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70년, 한국 기독교의 권력유착 사례와 그 성격

        윤경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4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성찰과 반성’이라는 큰 주제 아래 “분단 70년, 한국 기독교의 권력유착 사례와 그 성격”을 논구한 글이다. ‘분단 70년’을 고려할 때 2015년까지 다루어야 했으나 이 연구대상 시기는 해방 이후 미군정기(1945-1948), 이승만 집권기(1948-1960), 박정희 군사집권기(1960-1971) 그리고 유신 독재기(1972-1979)까지 한국교회와 정권유착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와 그 성격을 다루는데 그쳤다. 첫째, 미군정기 권력유착과 한국 기독교 특히 교회문제는 적산불하(敵産拂下), 곧 패전한 일본의 한국 내 재산처분을 미군정이 처리하는 과정에서 한국교회가 받은 특혜를 중심으로 천착했다. 둘째, 이승만 정권하에서의 권력유착 문제는 그 정권이 ‘기독교 정권’이라 할 만큼 여러 특혜를 받은 구체적 사례를 적시했다. 반공이념을 국시로 내세우면서 상대적으로 친기독교적 정책을 펼친 이승만 정권에서 진행된, 예컨대 종교인들에 대한 각종면세 혜택을 비롯해 군대와 형무소 안에 실시한 군종제(軍宗制)와 형목제(刑牧制) 등을 비롯해 일요일과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정한 것과 공영방송을 통한 기독교 선교방송 허용, 기독교방송국 설립 허가, 그리고 국가의 주요 행사를 기독교적으로 실시한 것 등등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박정희 군사정권 하의 권력유착관계를 좀 더 천착해 구명했다. 먼저 군사정권 초기의 기독교계 추이를 돌아보며 베트남 파병과 군목파견에 따른 정권유착과 대통령조찬기도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권력유착관계, 전국신자화운동 등을 추진하면서 권력과 한국교회 특히 교회지도력과의 권력유착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신독재기 권력유착 사례를 이 시기 진행된 초대형 전도집회와 이러한 초대형 집회를 가능하게 한 물적 토대(物的土臺) 제공자 역할을 한 기독실업인회에 대해 구명했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 해방 이후 한국교회와 기독교계는 종교적 전도와 선교를 내세웠지만 매우 정치적이었으며 권력과 유착한 정치집단의 성격이 강하였음을 부인하기 어렵게 되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해방 이후 지난 70년간의 한국교회와 기독교는 교세로는 매우 크게 성장 발전했다 할 수 있으나 본래 기독교 복음정신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세속적이었다는 자기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하겠다. 특히 개신교의 탄생을 가능하게 한 루터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2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한국 기독교계는 자기성찰과 반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writing that reviews ‘Seventy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cases and nature of Korean Christianity’s adhesion to power’ under the big theme of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Korea Christianity.’ The period to 2015 should be dealt with when considering ‘Seventy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but this study only dealt with the specific cases and nature on the adhes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urch and regime in Regime of U. S. Army(1945-1948), Rhee Syng-man’s reign(1948-1960), Park Chung-hee’s military reign(1960-1971) and Yushin(Revitalizing Reform) dictatorship period(1972- 1979). First, adhesion of power during Regime of U.S. Army and Korean Christianity, especially the church problem was explored with a focus on enemy property transfer(敵産拂下), that is, special favors given to Korean Church in the proces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ndling defeated Japan's assets in Korea. Second, the power adhesion problem under Rhee Syng-man government pointed out specific cases of receiving many privileges enough to call the regime as ‘Christian regime’. We examined specific cases conducted in Rhee Syng-man government that carried out the relatively pro-Christian policies while presenting the anti-Communist ideology as a national policy, for example, designation of Sundays and Christmas as holidays including military chaplaincy and Prison chaplaincy implemented in the military and prisons including various exemptions for religious people and permission of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through public broadcasting, approval of establishment of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and Christian major events of the country. Third, power adhesion relations under the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were further explored. We first reviewed the trends of the Christian world in the early military regime and examined the specific cases on adhesion of regime caused by dispatch of armed forces to Vietnam and army chaplain dispatch, power adhesion relations with a focus on Presidential Prayer Breakfast and adhesion of power made between power and Korea Church, especially with church leadership while promoting national believers movement etc. Finally, power adhesion cases during the Yushin dictatorship period were examined for mass missionary meeting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and Christian Business Men’s Committee who played a role as a material foundation provider enabling these mass meetings. Through these case studies, it can be said to be difficult to deny that although asserting religious evangelism and mission, Korean Church and the Christian world after the liberation were very political and had the strong nature of political groups that adhered to pow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gregation of Korean Church and Christianity is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and grown very significantly for last 70 years after the liberation but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n being very worldly in the light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Christian gospel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of Korea Christianity can be said to be further required in a situation with two years ahead of the fiv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Lutheran Reformation that enabled the birth of Protestantism.

