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을 둘러싼 재현의 정치학

        표예인(Yeah In Py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1

        청년은 이미지는 어렴풋이 떠올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정의내릴 수 없다. 대중문화 내에서 청년은 워낙 다양하게 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청년의 재현을 둘러싼 동학을 포착하고, 그러한 재현이 작동한 사회적, 경제적 맥락을 분석했다. 나아가 재현이 어떠한 문화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있었는지 밝히려했다. 특히 두산의 ‘사람이 미래다’ 광고를 분석하여 기업이 청년을 어떠한 존재로 구성하려 했는지 보았다. 두산이 청년을 재현한 방식은 신자유주의적 주체 구성과 맞닿아 있었는데, 실패를 딛고 일어나는 청년의 재현은 스스로를 앎의 대상으로 만드는 기업가적 자아, 팀워크를 이루는 청년은 사회적인 시민이자 DIY 시민을 각각 재현해내고 있었다. 그러나 두산의 재현방식은 단일하지 않았는데, 오히려 노골적으로 자기계발하는 청년재현으로부터 멀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두산은 청년을 2등인 존재로 재현하는 것으로 끝을 맺었는데, 이는 청년에게 자기계발의 노력을 통해 최고가 되기를 강조하기보다는 그 자체로 충분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동시에 기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존재로 그리려고 한 의도였다. 이와 같은 재현은 지식기반경제라는 맥락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며, 두산이란 기업이 지식기반경제의 핵심가치와 조화시켜야할 산업적 위치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또, 광고의 재현을 통해 청년을 유순한 몸으로 구성하려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재현을 통해 청년의 순응성을 높이는 동시에 생산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재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며 이를 청년을 둘러싼 재현의 정치학으로 보았고, 그 원인과 역동성을 추적했다. The youth is a puzzling term, which people can quite easily draw an image of but cannot give definite definition. Such is due to the fact that the youth is represented in so many different ways in popular culture. This study spots the dynamics surrounding representation of the youth, and analyzes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such representation. Then, it attempts to reveal what kind of cultural-political intentions are involv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youth. Specifically focusing on Doosan’s ‘Human is the Future’ advertisements, this study captures how this corporation tries to construct the youth into a particular subject, that is, neoliberal subject. For instance, representing the youth as one who overcomes failures was related to enterprising self who diagnose oneself, while representation of youth who creates good teamwork was tied to the concept of DIY citizenship. Yet, Doosan’s representation tactics were not even; intention too blunt in creating a neoliberal, self-help youth against the harshness of reality was caught with repulsion. Thus came out the representation of youth as a runner-up, who does not have to strive so hard. Such representation would allow Doosan to build the reputation of a socially responsible corporation under the neoliberal context where the state could no longer act as a welfare state. Doosan’s attempt was closely related to creation of neoliberal subject and was placed in the context of Knowledge Based Economy discourse, while trying to produce the docile body. Along with the context, Doosan’s attempt to reposition itself as a tertiary industry under Korea’s turn to KBE affected the advertisement. This study sees it as politics of representation around the youth, and tried to tract the dynamic changes and their cause.

      • KCI등재

        재현 패러다임의 전환과 기호학적 고찰

        조창연 ( Jo Chang-yeon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5 No.-

        이 논문은 재현과 탈재현의 문제를 기호학적 문제로 접근하면서 문제의 핵심을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설명한다. 전통적인 기호학에서는 재현을 형이상학적인 패러다임에 토대를 두고 모방이나 모사를 통해서 설명한다. 반면에 후기구조의 기호학은 탈재현을 감성이나 느낌에 토대를 두고 상사나 현전을 통해서 설명한다. 전자는 대상과 기호 간에 외적 유사성을, 그리고 후자는 내적 유사성을 강조한다. 재현의 패러다임이 인식론적으로 전환되면서 재현은 인지적 표상과 신경학적 비표상의 차원으로 나타난다. 인지적 표상은 범주나 패턴을 통한 상징화로 재현되고 신경학적 비표상은 분산된 벡터 가치와 이들의 창발적인 네트워크로 재현된다. 이러한 재현 패러다임의 변화는 대상과 기호 간의 유사성 모색이 외적에서 내적으로의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현실의 재현 전략의 구축에 효과적인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paradigm changes related to representation, approaching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and de-representation through the lens of semiotics. Traditional semiotics explains representation as imitation and replication, based on a metaphysical paradigm. On the other hand, post-structural semiotics explains de-representation, based on emotions and feelings, through the concept of similitude and presence. The former underlines external similarity between objects and signs, while the latter emphasizes internal similarity. When the representation paradigm is transformed to one focused on epistemology, representation is developed and falls into two categories: the cognitive and the neuronbased non-representational. Whereas cognitive representation is revealed through neurologically non-represented categories, patterns are distributed through vector values and emergent networks consisting of vector values. This change in the representation paradigm shows that attempts to determine similitude between objects and signs has moved from the external to the internal.

