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의 점술 비교 연구

        강승일(Kang, Seung-Il)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문명과 문화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종교적 현상이 점술(占術, divination)이다. 점술은 단순히 미래를 알고자 하는 개인적 호기심 차원이 아닌, 한 사회가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것은 무엇이며,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지, 신과 인간은 어떻게 소통하며, 신은 인간에게, 그리고 인간은 신에게 무엇을 해 줄 수 있으며,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관한 신념을 반영한다. 이러한 점에서 점술은 그 사회 구성원들의 종교 사상과 풍습, 세계관 등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논고는 점술을 중심으로 하여, 고대 근동, 특히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스라엘 사이에 나타나는 점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이스라엘의 종교관에 비추어 설명해 보고자 한다. 본 논고의 연구 결과는 이스라엘에서는 전문적인 점술 문헌이 집대성된 적이 없으며, 점술에 대한 적개심이 드러나고 있고, 고대 근동의 대표적 점술인 간신점이 시행되지 않았으며, 타 지역에서 나타나지 않는 고유한 점술 방식과 도구들이 있었으며, 마리의 예언과 비교했을 때 이스라엘의 예언은 사회 지도층의 윤리적 문제에 매우 민감했던 특징들을 보여준다. 이스라엘 점술의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신을 주변 세계의 다신교적 신과 차별화시키려는 신학적 의도를 통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점술의 원리가 자신들의 신의 성품과 상충한다는 신념을 통하여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Divination refers to the art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future, or sometimes, present or past events. It is found in all civilizations, both ancient and modern. Divination reflects a society’s fear, expectations, communications and relations with the divine. Thus, it may demonstrate peculiar features of religion, world-view, and cultural traits of a society. Therefore, this essays takes up the subject of divination as a marker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ncient Near East and Israel in their divinatory practice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differences: (1) a complete series of documents of divination was never compiled in Israel, (2) the Hebrew Bible exhibits a strong condemnation of divination, (3) the traces of extispicy are not found in Israel, (4) the Israelites had their own divinatory tools, and (5) the Israelite prophecy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prophecy in Mary. These differences are explained in two ways: (1) the Israelites tried to distinguish their God from other gods of neighboring cultures, and (2) the character of the God of Israel simply does not accord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divination.