      • KCI등재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와의 관계

        서정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3

        한국기독교 수용자의 한 축을 이룬 인물이 이수정이다. 이수정의 기독교 수용은 한국 프로테스탄트 수용역사에 있어 지식인계층 수용의 중심축을 이룬다. 이로써 비교되기를 만주의 서상륜과 ‘로스성서’ 번역자들에 의한 수용 루트가 민중계층 수용의 특성을 지닌 것과 달리 일본을 기점으로 하는 기독교 수용은 ‘양반, 엘리트’ 수용의 특징으로 함축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렇듯 이수정은 한국 프로테스탄트역사에서 엘리트 수용자의 대표적 첫 당사자이다. 그동안 그의 연구는 개인의 생애, 활동, 미국선교사들의 한국선교 착수를 권고하는 선교사 유치 노력, 그리고 특별한 업적으로 성서번역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한국기독교 수용 역사에서 이수정의 위치를 충실히 정리해 주는 주제들이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이수정의 프로테스탄트 수용 활동의 바탕, 즉 ‘콘텍스트’가 되는 당시의 일본, 일본기독교, 그리고 이수정과 관련되었던 일본의 조력자들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기독교 수용역사에서 일본이 지닌 역할, 하나의 중요한 관계 축으로서의 의의를 확인하는 주제이다. 이수정은 한국기독교의 수용자일 뿐 아니라 한일기독교 관계사의 첫 사람이다. 그는 또한 한국 신구교의 연결 정체성을 지니기도 했다. 또한 미국선교사의 한국선교 유치를 주도하고, 첫 선교사들의 내한에 관여함으로 한미기독교의 중간자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결국 이수정은 서로 다른 주체 간의 관계를 성립시키는 사명을 다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의 관계, 더 나아가면 한일기독교의 초기 관계사의 관점에 유의했다. 이수정 시대의 한일 기독교, 물론 이 시기의 한국기독교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아무튼 긍정적 관계에서 출발했다. 일본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수정을 한 예로 만나면서 자신들의 선교자로서, 더 근본적으로는 크리스천으로서의 사명을 발견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 강제병합 전후 일본 여성 기독교인의 한국 인식: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와 일본YWCA를 중심으로

        가미야마 미나코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 본 논문은 한국 강제병합기(1894년 청일전쟁부터 1919년 3.1 독립운동 시기까지를 중심으로)에 있어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 그 중에서도 이 시기에 기독교를 배경으로 한 여성 단체로서 활동하고 있던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1886년 설립. 이하, 교풍회)와 일본 YWCA(1905년 설립. 이하, YWCA)에 소속된 여성들의 한국 인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양 단체의 기관지, 즉 교풍회가 발행한 「도쿄부인교풍잡지」(이후 「부인신보」)와 YWCA가 발행한 「메이지의 여자」(이후 수차례 개명 후 현재는 「YWCA」)에 게재된 한국 인식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한일 기독교사에 있어서의 여성 그리스도인을 통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하고, 두 단체에 있어서의 당시 기독교 이해 및 선교 이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청일·러일 전쟁 시기에는 ‘조선의 독립을 지원하는 일본’으로서의 모습을 연출하는데 일본의 기독교 여성들도 지원 활동을 전개했지만, 한국 강제병합기에 들어선 이후부터는 교풍회와 YWCA 모두가 공통되게 일본의 식민지하에 놓인 한국의 상황을 그대로 긍정하며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1919년의 3.1독립운동에 관해서는 한국에서 발생한 ‘소요사건’이라는 이해에 머물면서도, 한국인에 대해서 동정과 유감의 뜻을 나타내며 정치적 상황과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 가운데서 갈등하고 있음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교풍회가 YMCA보다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에 더욱 적극적인 협력의 태도를 보인다. 결국, 당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들은, 일본의 국책이라는 거대한 물결에 피동적으로 휩쓸려 가면서, 남성 그리스도인들 앞에서 스스로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지 못하고, 기독교 신앙과 일본의 제국주의의 양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망국조선’을 영적으로 각성시켜 구원의 길로 이끄는 손길로서의 선교 활동이 자진들에게 맡겨진 사명이라고 믿으며 그 역할을 잘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거기에는 한국인을 향한 동정이나 한국인 차별에 대한 반성을 재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기는 했지만, 식민지 지배 자체에 대한 비판적 견해나 고뇌, 갈등은 찾아볼 수 없다. 그 근저에는 뿌리 깊이 존재하는 한국인에 대한 일본인의 ‘우월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한국인에 대한 동정 심리나 반성적인 기사의 내용들도 그러한 우월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20세기 미국 종교지형과 기독교 역사학의 변화 : 통사를 중심으로