      • KCI등재

        비재현적 접근법에 대한 소고

        정학성(Haksung Ju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23 공간과 사회 Vol.33 No.2

        비재현 이론(Non-Representational Theory) 논의에서 출발하는 비재현적 접근법은 인지 이전에 일어나는 신체적 경험과 일상적 실천, 예기치 못한 사건, 정동의 흐름에 관심을두며 기존의 재현주의적인 사회과학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못했던 세계의 비재현성을 체현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시도이다. 비재현적 접근법은 ‘재현되지 않았던 것’, ‘재현될 수 없는 것’을 학술연구의 차원에서 다루고자 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이론의 교체를 넘어 방법론과 연구자 주체성, 연구의 매체와 같은 학술연구의 전반적 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재검토하기 위한 논의를 촉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소고에서는 비재현 이론과 비재현적 연구의 간략한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재현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 이러한방법론을 수행적으로 실천하는 연구자 주체성, 체현된 비재현성을 재현 너머의 양식으로전달할 수 있는 연구 매체의 필요성을 논한다. 지식 생산 과정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을 경유하며, 이 논의는 학술연구의 다양한 경로와 언어의 확보를 통한 ‘학술적인 것’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에 대한 요청으로 종합된다. 여러 어려움과 위험에도 불구하고, 비재현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 주체성, 매체에 대한 대안적 상상과 실천은 관념주의적 인식론과 학술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영토화된 학술연구의 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그 외연을 개방적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Non-Representational approaches oriented from Non-Representational Theory(NRT) seek to address 'the unrepresented' in research, prompting a reassessment of the components that shape academic studie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er subjectivity, and research media, going beyond mere theory replacement. In this context, the study briefly delves into the fundamental notions and importance of NRT and associated research, discussing the necessity of corresponding methodologies, the role of researcher subjectivity in practical application, and the media through which the embodied 'unrepresented' can be conveyed. Despite potential difficulties and risks, envisioning alternative ways for methodology, subjectivity, and media in non-representational research ca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ansion of academic research which territorialized around representational epistemology and academic writing.

