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개인적 탄력성 증진을 위한커뮤니티 탄력성의 중요성: 삶의 만족도가 미치는 영향

        안순태,이지윤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resilience and individual resilienc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Results show that high levels of community resilience led to high levels of individual resilience. More importantly,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was moderated by life satisfaction. That is, when life satisfaction was high, young adults’ individual resilience did not change much in relation to levels of community resilience. By contrast, among those with low life satisfaction,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individual resilience was stronger. When life satisfaction was low,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resilienc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 levels of community resilience. Results indicate individual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se life satisfaction is relatively low would be improved when community resilience is high. Since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low and their resilience is also relatively low, the role of university as the community they belong is required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공동체의 위기 대응 능력과 개인의 위기 대응 능력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관계에서 삶에 대한 만족도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 환경적 요인인 커뮤니티 탄력성(community resilience)이 개인적 탄력성(individual resilience)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력이 삶에 대한 만족도(life satisfaction)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커뮤니티 탄력성은 대학생의 개인적 탄력성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삶에 대한 만족도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즉,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대학생의 경우 커뮤니티 탄력성이 증가는 개인적 탄력성의 증가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 개인적 탄력성은 커뮤니티 탄력성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커뮤니티의 도움이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학생 계층의 위기 대응능력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도 높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삶의 만족도가 낮은 대학생 계층의 개인적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뮤니티로서 대학 및 사회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9세기 전반기 한문학의 변모 양상

        안순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1 No.-

        본고는 19세기 전반기 한문학이 이전 시기의 어떤 면모를 계승하거나 심화하였는가, 그리고 어떤 새로운 면모를 보이게 되었는가를 이 시기 경화세족의 예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본고에서는 19세기 전반기 한문학의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살피고 있다. 첫째, ‘속화/저변화’와 ‘고급화/전문화’가 심화되었다는 점이다. 전자는 주로 민중들이 향유하던 판소리나 소설, 가사 등에 한시 어구가 활발히 삽입되는 현상으로 나타났고, 후자는 김정희나 신위 등과 같은 이들의 고급한 예술론으로 나타났다. ‘속화/저변화’와 ‘고급화/전문화’는 각각 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지만 ‘통속화’와 ‘전문화’가 동시에 확인되는 예가 있듯이 그 구체적 양상은 상당히 복잡하다. 둘째, 사적 영역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젊은 시절부터 雅趣를 중시하며 고동서화 취미를 향유하던 남공철이 중년기 이후, 즉 19세기에 들어서면서 개인적 공간에서 고동서화 취미를 향유하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심상규의 가성각에서 보듯 사적 영역을 구축하고 그곳을 기반으로 개인적 취미 생활을 즐기는 모습이 어렵지 않게 확인된다. 셋째, 대청의식의 변모이다. 19세기에도 여전히 대명의리론을 강고하게 주장하는 이들이 있었고, 대개는 관념적 명분론을 확인하는 수준에서 대명의리론의 입장에 서 있었다. 그러나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더 이상 실익 없는 명분론에 매달려 있을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김노겸의 예에서 보듯 사실상 대명의리론의 무용론까지 등장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넷째, 총서와 같은 문헌의 집대성 분위기가 고조된 점이다. 19세기의 이러한 문헌 집대성 열풍의 배경은 첫째, 고증학에 기댄 수많은 총서류가 간행되던 淸의 학문적 분위기로부터 받은 영향, 둘째, 18세기에 유행한 고동서화 취미에서 싹튼 細瑣한 것에 관심, 셋째, 서책의 양이 상당히 축적되던 19세기에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분위기의 팽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총서류의 간행과 문헌의 집대성은 한문학의 외연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풍부해진 지식정보의 체계화라는 측면에서 이러한 경향은 단순히 순문학적 성취도가 아닌 새로운 관점에서 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19세기 한문학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은 대개는 이전 시기의 것을 계승, 심화한 면모가 두드러진다. 19세기 한문학을 퇴영적인 것으로 치부하기보다는 위와 같은 면모들을 보다 면밀히 살펴 그 의의를 부각시켜야 할 것이며 당시 시대정신의 한계와 근대 전환기 직전 단계에서 한문학이 감당해야 했던 문제들 또한 분명히 자각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英祖朝 東村派의 交遊樣相과 交遊詩 -吳瑗· 南有容· 李天輔· 黃景源을 중심으로-

