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1) -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 Chae Woo L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본 논문은 조선 말의 학자이자 중국에서 도사로 명성을 떨쳤던 全秉薰(1857-1927)의 철학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문제를 고찰해보고, 특히 최근에 등장한 논쟁점을 중심으로 앞으로 우리 학계가 가져야 할 바람직한 연구윤리 문제를 논의했다. 근현대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그의 파란만장한 생애 속에서 그가 남긴 저술들은 원형을 잃고 흩어지거나 없어진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맥락을 잃어버린 파편화된 문장들을 수집하고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전병훈이 썼다는 『道眞粹言』이란 저술도 이름만 남아있을뿐 지금까지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필자는 『仙佛家眞修語錄』 속에 들어있는 전병훈의 글을 발굴해서, 이 글과의 관계를 고증해낸 바 있다. 또한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생애와 漢詩에 대해서도 발굴 고증한 바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최근에 제기된 비판에 대해 재검토하면서 전병훈 연구의 문제점과 함께 선행연구에 대한 정확한 인용의 필요성을 제기해보았다. 특히 전병훈의 경우에는 원전자료 자체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하기 때문에 자칫 오독하거나 오해할 수 있는 소지가 많으며,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학자들간의 해석이나 견해상 차이가 생겨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해 평가를 할 때는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히 유의하면서, 일부에 치우치지 않는 전체적인 시각에서 분명하게 인용을 하고 정확하게 평가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자신의 독창적 주장을 수립하는데 게을러서도 안되지만, 또한 자신을 뒷받쳐주고 있는 선행연구들에 대한 평가와인용에 인색해서도 안될 것이다. This research reviews the issues in researching the philosophy by Jeon Byeonghun, a reputable scholar and expert of late-Joseon, active in China and discusses the recommended direction the research field must take moving forward for its research ethics. Many of the research literature he left in his dynamic life in the turbulent modern times have lost its original form or disappeared. The act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analyzing the segmented literature without its original context is not easy. Dojinsuon (道眞粹言) said to be written by Jeon Byeonghun only maintains its title, however, has not surfaced anywhere. I have discovered the writings by Jeon Byeonghun from Sunbulgajinsuorok (仙佛家眞粹語錄) and has historically researched its relation with this writing. I have also done some historical research on his life and Chinese poetry, which have not been widely understood. In this research I review the recently suggested criticism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accurate quo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es along with the problems in the Jeon Byeonghun researc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eon Byeonghun, as there is no solid compilation of the original data, it poses risks related to misinterpretation and misunderstanding, and it is inevitable that scholars have different opinions in interpretation. When discussing and evaluating researched previously done, it is crucial to keep this in mind and have aneutral, objective perspective with accurate citation. Recently in our society, plagiarism is an important issue. Among these issues, the necessary point to be considered in our academia is not such technical plagiarism, but rather plagiarism that is not too obvious or idea copying. These are the area where people must rely on subjective opinions or that may cause mutual arguments, in turn fundamentally related to research ethics. In this light, the research must not be lazy in establishing his/her own opinions, as well as be hostile against the evaluation and citation of previously-done researches that support him/h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학이 근대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영향 - 민간 예언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임채우 ( Lim Chae W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0 No.-

        조선후기의 대혼란속에서 싹트고 발전한 민중종교운동은 말세론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천주교의 말세론에서 영향을 받은 정감록의 말세 개념은 19세기 말에 이르면 동학과 증산교 등의 후천개벽(後天開闢) 개념으로 발전하는데, 이는 기독교의 종말론과 역학의 순환적 세계관이 결합되어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천주교의 교리나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등의 선교사의 저술이 알려지면서 천주(天主)란 개념이 정감록에서는 말세의 진주(眞主)로 수용되면서, 근대민중종교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정감록에 새로운 세계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정도령은 전통적 성인관과는 차이가 크며, 어지러운 세상을 구원하는 구세주로서 기독교의 구원관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17세기 수입된 서학에서 전파된 새로운 사상은 18세기에는 정감록의 종말론과 정도령론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끼쳤고, 이 정감록사상은 19세기 말에 이르러선 근대민중종교운동에서의 후천개벽개념, 후천세계의 진주(眞主) 개념으로 이어지면서, 암울했던 조선의 멸망과 일제강점기에 민중들을 위로하며 새로운 시대를 기대하는 희망의 등불로 작용할 수 있었다. Consequently, the popular religion movement which sprouted and developed in the great confus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proceeds with such a background of eschatology. The concept of the Last Day influenced by the eschatology of Catholicism develops into the concept of postnatal beginning of the world in Donghak(Eastern Learning) and Jeungsangyo in the late 19thcentury by the combination of the eschatology of Christianity and the view of a circulatory world in Yixue. Moreo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of Catholicism and the writings of missionaries such as “De Deo Verax Disputatio” of Matteo Ricci, the concept of the Lord was accepted in Jeonggamrok as the ‘True Master’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popular religion. The hero of the new world appearing in Jeonggamrok, Mr. Jeong is quite different from the image of a traditional holy man such as the saint in Confucianism. Rather, Mr. Jeong is similar to the Savior who save the turbulent world by much influence of the view of salvation in Christia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선도(韓國仙道)에서의 여신선(女神仙)의 계보(系譜)와 위상(位相): 조선시대의 선도자료를 중심으로