      • KCI등재

        재현불가능한 것을 우회하는 재현들 - 리오타르와 랑시에르를 넘어서

        목정원 예술과미디어학회 2019 예술과 미디어 Vol.18 No.2

        Oftentimes the problems we face in life and art today indicate the unrepresentable pains that remain in the wake of progress without reflection. The historical examples of such pains abound, from Auschwitz to more recently,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They do not remain as specific individual incidents, but rather become a subject for us all, one that relentlessly circles back to us. In regards to this problem of ‘the unrepresentable,’ Lyotard and Rancière each advocate two different attitudes. According to Lyotard, the unrepresentable must remain a boundless abyss. He criticizes Realism that excluded the unrepresentable by constructing a frame of representation, and Modernism that futilely attempted to imply it through symbols. Instead, he supported the art of his time that merely revealed that ‘something unrepresentable exists’ by rejecting all signification and solely engaging in formal experiments. On the other hand, Rancière diagnoses today as a period where the ‘compulsion of the unrepresentable’ has once passed, and discusses the endless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that reinstates the excluded through the new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ccording to Rancière, it is the very impetus of democracy, which gives logos to those without language, and what all art does fundamentally. The two philosophers’ discussion of the impossibility and possibility leaves us an important subject for further analysis because it goes beyond choosing between the two—whether to represent or not. Rather, it leads to understanding the endless spectrum between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contemplating on the form of representation each moment by locating oneself somewhere in that spectrum, reflecting upon the ethics and politics of it, and eventually considering how to view the world and huma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aratus of the ‘representation that circumvents’ as an alternative ‘in-between’ the two points of view, and attempt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each theory on a more practical level. It hypothesizes that implicit representations, which do not directly point to the unrepresentable, may accidentally allow each viewer to encounter the unrepresentable reality. Jiyoung Keem’s work in the Young Korean Artists 2019 exhibition is analyzed as a case in point. 오늘날 우리가 삶과 예술에서 마주하는 문제는 종종, 성찰 없는 발전의 배후에 남겨진, 재현불가능한 고통들을 지시한다. 멀게는 아우슈비츠가 그랬고, 가까이는 세월호가 그러했으며, 이들은 특수한 개별 사건으로 머물지 않고 지속적으로 되돌아오는 우리 모두의 주제가 된다. 이 같은 ‘재현불가능한 것’의 문제에 관하여, 리오타르와 랑시에르는 두 상이한 태도를 주장한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재현불가능한 것은 영원한 심연으로 남겨져야 한다. 재현의 프레임을 만듦으로써 그 밖으로 그것을 배제시킨 리얼리즘과, 상징을 통해 그것을 헛되이 암시하고자 했던 모더니즘을 비판하며, 그는 모든 의미화를 거부하고 형식적인 실험에 몰두함으로써 단지 ‘재현불가능한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현시했던 당대의 예술을 옹호했다. 한편 랑시에르는 ‘재현불가능성에의 강박’이 한 차례 지나간 시기로 오늘을 진단하며, 새로운 ‘감성의 분할’을 통해 배제된 것들을 복권시키는 재현의 끝없는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그것이야말로 몫 없는 자들에게 로고스를 주는 민주주의의 추동력이자, 모든 예술이 근본적으로 행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두 철학자가 보여주는 불가능성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오늘의 우리에게 중요한 주제가 된다. 그것은 다만 둘 중 무엇을 선택할 것이냐, 재현을 할 것이냐 하지 않을 것이냐에 그치지 않고, 가능성과 불가능성 사이의 무한한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일과, 그 사이 어디쯤에 스스로를 위치시킴으로써 매순간 재현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 윤리와 정치를 고민하고, 결국 세계와 인간을 바라보는 시선을 고민하는 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본고는 그 ‘사이’에 있는 대안으로서의 ‘우회하는 재현’의 장치를 고찰하며, 리오타르와 랑시에르의 이론 양자가 갖는 결함을 보다 실제적인 차원에서 극복하고자 한다. 이는 재현불가능한 것 자체를 겨냥하지 않는 암시적 재현들이 관객 개개인에게 재현불가능한 실재와의 만남을 우발적으로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가설로서, 《젊은 모색 2019》에서 전시된 김지영 작가의 작업이 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재난의 재현’이 ‘재현의 재난’이 될 때: 재현불가능성의 문화정치학

