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에 담긴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 고찰 - 윤창열의 『醫易學』과 이준천⋅소한명의 『醫易會通精義』를 중심으로

        이난숙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sprout of Oriental medicine’ contained in Zhouyi(周易) revealed by a scholar who studies the study of medicine-Yi Jing(醫易學) in Korea and China. The study focused on Korean China medicine scholar Yun Chang-yeol's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as Korean data, and Li Jun-chuan(李浚川) and Xiao Han-ming(蕭漢明)’s The essence of medicine and Yi Xue Correlation(醫易會通精義) (Translation name is The thought of the study of medicine-Yi Jing(醫易學 思想) ) as Chinese data. Both books Both books are literature that studied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also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and Yi Xue(易學) and Oriental medicine are discussed as fusion and compound theories. Specific considerations include, first, the concept of ‘Medicine and Changes sharing the same origin(醫易同原)’ and ‘Confucian doctor(儒醫) and its meaning in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second,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its content argued by Yun Chang-yeol through 39 hexagrams of Zhouyi , third, ‘the sprout of Oriental medicine’ and its content argued by Li Jun-chuan and Xiao Han-ming through 5 hexagrams of Zhouyi』.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Scholar of Oriental medicine,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the book of changes as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were compared and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medicine-Yi Jingare the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the human body,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f humans, anatomical knowledge, corpses, deaths, diseases, preventive medicine, curing methods, pregnancy and childbirth, acupunction and moxibustion(灸鍼) through Zhouyi』. In The essence of medicine and Yi Xue Correlation , they argued that the letters ralated to in the formation process of Yijing』 through Exgesis and textual research. Among the five hexagram of Yijing』, namely, hexagram Bo(剝卦) hexagram Yu(豫卦) hexagram Cui(萃卦) hexagram Gun(艮卦) hexagram xian(咸卦) there are included pathogeny, diagnostic treatment, Psychology, curing, the sprout of Needle-stone technique. However, the meanings of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spout of Oriental medici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wo books above, also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content of the quoted Yijing hexagram. Because, Yun Chang-yeol examined the principles of Yi Xue included in Oriental medicine and the contents of the body's anatomical knowledge and the harmony of physiology, disease, and mind, On the other hand, Lee Jun-cheon and Xiao Han-ming mainly considered the contents related to pathogeny, diagnostic treatment, psychology, curring, and the sprout of needlestone techniques in ancient Oriental medicine. Overall, both literature have an academic meaning that considered the study of the principles of “Medicine and Changes sharing the same origin(醫易同原)” by studying the logic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sprout of Oriental medicine in 『Zhouyi』. and it is considered a good example of fusion and compound research of philosophy and Oriental medicine. However, from a professional and balanced perspective, it is hoped that the fusion and compound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and Yi xue will proceed in the future, and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study of medicine-Yi Jing’ will be more and the discourse will be activated. 이 글은 韓⋅中 한의학자가 저술한 醫易學 문헌에서 『주역』에 담긴 ‘한의학의 이치’와 ‘한의학의 맹아’라고 주장된 내용과 의미를 고찰한 논문이다. 의역학은 역학과 한의학이 융복합된 의학 분야이다. 중심 문헌은 한국 윤창열(尹暢烈)의 『醫易學』과 중국 이준천(李浚川)·소한명(蕭漢明)의 『醫易會通精義』(번역서 『醫易學 思想』)이다. 고찰한 내용은 첫째, 의역학의 사상적 토대인 ‘醫易同原’과 ‘儒醫’의 의미. 둘째, 윤창열이 『주역 39괘에 담겼다고 주장한 ‘한의학의 이치’ 셋째, 이준천·소한명이 『역경 5괘에 담겼다고 주장한 ‘한의학의 맹아’이다. 이로써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와 관련된 『주역 에 관한 두 문헌의 의역학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의역학은 역학과 의학의 근원이 동일하다는 ‘醫易同原’을 주장했고, 儒醫 개념을 통해 유학과 더욱 밀접하게 확장되었다. 또한 역학의 사상과 이론은 의학이론의 정립에 적극 활용되었다. 윤창열의 『의역학』에서는 한의학의 이치로서 『주역』에 포괄된 천인 사상과 인간의 생리현상, 해부학적 지식 및 시체, 죽음, 질병, 예방의학, 그리고 양생법, 임신, 출산, 鍼灸 등을 고찰하였다. 그 주장을 근거로 필자가 상세한 내용을 고찰해 보았다. 이준천·소한명의 의역회통정의』에서는 훈고와 문헌 고증을 토대로 『역경』 剝卦, 豫卦, 萃卦, 艮卦, 咸卦의 5괘를 의학적으로 해석하고, 여기에 病因, 診斷治療, 心理, 養生, 鍼石術의 맹아가 포함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종합적으로 두 문헌을 통해 살펴본 한의학의 이치와 한의학의 맹아가 담긴 괘의 수와 내용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괘는 3괘만이 일치할 뿐이고, 그 내용도 역시 다르다. 이러한 차이점은 윤창열이 『주역』에 포함된 역철학적 원리와 해부학적 지식 및 생리, 질병, 정신의 조화 등 모든 관련 내용을 찾은 반면, 이준천·소한명은 고대 한의학에서의 훈고를 근거로 『역경』을 재해석해 병인, 진단치료, 심리, 양생, 침석술의 맹아를 발굴했기 때문이다. 두 의역학 문헌에서 주장된 『주역』에 포함된 한의학의 이치와 맹아가 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모두 ‘醫易同原’이라는 의역학적 관점의 『주역』 연구라는 의의와 공통점이 있다. 그렇더라도 두 문헌에서 주장된 많은 이론적 차이점과 확장된 이해는 수용되기 어려운 점도 있기 때문에 앞으로 한의학과 역학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융복합 연구를 활성화하여 보다 보편성을 지닌 의역학 이론 연구로 보완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의역(意譯)의 계보