        임채우 ( Chae Woo Lim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선도의 역사적 전개속에서 여신선, 여신선(女神仙)의 존재를 추적하여 그 계보를 재구성함으로써 한국선도사에서 여신선의 의미와 위상을 이해하려 한 것이다. 한국의 선도사서, 선도사서(仙道史書)들을 비교 분석해보면 10여명의 여신선이 등장하는데, 이들을 추려보면 2종류의 도맥, 도맥(道脈)이 존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청학집』과 『규원사화』에서 보이는 환인→ 환웅천왕→ 단군→문박씨→ 을밀→영랑→ 안류→ ‘신녀, 神女 보덕, 普德’→ 이순→ 옥보고로 이어지는 한국선도의 계보와, 『해동전도록』에 보이는 당(唐) 종리권 → 자혜 → 명오 → 설현 → 김시습 → 홍유손→ ‘박씨, 묘관, 妙觀’→ 장세미→ 강귀천→ 장도관으로 이어지는 중국 도교 계통의 계보이다. 단군을 중심으로 한 선도가 문박씨와 영랑을 거쳐 신라시대의 보덕에게 전해진 계보의 특징은 고유의 선도로서 운률, 韻律과 풍류, 風流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중국 종리권의 도맥이 신라시대에 들어와 홍유손으로부터 묘관에게 전해진 계보의 특징은 중국 전진교의 내단수련 도교라는 점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한국선도사에서 여신선의 존재는 위축 변질되었다. 그것은 특히 조선시대에 유교이데올로기와 중화주의라는 이중의 맥락속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조선 중기 이후에는 한국의 선도사서, 仙道史書가 새롭게 등장하는데, 이 시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중화주의적 세계관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면서, 한국선도를 자각하는 계기를 맞게 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외우내란을 겪으면서 조선의 일부 식자층들 사이에 기존의 유교독존주의와 중화주의적 세계관을 되돌아보면서, 도교라는 새로운 세계관에 눈을 돌리고, 고유선도라는 주체적 인식을 갖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status of the female immortal by tracing and reconstructing its genealogy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in Korean Taoism.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Taoism literatures, there are approximately ten female immortals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f the Taoism lines; One is the Korean Taoism line connected in order of Goddess Bodeok, Isun, and Okbogo in Cheonghakjip and the other is the Chinese Taoism line connected in order of Jongrigwon, Bakssi, and Jangsemi in Haedongjeondorok. The characteristic of the Dangun-based Taoism line including Munbakssi, Youngrang, and Bodeok is its unique Taoism based on geomungos and transcendent taste for the arts.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Jongrigwon Taoism line, which was inherited from Hongyuson to Myogwan in the Shilla Dynasty, is Internal Alchemy Taoism of Internal Alchemy of the Quanzhen School. However, as time goes by, the existence of the female immortal of Korean Taoism has been changed. It happened in the dual contexts of the Confucian ideology and Sinocentrism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after the mid Joseon Dynasty, Korean Taoism literatures newly appeared. In this period,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and Chinese invasions, the Sinocentric view began to change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Korean Taoism. Going through such difficult circumstances, some of the literate stratum looked back exclusively on the existing Confucianism and Sinocentric view, concentrated on the new Taoism view, and had the autonomous awareness of Korean Taoism.

      • KCI등재

        陰陽관계론에서 본 여성관 - 男尊女卑論의 易學的 근거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임채우(Lim Chae-Woo)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본 논문은 전통시대 男尊女卑觀의 근거를 제공해온 음양론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통해 주역의 여성관을 새롭게 이해해보려고 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남존여비론과 이를 정당화하는 역학적 근거로서 언급되어온 양존음비론을 비판하기 위해, 먼저 주역이란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남존여비의 근거가 주역이란 원전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음양의 관계론적 측면을 고찰하므로써, 음양과 남녀는 고정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와 역할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BR>  주역의 음양개념은 상호조화를 전제로 하며, 상호관계 맥락속에서 서로 전환되는 유연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후대에 陽尊陰卑라는 경직된 사상이 끼워들어옴으로써, 음양은 차별적 관계로 변질되었고, 男尊女卑라는 남성중심적 가부장주의와 함께 봉건사회를 지배해온 法定의 형식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주역에 덧씌워졌던 이런 남성중심주의적인 해석들을 벗겨버리고 본래의 유연하고 개방적인 음양사상으로의 회복은 현대의 여성주의적 관점과도 만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후보

