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테러 범죄와 테러방지법 - 경찰의 대테러 활동의 중요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

        선계훈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3 No.2

        본 논문은 테러 범죄의 위협에서 국가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대테러 법률 제정이 필수 적이라는 개인적인 소견에 바탕을 두고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하였던 테러 범죄와 테러방 지법을 인도네시아 경찰의 대테러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국가 중 세계 최대의 이슬람국가로 산업연수, 유학, 관광 등을 목적으로 한국내 유입하는 인도네시아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 째,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테러 범죄의 배경, 둘째,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주요 테러 범죄 사례, 셋째, 인도네시아의 테러방지법 제정의 취지, 넷째, 인도네시아 테러방지법 의 특징, 다섯째, 인도네시아 경찰의 대테러 활동 현황, 여섯째, 인도네시아 경찰 88특수 부대(Densus88)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테러 범죄 발생 요인과 국민의 성 향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주요 테러 범죄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2002년 발리 폭탄 참사 전후로 구분하여 테러 범죄의 이슈를 제시하였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테러 범죄 퇴치 활동의 일환으로 제정 공포한 테러방지법인 테러 리즘범죄행위방지활동을위한인도네시아공화국정부 시행령 2002년 제1호(2003년 제 15호 법률로 제정 공포)는 타 법률에 대한 우산법의 성격을 지내고 있으나 임의적인 해 석이 가능한 모호한 용어 사용, 증거 조작 및 법령의 남용 우려가 있어 대테러 법률 제정 시 참고할 여지가 많다. 또한 인도네시아 경찰의 대테러 전담부대인 88특수부대는 인권 의 논란이 있기는 하나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의 위상이 높 아짐과 동시에 국제 테러단체에 의한 테러 범죄 발생 위험도 날로 증가하고 있어 조속 히 테러방지법을 제정 공포하여 대테러 활동을 위한 견고한 법적 기반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s based on my opinion that counter-terrorism legislation is essential to protect from the threat of terrorism for maintain national security. Introduction to focus on the counter-terrorism activities of Indonesian police for the terrorism and Terrorism Prevention Act of Indonesia, the world’s largest Muslim country among the increase in entry to domestic of countries in South East Asia for the purpose of industrial training, study, tourism, etc. First, the background of terrorism in Indonesia, Second, major terrorism cases occurred in Indonesia, Third, the purpose of Terrorism Prevention Act in Indonesia,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errorism Prevention Act in Indonesian. Fifth, the counter-terrorism activities of Indonesian police, Sixth, introduction to the Indonesian police special forces 88(Densus88),