      • KCI등재

        조선전기 국왕의 점술 맹인 활용과 그 의의

        최선혜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전기 국왕이 점술 맹인을 활용한 정치적 사회적 목적과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국왕은 권력의 가장 정점에서 유교에 따라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펴는 사람이며, 맹인은 지극히 소외된 소수자로서 주로 점술로 삶을 영위하는 구휼과 자비의 대상이었다. 이 양 극단에 있던 사람이 점술을 매개로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그 관계는 전적으로 국왕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 조선시대에 유교는 국왕과 관료를 중심으로 조직된 정치 질서의 동반자이면서 동시에 초자연적인 질서와도 연결되는 이념이었다. 따라서 유교적 의식은 개인의 신앙을 표현하는 의례로서의 성격을 넘어 매우 공적이고 정치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이에 무당이나 승려는 국가의 공적인 의식에서 밀려났으며 그 소외의 정도는 점점 심해져 갔다. 점술인은 이와 다른 처지였다. 무당과 승려는 ‘司祭’로서의 역할을 가진 종교인이었던 것에 비해, 점술 맹인은 사제로서 의뢰자와 더불어 특정 종교의 의식을 함께 행하거나, 점술을 매개로 공동체를 형성·강화하는 성격은 약하였다. 이에 점술 맹인은 검교직 등을 지니고 국왕 가까이에서 점술인으로서 활동하였다. 국왕이 점술인을 활용한 까닭은 첫째 운명론과 관련하여서이다. 태조에게 새 왕조의 창업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된 논리는 물론 유교의 天命論이었다. 천명은 天子로 자처하는 帝, 王에게 天이 내리는 명령으로서 백성을 다스리는 소임과 권한을 의미하고, 일반인에게는 주어진 運命이나 本性을 뜻한다. 이 점에서 제왕이 받은 하늘의 명은 이른바 ‘天命’이면서 그의 ‘運命’이기도 하다. 점술인은 이 운명을 점치는 사람이었다. 점술인이 왕의 운명을 占으로 논하는 것은 왕의 천명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답을 주는 운명 내지 팔자론을 통해 왕으로서의 명을 받았음을 내세우는 일은 정치적으로 매우 효과적이었다. 둘째, 가뭄이라는 天譴을 벗어나는 기우제와 관련하여서이다. 가뭄에 대한 시종일관한 논리는 군주에 대한 하늘의 견책이었다. 가뭄 해소를 위해서 군주는 더욱 삼가고 조심하여 하늘의 꾸짖음 앞에 근신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왕으로서는 빈번하게 일어나는 한재를 당하여 근신하는 자세를 보이며 관료의 질책을 온전히 감당하는 것은 큰 부담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기우와 관련한 각종 행사를 정성스레 치르도록 관심과 후원을 보이며 이 부담을 덜고자 하였다. 이러한 필요 속에 국왕은 관료들의 부정적인 입장에도 불구하고 맹인을 내세운 기우제를 내내 시행하였다. 맹인이 왕명에 의해 비를 비는 것은 국왕이 맹인을 통해 비를 주관하는 천신에게 기원하는 일이다. 국왕은 점술 맹인을 가까이에 두고 가뭄을 이유로 군주를 압박하는 관료의 입김을 약화시켰던 것이다. 셋째, 왕실의 혼사와 관련하여서이다. 왕은 점술 맹인에게 직접 명을 내려 당대 왕실과 혼인을 맺을만한 집안을 방문하여 해당자의 八字를 점쳐 올리게 하였다. 왕실의 배우자를 결정하는데 점술 맹인이 올린 팔자는 혼사의 가부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였다. 점술의 결과에 따라 그 혼사가 좌우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국왕이 이처럼 점술인을 활용한 배경은 국왕이 가장 의식해야 하는 사대부 역시 일상적인 삶에서 점술에 매우 가까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ed a light on the use of blind fortunetellers by the kings of early Chosŏn from a political and sociological aspect. In Chosŏn, the king was a person of the highest authority who's duty was to govern the people, while the blind were an isolated minority, The blind were objects of social relief and mercy. Though they were of most opposite polarities in Chosŏn society, the two groups maintained a relationship by means of divination and oracle of the blind fortunetellers, This particular relationship was entirely by the need of the king. In Chosŏn, Confucianism was a political partner of the sociological order of kings and aristocrats, and it was also a philosophy regarding supernatural order. Thus Confucianistic rites evolved from a personal representation of faith into a ritual of national and political importance. Hence, shamans and monks were gradually excluded from the rituals of national importance. This degree of exclusion only increased as time passed. A blind fortuneteller was not a priest(司祭), unlike a shaman or a monk. Also, blind fortunetellers were not performers of certain rites and they also did not form any communities regarding any religious rituals. There are many reasons why a king would want to make use of a seer. First of all, it was because of the theory of destiny, which was a Confucianistic idea. For Taejo(太祖) it was very important to assure justness as a founder of a whole new dynasty, Chosŏn. In order to do this, the most importantly discussed theory was the theory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論). The mandate of Heaven(天命) means a mandate(運命), that the Heaven have given to the king, who was supposedly the son of Heaven, For the king, this mandate, contained the right and duty to govern the people. While to the average person, it meant destiny(運命). A blind fortuneteller was a person who tried to see into this same fate. Thus, envoking the authority of this theory of destiny(運命論), which was from Heaven, gave an assured answer to the justness of the king. Second, it regarded a ritual for rain(祈雨祭), which was a means of escaping Heaven's rebuke(天譴). Heaven's rebuke, another Confucianistic idea, was often regarded as prolonged drought. The opinion theorized about drought was that it was a punishment, or rebuke, of Heaven to the king. To solve the drought, it was emphasized that a king had to be penitent in front of the Heaven's mandate. For a king, it was a great burden to endure the lashes of the aristocrats. For many aristocrats did seek to admonish the king of the consistent droughts. Thus, the king wished to resolve his burden by supporting and taking an interest in various ceremonies regarding a ritual for rain. In need to do this, the king continuously conducted a ritual for rain's led by the blind fortunetellers. When a blind fortuneteller prayed for rain in the name of the king, it was in actuality the king praying via the blind fortuneteller for rain, to the god of the skies. By conducting such well-organized and high-class rituals, the king resolved the anger and admonishment of his aristocrats. Also, he could lessen his burden as one who is governed by Heaven's mandate. Thus when a king kept the blind seer close to him, he could lessen the criticism regarding droughts, of his royal courts. Third, it was because of the royal matrimonies. When a royal matrimony was planned, the kings of Chosŏn directly commanded the blind fortuneteller to visit the family which was to be married with the king's family. Then the blind fortuneteller would take a fate(八字) of candidates, and report it to the king. This report of the blind fortuneteller was a very important source for the king to decide if the marriage was to go through or not. It was because the results of the fate could even affect the state of the marriage itself. The kings of Chosŏn had to always be aware of the literates. In using the fortunetellers, the ...