        안순태 한국한시학회 2013 韓國漢詩硏究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Dongchonpa [東村派], a literary community in Joseon Dynasty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ore members of this group were O Won [吳瑗], Nam Yuyong [南有容], Yi Cheonbo [李天輔], and Hwang Gyungwon [黃景源]. They resided in Dongchon [東村] in the eastern part of Hanyang [漢陽],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so Yi Gyusang [李圭象] named the group ‘Dongchonpa’, or “the Dongchon Faction”. The time during which Dongchonpa was active can be divided into three distinct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the formative years of 1724-1732 AD. During this period, O Won and Nam Yusang [南有常] were the key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requently came together at Jongam Dongjeong [鐘巖東亭], O Won’s country home, and wrote poems. However, during this period the group had not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they gathered together only infrequently. The second period is considered to be Dongchonpa’s golden age, which lasted from 1732 AD to 1740 AD. During that time, O Won, Nam Yuyong, Yi Cheonbo, and Hwang Gyungwon were the key members of the group. They often came together at Jongam as before, but they also traveled throughout Hanyang [漢陽] and occasionally visited Sagun [四郡] together. The third period, the decline of Dongchonpa, spanned the years of 1741-1773 AD. After having played a key role in the group since its inception, in 1740 AD, O Won’s death was a great shock to the Dongchonpa community; without O Won, the whole of the community did not come together as before. A younger generation of writers that originated from Dongchonpa, though, gathered ontheir own, counting among their members Nam Gongbo [南公輔] and O Chan [吳瓚]. Quite a few of the members of this younger generation were the sons or brothers of the core members of Dongchonpa during its golden age. For example, NamGongpil[南公弼] was the son of Nam Yuyong, and O Chan was the younger brother of O Won. These gatherings of the younger generations of writers continued through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leading figures of the succeeding generations were the descendants of O Won, and they continued to primarily meet at Jongam Dongjeong. The members of Dongchonpa did not concern themselves with proper technique or propriety when writing poems. They usually wrote poems in the Tang Style [唐風], and several members of Dongchonpa, including O Won, Nam Yuyong, Yi Cheonbo, and Hwang Gyungwon, were the most famous wri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y gathered with one another and wrote poems, commented on current topics and enjoyed collecting classical works. The primary figure in Dongchonpa was O Won and their most important place of meeting was Jongam Dongjeong throughout the group’s entire existence. Dongchonpa was the one of important literary groups during the latter Joseon Dynasty because the members of this group played a key role in the literary world of that era, and because they regarded the Dongchonpa gatherings a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their writing. 본고는 英祖朝 ‘東村派’의 실체를 究明하고 그 핵심 구성원들의 교유 양상과 교유시에 대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東村派’는 李圭象에 의해 붙여진 이름으로 영조조에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 등을 중심으로 東村에 거주하면서 함께 어울리던 일군의 문사들을 가리킨다. ‘東村派’는 문학 유파라기보다는 교유집단의 성격이 두드러진 칭호다. 그리고 이 교유집단의 모임은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 등 이른바 ‘英祖朝 四家’라 불리는 핵심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지속되기는 했지만 거기에 참여한 인물들은 그보다 훨씬 많았다. 또한 이들은 주로 吳瑗의 鐘巖 東亭에 모여 시주회를 가졌다. 따라서 ‘東村派’는 東村에 거주하던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을 핵심 구성원으로 하며 1724년 내지 1773년경까지 鐘巖 東亭을 중심으로 모임을 가졌던 교유 집단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동촌파 모임을 형성 및 정착기, 전성기, 침체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 이 그룹의 動態와 모임에서 이루어진 詩作들을 살펴보았다. 동촌파가 고정된 멤버와 빈번한 모임 횟수를 갖춘 교유집단이 된 것은 1724년 吳瑗과 南有常이 만나면서부터였다. 남유상의 아우 남유용도 이때부터 함께 어울렸고, 이윽고 이천보도 모임에 동참하였다. 그들은 빈번하게 종암 동정에 모여 文酒會를 가졌다. 이후 1728년 봄, 남유상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모임은 한때 활기를 잃게 된다. 1732년이 되어 황경원이 모임에 가담하면서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을 핵심 구성원으로 한 이 모임은 1740년, 오원이 죽을 때까지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이 시기에 모임의 핵심 구성원들은 여러 차례 四郡을 함께 유람하기도 하고 北漢山, 貞陵, 冠岳山 등 한양의 승경지를 찾아다니며 文酒會를 가졌다. 吳瑗·南有容·李天輔 세 사람은 특히 자주 東亭에 모여 시를 지었으며 그때 지은 시를 시집으로 엮기도 하고 唐 이전의 시를 선발하여 시선집을 엮기도 했다. 1740년, 오원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모임은 침체기에 접어든다. 오원은 이 그룹의 중심 인물이었고 그의 종암 동정은 이 그룹의 주 모임 장소였기에 오원의 죽음과 함께 모임은 침체일로를 걷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예전과 같은 종암 동정에서의 성대한 문주회를 재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전성기 시절에도 함께 어울리던 吳瓚(吳瑗의 弟)이나 南公弼(南有常의 子)이 모임을 이어 나갔으며, 오원의 손자인 吳熙常이나 吳淵常에 이르는 19세기 초반까지 그 모임이 지속되었다. 앞서 말한 것처럼 ‘東村派’는 문학 유파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통의 문학적 구호나 특질을 선명하게 보여주지는 않는다. 다만 그들이 대체로 공감하던 바를 범박하게나마 정리하자면, 애써 꾸며서 시를 짓지 말고 天機를 그대로 드러내는 자연스러운 시를 짓자는 것이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을지라도 결과적으로 그들 시의 대부분은 대체로 唐風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東村派’는 이처럼 ‘天機’를 중시하던 조선 후기 한시의 흐름을 비교적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교유 집단이면서, 文酒會(雅會)를 통해 시를 지으며 고상한 취향을 지향하던 흐름이 이미 18세기 초부터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는 집단이기도 하다.

