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명성과 진정성의 탈신비화 -1980~90년대 문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배하은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Recent studies of the 1980s and 1990s literature have deconstructed the critics’ evaluation and appraisal of the time and re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now and here, referring to the 2010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Moreover, these contexts, such as neoliberalism, Shin Kyung-sook’s plagiarism scandal, and the dispute over major literary groups, offer an opportunity to shed light on the complex structure of material and discourse in literature. As a result, many recent studies of the 1980s literature focus on the “Mook” movement, working-class people’s literary campaigns, and the feminist literary movement. They derive the concept of “the writings of the lower class people” from those movements and campaigns, attempting to answer the big question of revolutionary integrity, “how literature changes a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research theme of the 1990s literature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ism and readers. It looks into the female reader community in which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1990s was actively discussed and appraised. Therefore, it moves forward to rethinking the 1990s literature, enabling it to extend and expand to the ethics of literature. 최근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주요 과제로 부상한 1980~90년대 문학의 해체와 재구성은 2010년대의 컨텍스트를 참조점으로 삼아 지금—여기의 문학에 펼쳐질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을 재사유하는 적극적인 개입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이 형성된 배경에는 201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신자유주의화와 2015년 ‘신경숙 표절 사태’ 및 ‘문단 권력 논쟁’이 깔려 있다. 이를 계기로 문학 연구의 초점은 1980~90년대 문학으로 소급해 현재의 문학과 문단 시스템 기원을 파헤치면서 문학의 물질적 토대와 담론적 실천 사이의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연관성을 규명하는 데 맞춰지기 시작했다. 먼저 2010년대에 들어서 본격화된 1980년대 문학 연구는 전통적인 작가론·작품론의 방식을 탈피해, 문학·문화운동(론)의 몇 가지 갈래, 1) 무크 운동(또는 소집단 문학 운동), 2) 노동문학 운동, 3) 여성주의 및 여성해방문학 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러한 문학운동은 민중, 노동자와 여성의 글쓰기라는 운동의 실천 방략을 내세워, 글쓰기를 통한 일상적인 생활 세계 속 자기 성찰과 새로운 주체성의 수립에서 출발하는 문학의 혁명을 실천하려는 움직임이었다. 1980년대 문학 연구는 이러한 ‘아래로부터의 글쓰기’로 통칭되는 개념으로써 1980년대 문학사를 탈구축함으로써 “문학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키는가”하는 질문에 답하고 우리가 볼 수 있는 다른 문학(사)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제를 수행해 나간다. 1990년대 문학 연구는 1980년대 문학의 배제를 통해 ‘문학’의 자기동일성을 회복하는 담론 기제인 내면성과 진정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특히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와 미투운동, 그리고 82년생 김지영 신드롬을 계기로 1990년대를 여성문학의 시대로 명명하게 된 최초 풍경에 주목한다. 그로부터 1990년대 문학에 접근하는 틀로 대중 독자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연구 경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히 비평과 독자의 위치를 조정하며, 당대 비평에 의해 평가 절하되었으나 ‘여성 독자 공동체’ 안에서 적극적으로 논의·해석되었던 여성문학을 보다 면밀하게 탈구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리될 수 있는 1980~90년대 문학 연구의 시도와 성과는 이제 문학의 윤리성과 윤리적 비평을 다시 사유하는 좀 더 근본적인 과제로 나아간다.

      • KCI등재

        문화적 식민지의 풍경과 지식인의 ‘부재의식’ ―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을 통해 본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지식인의 형상과 전망