      • KCI등재

        “씌어지지 않은 것을 읽기”: 점술의 사유와 이미지 사유

        최화선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In the Mnemosyne Atlas, on which German art historian Aby Warburg was working until his death in 1929, nearly a thousand images of human history are arranged side by side across time and space. The first panel of this work unexpectedly shows images used in ancient Babylonian and Etruscan divination. These images insinuate that both religious thinking and artistic production started when human beings, who are situated somewhere between upward sidereal and downward visceral, began to apprehend the “intimate and secret relations of things, correspondences and analogies” among dissimilar things in the world. However, in the discussion of Warburg’s image science, his interest in divination and human imagination that connects the most disparate things together has been treated as suspicious or pseudo-religious. Apart from the lively discussions on the image-thought opened up by the Mnemosyne Atlas, Warburg’s interest in ancient divinatio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This lack of attention is related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divination based on the ambiguity of the divisions of religion / divination / magic, the prejudices against divination, the political use of divination in many examples of ancient history, and the dichotomy of reason and irrationality. In recent years, attempts to explore divination-thought in a new way have been undertaken in several areas. In this essay, I examine divination-thought while focusing on the imagination of religion and the arts, especially with the helpful insights of French art historian Georges Didihuberman. With examples from the clay model of a sheep’sliver in ancient Babylonian divination and the Etruscan “Piacenza's liver,” the discussions about divination in Plato, and the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 Youngzoo Im, I offer another montage of divination-thought and imagethought which cuts across time, space, and discipline via imagination and intuition. 독일의 미술사가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가 1929년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작업하고 있던 <이미지아틀라스 므네모쉬네(이하 <므네모쉬네>)>에는 1000장에 가까운, 인류 역사의 수많은 이미지들이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이미지를 통한 사유’라는 바르부르크의 독특한 관심사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이 작업의 첫번째 패널에는 뜻밖에도 고대 바빌로니아와 에트루리아의 점술판이 등장한다. <므네모쉬네>를 시작하는 이미지들은, 하늘의 별과 동물의 내장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 인간이 이질적인 외부세계의 실재들 사이에서 무엇인가 “친밀하고 비밀스러운 상응관계, 유비관계”를 포착하는 순간 종교적 사유와 예술적 행위가 시작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바르부르크의 이미지 사유에 대한 논의와 여기서 감지되는 인간의 상상력및 상상력을 통한 지식에 대한 진지한 논의 안에서도 점술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거나, 혹은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다뤄졌다. 점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종교/점술/주술 구분의 모호함 및 이로 인한 편견들, 고대사의 많은 예들에서 드러나는 점술의 정치적 이용, 서양 고대 점술론을 검토할 때 흔히 적용되는 이성과 비이성의 이분법적 맥락에서 기인한다. 최근에 와서는 기존 점술 논의의 틀에서 벗어나, 점술의 사유를 새로운 방식으로고찰해보려는 노력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의식하며 이글에서는 종교와 예술을 가로지르는 상상력을 중심에 놓고 점술의 사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므네모쉬네> 속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의 양의 간, 에트루리아인들의 소위 ‘피아첸차의 간’ 모형에서부터, 플라톤과 키케로의 점술에 대한 논의, 그리고 한국의 동시대아티스트 임영주의 작품까지 아우르는 이 글은 이질적인 시대와 지역, 분야를 넘나드는상상력과 직관에 의한 또다른 점술적 사유, 이미지 사유의 몽타주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詩經』에 나타난 占術文化 연구