        최종철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2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the unrepresentability’ that had once outlined the ethical role of art in the previous century, and how this unrepresentation has influenced ou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dealing with disasters of our own time. As Theodor W. Adorno aptly summarizes in his literary account, “to write a poem after Auschwitz is barbaric and (…) impossible,” the unrepresentation means a renouncement of the representational image or its radical reduction in art as an ethical gesture. It comes into practice when disasters in question appear too monstrous to be comprehended, spoken of, or represented – the sublime events that cannot be understood through any languages or any images. But to an extent, it also creates a dilemma in visual art, given that the unrepresentation complicates the nature of visual art itself anchored in visu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through visual means. A great deal of art, intellectual thought, and cultural phenomenon revolve around this notion of unrepresentation: Claude Lanzmann’s Shoah (1985) - a nine hour long Holocaust documentary that contains no visual spectacle of Jewish victims, Susan Sontag’s moral claim on prohibiting images of others in pain, and the American public’s anxiety of recounting the visual spectacles of 9/11 in media and art are some examples illustrating the double-edged nature of the unrepresentation. As these examples suggest, the proponents of unrepresentation find the visual images of catastrophes and human suffering irresponsible or even abominable, and thus, they are sometimes obsessed with this taboo of the unrepresentation that could eventually bring a decline into contemporary visual culture.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unrepresentation, then analyzes the notion with some recent case studies that show the negative sides of this moral request, and finally deconstructs it through the logical questions articulated in recent ethical thoughts on art and culture. 본 논문은 지난 세기 예술의 윤리학을 규정해 왔던 ‘재현불가능성(unrepresentability)’이라는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돌아보고, 이 개념이 9/11과 같은 동시대의 재난에 적용되어질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화정치적 문제들을 살펴본다. ‘재현불가능성’이란 유태인 학살과 같이 인간의 상상력을 능가하는 재난의 도래 앞에 재현의 주체가 선택하는 윤리적 태도로서의 재현의 포기, 혹은 그것의 환원을 의미하는 데, 이것은 ‘아우슈비츠 이후 시의 불가능성’을 한탄한 아도르노의 경구 등을 통해 요약되어질 수 있다. 이 재현불가능성은, 예를 들어, 클로드 랑즈만이 장편 다큐멘터리 <쇼아 Shoah>(1985)에서 보여준 비재현의 전략, 수잔 손탁이 사진에 대한 그녀의 유명한 고찰에서 타인의 고통에 대한 사진적 재현을 “양심의 사각(a dead zone of conscience)”에서 자행된 윤리적 범죄라 지칭한 점, 혹은 9/11 사태 이후 자국의 재난스러운 정치적 현실과 그 희생자들에 대한 시각적 재현을 반대하는 미국의 문화적 태도들 속에서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제 유태인 학살이나 9/11사태와 같이 상상력과 이성의 임계치를 넘어서는 재난의 도래 앞에서 시각예술의 감각성과 형식성은 금기(taboo)의 조건이 되며, 따라서 윤리라는 보다 상위의 개념 아래 귀속되고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 시각예술의 윤리학을 규정하는 하나의 커다란 강박이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강박을 야기하는 재현불가능성의 이론적, 철학적 근거를 되짚어 보고, 이러한 강박이 동시대의 문화, 정치적 영역에 끼친 부정적 영향의 구체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며, 이를 통해 재현불가능성에 대한 논리적 반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위한 재현 및 시각재현요소들에 관한 연구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디지털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을 위한 재현의 의미와 원리 그리고 디자인의 시각재현요소로서의 점, 선, 면, 색, 원근에 대한 디지털적 해석에 관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부터 폴 리쾨르, 게오르크루카치, 테오도어 아도르노와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재현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재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어서 시각재현요소인 점, 선, 면, 색 그리고 원근에 관한 일반적 개념과 의미 그리고 디지털에서의 특수성을 연구하였다. 재현은 대상의 해석작용을 포함하는 주체의 정신적·물리적 표현 과정으로 단순한 대상의모사가 아닌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다. 주체의 재현활동으로 표현된 결과물은 이상의 재현활동을 표상하는 매개체로 자연과 또 다른 주체와의 교감형성을 위한 교량이자 교착점이다. 디지털환경에서 시각재현요소들은 아날로그 환경에서의 특성과 다른 특수성 즉 디지털 환경이 구현하는 가상적 허구라는 개념으로 디지털환경에서 표현되는 시각재현요소들은 모두 점이라는 디지털의 핵심적 원리로 환원된다. 이러한 본 논문은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이해가 생략된 생산과 소비중심의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재현이라는 기제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위한 탈매체중심의 교육 그리고 이론과 실습의 이분법적 교과과정을 지양하는 통합된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and concept behind representation fir communication design in the digital era and the digital interpretation of dot, line, plane, color, and perspective used as representational elements of design.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explored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on Plato, Aristotle, Paul Ricoeur, Gyorgy Lukacs, and Theodor Adorno, then a research is conducted on representation in digital communication, including the study of dot, line, plane, color, and perspective as general elements of design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medium. Representation involves a mental and physical expression that includes the artist`s thought on the object, and thus, is not a mere replication of the object but a type of creative activity. Representational art are often made to create sympathy between nature and humans,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al elements made and expressed digitally are virtual representations made with virtual dots.