        류대영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4 No.-

        Changes in American Religion and the Historiography of American Christia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20세기 초 미국 기독교 역사학은 1920년대까지 미국 역사학계를 지배한 “과학적 역사학”과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 과학적 역사학의 경험주의적 전제들이 붕괴되면서 미국 기독교 역사학은 그 존재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시작했다. 1930년에 처음으로 현대적 의미의 미국 종교사/기독교사 통사가 출간된 이후 약 한 세대 동안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양의 연구가 축적되었다. 1960년대에 나온 통사들은 이런 집단적 연구의 결과물이었다. 1972년에 출간된 시드니 알스트롬의 통사는 그때까지 미국 기독교 역사에 대한 모든 연구를 총집결한 기념비적 저술이었다. 그러나 알스트롬의 통사까지의 미국 기독교 역사는 여전히 기독교를 미국의 종교와 동일시하고, 기독교 내에서도 개신교, 특히 주류 개신교를 중심으로 미국 기독교 역사를 이해하고 있었다. 1980년대 이후 미국의 종교지형은 급격하게 변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종교의 다원성과 여성주의의 등장이었다. 비기독교 전통의 나라들로부터 꾸준히 이민이 들어오고, 동양의 종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와 같은 비기독교 종교들이 급격하게 세력을 확장했다. 이와 아울러, 여성주의가 대두함에 따라 초대 기독교 시절부터 기독교의 실질적 주력이었던 여성의 독특한 목소리와 역사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일었다. 미국 종교사/기독교사 내에서 여성을 찾는 움직임은 1981년부터 5년에 걸쳐 발간된 “미국에서의 여성과 종교”라는 선구자적 저술을 통해 현실화되었다. 21세기 들어서도 20세기를 걸쳐 진행되던 종교적 변화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미국 기독교 역사학은 이와 같이 변화하는 종교지형에 처한 기독교의 모습을 관찰하기 위해 방법론적 혁신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 역사학계는 미국 기독교 역사학의 변화뿐 아니라, 미국 종교지형의 변화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5·16과 군사정권에 대한 일본 기독교계의 반응 -‘한국문제 그리스도자 긴급회의’ 결성까지(1961~1974)를 중심으로-