      • KCI등재

        청년과 중년 세대의 우울감 표현 방식과 이유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감정 표현 규범 인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안순태,이하나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1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2 No.1

        Purpose: This study explored how and why young and middle-aged adults disclose depressive feelings to other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ocial norms to see whether using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could lower the perceived barriers of emotional disclosure. Furthermore, the motivations of emotional disclosure via MIM were compared between young and middle-aged adults. Methods: A total of 255 Koreans (128 middle-aged people, 127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paired t-tests, SPSS PROCESS macro,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ey variables. Results: The perceived social norms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deterrent in disclosing depressive feelings to othe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erations and perceived social norms. Although young adults with low social norm awareness were more likely to disclose depressive feelings via MIM, emotional disclosure among middle-aged adults increased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social norms. Also, different motiv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norms as well as generational differences when using MIM as a channel of emotional disclosure.

      • KCI등재

        Political Advertising and Voter Learning: The Moderating Role of Candidate Preference

        안순태 (주)에스비에스 2009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7 No.3

        Research on political spots and voter issue learning ha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This study examined how a contingent condition −the strength of candidate preference−affects the informational value of political spot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voters’ learning of candidate issue positions related to ad exposure differed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candidate preference. That is, the ad effect was greater in magnitude for those who were not strongly committed to a candidate. Those with weak candidate preference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 issue knowledge when they recalled ads, while issue knowledge of those with strong candidate preference did not change much with ad recall. These results underscore why the candidate-centered information structure of political advertising needs to be accounted for when studying issue learning from political advertising.