        배하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In the process of rapid modernization of Seoul(Gyeongseong) during the 1930s, colonial intellectuals painfully noticed cultural colonialism. Yet, they tried to perform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to satisfy the cultural desire of colonial Korea(Chosun), not embracing easily the superior culture of the empire of Japan. At that time, as the influx of Japanese capital into cultural business in the colony increased, the ideological subject interpellated by the capitalism of the empire appeared in the popular culture. During the late 1930s, the imperial ideology functioned in two ways: on one hand, providing cultural desires to the natives in the colony, on the other hand frustrating their desires by social(racial) discrimination and political oppression. The decadence and hedonism of so called “modern boys and girls” were originated in the very ideological mechanism of desire and frustration. In their novels, Kim Namcheon and Yi Hyo-seok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and fascinated into technology and Bildung, whi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o explore a new agent with artistic creativity, intellectual passion, and vivid life. The phenomenon of so called “ero-gro-nonsense(the eroticism, the grotesque, and the nonsense)” disrupted the moral and artistic value, norms, and ideal in the late 1930s, while the Japanese wartime system was increasing the political oppression. In this situation, technology and Bildung were supposedly making a path to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desires in the colony. People considered them as something modern and fascinating, which might lead them to a cultural richness. Colonial intellectuals were challenged to appropriate technology and Building not for an ideological practice but for a possibility of value neutra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value neutrality, Kim Namcheon and Yi Hyo-seok performed a simulation of how their protagonists meet the challenging in their novels. As a result, Kim Namcheon found that the so called “value neutrality” of technology and Bildung were actually functioning as the ideological practice of the Japanese wartime system. In his novel, “Maeg(Barley)” he represented a prototyp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s who rejected the place of an ideological subject and escaped from the decadence and the hedonism of the colony by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1930년대 경성의 근대화와 도시화의 결과 식민지 조선이 처한 문화적인 피식민 상태를 훨씬 더 강렬하게 체감하게 된 지식인들은 ‘우월한’ 제국의 문화를 수용·추종하는 손쉬운 방식으로 열등감을 해소하기보다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열망을 정당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인의 역할과 임무에 대해 고민하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특별히 이 시기에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 사업이 일부 거대 기업, 특히 내지 자본에 의해 주도되면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문화 창작·생산과 향유의 주체가 아닌, 제국 자본에 포섭되는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적 주체들이 양산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 말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 속에서 작동하는 제국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명화된 일본인’으로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하는 욕망을 제공하되, 그와 동시에 정치적인 억압과 사회적인 차별을 통해 그 욕망의 좌절을 선사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모던보이·모던걸의 퇴폐와 향락은 이러한 욕망과 좌절의 토양에서 자라난 위험한 감수성이었다. 1930년대 후반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 작품에서 드러나는 기술과 교양의 가치중립성에 대한 관심과 매혹은 문화적 열망의 좌절이 불러오는 데카당스에서 벗어나 문화·예술의 창조성, 지적 열정, 삶의 풍요를 추구하고 경험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모색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에로·그로·넌센스 따위의 대유행이 사상적 전망의 부재를 틈타 도덕적·예술적 가치와 규범, 이상을 사장시키는 가운데, 또 한편으로는 전시 체제가 커피와 홍차의 풍미조차 마음껏 즐길 수 없는 억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와중에, 기술과 교양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문화적 열망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신선하고 참신한 것’이자 ‘현대적인 매혹’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지식인이 맞닥뜨린 가장 큰 도전은 기술과 교양의 가치중립성이라는 새로 발견된 이 매혹적인 가능성을 체제 이데올로기적 실천이 아닌 방식으로 전유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였다. 그리고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은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일종의 시뮬레이션처럼 주인공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을 그러한 서사 속에 던져 넣고 인물들의 행로와 서사의 향방을 기록해 나가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김남천은 그러한 ‘가치중립적(이라고 여겨지는)’ 기술과 교양이 실상은 신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실천에 제도적으로 또한 담론적으로 동원되는 함정을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국 그는 「맥」에서 이관형이라는 인물과 그가 탐색하는 ‘부재의식’을 통해 욕망과 좌절이 혼재된 “낭비”의 세계를 탈출하되, 오시형의 다원사관으로 대변되는 지배 체제의 담론적 구성물인 갈등과 고통이 해소된 주체의 자리 또한 사양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형상과 존재 방식에 관한 사유를 보여준다.