      • KCI등재

        재현 중심의 기록학 - 담기, 관리하기, 보기

        류한조,이희숙 한국기록학회 2010 기록학연구 Vol.0 No.24

        In recent time, archival science has been in charge of positively preserving and handling with valuable things, as well as managing established ones, However, even though several archival methodologies that manage contexts among tasks, organizations and subjects exist nowadays,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methodology on archiving focusing on valuable things. In this sense, this article dealt with a theoretical methodology which carries out archiving valuable things and represents it based on the value of records. Also, this paper, which covers a methodology that carries out archiving and representing one focusing on the value of the one to preserve,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putting in, managing, and viewing. To begin with, in the chapter of putting in, the methodology of documentation based on a strategy to distinguish and represent the value of the valuable things were explained. In addition, the article tried to explain the definition of how the valuable things based on the value of it can be put in, and presented how to divide the one for representation into the objet and the activity so as to provide an effective approach. At the same time, as this paper took an approach to the value of the one, it proposed a way to be able to do archiving effectively by applying a representation unit which has its own value. Secondly, in the chapter of managing, representation class and metadata for managing with a representable structure was considered. Metadata categories were illustrated in order to present the class from individual records to final representation valuable things and to make representation with ease. Furthermore, in the chapter of viewing,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using theoretically archived records was explained. In fact, viewing is the descriptive domain in general, yet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ceptional part. As a consequence, in this paper, a series of process was considered, which starts from how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was archived to managing it. Moreover, the process has a meaning by itself in that it gives a practical method to be applied. Finally, the paper suggested that the argumentation on representation be expanded in the field of archival science so as to present theoretical grounds in this sort of work. 최근 기록학은 생산되어 있는 기록을 관리하는 역할을 넘어, 가치있는 대상을 적극적으로 보존하고 전승하는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기록학에서는 업무나 조직, 주제의 맥락 내에서 관리하는 방법론이 존재하지만, 하나의 대상을 아카이빙하는 이론적 방법론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하나의 대상을 아카이빙하여 재현하는 이론적 방법론을 기록의 가치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보존할 대상의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아카이빙 하고, 이를 재현하는 방법론은 담기ㆍ관리하기ㆍ보기라는 3가지 장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담기에서는 대상이 가진 가치를 식별하여 재현을 위한 전략에 바탕을 둔 다큐멘테이션 방법론을 다루었다. 대상의 가치에 근거하여 어떻게 담을 것인가를 정의하고, 효과적인 접근을 위해 재현대상을 오브제와 행위의 개념으로 나누어 접근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대상의 가치를 중심으로 접근하였으므로, 가치를 지닌 단위인 재현단위 개념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아카이빙 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였다. 관리하기에서는 재현이 가능한 구조로 관리하기 위한 재현 계층과 재현 메타데이터를 설명하였다. 개별기록에서부터 최종 재현대상까지의 계층을 제시하고 원활한 재현을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보기는 이론적으로 아카이빙한 기록을 이용한 재현과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였다. 보기는 대체로 기술적인 영역이지만 개념적으로 지켜야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 글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여 재현을 위해 재현주체가 어떻게 아카이빙 할 것인지를 정하는 작업에서부터 어떻게 관리할 것 인지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작업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기록학이 다루어야 하는 영역을 재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확장할 것은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재현의 교육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이병준(Byung-Jun Yi),김경미(Kyung-Mi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4