        이영훈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8 통번역학연구 Vol.22 No.1

        This paper aims to retrace the genealogy of the concept of the free translation (意譯) in the Northeast Asian languages including Korean by comparison with western major languages like English, French and German. For this purpose, we decided to examine first the different terms related to this concept and their semantic configuration over Asian and European languages. After making a repeated search in a variety of language dictionaries as well as in the glossaries and the encyclopedia of the translation studies, we were led to think that freedom from the original, semantic transfer, and target-orientedness constitute the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free translation. Next, we tried to restitute the origin and the formation of the free translation concept by examining past key texts on translation and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subject matter. Finally, we proposed a kind of guide to the free translation as a result of our investigation.

      • KCI등재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권화숙 국어사학회 2011 국어사연구 Vol.0 No.13

        본고는『妙法蓮華經』을 동일 저본으로 하고 있는 『月印釋譜』(1459)卷 十八과 『法華經諺解』(1463)卷 六, 卷 七을 대상으로 하여 意譯과 直譯을 중심으로 두 문헌 간에 나타나는 飜譯 樣相의 차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두 문헌에 나타나는 意譯과 直譯을 中心으로 한 飜譯 樣相에 대해 동일 원문 한자에 대한 『法華經諺解』에서의 번역을 기준으로 하여 단어 유형별로 나누어 대비해 보았다. 두 문헌을 대비해 보면 동일 원문의 한자에 대하여 『法華經諺解』에서는 意譯되고 『月印釋譜』에서는 直譯되는 한 예만 제외하고는 대체로 『月印釋譜 에서는 意譯되고 『法華經諺解』에서는 直譯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문헌 간에 나타나는 意譯과 直譯이라는 飜譯 樣相의 차이는 借字에 의한 번역의 전통, 원문과 그에 대한 언해문이 나란히 실리게 되는 體裁 上의 특징 그리고 언해자의 원전에 대한 이해 차이와 원문의 한자를 번역하는 태도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ranslation style appeared in Wolinseokbo(月印釋譜)(1459) Vol. 18 and Beophwagyeongeonhae(法華經諺解)(1463) Vol. 6 and Vol. 7, which were both based on Myobeopyeonhwakyeong(妙法蓮華經), in terms of liberal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In the analysis of comparing both texts based on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nd word types shown in Beophwagyeongeonhae, it was found that except one case where the same Chinese characters in the original text are liberally translated in Beophwagyeongeonhae and literally translated in Wolinseokbo, Wolinseokbo predominantly displayed liberal translation and Beophwagyeongeonhae predominantly displayed literal translation. It seems that this stylistic difference is due to (a) the tradition of Chaja(borrowed character) translation, (b) systematic aspects that source text and the eonhae text were written down together, and (c) attitude of how an eonhae user perceived the source text and translated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중국의 外國 地名 번역 방법에 관한 연구