        이상훈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6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reaction of Japanese Christianity to the Park Jeonghee regime, and conjoint activities for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 from the May 16 military coup to January 1974, when the “Emergency Christian Conference on Korean Problems” was formed. It also pays attention to the factors that led Japanese Christianity to participate the conjoint activities at the time and the role of Koreans in Japan. Mainly using the historical resources of Japanese Christianity,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actions of Japanese Christianity shown immediately after the May 16 military coup, and how Japanese Christians’ perception toward colonial rule has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mutu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Secondly, dividing into two periods, one from the military coup to the beginning of the Yushin regime and the other after the Yushin regime, this study examines the reactions of Japanese Christianity to the Park regime and what kind of conjoint activities were with Korean Christianity at each period. Finally, before the Japanese Christianity joined to the Korean pro-democracy movement,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existence of Koreans in Japan and their appeals impacted on Christianity in Japan. The poin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y 16 military coup took place before any kind of mutual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hurches began, and it was also long before Japanese Christianity’s perception toward colonial rule was changing. In addition, the Japanese Christianity showed little response to major political movements before the Yushin regime, and under the Yushin regime, the announcement of “the Korean Christian faith declaration” and the arrest of Pastor Park Hyung-kyu led the start of Japanese Christianity’s conjoint with Korean Christianity.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colonial rule lied at the bottom of this conjoint activities.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conjoint movement for Democracy in Korea, it was the commitment for human rights of Koreans in Japan that made Japanese Christianity realize its responsibility for colonial rule and foster historical, concrete and responsible participation and conjoint. 본 연구의 목적은 5·16군사쿠데타에서부터 ‘한국문제 그리스도자 긴급회의’가 결성되는 1974년 1월까지의 사이에 일본 기독교계가 한국 민주화운동을 위해 벌인 연대활동 및 박정희 정권에 대한 반응을 한일 기독교 교류사의 측면에서 밝히는 것이다. 또한 당시 일본 기독교계가 연대활동으로 눈을 돌리게 하였던 요인 및 재일 코리안의 역할도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일본 기독교 측 자료를 사용하면서 우선 5·16군사쿠데타 직후 일본 기독교계의 반응을 살펴보고, 한일 기독교가 교류하게 되는 과정에서 일본 기독교인들이 과거 식민지 지배에 대해 어떻게 인식을 변화시켜 나갔는지 살펴본다. 이후 군사쿠데타에서부터 유신체제 이전까지의 시기와 유신체제가 시작된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 일본 기독교계가 박 정권에 대해 보인 반응과 한국 기독교와의 연대활동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일본 기독교계가 본격적으로 한국 민주화운동과 연대하기 이전에 재일 코리안의 존재와 호소가 일본 기독교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본다.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밝혀진 점들은 다음과 같다. 5·16군사쿠데타가 일어난 것은 한일 기독교 간의 교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이전이었고, 또한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일본 기독교계의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던 시기였다. 또한 유신체제 이전의 정치적 주요 움직임에 대해서 일본 기독교계는 거의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는데, 유신체제하에서의 「한국 그리스도인 신앙 선언」 발표와 박형규 목사 체포사건 등이 계기가 되어 한국 기독교와의 연대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대활동의 기저에는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의식이 깔려 있었다. 또한 한국 민주화운동과 연대운동을 펼치기 전 일본 기독교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게끔 하고, 역사적이며 구체적으로 책임 있게 참여 및 연대하는 모습을 기를 수 있던 배경에는 재일 코리안 인권문제에 대한 활동이 있었다.

      • KCI등재

        최근 한국사회의 안티기독교 운동과 기독교의 대응양상

        이진구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8 No.-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i-christianity movement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fast expansion of internet culture and the protestant church's aggressive evangelism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Anti-christianity movement. Anti-christians are producing a lot of discourses and images hostile to Christianity not only on the cyber space but on the street. The two important ideologies of anti-christianity movement are cultural nationalism and secular humanism. The former regards Korean christianity as religious flunkeyism which are short of nationalistic spirit. The latter criticize Korean christianity as blind religion which are lacking rational spirit. While the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es tend to counterattack against the anti-christianity movement, the progressive Protestants emphasize the necessity of self-reflection rather than counteraction. It seems that the best treatments for anti-christianity movement are to develop new kinds of christian nationalism and christian humanism. While new christian nationalism means the creation of a new theology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religions, new christian humanism implicates the formation of christian identity based on the liberty of conscience and rationality. 이 논문은 최근 한국교회를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는 안티기독교 운동의 등장배경과 활동양상, 주체 세력과 주요 이념, 그리고 한국교회의 대응양상을 검토하였다. 한국사회의 안티기독교 운동은 인터넷 문화의 급속한 보급과 안티운동의 유행, 그리고 개신교의 공격적 선교가 맞물리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현재 안티기독교 운동은 사이버공간을 무대로 하여 반기독교적 담론과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생산, 유포하고 있으며 오프라인을 통해서도 다양한 형태의 반기독교적 활동을 하고 있다. 안티기독교 운동의 핵심 이데올로기는 문화적 민족주의와 세속적 휴머니즘이다. 문화적 민족주의는 민족의 전통을 강조하면서 기독교를 종교적 사대주의로 공격하는 반면, 세속적 휴머니즘은 인본주의에 근거하여 기독교를 맹목적 신앙으로 단죄한다. 안티기독교의 공격에 대하여 개신교 보수진영은 맞대응의 전략을 취하는 반면, 개신교 진보 진영은 자기성찰을 강조하고 있다. 개신교가 안티기독교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 민족주의’와 ‘기독교 휴머니즘’이 필요하다. 기독교 민족주의는 한국의 전통문화와 전통종교를 적극 포용하는 ‘한국적 기독교의 수립’을 의미하며, 기독교 휴머니즘은 양심의 자유와 합리성에 기초한 당당한 신앙주체의 확립을 의미한다.