      • KCI등재

        인도네시아 화인화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문화적 정체성 연구

        박남용 한국중국학회 2022 중국학보 Vol.102 No.-

        This study studied the issues of transnationalism and cultural identity that appeared in Overseas Chinese poetry as an analysis target. This study reviewed the cause of Indonesian Chinese poets' formation and creative background and the work world of Chinese poets after the 1980s and 1990s. Among “SanRenXing”, the three-person collection of poetry by Xie Menghan, Yuan Ni, and Xixiliya,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Indonesian Chinese women's poetry in Indonesia, was mainly reviewed. Poets such as Roumiou Cheng, Yan Weizhen, Xixiliya, and others, revealed Indonesia's transnational hybrid cultural identity and “Resonansi Indonesia”, a bilingual collection of Indonesian and Chinese poetry focusing on the repercussions of Indonesian and Chinese poetry. We studied the poetic world and a particular superseded articulation.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various cultural identities of Overseas Chinese poetr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Indonesian Chinese society in Indonesia and comprehend the main world of Indonesian Chinese poetry. Particularly, We understood how the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donesian Chinese poetry by overcoming the painful realities they experienced settling in Indonesian society and serving as a bridge to promote friendly relations and interes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ultural identity as a minority group in the life of immigrants in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the emotion of longing for home and motherland reflected in their Chinese painting poems. In conclusion, in this paper, by examining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Chinese poetry,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eople's life and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the transnationalism and multicultural identity as a Chinese diaspora embedded in their poetry. As such, through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essence, ethnicity, and multiple cultural identities of Indonesian Chinese people in Indonesia using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to analyze Indonesian Chinese literature. Additionally, by understanding the work world and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Chinese poets and their femininity, reality, and hybrid cultural identity. In the growth of Indonesian Chinese society, what kind of national, national, and hometown imaginations appeared in Indonesian Chinese poetry, and the phenomenon of hybrid culture with the indigenous traditional culture and local culture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ir collective memory. We will consider the reterritorialization issue in detail.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화인 화문 시문학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화인들의 화문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문화적 정체성의 문제를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처럼 인도네시아의 화인화문 시단의 형성 원인과 창작 배경을 검토하며, 1980-90년대 이후의 화인 시인들의 작품세계를 검토하였다. 이 중에서도 인도네시아의 화인 여성시의 발전을 이끌었던 셰멍한(謝夢涵)⋅위안니(袁霓)⋅시시리아(茜茜麗亞) 3인 합집 시집인 삼인행(三人行) 을 주로 검토하였다. 인도네시아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혼종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낸 로미오⋅정(柔密歐⋅鄭), 옌웨이전(嚴唯眞), 시시리아(茜茜麗亞) 등의 시인들과 인도네시아어와 중국어 이중 언어 합집시집 인도네시아의 공명(印度尼西亞的轟鳴) 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화인화문 시단의 반향의 목소리를 내었던 시세계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인도네시아 화인화문 시문학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 분석을 통하여 인도네시아에서의 중국 화인과 화인 사회의 형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화인 화문 시문학의 주요한 작품세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그들이 인도네시아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 속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고통스런 현실을 극복하며 양국의 우호적 관계와 이익의 증진을 위해 다리 역할을 수행하며 화문시단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아울러 그들의 화인화문시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고향과 조국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와 현지 사회 속의 이민과 이주, 유랑의 삶 속에서 주변 소수집단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인도네시아 화인화문 시문학의 중요한 특징들을 검토하면서 화인들의 삶과 문학의 관계를 돌아보며 그들의 시 속에 내재되어 있는 중국인 디아스포라로서의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다중적 문화 정체성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화인화문 시문학을 연구하는 방밥론으로서의 트랜스내셜리즘적 관점을 사용하며, 인도네시아 화인의 신분적, 민족적, 문화적 다중 정체성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인도네시아 화인 시인들의 작품세계와 작품 특징을 이해하며 그들의 여성의식과 현실의식, 혼종적 문화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화인 사회의 성장 속에서 화인들의 시문학이 어떠한 국가와 민족 상상, 그리고 고향 상상 등이 나타났으며, 화인 고유한 전통문화와 현지 문화와의 혼종문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집단기억의 재영토화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나가기로 한다.

      • KCI등재

        인도네시아 물류산업의 현황과 한국물류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배일현 ( Il Hyun Bae ),무하마드파이잘율자무르디 ( Muhammad Faisal Yul Zamrudi ) 한국물류학회 2015 물류학회지 Vol.25 No.1

        인도네시아는 동서로 약 5,000km 이상의 거리에 1만 7천개 이상의 섬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섬나라이다. 이런 지리적 특징으로 인한 글로벌 해양허브의 잠재성과 국내소비수준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최근 해외 투자자들로부터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해안선과 광대한 지리적 여건 때문에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들이 사회 및 경제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인도네시아는 한국을 포함한 많은 선진국가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수익성있는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는 국제교역에서 이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즉, 절대적으로 부족한 물류인프라가 인도네시아의 성장과 지속적인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경제를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인도네시아 물류현황을 중소기업관점에서 살펴본 후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려는 한국기업에 시사점을 주기 위해 연구되었다. 연구결과, 인도네시아는 의심할 여지없이 한국기업에게 거대한 기회의 시장으로 밝혀졌으며, 투자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교유의 물류적 특징을 세심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밝혀졌다. Indonesia, the world’s largest archipelagic country is frequently gaining attention from global investors due to its potential to emerge as a global maritime hub and the growing domestic consumption. The country enjoys rich coastline and is often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in social and economic arenas. Indonesia has evolved as one of the most lucrative investment destinations for investor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But despite successfully wooing the investors, the country fails to reap advantages of international trade optimally. The inadequate logistics framework in Indonesia poses severe threats to its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aper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logistics condition in Indone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and analyzes investment opportunities for Korean logistics firms. The paper finds that Indonesia undoubtedly can prove to be a vast market for Korean firms but they do need to consider the inherent logistics loopholes in the country which may pose profitability related challenges.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국제조약이행법과 인도네시아법원에서의 적용