      • KCI등재

        남공철(南公轍)의 연행(燕行) 체험과 대청의식(對淸意識)

        안순태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Nam Gongcheol(1760~1840) when he visited the Qing Dynasty in 1807 and the perception of the Qing Dynasty of him. In the course of 1807, Nam Gongcheol received his preface to prominent figures of the Qing such as Cao Jiang曹江, Li Linsong李林松, and Chen Xizu陳希祖, and was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published in 1815 by himself. Among them, especially, Cao Jiang was already known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so Nam Gongcheol visited Cao Jiang without hesitation. In Beijing, too, Nam Gongcheol met directly with the Zhu Yuren猪裕仁 and Wu Siquan吳思權. He also left a record of the meeting with Ryukyu琉球 ambassadors. Because all of the preface was wrote by descendant of the people of Ming明, Nam Gongcheol set them in his anthology as a preface. In addition, Zhu Yuren褚裕仁 and Wu Siquan吳思權 were all descendants of the Ming明, Nam Gongcheol felt strong sympathy for them. Such consciousness of conscience was expressed by the discrimination against Man people滿人 and Han people漢人. It is surprising to note that Nam Gongcheol, who was once enthusiastic with the school to learn the Qing Dynasty such as Park Jiwon, Yu Deukgong, and Park Jaega, however, he basically was lied in the background of the family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that can not throw up the Daemyung loyalty大明義理論. It was perhaps natural that his father, Nam Yuyong, had written a history of Ming明, and that emphasized the faithful to Daemyung loyalty. In addition, most of the Joseon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spite of the craze to learn the civilization of Qing Dynasty, could not deny the Daemyung loyalty actively. Yi Dukmu who closely cooperated with Nam Gongcheol, also had a great interest in the descendant of Ming people. As well known, Nam Gongcheol was a eclectic for Han Methodology漢學 and Song Methodology宋學. However, accepting the merits of Han Methodology漢學 is to relativize Song Methodology宋學, which is contradictive to the Daemyung loyalty, which had been weakened from the beginning. The reason why Nam Gongcheol, who had this self-contradiction, did not give up the Daemyung loyalty until the end was the courtesy to Ming people and the compassion for them through discrimin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Daemyung loyalty can be said to show the deep self-contradiction of the intellectuals who could stand up at the final stage of Daemyung loyalty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y acknowledged the merits of Han Methodology漢漢, which was to