      • KCI등재

        흔들리는 종교적․문학적 유토피아 : 1970~1980년대 기독교 사회운동의 맥락에서 살펴 본 노동자 장편 수기 연구

        배하은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6 No.-

        Encountering Christian Social Movement in the 1970s and 1980s,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people dismantled the notion of religious and literary utopia as well as penetrated into the boundary of literature.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 has a connotation of representing and pursuing the heterotopia, in which working class people struggle against the power of interrupting the progress of their liberation. Heterotopia―utopia existing in the real world―in the writing of working class people is the place of community where they keep their own liberation movement based on the strong sense of solidarity. The organizations of Industrial Mission and Christian Academy social education programs were deeply involved in the labor movement of the time and producing the discour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based on religious and theological discussions. In particular, the theological paradigm shift of dismantling the utopian notion of redemption illuminated the insight of the liberation for working class people through constructing the democratic society “here, now.” In Christian Academy social education programs, working class people were encouraged to have a dialogue, discuss, and write their own words; and it was a fundamental strategy of the labor and the social movement for building a true humanitarian and democratic society. Indeed, the writings of working class people, which was published in The Dialogue, were considered the linguistic and literary practice and performance of democracy. The Crying Out of the Stones written by Yoo, Dong-woo, which is the most renowned autobiography of working class people of the time indicates that the project of building a new society is based on the democratic relationship and community of workers, their own independent actions, and equality. Literary critics and intellectuals discovered in the writings of working class people the potentials and the possibility which they were not able to find in literature. As a result, the writings of working class people become included in literature. On the other hands, the writings of working class women cast light upon the notion of heterotipia; that is, the true liberation of working class people is not completed by a messiah-like figure, nor found in the utopia. Rather, it is the place that they find, situate, and realize ‘here, now’. Therefore, this heterotopian writings of working class women fight against the hegemonic and capitalist power of interrupting the utopia, making a new prospect of the experience, thinking, and imagination of the true liberation. 이 글은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전반기 사이에 노동자 수기가 기독교 사회운동과 접점을 이루면서, 초월적인 자기(개인) 구원의 완성을 추구해온 기존의 종교적․문학적 유토피아의 관념을 해체하며 문학장 안으로 진입한 과정과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노동자 수기의 중요한 주제 의식이 노동자의 완전한 해방을 완성하는 유토피아 대신, 그러한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시도와 열망을 좌절시키는 모든 종류의 힘에 대항하는 헤테로토피아와 그곳에서 서로에 대한 의무를 지고 각자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는 연대감으로 연결된 노동자 개인들의 공동체를 추구하는 데 있음을 규명한다. 한국 기독교 사회운동 가운데 도시산업선교와 크리스챤아카데미 중간집단 교육은 노동 문제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며 노동자 문제와 관련해 종교적․신학적 논의를 바탕으로 한 사회운동론을 생산하는 한편으로, 노동자 교육과 작업장 내 노동조합 조직 지원 등의 활동에 뛰어들었다. 당시 구원과 천국에 대한 종교적 유토피아 관념이 해체되기 시작한 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은 노동자들이 주체로서 자신들의 사회적 위치를 확보하는 민주적인 변화를 통해 노동자 해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인식을 형성시켰다. 특별히 크리스챤아카데미는 노동자들이 스스로 이끌어가는 대화와 토론, 글쓰기를 독려하며, 노동자가 자신의 말과 언어의 몫을 갖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일을 산업사회의 인간화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핵심 운동 방략으로 내세웠다. 이 시기 『월간 대화』에 실렸던 노동자 수기는 그러한 운동의 실천적 결과물이자 그것을 공유하게 하는 언어적(문학적) 양식으로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유동우의 『어느 돌멩이의 외침』은 노동자들 간의 인간적․민주적인 관계에 정초한 새로운 사회 건설의 기획이 구성원들의 주체적인 행위와 그들 사이의 평등한 관계, 그리고 그것을 지속시키는 공동체성에 있음을 주제의식으로 내세우고 있다. 여기서 당대 진보적인 문학인․지식인들은 노동자들의 자기 해방과 공동체적 연대의 체험을 언어화․문자화한 노동자 수기로부터 당대 문학이 찾지 못한 돌파구와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 결과 노동자 수기를 문학의 한 형식으로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이 문학장 내에 광범위하게 일어나면서 노동자 수기가 문학으로 호명되고 기성의 문학적 유토피아관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한편 여성 노동자 수기에서는 노동자 해방이 메시아적인 구원에 의해 성취·완성되는 유토피아적인 상태가 아니라, 소모임, 클럽활동, 기도회와 수련회 등의 체험을 통해 여성 노동자들 스스로 지금-이곳에 위치 지을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화된 헤테로토피아를 이룩해 가는 것임을 드러낸다. 역설적이게도 유토피아에 이의제기하고 반댛는 이 헤테로토피아적인 글쓰기로써 여성 노동자 수기는 오히려 유토피아의 실현을 좌절시키려는 지배 권력과 자본의 힘에 맞서는 현실 속 장소들과 그 장소를 점유해 나가는 노동자들의 해방에 관한 체험과 사유, 상상력의 지평을 열어갔다. 한편 노동자들이 그들 자신을 정치적 주체로 재현하는 일이 긴요해지기 시작하는 1980년대 중반에 이르면 자연스럽게, 그리고 필연적으로 기독교 사회운동 담론으로부터의 탈맥락화가 이루어진다. 노동자 수기의 문학적 등재 과정을 둘러싼 기독교 사회운동의 맥락은 그러 ...