        신성수 ( Sung Soo Sh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3

        점술문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사회의 문화적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인 『詩經』을 통하여 고대 중국인의 점술문화를 살펴보았다. 『시경』속에 담겨 있는 점술문화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시경』에 나타난 점술유형과 『周禮』에 기술된 점술유형을 볼 때, 占卜과 占筮 그리고 占夢이 고대 점술문화의 원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周易』筮法과 관련하여 .蓍의 재료가 되는 蓍草가 당시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占은 인간의 실존적 삶의 과정에서 펼쳐지는 극한 상황에서 인간으로서의 선한 召命을 받고자 하는 간절한 의도에서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지나치게 남용되는 점술로 인한 폐단을 지적하는 내용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시경』에서는 占星과 관련한 내용은 단 한 군데에 불과했다. 다섯째, 고대사회에 都邑을 정하거나 옮기기 전에 반드시 거북점을 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첨단 과학문명으로 치닫고 있는 현대사회에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점술문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대와 문명이 달라져도 인간에 내재된 보편적 정서는 달라지지 않는다. 현대인의 생활이나 정서 속에는 고대로부터 형성된 점술문화의 근원적 양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경』속의 점술문화와 정서는 지금 이 시대에도 현대인의 실존적 삶 속에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In both East and West, divination was one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societies. This paper, explores the divination culture of the ancient China as it is reflected in the Book of Odes(詩經). The Book of Odes is one of the oldest Eastern classics, in which the divination culture of the ancient times has been kept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vination by baked tortoiseshells(占卜), divination by plant sticks(占筮) and divination by dreams(占夢) of ancient divination type was the prototype of the divination culture. Second, divination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a solution for the human existential predicament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life. However, there also happened to be excessive use of divination that aggravated the life of the divination seekers. Third, in the ancient times, divination by baked tortoiseshells (占卜) was also used when the capital city was moved. In modern society, either in East or in West, divination culture is still present. In spite of differences in age and culture, human emotions which are universal do not change radically. Modern life and the emotions, ultimately deriving from the ancient culture, is still pervaded by the desire to know in advance about the future. Divination culture and sentiment in the Book of Odes, even in the age of modern existence, is still effective to illuminate the desire of the human mind for divination.

      • KCI등재

        『주역(周易)』 점서(占筮)에 대한 원시 점술 문화적 고찰

        신정원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2 泰東古典硏究 Vol.49 No.-

        This thesis studies about divinatory statements in Zhōuyì(周易). First of all, it introduces ‘mythical thinkings’ and explains them in association with ‘divination’ and ‘play’. Both of them survived primitive culture and permeated into modern lives. For human beings in ancient, divination was used to explain uncomprehensible and fearful phenomena and applied to every matters to prepare for the future. Divination was also a kind of play to bet for uncertainty. This thesis studies divination of Zhōuyì as a survived primitive culture through long scientific transition. Human being made Zhōuyì with the symbolic signs of yin and yang yao(爻) and composed them for 8 Guà(卦). The 384 yao were applied to human lives with divination. Specific phenomena were conceptualized as a sign system, and divination was developed into a character system called gua and yao statements, so that people could prepare for everything in the universe, natural phenomena, and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ivination in primitive culture and to find the value of human histor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Zhōuyì divination. 이 논문은 원시 문화로서의 『주역』 점서(占筮)를 연구한 것이다. 먼저 원시 문화의 신화적 사고를 소개하고 그것을 점술과 놀이의 측면에서 논하였다. 놀이를 점술과 함께 고찰한 이유는 두 가지가 모두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잔존하여 일상에 스며든 원시 문화의 부류로 이 논문이 연구하고자 한 『주역』 점서(占筮)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고대로부터 점술은 불가해하고 두려운 현상에 처해 인류가 점을 쳐서 결과를 묻고 그것으로 일상의 대소사에 적용하여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역』은 고대 인류가 자연의 현상과 변화를 음효(⚋)와 양효(⚊)라는 두 개의 기본 부호, 그 조합으로 만들어진 팔괘와 64 중괘 그리고 384효로 나타내어 만물의 실정을 살피고 인간의 일에 적용하여 점을 친 저작이다. 구체적 현상을 부호체계로 개념화하였고 점사를 괘⋅효사라는 문자체계로 발전시켜 사람들로 하여금 우주 만물과 자연현상 그리고 그 변화에 대비하도록 한 것이 『주역』의 발전사이다. 이 논문은 원시 문화의 신화적 사고를 고찰하여 점술에 ‘불확실한 것에 대해 내기를 거는’ 일종의 게임과 같은 측면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것을 『주역』의 점서 내용과 비교하였다. 『주역』의 점친 사례와 점서가 발전해온 흔적을 토대로 원시 문화에서 점을 친 행위의 고유한 특성과 의의를 알아보고 인문학적 가치를 찾아 나선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신소설 『광야』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광야』와 『숨은보배』의 비교를 통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신앙을 중심으로