        강혜근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9

        外国地名在韩国一般幾乎都是音译的。中国在<外國地名漢字譯寫通則>上也表明“外國地名的譯寫應以音譯為主”,可是意译的也不少见。如:Iceland譯為“冰岛”、美國的Grand Canyon譯為“大峽谷”、Long Island譯為“長島”等。本论文主要分為以下幾個部分進行了探討:1)音译[①音譯原则、②音译的词缀(如纽-瓦克、荷-兰、巴基-斯坦)、③音译兼意(如優勝美地、枫丹白露等)]; 2)意译[①具有明显地理特徵的地名(如盐湖城)、②以数词或日期命名的地名(如美國一O二河、秘魯五月二日港)]; 3)音译和意译混用[①音譯+意譯(+意譯)(如勃朗+峰)、②音譯+意譯+音譯+意譯(如巴布亚+新+幾内亚+独立国)、③(意譯+)意譯+音譯(+意譯)(如西+萨摩亚)、④意譯的词缀(如葛底斯-堡、聖-何塞、新-德里等)]: 4)音译或意译後加注释[①(音譯+)音譯+註釋(如斯莫基+希尔+河)、②(意譯+)意譯+註釋(如三+河+城)]; 5)汉化的外国地名[①华侨惯用地名(如舊金山、檀香山等)、②中国独自起名(如大西洋、金字塔等)]; 6)非漢化的外國地名(如海參崴等)。外國地名意译的方便之处在於①音译过长时可減少音节、②不会念的地名也可以了解它的意思,如:Fjaðrárgljúfur譯“羽毛峡谷”。

      • KCI등재

        『周易』 時中의 醫易學的 고찰

        이난숙(Lee, Na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周易??과 醫學을 同體異用의 관계로 보고, 그 중심에 "時中"을 두어 醫易學的 고찰을 하려는 것이다. 醫易學은 易學과 醫學의 道가 같다고 하는 醫易同道 사상에 입각하여 의학철학 이론을 전개한다. 한의학은 인간을 자연과의 유기적 생명체로 인식한다. 인체에 있어서도 太極, 陰陽, 五行, 五運六氣, 天人合一 등의 역학적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는 이론을 중심으로 한다. 지금까지 의역학의 연구는 주로 의학을 중심으로 역학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역학을 의학의 논리적 근거로 두지 않아 역철학이 의학의 철학적 근거로 분명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醫易同源의 입장에서 ??周易??의 時中 사상을 醫道로써 의역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周易??의 생명관 2. 時中의 음양관 3. 時中의 의역학적 體用를 살펴본다. 논의의 세부적 전개를 위해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한다. 1)易道와 醫道의 비교·분석연구 2)內傷과 外感 등 질병의 원인 분류 3)生命 현상의 至極 분석을 통한 時中의 醫道로써 의미를 살펴본다. ??주역??의 생명관은 인간의 生死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時中의 음양관은 주역철학의 요체인 시중이 음·양의 측면에서 어떻게 인식되는지의 문제이다. 이것은 時中이 음양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體用一源의 道라는 철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時中에서 時는 變易의 대표적 표준 근거이다. 時中에서 中은 인간 내부의 최고의 수양 상태인 中正이다. 時中은 時에 알맞은 中正의 발현이 无思의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无爲와 동일한 개념이다. 時中은 易의 體用을 내포한다. 이러한 時中이 易道이면서 醫道이라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醫道는 인간의 생명현상의 至極을 구현하는 원리이다. 생명현상의 至極인 시중이 의학의 치료 원리이며, 치료 방법으로서 醫道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인 것이다. 이로써 생명과 삶의 질에 관한 근원적 탐구와 본원적 활용의 측면을 다룬 것이다.

      • KCI등재

        인체생리(⼈體⽣理)에 대한 의역사상(醫易思想) 고찰

        홍성찬 ( Sungchan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 동양철학에서 역(易)과 의(醫)를 결합하여 동체이용(同體異用)으로써 사람의 생리를 고찰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방법으로써, 역과 의가 어떻게 결합하여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관련 문헌을 첫째, 역의 음양과 생리작용, 둘째, 역의 괘상(卦象)과 장상(臟象) 관계 등으로 양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 의(醫)와 역(易)의 원리는 태극과 음양 그리고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보는 우주관에서 출발한 같은 근본을 가지고 있다. 둘째, 그 이론의 핵심은 의역동원(醫易同原)의 이치이며 여기에 의거하여 의역학(醫易學)이라는 개념적 정의도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역(易)과 의(醫)의 원리는 우주 만물의 규칙과 양상이 함축되고 근본이 동일함을 고찰한 연구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깊이에 한계점이 있으니 역(易)을 바탕으로 의(醫)를 고찰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human physiology by combining the Yeok (the Book of Changes) and the Ui (medicine) in ancient Eastern philosophy with the same body and different uses. As a way to deal with this, I tried to examine how the Yeok and the Ui are combined and applied, and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1. yin and yang and physiological action of the Yeok,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ngsang and the Gwae was discussed in the literature record. As a result, the principles of the Ui and the Yeok are the same root that started from the cosmic view that sees nature and humans as one as Taiji, yin and yang and the unity of the heavenly beings. The center of the theory is the Yeok, which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the Ui. It is also called the Ui-Yeokhak. Based on this, the rules and flow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clearly defined.

