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표현신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역할

        최해연,민경환,이동귀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e mechanism by which people get ambivalent over expressing emotions was explored. The study hypothesis involves that belief on emotional influences one'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 A total of 483 college students(292 women and 191 men) completed the research packet. Structure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BEE, AE,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strumental-conventional belief led to low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 but not to inner conflict fo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contrary, people with high relational-emotional belief, presuming that their emotional expression leads to negative consequ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emotional desire-satisfaction, showed hi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lthough the relational-emotional belief affects the two subordinate factors of the AE, only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predicts maladjustment. The relational-emotional belief that emotional expression would negatively affec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dicts the AE, and especially self-defensive effort to keep themselves away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s may lead to more severe maladjustment. 정서 표현 억제를 동기화하는 내적 기제로써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 그리고 정서표현신념과 심리적 건강을 매개하는 정서표현양가성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대학생 483명(여자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양가성, 심리증상 간의 관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의 하위차원인 ‘도구관습적 신념’은 정서표현양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정서표현이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며 대인관계에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관계정서적 신념’이 강할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았다. 또한 ‘관계정서적 신념’이 정서표현양가성의 두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침에도, ‘자기방어적 양가성’ 차원만이 심리증상과 정적으로 연결되었다. 이로써 부정적인 정서표현신념에 영향을 받은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며 심리증상에 이르게 됨이 검증되었다. 이는 부정적인 대인관계 결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자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억제하는 노력이 오히려 심리적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정서규범의 조절효과

        윤영선,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3

        Existent experimental study on Asian emotional expressivity suggested that expressions of emotion are different between social situation and private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emotional expressivity in two types. The first type of emotional expressivity was co-emotional expressed in social situation. Most existent emotional expression scale uses CEE. The second emotional expressivity was alone-emotional expression(AEE) expressed in private situation. In Study 1, AEE sclae(AEE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is study, preliminary scale with a total of 31 items was administered to 230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 items were selected. They were administered to 294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0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AEES. Reliability of the AEES was evidenced b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adequate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over a three-week period. In Study 2,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deter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was tested using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AE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tras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CEE and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동양인의 정서표현성은 타인과 함께 있는 경우와 혼자 있는 경우에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실험에 입각하여, 정서표현성을 두 가지 유형으로 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타인과 함께있을 때 표현되는 정서성이며, 이를 공유-정서표현성(Co-Emotional Expression)라고 명명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정서표현성 척도들은 내용적으로 살펴볼 때 대부분 공유-정서표현성을 측정하고있다. 정서표현성의 두 번째 유형은 혼자 있을 때 표현되는 정서성이다. 이를 비공유-정서표현성(Alone-Emotional Expression)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정서표현성 척도들이 측정하고 있지 않은 정서표현유형이다. 연구1에서는 비공유-정서표현성 척도(Alone-Emotional Expression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척도를 230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2문항으로 구성된 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어 본 문항을 294명의대학생에게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0문항으로 구성된 최종문항을 구성하였다. 비공유-정서표현성 척도에 대한 3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연구2에서는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억제적 정서규범의 조절효과를알아보았다.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비공유-정서표현성와 억제적 정서규범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공유-정서표현성과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억제적 정서규범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반면 공유-정서표현성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억제적 정서규범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정윤경,박보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trospecte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developmental correlate of their off-spring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se ends, 54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aries including EEQ, AEQ, and retrospected SEFQ of thei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ly correlated to their retrospection of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hen they retrospect that their mother's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high, their positive and intimate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 and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When they report that their mother' expression is low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y were also low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nd most high in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요인으로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 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과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 정도는 자녀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관련을 맺음이 드러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이 높을수록 자녀의 친밀 정서와 긍정적 정서의 표현 수준은 높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았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 표현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정서 표현 수준은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고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구별된 네 군집(긍정상-부정하, 긍정상-부정중간, 긍정하-부정하, 긍정하-부정상) 간의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이 높은 두 집단의 자녀들이 긍정이 낮은 두 집단보다 낮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긍정적, 친밀 정서 표현을 나타냈다.

      • KCI등재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따른 아동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신념

        노지영,정윤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n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For the ends, children aged from 13 to 15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including AEQ(King & Emmons, 1990), BEE(Haeyoun Choi & Kyunghwan Min, 2005), CCNES(Fabes, Eisenberg & Bernzwing, 199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o their belief on emotional expression. Second, all three types of mothers' nonsupportive reaciton(Distress reactions, Punitive responses, Minimization responses) have effect on children's Ambivalence and negative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Finally, mothers who were highly perceived in all three nonsupportive reaction type have children who are most high in Ambivalence and in negative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에 관한 부정적 신념의 발달적 관련변인으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양식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13~15세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자녀가 지각한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양식과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이 드러났다. 모든 유형의 비지지적인 반응(처벌, 최소화, 심리적 고통)은 아동의 높은 수준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비지지적 반응의 하위차원에 따라 구별된 네 개의 집단 간에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중 세차원의 비지지적 반응 수준이 모두 높은 집단의 자녀들이 가장 높은 정서표현양가성과 가장 부정적인 정서표현신념을 갖고 있음이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김지숙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유아어머니와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6세의 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으로 총 60명이었다.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장애유아의 정서표현은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결과] 첫째, 장애유아어머니는 부정적 표현보다 긍정적 표현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아의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부정적 정서가 중요하고,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아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하여 비지지적 반응보다 지지적 반응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는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반응과 감정표현격려반응이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유아어머니에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their mothers' the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s were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young disabled children. [Method] There were a total of 60 children, 30 pairs of mothers, and 3 to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teach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d positive express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egative express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negative emotions but they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we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negative emotions as emotions that their children naturally experience. Also,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 supportive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urth, in the supportive responses of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centered respons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encouragement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at can guide the use of suitable coping methods for deal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박하얀,정윤경,최해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3