      • KCI등재

        현대예술사진에 나타난 추의 이미지를 통한‘푼크툼’의 확장 가능성 연구 -조르주 바타유와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논의를 중심으로-

        배하은,이경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6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ontemporary art photography incorporates the concept of ‘ugliness’ into its imagery, seeking to reassess the significance of ‘ugly’ images within contemporary art photography by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s of Georges Bataille, Julia Kristeva, and Roland Barthes’ photographic theory. Both Bataille and Kristeva draw attention to aspects of existence and humanity that have been disregarded or deemed inappropriate within the confines of the social order. Within this order, individuals who have long excluded the ‘other’ find themselves confronting the ‘other’ and thereby reaffirming their lost humanity. And individuals reclaim imaginary elements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symbolic order by transgressing the established order. The recovery of the non-linguistic world resonates with Bataille's Formless and Kristeva’s semiotic Chora, linking the appropriation of the ugliness in art to its concrete practice. The emotional turbulence evoked by the presentation of Formless images and Chora leads to the concept of ‘Punctum’ articulated by Barthes. Focusing on contemporary art photography actively incorporating ‘ugliness’, this study confines its scope to the works created between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It analyzes these works through the lens of Bataille and Kristeva’s theories, extending their implications to Barthes’ theory. The portrayal of ‘Other-Taboo’ prompts viewers to acknowledge both the marginalized ‘other’ and their own otherness,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transgressive reasoning. This interpretation revealed that within photographs, ‘Punctum’ intensifies emotion triggered by the ‘other’, expanding into the viewer’s inner realm, leading to expansion of the human being, elucidating the phiosophical signifiance of the image of ugliness in contemporary art photography.

      • KCI등재

        서발턴 여성의 시와 봉기: 1980년대 ‘버스안내양’의 문화적 재현과 최명자 시의 문제성

        배하은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9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and the contexts of which makes the following question problematic: “Can the subaltern women speak?” The focal point of the analysis is female bus attendants(annaeyang), one of the major subaltern women in Seoul during the 1970s, which were occasionally represented in literature and films as well. I will analyze female bus attendants’ speech act(especially suicidal ones), its various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dynamics determining the speech act in this paper. The double-binding of female bus attendants is noticeable in their figure represented in the film titled Girls Gone to the City(1981) and the issue of which they were trying to prevent the film from being played because of its abusive representation. They are in the double bind of either simply being subjects dominat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or being represented as victims of sexual abuse and exploitation by elite male artists. In either case, they are not allowed to be agents of their speech and act. Therefore, their voice claiming their rights and shouted through many protests-including even the suicidal ones-are not to be heard, nor to be decoded, only left in the space of the “differend.” Therefore, it is quite a ground-breaking event that in 1985 a poet named Choi Myungja, a former female bus attendant published a book of poems titled Our Wish(1985); not only because her poems were the first literary self-representation achieved by a female bus attendant against the hegemonic patriarchal representation established by male elites, but also because it decodes and deconstructs that established one. It is clear that the issue of subaltern women's writing poetry in the relation of the question "Can the subaltern women speak?" pertains to the deconstruction of subaltern women's subjectivity and agency. 이 글은 ‘서발턴 여성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난제로 만드는 조건과 맥락을 보다 세밀하게 규명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1970~80년대 ‘버스안내양(여차장)’의 화행, 그것에 대한 다양한 문화 양식의 재현, 그 가운데 말해지거나 말해지지 않았던 것들을 중층결정한 정치·사회·문화적인 역학을 분석한다. 특별히 영화 <도시로 간 처녀> 사건과 영화 속 ‘버스안내양’ 재현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당대 대표적인 도시 서발턴 여성이었던 ‘버스안내양’들이 다음과 같은 이중구속의 상태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버스안내양’은 개발독재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동원된 피지배 대상으로 간주되거나, 섹슈얼리티의 폭력과 착취의 대상으로 재현된다. 둘 중 어느 쪽이든 ‘버스안내양’은 자신의 말과 행위의 주체로서 재현될 수 없고, 구성될 수도 없다. 그리하여 집단적인 시위는 물론이거니와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방식까지 동원하여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했던 ‘버스 안내양’들의 목소리는 들리지도 읽힐 수도 없었던 “디페랑의 공간” 속에 남아 있게 된다. 한편 1985년 ‘버스안내양’ 출신으로는 최초로 시집을 출간한 최명자 시의 문제성을 기성 문화에서 ‘버스안내양’을 재현해온 방식과 맥락에 맞세워 볼 때, 규범적 재현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코드화, 담론환원적 해석을 이탈하고 초과하는 시적 발화의 양상이 드러난다. 서발턴 여성이 말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화행으로서 서발턴 여성의 시 쓰기는 그녀들의 봉기와 마찬가지로 서발턴 여성 주체를 탈구축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혁명의 주체와 역사 탈구축하기 - 박태순의 6월항쟁 소설화 방식에 관한 연구