        도교의 페미니즘적 성격

        임채우(Lim Chae-Woo) 한국도교문화학회 2004 道敎文化硏究 Vol.20 No.-

        도교의 신화와 전설 속에는 많은 女神이 등장한다. 또 도교의 중요한 교리인 坎離交?나 男兒懷孕의 사상에는 丹을 이루기 위한 비유이긴 하지만, 男女의 대등한 조화와 남성의 모체화를 통해 유교의 가부장주의와는 전혀 다른 여성에 대한 존중의식을 보여준다. 또 도교 역사 속에서 실제로 수많은 활동을 전개했던 다수의 여성수행자들의 존재는 도교의 여성관이 그저 교리를 설명하는 비유에 그치지 않음을 실증해준다. 동양의 삼대종교 중에서 도교는 역사적으로 또 실제적으로 여성의 존재와 역할에 대해 가장 남녀의 평등성을 인정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도교 교리에 있어서의 여성론은 단순한 음양조화를 위한 상징적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도교가 상고시대의 女神과 女巫에서 유래되는 여성존중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도가의 主陰사상 내지 여성숭배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유교나 불교와는 달리 도교의 교리와 실천체계 속에는 동양 고대로부터의 여성존중과 페미니즘의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해왔다고 할 수 있다. A lot of goddesses especially appear in myths and legends of Taoism. Even though it is a metaphor to establish elixirs, kan-li-intercourse(坎離交?) and male-pregnancy (男兒懷孕) thoughts, which are major disciplines of Taoism, pay regard to women through equal harmony among men and women, and maternalizing of men. Such an esteem consciousness is totally different from patriarchism of Confucianism.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a great number of disciplinants who had displayed numerous activities indeed in the history of Taoism proves that the view of womanhood was not just a metaphor, which is in order to explain disciplines. Gender equality is admitted in Taoism best among three great oriental religions - Tao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Taoism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respect for women, which came from goddesses and female shamans in antiquity and to Yin-oriented(主陰) thoughts or the tradition of women worship in Lao-tzu thoughts. This is why it seems that the view of womanhood in Taoism does not just mean a symbol for harmony of Yin-Yang. In conclusion, it can be insisted that Taoism has preserved 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respect for women and feminism through its disciplines and practices systems since antiquity, unlike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토정비결(土亭秘訣) 점법(占法)의 역학적 의미: 주역(周易) 및 도가(道家)점법과의 비교를 통해서

        임채우 ( Chae Woo L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조선시대의 대역학자인 토정 이지함(1517~1578)이 저술했다는 『토정비결』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적인 점서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토정비결이란 점법의 뿌리가 되는 고대 점법의 발달을 고찰한 다음, 토정비결의 점법의 변화를 여러 판본들을 통해 추적 하면서 주역 점과 비교 분석해보았다. 토정비결은 조선후기 민간에서 만들어진 점법으로서 토정의 이름을 쓰면서 이지함의 명성과 함께 크게 유행하게 되었고, 일제강점기에 비약적으로 발전한 한국의 민간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토정비결의 점법이 주역에서 나왔다고 보는 견해도 있지만, 도가역학의 숫자괘 점법과 유사성을 지니며 특히 윷점 등 한국의 민간점의 전통선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토정비결처럼 단기간에 형식과 내용상 커다란 변화를 보인 점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그 유례를 찾기 어렵다. 그것은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의 민중들이 곤궁에 처한 삶속에서 토정비결에 의지해서 삶의 희망을 얻을 수 있었던 때문이었다. Tojeong Bigyeol, written by Tojeong Yi Ji-Ham (1517-1578), a master Zhou Yi philosopher in Joseon Dynasty, is a major fortune-telling book of Korea. This research studies the advancement of the ancient fortune-telling, from which the fortune-telling book Tojeong Bigyeol derived,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s of fortune-telling of Tojeong Bigyeol on multiple manuscripts and compares and contrasts them with Tojeong Bigyeol. Tojeong Bigyeol is a fortune-telling method of Korea made by the general public in late-Joseon Dynasty, that became highly popular with the publicity of Yi Ji-Ham after he took on the name Tojeong, which advanced extremel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Some believe Tojeong Bigyeol developed from Zhou Yi (周易), however, it can be rightfully understood to have derived from within Korea as it has similarities with number Gua of the Taoist Yi philosophy (道家易學) and includes the Yut fortune-telling, which is a folk fortune-telling tradition. It is rare to find a fortune-telling book that shows significant in its contents and formation in a short time period like Tojeong Bigyeol in history world-wide. This was because the public was able to remain hopeful toward life by leaning on Tojeong Bigyeol during such difficult times of the Japanese occu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