      • KCI등재

        3·1운동과 기독교 -준비단계에서 이루어진 종교연대를 중심으로-

        이덕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1919년 3·1운동이 일어났을 때 한국 기독교(개신교)는 선교역사가 30년이 되지 않은 ‘신흥종교’ 수준이었다. 종교인 비율로 봐도 전체 인구의 1.5% 수준에 머무는 ‘소수종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1운동의 준비, 모의단계로부터 대중 투쟁단계, 그리고 3·1운동 후 임시정부 조직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기독교계가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던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한국 기독교는 선교초기부터 강력한 ‘민족주의 종교’로 성격이 형성되었다. 19세기말 근대화시기에 서구 선교사들에 의해 한국에 소개된 기독교 복음은 ‘자유와 평등’의 메시지를 한민족에게 전달하였다. 그리하여 봉건적 사회체제에서 억압당하며 살았던 하층민과 부녀자 계층이 기독교를 통해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체득, 실천하였다. 그 결과 한국 사회는 기독교를 통하여 서구문화와 문명의 유입이 이루어졌고 그와 함께 수직적 질서가 강조되던 봉건사회가 붕괴되면서 수평적 가치가 구현되는 시민사회로 바뀌었다. 이처럼 한말 민족사회의 근대화에 기여한 기독교는 일제 강점기에 접어들어 일제의 식민통치에 저항하며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투쟁하는 종교로 변모하였다. 그것 역시 일제의 억압통치로부터 민족의 ‘자유와 해방’을 구현하기 위한 투쟁이었다. 그 결과 한국 기독교는 민족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참여하는 민족주의 성향을 띠게 되었다. 둘째, 한국교회는 식민통치 상황에서 민족문제를 논의하고 투쟁하는 ‘민족운동 공간’이 되었다. 선교초기부터 서구 선교사들은 정교분리를 표방하며 기독교인들의 정치 참여나 활동을 금지하는 한편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종교 활동에 간섭하지 않도록 정치권(총독부)과 타협하였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교회는 선교사들의 보호 아래 ‘치외법권적 영역’이 되었을 뿐 아니라 총회와 연회, 지방회(노회)를 연결하는 전국 연락망을 갖추었다. 그리하여 경찰력이 미치지 않았던 교회와 기독교 선교기관 안에서 (선교사들의 의도와 달리) 민족주의 교회 지도자들이 모여 민족문제를 논의하고 항일 민족저항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3·1운동 때 만세독립운동에 관한 정보와 자료가 지방에 신속하게 전파되어 전국적인 시위운동이 일어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같은 ‘전국 연락망’을 갖춘 교회와 기독교의 연결 조직이 있어 가능했다. 셋째, 한국 기독교의 초교파 연합운동 경험이 종파를 초월한 ‘전 민족적’ 독립운동을 가능케 하였다. 선교초기 각기 다른 교파와 교단을 배경으로 하여 내한한 선교사들에 의해 ‘교파중심’ 교회 설립과 선교가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1903~07년 일어난 초기 부흥운동의 여파로 교회 일치운동이 일어나 성서번역과 문서출판, 의료와 교육 사역에서 초교파 연합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연합과 연대 경험을 바탕으로 3·1운동 때 장로교와 감리교 목회자, 평신도 지도자들이 천도교와 불교 등 다른 종파 지도자들과 함께 민족대표로 참여할 수 있었고 서울과 지방에서 교회 지도자들이 다른 종파 지도자, 일반 시민들과 연대해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한국 기독교는 3·1운동을 통해 교파와 종파를 초월하여 대동단결하는 민족운동 전통을 수립하였다. 이렇듯 선교초기부터 민족주의 성향을 띠었던 한국 기독교는 3·1운동을 거치면서 민족주의 종교로서 그 성격과 역할... When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in 1919, Korean Christianity (Protestantism) was at the level of ‘emerging religion’ with a history of less than 30 years. It was also a ‘minority religion’ that stood at 1.5%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Nonetheless, Korean Christians played an active and leading role in the whole process the March 1st Movement, from the preparatory stage of forming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who signed o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 the organiz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via mass struggle for independence. There are three points to be clarified historic-theologically in understanding of Christian participation in March 1st Movement. First, Korean Christianity took a strong nationalistic character from the early days of mission history.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to Korea by the western missionaries at the late 19th century, it brought modern civilization and culture to Korean society and also conveyed the message of ‘freedom and equality’ to the Korean people under feudal social system. Thus, the lower classes and women who lived under oppression learned and implemented the value of freedom and equality through Christianity. Thus, it can be said that Christianity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modern human right ideologies. And Korean Christian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from 1910, began to resis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fought for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It was also a struggle for the realization of ‘freedom and liberation’ of Christianity. Korean Christianity became more inclined toward nationalism by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Second, the Christianity provided a ‘national movement space’ in which it could be discussed and tackled the national problem under the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From the early days of mission history, Western missionaries, standing by the principle of separating politics and religion, opposed and prohibited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Christians, and also compromised with the political government(Japanese governor general in Korea) to not interfere with religious activities in the church. As a result, Church could get an ‘extraterritorial’ or relative autonomous position under the protection of foreign missionaries, and also,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Church, it could establish a network covering the whole country. So the Korean Christian nationalists, unlike the missionaries intention, gathered in the Church that did not reach the hands of Japanese police and discussed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Thus, in the March 1st Movement, the information and materials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could be spreaded quickly from Seoul to the provinces, and simultaneous demonstrations could take place across the country by the national network of Christianity. Third, the experience of union and cooperation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made it possible to participate in an interdenominational and extra-religious independent movement. From the early days of the mission history, western missionaries and Korean Christians, even with the different and various denominational backgrounds, tried to pursue ecumenical and cooperative alliance in mission field, especially in the lines of Bible translation, publication of Christian books and journal, medical and education works. Based on this union and solidarity experience, the Korean Church leaders, Presbyterian and Methodist, were able to participate as national representatives with other religious leaders such as Chondogyo or Buddhism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also the Church leaders in Seoul and provinces were able to participate in anti-Japanese demonstrations with other religious and non-Christian civil leaders. In this way, Korean Christianity, which had a tendency toward nationalism from the beginning of the...

