission, crisis intervention during emergencies, and training courses. The data analysis and FGI indicate that mental health specialists in mental health improving facilities, distinct from medical institutions, are typically engaged in common tasks. Researchers are hopeful that these findings will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oles played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ystem that encapsulate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clinical psychologists.

      • KCI등재

        정신건강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소미,서정욱,박수희,이강희,김양식,임우영,이미숙,전진용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3 정신신체의학 Vol.31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mental health literacy. Methods:We obtained data on 2016 general population from the Korean Mental Health Literacy Survey (2021)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core of questionnaire items in Korean Mental Health Literacy Survey. Results:Among the factors, female (p<0.001), higher age (p=0.005), higher income level (p<0.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er score of questionnaire items. Awareness of mental health center & community addiction management center (p=0.002), awareness of mental health hotline service (p<0.001)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response score. Conclusions:The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literacy c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연구목적정신건강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년 만 세 이상 세 이하 일반인구 명으로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년 ‘대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거주지별 특성 정신건강 상태 정신건강 문제 수준 자원 인지를 조사하였으며 문항의 정신건강 지식 설문을 이용하여 정신건강 지식을 측정하였다 결 과다중회귀분석 결과 여성 < 높은 연령 높은 소득 수준 < 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건강 지식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 인지 정신건강상담전화 인지 < 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건강 지식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지역사회 진료나 정신건강 사업에 있어 정신건강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