relativize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However, as the Daemyung loyalty was based on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they did not give up the that by expressing sympathy for the descendant of the people of Ming明. Because of his family background and political status, it seems that Nam Gongcheol was forced to ignore the advanced artifacts of the Qing Dynasty while experiencing the journey to the Qing Dynasty. 본고는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의 1807년 연행 체험과 청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공철은 1807년 연행 과정에서 조강(曹江), 이임송(李林松), 진희조(陳希祖) 등 청(淸)의 명사들에게 자신의 시문을 보이고 서문을 받아와 1815년 자신이 직접 편찬하여 인행(印行)한 문집 『금릉집(金陵集)』에 수록했다. 이들 중 특히 조강은 이미 조선 문사들 사이에 이름이 알려져 있었기에 남공철은 서슴없이 조강을 찾았던 것이다. 또한 북경에서 남공철은 저유인(猪裕仁)․오사권(吳思權)과 직접 만나 필담을 나누기도 하였다. 남공철이 자신의 문집 서문으로 조강․이임송․진희조의 것만을 수록한 이유는 이들이 모두 명(明) 유민(遺民)의 후예인 한인(漢人)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접 만나 교유한 저유인이나 오사권 역시 명 유민의 후예로, 남공철은 이들 명 유민의 후예에게 강한 연민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한 연민의식은 그의 대명의리론과 결부되어 만한(滿漢) 차별론으로 표출되었다. 한때 박지원, 유득공, 박제가 등과 같은 북학파들과 활발히 교유하고 고동서화 취미에 열성적이었던 남공철이 청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논의는 고사하고 오히려 만한 차별론을 내세워 애써 만청(滿淸)을 부정하려 했다는 사실은 의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기본적으로 대명의리론에 충실할 수밖에 없는 가문적, 정치적 배경에 놓여 있었다. 부친 남유용이 남명(南明)의 역사를 정통으로 하여 명사(明史)를 다시 써 『명서정강(明書正剛)』을 편찬하고 대명의리론을 강고하게 내세웠던 점을 생각하면 남공철의 ‘만한 차별론’이 난데없는 것도 아니었다. 또 남공철이 친밀하게 교유한 이덕무(李德懋) 또한 명 유민에 대한 관심이 컸던 점, 당시 대부분의 조선 지식인들은 북학의 열풍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대명의리론을 적극적으로 부정할 수 없었다는 점 등도 남공철의 대청의식(對淸意識)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남공철은 한송절충론자(漢宋折衷論者)였다. 그러나 한학의 장점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송학을 상대화하는 것, 즉 더 이상 주자 학설의 절대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이는 다름 아닌 주자의 명분론에 기반한 대명의리론의 약화 소지를 애초부터 안고 있는 것이기도 했다. 즉 대명의리론을 내세우면서 동시에 한송절충론을 내세우는 것은 자기 모순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자기 모순을 안고 있던 남공철이 끝까지 포기하지 못한 대명의리론은 만한의 차별을 통한 명 유민에의 예우 내지 그들에 대한 연민의식으로 나타났다. 청의 문물을 받아들이자는 북학론자들도 대개는 대명의리를 부정하지 못했다. 그러나 북학과 대명의리 또한 모순되는 것이기에 그들이 취할 수 있는 것은 대명의리를 거론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거론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한송절충론과 북학 논의가 활발해지던 18, 19세기 상당수 조선 지식인들이 취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 남공철이 연행한 후 15년이 지난 1822년, 추사(秋史)의 족숙(族叔) 김노겸(金魯謙)은 연행하는 족질(族姪) 김명희(金命喜)에게 연행과 관련하여 재고해야 할 점들을 정리하여 서문을 써준다. 이는 당시 연행 풍조에 대한 반성임과 동시에 19세기 초반에 취할 수 있는 대명의리론의 향방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공철의 연행 체험 및 그의 대명의리론에 견주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서문에서 김 ...