      • KCI등재

        호레이스 G. 언더우드의 한국종교 연구

        김흥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5 No.-

        언더우드는 1885년 내한해서 처음에는 선교활동의 기초를 닦는 작업에 전념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한국 종교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언더우드는 그 시대의 다른 동료 선교사들처럼 한국의 종교를 기력을 상실한 과거의 종교일 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의 기대로부터 떠난 종교로 보았다. 언더우드는 중국, 한국, 일본 종교를 비교 연구하는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에서도 자신의 한국 종교 관찰과 경험에 의지하여 인생의 제 문제를 푸는 데 동아시아 종교가 절대적으로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신의 최고의 이상을 전달할 능력도 없다는 것을 논증하고자 했다.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은 1908년 뉴욕대학에서 한 강연을 출판한 것으로 도교, 신도, 샤머니즘, 유교, 불교 등이 동아시아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으며, 지금은 어떠한가를 다루면서 그 종교들이 어떤 신 개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한국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선교적 차원에서 보면 한국의 전통적인 하나님 신앙은 언더우드에게는 기독교 전파에 중요한 토대가 될 자양분으로 보였다. 이런 차원에서 언더우드가 한국 종교 중에서 그래도 호감을 갖고 본 것은 유교와 샤머니즘이었다. 그 중에서도 언더우드는 샤머니즘이 한국의 대표적이고도 고유한 신앙전통인 것을 발견하고 그것의 실체 파악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샤머니즘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면서도 샤머니즘으로부터 한국인의 고유한 하나님 신앙을 찾아내서 그것을 통해 한국인들이 고대부터 신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언더우드는 한국 종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고대 한국에 일신교가 존재하였으며 오늘날은 일신교의 잔존물만 남아 있다. 둘째, 종교 진화론에 반대하고 종교 하강설을 주장하였다. 한국 종교사는 종교 하강설을 입증해 주는 좋은 예다. 셋째, 한국 종교는 전통적인 하나님 신앙을 통해 기독교 복음을 예비하였다. 넷째, 기독교의 신 개념이 한국 종교의 신 개념보다 우월하다. 언더우드는 한국 종교를 부정적으로 보면서도 그것을 이해하고 한국 종교와 기독교의 접촉점을 발견하려고 노력하였다. 언더우드의 이런 태도는 오늘날 많은 교회에서 한국의 전통종교와 전통문화가 무조건 배척되거나 무시되는 상황에서 그것들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Horace G. Underwood's Research on Korean Religions Horace Grant Underwood(1859~1916), first ordained missionary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nited States to Korea, rendered great services to educational, religious, and social developments in Korea. Notable but unknown among his contributions was the research into Korean religions, which resulted in The Call of Korea: Political, Social, Religious(1908) and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1910). In the latter book, Dr. Underwood described in chapter form the East Asian religions of Chinese Taoism, Japanese Shinto, Korean Shamanism, and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ism and Mahayana Buddhism to study the religions and practices of East Asian peoples and to ascertain what conceptions of God they hold. This essay examines Underwood'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ham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his view on the Korean religions. Though Underwood regarded Shamanism as superstition, Confucianism as a mere system of morality, and Buddhism as an idol religion, he recognized the positive value of these religions such as Shamanism and Confucianism. Above all, Underwood paid attention to the belief in Hanamim of Korean Shamanism, a Shamanistic god, to find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Korean religions. Underwood found that the idea of Hananim could be a point of contact for the Christian gospel. According to Underwood, in the most primitive times the peoples of Korea were monotheists, but the ancient faith retrograded to gods in the present-day Korean Shamanism.