        류진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1

        이 논문은 신소설 『광야』(1912, 유일서관)에 나타난 실존 인물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삶과 기독교 사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백사겸(1860-1940)의 신앙 일대기 『숨은보배』(1938, 동양선교회 성결교회 출판부)와의 비교를 통해, 『광야』에 나타나는 백사겸의 회심과 실천적 신앙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신소설 『광야』의 문학적 형상화와 기독교사상을 분석하여, 기독교 소설로서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백사겸은 초기 한국 기독교계의 맹인 전도사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백사겸은 민중 전도사 또는 조선의 삭개오라는 별칭이 있다. 백사겸의 일대기는 1938년 박소천에 의해 『숨은보배』라는 ‘신앙전기’로 발간되었다. 『숨은보배』 속의 개성중부교회 이종필 목사의 ‘추천사’에 따르면, 이미 팔십 고령에 이른 백사겸은 1897년 회심 후 사십여 년을 한결같이 신앙생활을 하였고 한국 초기 기독교 신앙을 보여주는 믿음의 선배였다. 백사겸에 관한 일대기 『숨은보배』가 발행되기 26년 전, 신소설 『광야』(유일서관, 1912)가 출판되었다. 신소설 『광야』는 ‘박장님’이라는 맹인 점술가가 기독교로 회심하여 전도인이 된 사건을 서사화 한다. 지금까지 신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연구는 선진문명의 사상적 배경 또는 문명 기호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기독교적 회심과 실천을 주제로 하는 신소설 『광야』는 주목받지 못했으며, 신소설 『광야』와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관련성 역시 조명된 바 없다. 『숨은보배』와 『광야』는 각 주인공인 ‘백장님’과 ‘박장님’이 맹인 점술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기독교인으로 회심한 후 전도인으로 헌신하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었다는 서사이다. 신앙 전기 『숨은보배』는 백사겸의 탄생과 불우한 어린 시절, 점술가로서의 수학과 성공, 성공으로 인한 죄책감과 회심, 전도사로서 헌신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며, 탄생, 고난, 극복, 회심, 행복에 이르는 일대기의 서사 구조를 취하고 있다. 반면 신소설 『광야』는 박장님의 가난한 삶과 부인과의 이별, 점술가로서의 성공과 부인과의 재회, 부로 인한 타락과 발병, 회심과 실천적 삶, 전도사로서 헌신이 순차적으로 서사화된다. 숨은보배 의 서사와 비교해 볼 때, 『광야』는 박장님의 탄생과 불우한 어린 시절에 관한 내용이 생략되고 남녀이합의 서사가 가미되어 재구성된다. 신소설 『광야』에서 1. 박장님이 회심후 점술로 얻은 재물을 강도를 통해 처분하였다거나 2. 부인에게 합의 이혼하자고 권한 것, 3. 전도인으로 헌신한 삶과 가족들이 구원받고 자녀들이 훌륭하게 성장한 사건 등은 신소설 장르에 나타나는 일반적 제재와 거리가 있으면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신앙 일화와 매우 유사하다. 즉 신소설 광야』의 내용은 실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삶을 참고로 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서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신소설 『광야』는 백사겸을 모델로 하여 그 삶을 소설로 재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신소설 『광야』는 기독교인의 삶을 소설화함으로써 기독교 사상을 전파하는 기독교 소설로 볼 수 있다. 특히 『광야』에서 언급하는 우상숭배와 축첩 금지의 문제의식은 한국 초기 기독교계에서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기독교의 감화력을 기반으로 한 윤리적 삶과 가족구원은 기독교 사상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선교사들 ... This paper looked at Christian thought in the new novel “KwangYa”(1912, YullSeoGwan), focusing the life of Baek Sa-kyum. Through a comparison with “SumeunBobae”(1938,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the Oriental Church Integrity Church), Baek Sa-kyum's religious life story, was confirmed in “KwangYa”, especially his repentance and practical faith. In addition, the author analyzed the literary imagery and Christian thought of the new novel, “KwangYa”, to establish its significance as a Christian novel. Baek Sa-kyum is known as a blind evangelist in early Korean Christianity. Baek Sa-kyum is also nicknamed a folk preacher or a Joseon sakgaeo. Baek Sa-kyum's biographies were published in 1938 as a book published by Park So-cheon, called “SumeunBobae”. According to “Recommendation” by Lee Jong-pil, a pastor of the Kaesong Middle Eastern Church in “SumeunBobae”, Baek Sa-kyum, who was already at the age of 80 years, had been a steady believer for more than 40 years since 1897 and was a senior member of faith in Korea's early Christian faith. Twenty-six years before the publication of “SumeunBobae”, a life story about Baek Sa-kyum, was published, the new novel “KwangYa” in which a blind fortuneteller named Park became a evangelist and missionary. Until now, the research of Christian thought in the new novel tended to revolve arou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advanced civilization or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civilization. Therefore, the new novel “KwangYa” which focuses on individual Christian repentance and practice, was not noticed, and the relevance to the new novel “KwangYa” and “Baek Sa-kyum” a blind evangelist, was never revealed. “SumeunBobae” and “KwangYa” each had the story of the great success as a blind fortuneteller, but after they became Christian, they devoted themselves as preachers and formed a harmonious family. The religious biography “SumeunBobae” is a life-long epic structure that leads to the birth, hardship, overcoming, practice and success as a fortuneteller, guilt and remorse for success, and repentance and dedication as a preacher. On the other hand, the new novel “KwangYa” is written sequentially as Park's poor life, separation from his wife, success as a fortuneteller and reunion with his wife, corruption and disease due to wealth, remorse and practical life, and dedication as a preacher. Compared to Baek Sa-kyum's epic, “KwangYa” is reconstructed by omission of Park's birth and his unhappy childhood, and the addition of parting and reunion of man to woman. In the new novel, “KwangYa”, a hero has disposed of the fortune gained by fortune-telling through robbery after the reincarnation, recommended to divorce to his wife after the diposition of the fortune, and finally his all family was saved and their children grew up wonderfully, which are similar to the life of Baek Sa-kyum, but are also far from the general materials that appear in the genre of the new novel. In other words, the content of the new novel, “KwangYa” cannot be written without reference to the life of Baek Sa-kyum, a blind missionar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ew novel, “KwangYa”, is a re-creation, based on Baek Sa-kyum's christian life. Furthermore, the new novel, “KwangYa”, can be seen as a Christian novel that propagates Christian thought by fictionalizing Christian life. In particular,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idolatry and concubinage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early Christian circles in Korea, and ethical life and family salvation based on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were also missionary strategies to effectively spread Christian ideas. The new novel, “KwangYa” is a novel about a real-life story of a Joseon Christian who believes in God and lives a changed life, reflecting the aspects and realities of the indigenousization of Christianity that permeated the daily lives of the Joseon people. The enlightenment novel, ...