        리나샤리야니샤룰라 ( Rina Shahriyani Sharulla ),박지현 ( Park Jihyu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硏究 Vol.28 No.1

        인도네시아는 1969년 비엔나협약을 비준하지 않은 국가이다. 다만 2000년 법24번을 제정할 당시 1969년 비엔나협약을 참고하였다. 이는 협약 내 국제규범과 원칙을 관습법으로 간주하는 국제사회의관행을 적용한 예로 볼 수 있다. 조약을 관습법의 일부로 보고 국내법으로 채택하는 접근방식은 유효하나, 국제조약과 국내법간의 괴뢰는 각각 다른 해석과 관행으로 이어지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분석결과, 인도네시아 조약법은 1969년비엔나협약을 총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법률이기는 하지만 국내에서 변형된 해석과 적용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즉, 문구자체의 비교결과, 인도네시아조약법은 비엔나협약의 복사판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부조항에 대해 인도네시아조약법을 근거로 인도네시아 국내에서 풀어나가는 의미와 적용이 비엔나협약에서 해석하는 의미와 적용과는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의미 해석과 적용을 달리하는 태도는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 국가의 이해관계에 저해되는 경우 해당 조약의 효력을 무효로 볼 수 있다는 인도네시아 대법원판결로 이어졌다. 인도네시아 법원 판결의을 살펴보면 조약에 대한 국내법의 태도에 있어 일원론의 입장을 취하는지, 이원론을 취하는지 아니면 혼합적인 태도를 취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인도네시아 대법원은 아라비아와 말레이시아 부지의 법적 지위를 판단함에 있어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제31조를 직접 적용하였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반부패협약의 체약국이었지만 인도네시아 국내법으로 부패법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해당 내용을 적용할 수 없었는데 이는 또한 이원론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법원의 태도는 인도네시아 학계가 국내법의 국제법에 대한 태도를 바라보는 분리된 두 가지 관점을 동일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15-2019년 개정대상인 인도네시아조약법은 새로운 학계 초안과 법안 초안이 하원에 제출된 상태이다. 하지만 초안은 인도네시아 법원이 일원론을 취할 것인지, 이원론을 취할 것인지에 대한 태도에 대해 여전히 분명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는 측면에서 흠결이 보완된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Indonesia has not ratified the Vienna Convention 1969 on the Law of Treaties. However, Indonesia replicated the provisions of the Vienna Convention 1969 as references when it promulgated Law No.24 of 2000 concerning Treaties. In this regard, Indonesia treated the international norms and principles under the Convention a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The approach raises a question whether the Indonesian Treaty Law entirely implements the Convention.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visions of the Indonesian Treaty Law and compares it to the Vienna Convention 1969. It is found that to some extents, the Indonesian Treaty Law replicates the Vienna Convention 1969. However, it also contains ambiguous provisions which caus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eaning and applications of a treaty between the Law and the Convention. This research also examines and analyzes the courts’ decisions and it is found that the courts have various approaches to the application of a treaty. As a result, it is not clear whether the courts adopt the approach of Monism, Dualism or the mixure of them because of their flexible attitude towards the implementation of a treaty. It is concluded that the Indonesian Treaty Law has weaknesses, therefore it needs to be amended. The Academic Draft and Bill Draft to the amendment of the Law have been submitted to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They are included in the National Legislation Program 2015-2019.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wo drafts, it is apparent that the proposed amendments are still not able to fill the lacunas of the Indonesian Treaty Law since they remain silent as to whether the Law which ratifies a treaty can be judicially review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y also provide no clues as to whether the Indonesian courts should adopt the approaches of Monism, Dualism or the mixture of them.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세계해양대국 건설과 Natuna 제도 영토분쟁