      • KCI등재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1933~1937)

        황우선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Christian Journalism through the study of the Christian Messenger's process of discontinuing its publication. With the cooperation of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the Christian Messenger was first published in 1915,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Era which was often described as the dark ages of Korean journalism. However, it had to cease its publications after the last publication in July 28th, 1937. During this time, The Christian Messenger was the one and only newspaper except for the official newspape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ince it had been published in Korean language, it had played a huge role in delivering news to the overseas Koreans as well. The Christian Messenger found to be valuable as it was the only newspaper that had survived as a Korean Journalism until a Korean journal appeared in 1920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changed its policy toward cultural governance of colonialism on Korea. As a vehicle for the cooperation of Korean Churches, the Christian Messenger made a contribution to maintain journalism for Koreans. However, it became a victim of conflicts over the hegemony among the Korean churches. Discontinuation of the Christian Messenger, a big loss for the Korean society, left much for to be desired; however, it has a lot of significance since we can learn lessons in finding a way for desirable cooperation among the churches through the Christian Messenger's discontinuation process. More thorough examination on the discontinuation process of the Christian Messenger is needed to reflect lessons from the past as the advent and preparation of desirable Christian journalism required for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churches. A Christian journal publication by the cooperative Korean churches appears to be timely. The discontinuation process of the Christian Messenger shows the exactly same contradiction and dispute that today's Korean churches must solve. People had many expectations for the first Korean CEO Jeon Pil Soon; however, he took the Christian Messenger's traditional and democratic management system and changed it to a one man's do-it-all system where the CEO's opinion is most valued. Moreover, by claiming the ownership of the Christian Messenger, a conflict with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had increasingly grown so large in leading to an end of its publication. The tradition of the Christian Messenger management was for the missionaries and Koreans to divide the duties of the publisher, editor, editor in chief, CEO etc. and cooperate in a democratic way. After the appearance of the first Korean CEO however, the CEO himself held additional positions as publisher and editor. In a short time, he also became the chief editor. A democratic team management style had become one person's individual management. Due to one person having so much power, the Christian Messenger had to move out of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building. One Western missionary cannot claim ownership of the Christian Messenger just because he is the issuer. This applies to everyone including Jeon Pil Soon. Through the discontinuation process of the Christian Messenger, we can learn that the cooperative churches newspaper could not play its role when an individual or one group solely took the lea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success of a Korean Christian journal in the future may be dependent on democratic management style, where everyone can participate in. 이 논문의 목적은「기독신보」의 폐간과정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연합 차원의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운영 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기독신보」는 한국언론의 암흑기로 표현되는 일제강점 초기인 1915년 초창기 한국교회의 장․감 교파연합 신문으로 창간되었으나, 1937년 7월 28일 사령 1129호를 마지막으로 발간한 후 휴간을 거쳐 폐간되고 말았다.「기독신보」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를 제외한 유일의 신문이었고, 특히 한글로 제작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 동포들에게까지 뉴스를 전하는 언론의 역할을 해냈다. 1920년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기존의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전환하면서 한글신문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한국언론의 명맥을 유지한 유일의 신문으로서 가치가 크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기독신보」가 한국교회 연합의 매개체로서, 한국인을 위한 언론으로서 공헌을 해냈지만, 한국교회 내 헤게모니 싸움의 한복판에서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기독신보」의 폐간은 한국교회는 물론 한국사회에 커다란 손실로 지적될 만큼 아쉬운 점이 많이 있지만, 바람직한 교회연합 사업의 방향을 찾기 위한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신문의 폐간 과정을 살펴보는 의의가 있다 하겠다. 특히 한국교회연합 신문의 필요성이 절실한 오늘날 한국사회와 한국교회를 위해 요구되는 바람직한 기독교 저널리즘의 출현과 준비를 위해서도「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의 역사적 교훈을 반추하는 연구와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은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한국교회가 해결해야할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최초의 한국인사장으로서 많은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사장에 취임한 전필순은「기독신보」가 이어온 민주적 경영방식의 전통을 사장 1인 중심체제로 전환하고,「기독신보」의 소유권을 주장 및 행사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와의 돌이킬 수 없는 갈등 상황이 전개되었고, 폐간의 파국으로 끝났던 것이다.「기독신보」의 전통은 한국인과 선교사가 발행인ㆍ편집인ㆍ사장ㆍ주필(주간) 등의 직책을 협력형태로 나누어 맡아 민주적으로 경영해온 것인데, 한국인사장이 등장하자마자 발행인, 편집인을 겸직한데다 곧이어 편집국장까지 겸무하는 CEO의 단독경영으로 돌아선 것이다. 경영권이 한 사람에게 집중됨으로써 조선예수교서회 건물에서「기독신보」짐을 꾸려 이사 가는 행위까지 벌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기독신보」의 발행인이 서양선교사라고 해서 서양선교사 개인의 소유가 아니었던 것처럼, 전필순이 발행인이 되었다고 해서 그의 개인신문이 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어느 개인이나 집단의 주장이나 주도로서는 교회연합 신문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한국교회가 민주적으로 함께 참여하여 운영하는 것만이 성공을 위한 최상의 방법이라 하겠다.