      • KCI등재

        우림과 둠밈, 에봇, 그리고 언약궤 - 제사장의 점술 도구들

        강승일 한국구약학회 2012 구약논단 Vol.18 No.2

        The Urim and Thummim were sanctioned as the official means of divination in ancient Israel. Whereas many studies have delved into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Urim and Thummim,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studies on the possibility that other tools of the priests were used in divination. This essay argues that the Ephod and the Ark of the Covenant along with Urim and Thummim once functioned as tools for priestly divination in the early history of ancient Israel. It is worth noting that Deuteronomy and the Priestly source remain silent on the divinatory function of the Ephod and the Ark. It is suggested that the Ephod was originally a garment for the cult images of the divine used in divination, but later reduced as one of the priestly garments due to the aniconic tendency of normative Yahwism. In a similar fashion, the Ark of the Covenant became simply an wooden receptacle in which the tablets of the covenant were kept. We do not know for sure how these divinatory tools were used. It appears that the Urim and Thummim were used to determine one's culpability. As for the use of the Ark in divination, the earlier strata clearly show that the Ark was once a war oracle. It is more difficult to articulate the way the Ephod played a role in divination. Chances are that the divination through the Ephod was employed in some general questions that can be answered ‘yes’ or ‘no.’ 이 논문은 구약성경의 증거들을 바탕으로 우림과 둠밈뿐만 아니라, 에봇과 언약궤도 이스라엘 역사의 초기에 제사장의 점술 도구들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저자는 각 점술 도구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구약성경의 일부 자료층에서 에봇과 언약궤의 점술적 기능이 사라지게 된 배경과 신학적 이유가 무엇인지 밝힌다.