        박재봉 ( Jae Bong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6 東南亞硏究 Vol.26 No.2

        인도네시아와 중국간에 남중국해 영토 분쟁이 격화되고 있다. 남중국해 남단에 위치한 나투나 제도(Natuna Islands)해역에서 중국이 인도네시아의 배타적 경제수역을 침범하여 촉발된 분쟁이다. 중국의 남중국해 영토를 표시하는 구단선(Nine Dash Lines)이 인도네시아영토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계속적인 논란이 발생하여 왔다. 중국어선단의 빈번한 영토 침입에 대해 이전의 인도네시아 정부는 평화적인 해결방법에 의존하여 왔다. 그러나 2014 년 10 월 조코위정부가 등장한 이후에 두 국가간에 잠재해 있던 영토분쟁이 수면위로떠올라 관심을 끈다. 이 논문은 인도네시아 조코위(Jokowi) 정부의 세계해양주축국(GMN, Global Maritime Nexus) 선언과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중국간의 영토분쟁의 연관관계를 연구하였다. 2014 년에 집권한 조코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영토주권 확보와 외곽 도서의발전에 중점을 두는 획기적인 국가정책 목표를 설정하였다. GMN 은 조코위 정부의 영토주권 확보를 위한 정치적인 선언으로 외국어선들의 영해 침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이념적 바탕이 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정책에 따라 인도네시아 해양영토를 침범하는 외국어선들을 몰수하고 가차없이 폭파시키는 강공책을 시행하고있다. 이러한 강공책에 따라 2016 년 8 월까지 140 척이 넘는 외국어선들이 폭파되어 수장되었다. 중국 어선들도 예외가 없었는데 중국 정부는 이러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에 강력하게 반발하고있는 중이다. 중국 정부는 구단선 내에서 조업하는 중국어선들의 조업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중국의 계속된 도발에 대처하기 위하여 나투나해역에 군대를 대폭 증강하고 해상순찰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도 구단선 수호를 포기할 가능성이 적어 당분간 두 국가간에 해양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과 갈등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의 대중국 강공책은 인도네시아 해군의 장비현대화사업에 성패가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조코위 정부가 전략적으로 군수장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충분한 예산 확보가 어려워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조코위대통령이 GMN 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남중국해 영토분쟁은 현재보다 갈등의 깊이와 폭이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President Jokowi in Indonesia declared his new Global Maritime Nexus (GMN) policy in October 2014 as an underlying policy guideline for his administration. This GMN policy have five principles such as (1) rebuilding Indonesia’s maritime culture, (2) guarding and managing maritime resources, (3) developing of maritime infrastructure and connectivity, (4) enhancing maritime diplomacy, and (5) defending maritime sovereignty and security. The GMN policy highlights a reconceptualization of Indonesia’s interests as the world largest archipelagic country, which is geo-strategically located at the crossroads of major powers including USA, China, Japan, India, and Korea. The GMN policy has provided a momentum to reappraise Indonesia’s evolving diplomatic strategies. The implementation of GMN policy by the Jokowi administration triggered territorial disputes between Indonesia and China and among ASEAN countries because Indonesian government attempted to secure its maritime sovereignty through tough measures towards maritime border infringement of foreign vessels. In fact, Indonesian government seized and destructed more than 170 foreign vessels from China, Malaysia,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As the implementation of GMN policy, Indonesia-China relationship deteriorated. The Jokowi administration seized Chinese fishing vessels which were operated in the Natuna Islands. Unlike previous governments, the incursion of Chinese fishing vessels is no longer tolerated. President Jokowi and his cabinet ministers alike criticize China’s border infringements. This tough measure highlighted the objective of GMN policy to secure maritime sovereignty and natural resources. Domestic political change in Indonesia induces diplomatic policy shift. The causality of Jokowi administration’s GMN policy and the mounting tensions in the Natuna Sea seems to be an obvious case of the Storey’s argument. Now the Jokowi administration intends to modernize military equipments, particularly Navy, to defend maritime interests. Indonesia’s balancing strategy will heighten tensions in the South China Sea and trigger diplomatic frictions with neighbour countries.