      • KCI등재

        한국교회의 병리현상과 신흥종교운동

        탁지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athological phenomenon of Korean church to the rise and growth of 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This examination emphasizes on the period from 1986 to 2017 and,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the formation of 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after the Korean War is explored to show their socio-historical background. Notably, there have been few but continuing preceding researches, such as, Gang-Oh Lee’s Comprehensive Studies of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and Myong-Hwan Tark’s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I-IV. The Korean War and the military dictatorship were a fertile soil for the rise and growth of the movements and they have tried to make some important changes in their beliefs and practices since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86. The formation of 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is deeply related to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Korean church, namely, the imbalance between belief and practice, which causes its isolation.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there is a serious concern for Korean church nowadays and Korean church is expected to not only respond to the challenge of new religious movements but also reform and restore its identity. 이 글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병리현상이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의 발흥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종교개혁 500주년과 민주화운동 30주년을 맞는 한국교회의 개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사회적 논란이 되었던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로 제한하며, 시기적인 범위는 1987년 6월 항쟁으로부터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는 2017년까지에 초점을 맞춘다. 단 논의의 전개를 위해, 한국전쟁 이후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의 발흥과 전개과정을 서론 부분에서 개괄적으로 다루려고 한다. 주제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미하지만 꾸준한 형편이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 신흥종교운동들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로는 이강오의 『韓國新興宗敎摠監』(대흥기획, 1992)이 있는데, 불교계와 동학계와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의 발흥에 대한 현장중심의 연구를 진행한 탁명환의 『한국의 신흥종교: 기독교편』 I-IV(국제종교문제연구소, 1972, 1973, 1974, 1987)가 자세한 관련 정보를 전달해주고 있다. 한국전쟁과 군사정권의 등장은 사회적 불안정성과 반공사상을 이용한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 발흥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1987년 민주화 이후에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신흥종교운동들의 친사회적 활동 변화가 주목된다. 한국교회의 교리적 인정보다 주변 사회의 공신력을 얻고자 하는 방향으로 신흥종교운동들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신흥종교운동들의 영향력이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한국교회의 병리현상, 즉 신행불일치의 삶과 신앙으로 인한 한국교회의 사회적 고립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한국교회는 개혁주체가 아니라 개혁대상으로까지 비판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는 한국교회의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에 대한 대책 마련에 있어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국교회가 병리현상을 극복하고 신흥종교운동들의 도전에 효과적으로 응전하면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해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