        재현은 세상을 바라보는 특정한 방식이며 선택적 재구성 방식이다. Molenhauer은 ‘삶의 양식의 재현이 가장 중요한 도야의 문제’라고 언급하면서 중요한 교육학적 원리로서 ‘재현’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재현(representation)에 대한 논의들을 통해 재현이 갖는 교육적 가치에 새롭게 주목하고 교육학적 행위로서의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교육학적 행위의 핵심은 중요한 것을전달하고 공유하는 것이며, 이러한 공유·보존·전승은 ‘재현’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문화적 기억을 전달하는 행위로서 재현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논의들 중에서 예술적 재현·역사적 재현은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교육학적 재현과는 어떻게 의미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재현은 주체-세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모든 인식적 과정에 작용하는 근본적인 교육학적 행위이며 다음의 세 가지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무엇이 중요한것인가에 대한 가치판단과 선택의 문제, 둘째, 재현대상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의문제, 셋째, 재현된 것을 어떻게 전승할 것인가에 대한 동기부여의 문제이다. 교육적 원리로써 재현의 교육적 가치에 새롭게 주목하고 교육과 문화의 관계 속에서 예술적·역사적·교육적인 재현의 의미와 연관성을 검토해보는 것은 새로운 교육학적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Representation is a specific way of loking at the world and an optional reconstruction. Molenhauer emphasized representation as an important pedagogical concept, noting that ‘representation the way of life is the most important isue.’ Through the discusion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sought to pay new atention to the educational value of representation and to examine its meaning as an educational act. The core of pedagogical behavior is to communicate and share what is important, because this sharing, preservation and transfer is done through representation. Among the various levels of discusion on representation as an act of conveying cultural memories, artistic representation, historical representation and educational representation were each intended to examine how it works and what its educational meaning was. As a result, representation is the fundamental pedagogical act that act on al cognitve proceses. The folowing thre problems must be considered : First, the question of value judgment and choice about what is important; second, how to representation what is important; and third, how to transfer what is representation. Also, artistic, historical, and educational representation have important intersections in the interconection, so reviewing its meaning and asociation could give a new perspective on the principles of pedagogy.

      • KCI등재

        하태범의 White 연작에 나타나는 재현적 재서술

        김명신(Myeong-Shin Kim) 현대미술학회 2015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9 No.1

        이 글의 목적은 하태범의 White 연작을 재현적 재서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제작에 사용되는 미디어와 흰색의 의미 변화를 조명하는 것이다. 하태범은 White 연작에서 재난 및 참사 보도 사진, 구호 활동과 관련한 TV 홍보영상이나 사진 등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이미지를 흰색의 입체 조각 및 다양한 미디어로 모방한다. 작가는 그러한 이미지들에 대한 자신의 시선과 감정을 흰색으로 재현한다고 밝힌다. White 연작에는 두 가지의 재현적 측면이 있다. 하나는 사물과 공간의 재현으로 가시적 측면, 다른 하나는 시선과 감정의 재현으로 비가시적 측면이다. 각각은 조각이라는 매체와 흰색의 선택으로 나타난다. 작가의 미디어 선택은 보도사진이나 영상, 홍보를 위해 사용되는 사진이나 영상 등 재현의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과정에서 흰색의 의미에도 변화가 생성된다.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입체 설치 작업과 흰색은 작가의 스타일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로 진부해진 보도사진을 재서술하는 작용을 한다. 작가는 대중 매체에 의해 주어진 이미지들과 그 이미지들에 대한 자신의 시선과 감정을 재현하는 가운데 색과 크기, 매체 등 재현방식에 변화를 주어 기존 이미지와 유사하면서도 결과적으로는 다른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이미지를 재서술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렇듯 재현적 성격이 강하되 재현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와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것을 ‘재현적 재서술’이라는 어휘로 서술하고자 한다. 본고는 ‘재현적 재서술’이 모방에서 오는 익숙함 즉 재현적 측면에 더하여 기존의 것이 지니는 진부하거나 관습적인 면을 다르게 서술함으로써 우리의 고정된 시각이나 태도에 유연함을 더해 줄 수 있는 설득력을 지닌다고 본다. This thesis aims to illuminate Taebum Ha’s White Series in the view of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and illuminate the change of meanings of media and white color used in his art works. Taebum Ha imitates images of journalistic photography of disasters, TV promotion films which are being publicly consumed using white statues and various media. He said the color ‘white’ represents his own view and emotion. White series has two representational aspects. The one is a visible aspect which represents object and space of the images. The other is a non-visible aspect which represents his view and emotion. And each appears as the medium of statue and the color of white. His selection of media depends on the images that is to be represented and this affects the meaning of white. Persistently used statue, installation, and the color white are key elements of his style. And they contribute to redescribe the journalistic photography. Thus, in the mean time of redescribing those images given by public media and his own view and emotion, he accidently redescribes them by giving some changes in color, size, media to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I’ll name this aspect of action or art works as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which includes strong character of representation and redescription at the same tim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 seems to have persuasive power giving us flexibility in our attitude or view of the life and the world by adding new aspects to familiarity which comes from imitation of old and friendly things of our world and life.