      • KCI등재
      • KCI등재

        남공철 연행시 연구

        안순태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written in Beijing by Nam Gong-cheol, who went to Beijing in 1807 as an envoy, Dongjisa Jeongsa冬至正使. In addition to official events,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outside access, so he had so much leisure time. Nevertheless, while staying in Beijing for more than a month, Nam Gong-cheol wrote 17 poems, which cannot be said to be that man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at Nam Gong-cheol's poems by referring to his Yeonhaengnok, which described more specific situations at the time. Nam Gong-cheol's poems can be largely distinguished by reciting the impressions felt by seeing the wonderful scenery, old ruins, and reciting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people of the Qing Dynasty. Just as Nam Gong-cheol was good at pictorial depiction in his prose, this characteristic is confirmed in his poems, especially in poems written about the wonderful scenery of Beijing. In addition, works that express the feelings of visiting the old ruins and the homesickness of a traveler are also noticeable. On the other hand, Nam Gong-cheol also worked har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the Qing Dynasty in Beijing. In particular, many poems exchanged with those who met in person, such as Chu Yu-ren褚裕仁. These poems are main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eople in them or what happened in the process of meeting. There are 50 poems created during the traveling Beijing, which cannot be said to be few.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m were written on the way to Beijing, and since then, the number became fewer and fewer. In recent years, as Nam Gong-cheol's Yeonhaengnok was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it is now possible to estimate the reason why Nam Gong-cheol's poems show such a pattern. In other words, he devoted himself to recording experiences in detail in prose, and poems were created only in unavoidable situations, that is, implicit expressions of emotion or having companionships with Qing Dynasty people 본고는 1807년(순조7) 동지사(冬至使) 정사(正使)로 연행한 남공철이 북경에 머물 때 지은 시들을 중심으로 남공철 연행시의 창작 양상을 살핀 것이다. 본고에서는 당시의 보다 구체적인 정황을 기록한 그의 일기체 연행록을 참조, 그가 북경에 머물 때 어떤 상황에서 시작에 임하였으며 그 시들은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를 살피고 있다. 남공철이 북경에서 지은 시는 크게 승경(勝景)이나 고적(古跡)을 보고 느낀 감회나 객수(客愁)를 읊은 것, 그리고 청조(淸朝) 인사들과 교유하는 과정에서 수창(酬唱)한 것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다. 그의 산문에서 회화적인 묘사에 장처(長處)가 있었듯이 남공철은 그의 연행시, 특히 북경의 승경을 두고 읊은 시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고적을 답사하거나 객수(客愁)가 짙을 때에도 시를 지었는데, 이는 주관적 서정을 함축적으로 표출하는 데에 산문보다 시 양식이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남공철은 북경에서 청조 인사들과의 교유에도 힘을 기울였는데, 저유인 등 직접 관소에서 만나 필담을 나눈 이들과 수창한 시가 여러 편 전한다. 이들 시는 주로 교유 인물에 대한 평이나 교유 과정에서 있었던 일을 소재로 하고 있다. 남공철의 연행시는 모두 41제 50수로 그 수가 아주 적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런데 그중 절반 이상이 북경 가는 길에 지은 것이고, 이후 여정에서는 갈수록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 근래 남공철의 연행록이 학계에 소개되면서 남공철 연행시가 이런 창작 양상을 보이는 이유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즉 그는 일기로 연행을 자세하게 기록하는 데 힘을 기울였고 시는 부득이한 상황, 즉 흥취나 감회를 함축적으로 표현할 때나 청조 인사와 수창할 때에만 지었던 것이다. 일기체 연행록 서술에 심혈을 기울이면서도 산문으로 온전히 감당하기 어려운 때에 시를 지어, 남공철에게는 산문과 시가 연행을 기록하는 데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幻戱의 演行 양상과 흥미 요소에 관한 연구-조선후기 연행록 所載 北京 幻戱 기록을 중심으로-