        배하은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construct the ‘Agent’ and the ‘History’ of revolution, especially of June Democracy Movement in order to problematize the ideologically constructe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pro-democracy movement in 1980s. Park Taesun’s fictions “Pamgil’ŭi Saramdŭl(People Wandering at Night)”(1988) and “Gwanghwamun”(1989) capture a few significant scenes of disheveling the tapestry of the citizen’s victory in June Democracy Movement. In the scene of Myeongdong struggle, the minorities who are not eligible for the citizen’s right come into existence with the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Gwanghwamun” setting in the time right after June Democracy Movement narrates the story of those who once participated in April revolution in 1960 but failed and lost their revolutionary spirit. The narrative of the metamorphosis of the 4.19 generations is symmetrically juxtaposed with the reconstruction of revolution. In carrying out this deconstructive approach to revolution in the fictions, Park draws upon the distinctive epistemology of revolution based on his own experience of 4.19. In fact, he has an idea and belief that revolution lasts perpetually; that is, a revolutionary event does not end simply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or a regime, but continues in the whole and broad history of revolution. And, indeed, after 30 years, June Democracy Movement, which was widely considered as the milestone of civil society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has been deconstructed by Candlelight Revolution in 2017 of the minorities and ‘others.’ 이 글은 6월항쟁과 1980년대 민주화운동에 내재한 혁명적인 것을 발견하고 사유하기 위해서는 ‘시민 혁명’의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고, 특별히 6월항쟁의 주체와 역사를 탈구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박태순이 6월항쟁 직후 발표한 중편소설 「밤길의 사람들」과 장편 연재소설 「광화문」을 분석함으로써 6월항쟁이 ‘시민 혁명’으로 단일하게 수렴되지 않는 부면을 혁명의 주체와 역사의 (재)구성 측면에서 살펴본다. 4.19세대로서 박태순은 4.19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특유의 혁명론을 수립한다. 그의 혁명론의 핵심에는 어떤 특정한 사건으로서의 혁명이 갖는 의미와 실천이 그 다음에 오는, ‘장차 올’ 혁명에 의해 현재적으로 재구성된다는 ‘혁명의 영속성’에 대한 사유가 자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박태순은 혁명이 어떤 정치 체제의 교체로 판별되지 않고, 변혁의 시기에 분출하는 시민 혹은 인민이나 민중 등의 이름으로 호명되는 집합적 주체 안에 속한 개개인의 정치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대한 요구와 실천,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제들의 자율적인 해결 의지가 삶의 구체적인 국면으로 현전하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6월항쟁 중에서도 명동 투쟁을 소설화한 작품 「밤길의 사람들」에서는 ‘민주 시민’의 자격조차 갖지 못한 타자적인 존재들이 주권 인민의 구체적인 실존으로 출현하는 ‘혁명’의 순간을 포착한다. 이를 통해 혁명의 주체는 초월적인 집단적 주체이면서도 서로 다른 개인들의 결속체로서의 주권 인민이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행위를 실천할 때 구성되는 것으로 그려진다. 한편 6월항쟁과 그 직후를 시간적 배경으로 삼은 「광화문」에서는 4.19세대가 6월항쟁을 통해 한때 혁명의 주체였던 자신들의 지나간 삶을 성찰하며 혁명 주체의 정체성을 되찾아가는 인물들의 변화와 함께, 4.19가 6월항쟁에 이르러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재획득하고, 혁명으로서 재구축되는 과정을 서사화한다.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항쟁 직후 실패와 좌절, 미완의 혁명으로 규정되었던 6월항쟁 역시 마찬가지로 ‘장차 올’ 또 다른 혁명을 통해 재전유될 것임이 시사된다.