      • KCI등재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에 대한 연구: 한국 물류기업으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배일현 ( Bae Ilhyun ),무하마드파이잘율자무르 ( Muhammad Faisal Yul Zamurdi )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5

        본 연구는 세계 4위의 인구대국으로 2억 5천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인도네시아의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 살펴본 후 한국 물류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인도네시아는 18,000여 개의 섬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의 섬나라인 관계로 인도네시아 이외의 기업에게 육상물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해상 물류가 활발할 것이라는 선입관이 있다. 그러나, 18,000여 개의 섬 중에 약 900여개의 섬에 사람이 살고 있고, 이중 가장 큰 섬은 자바, 수마트라 섬인데 이 두 개의 섬에 약 2억 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는 주로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의 현황을 살펴본 후 범한 판토스를 중심으로 한 인도네시아에 진출 국내 물류기업으로의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결과, 해상운송뿐만 아니라 육상운송의 중요성이 인도네시아에서 날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의 규모는 향후 발전속도가 빠를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물류기업은 이러한 상황을 예의 주시하여 향후 인도네시아 진출 전략에 반영해야 한다. 특히, 인도네시아에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물류기업들은 범한 판토스같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기업의 전략을 검토 또는 협조를 통하여 시너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향후 상당기간 동안 인도네시아의 급속한 경제발전이 예상되는 만큼 일본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자동차시장을 한국 자동차 기업들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는 시사점도 본 연구는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logistics companies after take a look Indonesia automobile industries. As is widely known, Indonesia has the fourth largest population in the world. Generally, world people think that Indonesia maritime traffics are more developed than its land transportation because Indonesia`s populations of 250 million as they are spread out on more than 900 islands of Indonesia`s 18,000 Islands. Most of Indonesian people mainly live in Java and Sumatra which has more than 200 million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discover that not only maritime transportation but also land transportation is very important in Indonesia. So, Indonesia automobile industry has advanced quickly.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should reflect these situation of Indonesia when they enter Indonesia market. Especially, Korea logistics companies should check Indonesia`s geographical area of which they want to advance. They also must analyze logistics companies which already entered Indonesia like Bumhan Pantos to get synergy effect. This study also provides that Korean automobile companies should not disregard Indonesia market.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이지윤(Lee, Ji-Yun),전홍민(Chun, Hong-Min)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서 사례분 석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최초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기업에게 의무도입하게 한 국가이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의무 도입한 국가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인도네시아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발히 추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기업 중 CJ와 삼성전자는 활발 하게 인도네시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 동과 관련된 수상을 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의무 도입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본 사례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사례연구 결과, CJ와 삼성전자는 인도네시아에서 공유가치창출을 통한 성공적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으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하였 던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 중 활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보다 최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인도네시아에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 혹은 인도네시 아에 이미 진출을 한 기업 중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게 인도네시 아에서 성공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donesian firm 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ereafter we called CSR) focusing on Korean firms. Indonesia conduct law which is related to obligation of CSR for indonesian corporate firms. So this paper examines why Korean firms go to indonesia and if Korean firms are good at CSR activity in indonesia then we want to find the specific case study to find the successful story for the Korean firms. Indonesia is the good place to research about CSR activity because indonesia is the first country to adopt CSR obligation law so this can be the good research setting. This paper choose CJ and Samsung electronics for their successful case story in Indonesia. In Indonesia, CJ and Samsung electronics conduct Corporate Shared value(Hereafter we called CSV) strategy which is different from CSR. So this CSV strategy can be the more refined strategy compare to CSR. So in this paper, we want to research more about successful CSV case study which is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in Korea. This paper may shed some light to the interested firms that wants to go to the Indonesia or India which country adopt mandatory CSR activity.