        안순태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8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performance aspects and elements of interest of Magic Show in Beijing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Magic Arts recorded in Yeonhaengnok[燕行錄]. Magic Arts[幻術] was a major attraction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Yeonhaeng[燕行]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Magic Arts was a technique to deceive the audience's eyes using tools and devices, and Magic Show was composed of various Magic Art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clarify what made the Magic Show interesting.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Yeonhaengnok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Magic Shows in Beijing were usually practiced from the end of the year to the beginning of the next year. Most of the envoys departed from Hanyang in October and arrived in Beijing in the end of the year. This is the reason that we can see the abundant records of Magic Shows in Yeonhaengnok. Magic shows were performed usually on the road inside and outside the main gate of Beijing, but Joseon’s executives were limited in free movement, so they mainly watched magic shows at Ok’hagwan[玉河館], the Joseon Embassy in Beijing. The magicians were shabby, because they usually wandered across the country to make their living or to work hard, and gathered to perform Magic Show during the cold season. One round of Magic Show consists of five or six Magic Arts, and a total of 20 arts and crafts were presented. Magicians presented three or four types of similar arts and went out of the stage at the end of each round to prepare props to be used in the next. The most important sight in the Magic Show was Magic Arts. In this paper, three elements of interest in Magic Show were examined. First, it seems that the magicians focused on the attention of the passersby and established the trust of the audience by presenting acrobatics along with magic. Magic Show did not consist of only Magic Arts[幻術], but also acrobatics or animal’s acrobatics. In particular, most of Magic Shows started with acrobatics to focus the attention of passersby. Second, the dramatic atmosphere was created through the acting of magicians. Magicias made the performance more dramatic by making exaggerated expressions, reciting spells, singing songs during the Magic Show, and doubled the audience's interest by tensing or touching the crowd. Magic Show was not only deceiving people with dexterity, but was planned as a complete performance. Third, the audience participation in the performance. The magician invited the audience to the stage, which made the audience more immersed in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audience could have faith in the performance and feel more interesting just by having other audiences participated in unbelievable situation. We can see quite a few Joseon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in Yeonhaengnok. It was a good sight for the locals, as people from other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how in Beijing. In addition, from a Joseon people’s point of view, it was a never-to-bo-forgotten cultural experience in alien country for them. 이 논문은 조선후기 연행록의 幻術 관련 기록을 토대로 淸代 北京에서 幻戱가 연행되던 양상과 환희의 흥미 요소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행록에 수록된 환희, 환술에 대한 연구는 적지 않게 이루어졌으나 환희가 일반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이루어졌고, 환희의 어떤 점 때문에 사행원이 환희에 매혹되었던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중국에서 연행되던 幻戱 관련 자료는 중국 문헌에 더 풍부하게 소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幻戱의 구체적인 연행 장면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는 점, 실제 환희를 관람한 사행원이 느낀 환희의 흥미 요소가 잘 부각되어 있다는 점에서 연행록 소재 환희 기록은 환희의 흥미 요소 분석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淸代 북경에서의 환희는 대개 歲暮와 正初에 행해졌다. 주로 10월 중 發行하는 우리나라 사신단은 환희가 활발히 연행되던 시기에 북경에 도착하여 머물다 돌아왔는데, 우리나라 연행록에 幻戱 기록이 풍성한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幻戱는 北京 內城의 사대문 안팎 街路에서 활발히 행해졌는데, 우리나라 사신단은 이동에 제약이 있어 주로 조선 사신의 館所인 玉河館(南館)에서 환희를 관람하였다. 幻戱는 대개 서너 종의 技藝나 幻術로 한 회를 이루고, 대여섯 회가 모여 전체 공연을 이루었다. 따라서 한 차례의 幻戱에서 도합 20종 내외의 技藝나 幻術을 선보였다고 할 수 있다. 幻術師들은 한 회가 끝날 때마다 무대 밖으로 나가 다음 회에 소용되는 장치나 小品을 준비하였다. 幻戱에서 가장 중요한 볼거리는 눈속임을 일삼는 幻術이지만, 조선 사행원이 환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것은 그것 때문만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환희의 흥미 요소에 대해 세 가지로 살피고 있다. 첫째, 본격적으로 환술을 공연하기에 앞서 대접 돌리기 등의 技藝를 선보여 행인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관객의 신뢰를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技藝는 멀리서도 눈에 띄어 행인들을 불러모으는 데 효과적이었고 부단한 연습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재주였기에 공연 초반, 幻戱에 대한 관객들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에도 일조했다. 둘째, 환술사의 연기를 통해 극적 분위기를 조성한 것을 들 수 있다. 환술사는 공연 도중 과장된 표정 연기, 呪文이나 기합, 노래 등으로 공연을 더욱 극적으로 몰아가 관중을 긴장시키거나 감동시켜 공연의 흥미를 배가했다. 幻戱는 단순히 손재주로 사람들의 눈을 속이는 차원에 머물지 않고 하나의 완결된 공연으로 기획되고 연행되었던 것이다. 셋째, 관객을 공연에 참여시켜 관중의 몰입도를 제고하였다는 점이다. 환술사가 관객을 무대로 불러들여 공연에 참여시킴으로써 관객들은 幻戱에 더욱 몰입할 수 있었고 공연에 대한 신빙성과 흥미 또한 제고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