        본 연구는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의 발달적 양상을 살펴보고 발달 단계별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 및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성인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정서표현성, 문제행동과 심리적안녕감을 측정하여 그 변화와 관련성의 발달적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성, 문제행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안녕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성은 집단에 따라 대조된 결과를 보였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아동집단에서는 정서표현 수준이 높았으며, 성인집단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정서표현양가성과 문제행동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흥미롭게도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모두 높게 나타나는 반면 성인의 경우 내재화 문제행동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안녕감과의 관련성은 아동집단에서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고 청소년과 성인집단에서는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심리적안녕감이 낮았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developmental changes i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AE, emotional expressiveness (EE), and behavior problems (BP) by age group. Groups of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AE, EE, B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E and EE improve with age. Second, A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E in the children group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EE in the adult group. Third, A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P in every group. An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AE was correl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P in the adolescent group, but only with internalizing BP in the adult group. Finally,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adolescent and adult groups, but not in the children group.

      • KCI등재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문경희(Moon, Kyung-hee),남민우(Nam, Min-w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면서 감정표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상황에 맞게 정서표현을 사용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시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3,4,5세 유아 455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전체에는 어머니의 긍정적표현성, 아버지의 긍정적표현성, 어머니의 부정적정서표현성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자기인식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에 있어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정서표현이 영향을 주었다.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조절능력에는 어머니의 부정적정서표현성과 긍정적정서표현성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정서지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f father and mother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o raise and educate young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o use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ther and mother 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for 455 young children aged 3, 4 and 5 attending kindergartens in G city and their fathers and mother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was influenced by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mother,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father, and the negative expression of the mother, and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mother and father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young child s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self-awareness, other-person awareness, and the ability of other memb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nly the negative emotion expression of the mother, positive emotion expression of the mother, or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ther, amo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by correctly understanding the roles of fathers and mothers and providing informative information.

      • KCI등재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감정표현불능증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선희,신현균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Alexithymia,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AE)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abuse and Somatizati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f 308 college students are follows: First, somatization had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abus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or the male students, positive correlations of emotional abuse with alexithymia and AE were significant. Whereas, for the female student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E was significant, but not with alexithymia. Second, a mediation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somatiz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alexithymia and AE.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alexithymia was found, but not AE. Fourth, from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Macro, gender controls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somatization through alexithymia, revealing that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s of emotional abuse,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It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between emotional abuse and somatization is greater for the males than the females, suggesting that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omatiza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경험이 감정표현불능증,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서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그 과정을 성별이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대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모두 정서적 학대와 신체화 간 상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의 경우 정서적 학대 경험이 감정표현불능증, 정서표현양가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여자의 경우 정서표현양가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감정표현불능증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정서적 학대와 신체화의 관계를 감정표현불능증과 정서표현양가성이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성별은 정서적 학대와 감정표현불능증 사이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낸 반면, 정서표현양가성과는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정서적 학대 경험이 감정표현불능증을 매개로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별에 따라 정서적 학대,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남자의 경우 정서적 학대와 신체화 사이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화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장정주,김정모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in term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s well 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international relations. Moreov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emotional expression was ident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 on expressiveness and 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condly, there was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upon emotional awareness, as well as ambivalence in regard to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본 연구는 정서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5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자각, 표현,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대인관계를 측정하여 각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각 척도들간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표현과 대인관관계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정서자각, 표현 그리고 대인관계와 정서표현의 양가성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정서자각, 표현, 정서표현의 양가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 본 결과, 정서자각, 표현, 정서표현의 양가성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가장 높게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경로분석 결과 정서자각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을 매개로 하여 모형이 검증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결과 분석에서는 정서표현은 남자보다 여자가, 표현의 양가성은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그리고 성별의 차이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정서표현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박근아(Geun A Park),유금란(Kuml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총 7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정서표현 질문지,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를 시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을 알아보았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로움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하위요인은 정서표현성과 각각 상반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로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상담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내담자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돕거나, 정서를 표현하도록 돕는 등 정서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Methods A sample of 70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O),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but sub-factors showed opposit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but the sub-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el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s intervention in emotional expression is necessary, such as helping clients who us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us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r to express emotions in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