      • KCI등재후보

        인도네시아에서의 이슬람금융법의 전개

        김선정 한국무역보험학회 2011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2 No.3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모슬렘국가이며 풍부한 자원국이나 이슬람금융은 인도네시아에서 비교적 새로운 영역이다. 인도네시아 이슬람금융시장은 잠재적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이슬람금융의 허브'와 같은 공허한 목표보다는 이슬람금융을 전통적 금융과 병행하여 국내 금융의 한 축으로 차분히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 모슬렘의 요구와 이슬람금융의 세계적 붐에 부응하는 시장의 성장에 따라 이슬람금융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인도네시아에서도 새로운 법적 문제들이 많이 야기된다. 본고는 복잡한 법체계를 갖고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금융의 실제문제들에 대하여 인도네시아 정부가 종교적 요구와 금융의 특성을 겸비한 이슬람금융에 대하여 금융산업별로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피고 이슬람금융의 분쟁해결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이들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아직 우리에게 생소한 인도네시아의 법체계와 법의 연원도 약간 살폈다. 이슬람금융의 세계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 이슬람금융은 인도네시아 사회의 특성과 수요에 따른 발전을 하고 있으나 전통적 금융시장과 경쟁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정책결정자와 입법자가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한국에서도 이슬람금융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인도네시아의 법제도와 이슬람금융법제를 소개한 문헌이 드문 상황이다. 본고는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도네시아에 대한 공적개발원조의 현황 및 기여도 평가

        정동원(Dong Won Jeong)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0 No.3

        인도네시아는 한국의 중점협력대상국으로서 규모로 볼 때,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의 3번째 수원국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ODA 현황과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에 있어서 ODA의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ODA 규모는 한국 전체 ODA 에서 약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ODA의 약 73%가 유상차관을 통해 지원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 지원된 ODA는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지만,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ODA 지원 규모는 매년 인도네시아로 유입되는 전체 ODA 규모의 0.36%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79-2004년까지 인도네시아에 지원된 전체 ODA와 인도네시아의 자본투자/GDP, 노동가능인구의 성장률, 그리고 개방정도를 이용하여 ODA가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에서 어떤 기여를 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ODA는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에서 긍정적인 역할은 하지만 크게 기여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도네시아는 ODA를 통한 경제성장보다는 적극적인 해외직접투자 유입, 무역다변화 정책을 통한 경제성장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Indonesia is the third recipient country of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in a view of priority cooperation nation scale of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es of ODA to Indonesia and the performance of the ODA in Indonesian economic growth. The Korea`s ODA to Indonesia takes 7.5% of entire ODA to Indonesia and about 75% of the ODA is provide with loan. The ODA to Indonesia improves the national welfare but takes only 0.36% of entire ODA to Indonesia. This study analyzes how the ODA contributes to Indonesian economic growth using information about entire amount of ODA to Indonesia during 1979-2004, capital investment/GDP to Indonesia, growth rate of possible labor population, and economic openness. The results show that ODA to Indonesia doesn`t contribute greatly but plays a positive role in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study indicates that economic growth through active foreign direct investment or trade diversification policy can be more effective than economic growth through ODA.