      • KCI등재

        유득공 『경도잡진』 윷점의 역철학적(易哲學的) 해석

        임채우 ( Chae Woo L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57 No.-

        Stewart Culin은 윷의 본래 목적이 점술(占術)에 있으며 고대의 종교사상과 심 오한 철학이 담가있다고 갈파한 바 있다. 다시 말해 우리의 윷은 단순한 민속놀이에 그치는 것은 아니라, 본질적으로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점의 성격이 내재되어 있으며 심오한 철학 과 역사가 결합되어 있다. 18세기말에 활동했던 류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誌)』 에서는 윷과 그 점법에 관한 체계적인 기록을 남기고 있어서, Stewart Culin이 말한 윷의 본질로서의 점술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경도잡지』 에 수록된 윷점을 주역 철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갈과 윷점은 주역의 64卦와 결 합한 점사(占辭)를 독자적으로 체계화하고 있으며. 중국과 관계없이 우리나라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하나의 민문(民問)역 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이외에도 원래 윷점은 원단(元丹)에 한 해의 풍흉을 점치던 민족 고유의 점법 이었지만, 『경도잡지』 의 윷점에서는 개인의 1년 신수점을 보는 것으로 변 화되어 있음을 분석·고찰하였다. 또한 윷점사를 분석해보면 윷이 조선시대에 돌아 와서 폐(閉)동으로 들어 가면서 접사에 도 여성주의적 관점이 개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윷점은 그 점치는 시기나 방법등에 우리 민족 고유의 점법이 간직되어 있으며, 그 점사의 내용은 민간에서 길흉을 점치는 점서라고 할 수 있다. 결론 적으로 『경도잡지』 에 실린 64괘 윷점 은 우리 고유의 윷점 에 주역 의 64괘를 결합시켜 만들어낸 우리나라의 독자적 인 민문(民問)역학라고 평가할 수 있다. Stewart Culin once argued that Yut was made for fortunetelling and had the religious idea and profound philosophy of the ancient. In other words, Yut was not just a folk game, and the fortune telling of the ancient indwelled it. In addition, a profound history and philosophy were combined in it. Due to the systematic data about Yut and fortunetelling from KyungDoJapji of the Yu Deuk-gong, who liv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is book can be an invaluable material in studying this essence of Yut. In this article, we analyzed Yut-divination recorded in KyungDoJapJi according to the view of 1-Ching philosophy. The analysis showed us that the Yut-divination of Korea systematized a unique method of interpreting hexagrams that adopted 64 hexagrams of 1-Ching, which is one of many indigenous folk-theories. In addition, Yut-divination was the endemic fortunetelling method of Korea that was utilized to determine whether one would have a good harvest or not on the first day of the year; by extension, it was used in order to know whether one would have a good year or not (shinsoojom) in KyungDoJapji. Furthermore, as women got to play Yut in the joseon Dynasty the hexagrams of Yut ended up taking a feministic view, Yut-divination inherited the unique fortunetelling techniques of our nation, for instance when and how to do something, and the hexagrams of Yut-divination are what folks utilized to tell one`s fortune, in conclusion, the 64 hexagrams of KyungDoJapJi are the indigenous folk theory of Korea that adopted the 64 hexagrams of 1-Ching philosophy in Yut-divination.

      • KCI등재후보

        특별 기고 : 동양육임학(東洋六壬學)과 서양점성학(西洋占星學)의 비교 연구 -육임학(六壬學)의 십이월장(十二月將)과 서양점성학(西洋占星學)의 십이궁(十二宮)(12sign)을 중심으로-

        강은순 ( Eun Soon Kang ),임동호 ( Dong Ho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3 No.-