      • KCI등재

        재현 너머의 증언 : 1980년대 임철우, 최윤 소설의 5․18 증언-재현 문제에 관하여

        배하은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The argument of the depression of fictions in the early 1980s was concerned with the helplessness of fictions against 5.18. The critics criticized that fictions were to blame for not properly representing the massacre and revolution. However, the fictions of the time were not able to testify 5.18 in the way of realistically representing it as the critics asked them to. Nor is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equivalent to a proper testimony for 5.18. The incapability of the fictions rather means that realism is not a perfect theory of fictions, and it contradicts the critics’ strong belief. Lim Chul-woo’s fictions embody the incapability of testifying-representing 5.18 with the motif of survivors’ silence and guilt; which is a sign of the fiction’s struggle to create a new literary form and aesthetics of the 5.18 testimony. Ch’oe Yun’s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1988) is based on the thinking of the linguistic negativity that the language cannot represent the existence, but merely annihilates it. Therefore, her fiction, instead of realistically representing 5.18, pictures the moment of the transition between the physical reality and the signifier. In this way, it creates a literary testimony of 5.18 which does not lose its historical meaning as well as physical/materialistic reality. This literary testimony operates the politics of commemoration, distributing the shares of testifying voices and languages to the narrators and readers of the fiction; and, therefore to the victims, survivors of 5.18 and even other individuals who were not engaged in it. 1980년대 초 문단에 광범위하게 확산된 소설침체론은 비평이 요구했던 1980년대 소설의 책무, 즉 5․18을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역사와 사회 현실에 개입하는 일을 소설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겨냥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요구대로 소설이 5․18을 재현함으로써 증언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웠으며, 그것은 문학에 앞서 현실/또는 문학이 재현할 실재를 전제하는, 그리고 문학을 바로 그러한 것들의 재현물로 간주하는 재현적 문학 체제 하에서 필연적으로 벌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였다. 요컨대 소설침체론은 5․18과 같이 그 실재가 불안정한 특수한 문제 앞에서 리얼리즘적 재현의 한계가 드러난 일종의 징후적인 현상이었다. 임철우의 소설에서는 이러한 증언-재현 불능의 사태가 살아남은 자들의 침묵과 그것을 둘러싼 죄의식으로 나타난다. 동시에 그 침묵과 죄의식은 증언-재현불능 사태에 개입하기 위한 소설 형식과 미학―리얼리즘적 재현을 넘어서는 문학의 증언 방식― 을 창조하기 위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최윤의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는 어떤 대상을 지시․재현하는 언어가 오히려 그 대상의 실재를 재현하는 동시에 파괴하게 되리라는 언어의 부정성에 대한 사유에 기반하고 있다. 그리하여 소설은 감각의 잔여물로 남아있는 소녀의 기억을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는 대신 그것이 언어를 매개로 감각과 의미 사이를 교차하며 환원․재환원/산화되는 찰나를 포착하려 한다. 이를 통해 소설은 역사로서의 5․18의 의미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감각과 기억으로서의 5․18을 유실하지 않는 증언 방식을 창출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증언은 이 소설의 특징이기도 한 다층적인 서술자들 사이의 증언의 연쇄를 통해, 그리고 소설의 서두에서 독자들을 ‘당신’으로 호명하는 목소리를 통해 소설이 수행하는, 그리고 작품을 통해 독자들이 수행하게 되는 추모의 정치를 작동시킨다. 최윤의 소설은 증언의 역량과 몫을 소녀를 비롯한 소설 속 서술자들과 독자들에게 배분함으로써 그 증언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복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요컨대 문학이 5․18을 ‘증언’한다는 것은 그것을 사실적(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는 문제를 떠나, 살아남은 자들에게 증언의 능력과 권한을 부여해줄 수 있는 형식과 미학을 창조하는 일인 것이다.

      • KCI등재

        섹슈얼리티와 폭력의 아이러니 : 1980년대 운동권 여대생의 정치적 주체성 구성에 관한 연구

        배하은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40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self-narrative texts of three female college student activists in the undongkwon group, namely Kim Eun-sook, Kwon In-sook, and Lim Su-kyung, who played crucial roles in the significant incidents considered as turning points during the 1980s pro-democracy movement: the 1982 Busan USIS Cultural Center arson incident, the 1986 Bucheon sexual harassment and accusation incident, and the 1989 North Korea visit. The formation of political subjectivity among the female student activists engaged in those three incidents involves the act of giving narrative accounts of their political actions which were utterly unacknowledged by society at the time. Additionally, gender and sexuality revolve around the parameters of female activists’ subjectivities being acknowledged, given that their ‘risky and dangerous’ political actions could inevitably disrupt the social norms of gender and sexuality imposed up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