      • KCI등재

        인도네시아 민담에 나타난 동물 상징

        고영훈(Young, Hun-Ko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민담에 나타난 동물의 상징을 분석한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400개 이상의 종족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며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하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족이 다양한 민담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이 상징하는 바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가 수행할 주된 작업이다. 민담은 민속 문학으로 한 사회공동체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한 문화인류학의 자료가 되기도 하고 예술적 표현으로서도 의의가 있다. 지역성과 시대성, 그리고 전하는 사람의 개성이나 생활사 등에 의해서 변화를 일으키면서 민담은 전해져 가되, 그 변화의 밑에 변화하지 않는 불변의 보편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깐찔 kancil과 원숭이가 정형화된 동물에 속한다. 이러한 동물들은 각각 약삭빠르고 재치 있는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우둔한 이미지로 정형화되어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은 호랑이이다. 호랑이가 우리나라 동화에서 용맹성 있는 동물로 그려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깐찔이나 원숭이에게 당하기만 하는 우둔한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러한 사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문화권의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이 상징하는 이미지는 서로 다르며 문화권에 따라 서로 상반된 이미지로 정형화되어 있는 경우도 발견된다. 인도네시아 민담에 등장하는 동물들이 지닌 의미와 상징을 살펴보면 시대가 변하면서 상징의 의미가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물을 소재로 한 민담이 동물들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의미를 지닌 존재로 본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특정 동물의 상징성이 변한다는 것은 그러한 변화를 초래하는데 기여한 문화적인 배경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 문화권에서 함의하는 동물의 상징은 그 문화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함을 알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민담들은 일반적으로 결핍해소 Lack Liquidated, 결핍 Lack, 탈출시도 Attempted Escaped, 그리고 다시 결핍해소 LL의 단락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 동물일지라도 경우에 따라서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를 함께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인도네시아의 민담에 주로 등장하는 동물 중에는 우리나라에는 존재하지 않는 깐찔도 있으며, 등장 빈도수를 보면 우리가 중요시 하지 않는 원숭이 같은 동물이 이곳에서는 중요하고 친근한 동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전술한 깐찔 이외에 개, 돼지, 뱀, 호랑이, 원숭이, 악어, 소 등이 민담에 자주 등장하며 그 이외의 동물들은 상대적으로 등장 빈도수가 적다. 인도네시아의 민담에 자주 등장하는 동물은 인도네시아 지역의 생물구에서 사람과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동물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animal symbols that appear in Indonesian folktales. In Indonesia, there are more than 400 tribes whose languages and cultural backgrounds differ from each other. Such diverse tribes have various folktales of their own, and to analyze what the animal symbols in such folktales stand for is the main task of this research. A folktale is a kind of folk literature which can be used as an anthropological material in investigating the nature of a social community, and it is also meaningful as an artistic expression. In the course of transmission, folktales undergo changes caused by the locality, the time, and the personality of those who hand down the stories, but at the same time, they maintain unchangeable universality despite those changes. In Indonesian folktales, kancils and monkeys belong to stereotyped animals. These animals establish shrewd and witty images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igers are standardized as slow-witted image. Tigers in Korean folktales are often portrayed as brave animals, but in Indonesia, they are depicted as stupid animals that always outwitted by kancils or monkeys. As it is shown in this example, the images symbolized by different animals in folktales of different cultural areas vary from each other, and at times, some animals are even standardized as conflicting images in different cultures. Also, it is found that the significance and symbolism of animals in Indonesian folktales have undergone changes with the times. If we accept the premise that animals in such folktales are meaningful beings just like people, the changes that occur in their symbolism can signify that there are cultural backgrounds which cause such changes. In Indonesian culture, the animal symbols are as diverse as its cultural multiplicity. The folktales that are found in different areas of Indonesia generally comprise motifemes of ‘lack liquidated,’ ‘lack,’ ‘attempted escape,’ and again ‘lack liquidated.’ Also, in some cases, certain animals can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One of the animals that frequently appear in the Indonesian folktales is a kancil which does not exist at all in Korea, and some animals which are not considered as important animals in Korean culture, such as monkeys,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and familiar animals in Indonesia. Most frequently found animals besides the previously mentioned kancils include dogs, pigs, snakes, tigers, monkeys, crocodiles, and cows. Other animals are rarely found in the folktales. Those animals that appear more frequently in the stories can be considered as animals that have closer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in the biotic communities of Indon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