      • KCI등재

        재현 너머의 증언 : 1980년대 임철우, 최윤 소설의 5․18 증언-재현 문제에 관하여

        배하은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The argument of the depression of fictions in the early 1980s was concerned with the helplessness of fictions against 5.18. The critics criticized that fictions were to blame for not properly representing the massacre and revolution. However, the fictions of the time were not able to testify 5.18 in the way of realistically representing it as the critics asked them to. Nor is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equivalent to a proper testimony for 5.18. The incapability of the fictions rather means that realism is not a perfect theory of fictions, and it contradicts the critics’ strong belief. Lim Chul-woo’s fictions embody the incapability of testifying-representing 5.18 with the motif of survivors’ silence and guilt; which is a sign of the fiction’s struggle to create a new literary form and aesthetics of the 5.18 testimony. Ch’oe Yun’s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1988) is based on the thinking of the linguistic negativity that the language cannot represent the existence, but merely annihilates it. Therefore, her fiction, instead of realistically representing 5.18, pictures the moment of the transition between the physical reality and the signifier. In this way, it creates a literary testimony of 5.18 which does not lose its historical meaning as well as physical/materialistic reality. This literary testimony operates the politics of commemoration, distributing the shares of testifying voices and languages to the narrators and readers of the fiction; and, therefore to the victims, survivors of 5.18 and even other individuals who were not engaged in it. 1980년대 초 문단에 광범위하게 확산된 소설침체론은 비평이 요구했던 1980년대 소설의 책무, 즉 5․18을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역사와 사회 현실에 개입하는 일을 소설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겨냥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요구대로 소설이 5․18을 재현함으로써 증언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웠으며, 그것은 문학에 앞서 현실/또는 문학이 재현할 실재를 전제하는, 그리고 문학을 바로 그러한 것들의 재현물로 간주하는 재현적 문학 체제 하에서 필연적으로 벌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였다. 요컨대 소설침체론은 5․18과 같이 그 실재가 불안정한 특수한 문제 앞에서 리얼리즘적 재현의 한계가 드러난 일종의 징후적인 현상이었다. 임철우의 소설에서는 이러한 증언-재현 불능의 사태가 살아남은 자들의 침묵과 그것을 둘러싼 죄의식으로 나타난다. 동시에 그 침묵과 죄의식은 증언-재현불능 사태에 개입하기 위한 소설 형식과 미학―리얼리즘적 재현을 넘어서는 문학의 증언 방식― 을 창조하기 위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최윤의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는 어떤 대상을 지시․재현하는 언어가 오히려 그 대상의 실재를 재현하는 동시에 파괴하게 되리라는 언어의 부정성에 대한 사유에 기반하고 있다. 그리하여 소설은 감각의 잔여물로 남아있는 소녀의 기억을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는 대신 그것이 언어를 매개로 감각과 의미 사이를 교차하며 환원․재환원/산화되는 찰나를 포착하려 한다. 이를 통해 소설은 역사로서의 5․18의 의미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감각과 기억으로서의 5․18을 유실하지 않는 증언 방식을 창출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증언은 이 소설의 특징이기도 한 다층적인 서술자들 사이의 증언의 연쇄를 통해, 그리고 소설의 서두에서 독자들을 ‘당신’으로 호명하는 목소리를 통해 소설이 수행하는, 그리고 작품을 통해 독자들이 수행하게 되는 추모의 정치를 작동시킨다. 최윤의 소설은 증언의 역량과 몫을 소녀를 비롯한 소설 속 서술자들과 독자들에게 배분함으로써 그 증언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복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요컨대 문학이 5․18을 ‘증언’한다는 것은 그것을 사실적(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는 문제를 떠나, 살아남은 자들에게 증언의 능력과 권한을 부여해줄 수 있는 형식과 미학을 창조하는 일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