        본고에서는 동양의 육임학(六壬學)과 서양의 점성학(占星學)이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비교ㆍ분석 하고자 한다. 동양의 육임학과 서양의 대표적인 점성술인 점성학은 발생한 근원지가 지리적, 환경적 요소와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으며, 발생 시점 또한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두 점술학의 공통된 특징은 우주의 運氣가 일정 時點에서 특정한 기운(氣運)으로 天ㆍ地ㆍ人事에 관여하여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하는 學文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미루어 추측하면 이 두 學文의 발생 時點ㆍ地點과는 상관없이 어느 경로를 통하여 상호간 혹은 일방적인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文獻에 따르면 서양의 점성학은 인도(印度)를 경유하여 중국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그 후에 여러 占星學과 관련된 文獻이 번역되어 출간되었으며, 東洋의 占星學에 영향을 미쳤다. 中國占星學의 경우 陰陽說 혹은 五行說의 발생에 관하여 모두 과학과 결부시켰다. 동ㆍ서양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양(陰陽), 오행(五行), 일월(日月)의 관련성으로 연관하여 보면 동양의 占術學과 관련된 학문이 서양의 占星學과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유추하여 볼 수 있다. 서양의 占星學이 中國에 전래되어 발전한 대표적인 學文이 『七政四餘』 (五星學으로도 명칭된다. 七政은 해,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일곱 개의 실성(實星)을 가리키며, 四餘는 나후, 계도, 자기, 월패의 네 虛星을 말함)이다. 『七政四餘』는 中國의 역법(曆法), 운명학(運命學) 체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東西洋의 運命學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이론적 배경이 되는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tr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yulim and the western astrology which is any relations. The oriental yukim and the western astrology is quite apart of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 originating the occurrence also it is not clear to occur a point of time. A common feature of these two arts of divination study can be said the prosecution of studies to judge good, ill luck, weal and woe with participating Chon, Gi, Insa from specific the Giun to a fixed point of time for the Giun of the universe. It was guess which of these two studies suggest that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Regardless of the route pointed via which mutually unilateral or likely to receive influence. According to the records, western astrology is conveyed to China via India. After that, Several Astrology with related to literature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t was affected the astrology of Orient. The astrology of China was associated science together about originating the theory of Yin and Yang or the five elements. It was connected with association of Yin and Yang or the five elements or the sun and the moon appearing east and wast commonly. Also, studies related to the astrology of Orient can be seen by analogy which Western astrology have been closely related. Chinese astrology is brought to the West to develop which representative learning was named Chiljeong sayeo. Chiljeong(viz, the truth star) pointed the sun, the moon, the mercury, the venus, the mars, the jupiter, and the seven saturn. Also Sayeo(viz, the untruth star) pointed the nahu, gyedo, jagi and Wolpae. Chiljeongsayeo assumed to attain the great affect for system which was the calender and destiny learning of China. As such the East and the West looked at the relevance of the destiny learning th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elucidated in more detail the principles.

      • KCI등재

        한국사회의 예언문화로서 타로 4원소의 ‘바람[風]’과 명리학 오행의 ‘목(木)’의 비교

        김태희 ( Kim Taehee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타로 4원소와 명리학 오행은 그 발전 과정이 비슷하다. 그리고 타로 4원소의 ‘바람[風]’과 명리학 오행의 ‘목(木)’도 둘 다 생명력을 띤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현재까지는 자연의 순환을 통해서 4원소와 오행이 결정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운명이 정해져있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바람[風]’과 ‘목(木)’이 똑같은 원소에 뿌리로 두고 있다면 그 사상을 이해하는 게 보다 수월하다. 이에 따라 타로 4원소 중 ‘바람[風]’과 명리학 오행의 ‘목(木)’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바람[風]’과 ‘목(木)’이 생명체라는 것을 통해 결국 점술(占術)은 인간의 삶의 주체성을 갖고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람[風]’과 ‘목(木)’의 유사점은 크게 10가지로 정리할 수 있고, 차이점은 크게 8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대체로 유사점은 원소 그 자체의 고유의 특질이라면, 차이점은 원소를 보면서 느끼는 감정이나 관념이 많다. 이러한 점에서 ‘바람[風]’과 ‘목(木)’은 서로 비슷한 특질이나 상태를 보고 만들어졌다가 점점 분화되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명리학에서 오행이 존재하기 전에 사시(四時)라는 개념이 있었는데, 이 사시가 타로의 4원소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비교 연구해 본다면 동서양의 예언문화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Four elements of Tarot and the Five elements of Myeongli Science are similar. And the ‘Wind’ of the Four elements of Tarot and the ‘Tree’ of the Five elements of Myeongli Science are common in the point that they both have a life force. Through the fact that the ‘Wind’ and the ‘Tree’ are lives, finally I could know that the divination was the science developed for a human to have a identity of life and pioneer the destiny. The similarity between the ‘Wind’ and the ‘Tree’ could be classified largely as 1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could be as 8. If the similarity are mostly the innate characteristic of the elements themselves, many of the difference are the emotions or thoughts gained while watching these elements. In this point, it is presumed that the ‘Wind’ and the ‘Tree’ were developed based on similar characteristics or states and then gradually divided. And there was a concept of the four times before the existence of the Five elements in Myeongli Science, if we compare and study what similarity and difference this four times has with the Four elements of Tarot, it could contribute much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phecy culture of the art of divination in the East and the 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