      • KCI등재

        도연명의 형신관(形神觀)과 생태적 삶

        이난숙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Tao Yuanming(陶淵明, 365~427) and study its connections with his ecological life. In Tao Yuanming’s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characteristics, he analyzes human through body(形), shadow(影) and spirit(神).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Hui Yuan(慧遠, 334~416) and Yiyixue(醫易學) based on Zhouyi philosophy.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three areas are- Firstly, the concepts of Ru·Fo·Dao(儒·佛·道) mentioned in the oriental philosophy are specific and vary. Secondly,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is an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various aspects and qualities of Human life. Huangdinajing(黃帝內經) references that “the natural span of life can be accomplished if it is Physical(body) and Psychological(spirit).” These words imply that the harmony between the elemen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an important constituent for ecological harmony. The paper specifically explains three aspects. Firstly, it deals with the study of the Hui Yuan’s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driven by Buddhism. Yuanming and Hui Yuan, both have peaks illustrating expressions of image. This paper analyses Hui Yuan’s perspective of mortality of the body and immortality of soul(spirit) concentrating on foyingming. Secondly, it analyzes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Yiyixue based on『zhouyi』 philosophy. This paper has endeavored to compare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Yiyixue centered on the stagnant organic biological 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spirit. Thirdly, Tao Yuanming’s perspective has been specifically investigated, largely covering the three aspects of 「Xingzengying(形贈影)」,「Yingdaxing(影答形)」 and 「Shenshi(神釋)」 in 「Xingyingshen(形影神)」. These perspectives are also mentioned in other literary works. Therefore, the paper has examined these aspects by classifying it in to three separate perspectives Body, Shadow, Spirit and tried to scrutinize through Tao Yuanming’s perspectives of mortality of the spirit. The study concludes different perspectives of Tao Yuanming, Hui Yuan, and Yiyixue. Tao Yuanming’s perspectives are based on harmonization between Body, Shadow, Spirit thoughts of mortality of the body and soul. Moreover, Tao Yuanming laid emphasis on actualizing the values with the help of meditation. Throughout the paper, Tao Yuanming’s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along with his life and driving force of his literary contribution could be explored and comprehensively understood. 본 연구는 晋末宋初의 陶淵明(365~427)의 형신관에 담긴 철학사상을 살펴보고, 그의 생태적 삶 사이의 연관성을 고찰한 논문이다. 동양철학에서는 形·神·氣·精 등을 인체의 생리적 요소로 논했는데, 이들 개념을 고려해 육체와 정신의 형신관계적 특성을 종합한 것이 바로 形神觀이다. 『황제내경』에는 “形과 神이 갖추어져야 천수를 다할 수 있다.(形與神具, 而盡終其千年)”고 하였는데, 이 문장은 ‘養形’과 ‘養神’의 조화가 생태적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도연명의 형신관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동시대 승려인 慧遠(334~416)과 醫易學의 형신관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세 분야의 형신관은 매우 대조적이다. 각각의 형신관 비교를 위해 첫째 「佛影銘」에 깃든 혜원의 불교적 관점의 형신관을 분석하고, 둘째 醫易同源, 醫易同道, 醫易相通을 근본사상으로 하는 의역학의 형신관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인간을 形(육체), 影(그림자), 神(정신)의 3가지 관점으로 분석한 도연명의 형신관을 「形影神」의 「形贈影」·「影答形」·「神釋」의 3수와 「雜詩」·「挽歌詩」 등을 종합해 形觀, 影觀, 神觀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혜원은 形盡神不滅論적이며 불교적 관점의 형신관을 가지고 있다. 고대과학적 사유의 원형을 간직한 의역학은 형신합일적 整體觀에 입각한 형신관을 가지고 있다. 도연명은 인간을 물리적 생명체, 감성적 생명체, 자기성찰을 하는 이성적 생명체로 나누어 이해했고, 영생과 초월성을 추구하지 않은 形神一元的이며 神滅論적인 형신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감성과 이성에 모두 의미를 부여하고, 형·영·신의 조화로움과 善의 가치실현을 강조했다. 도연명의 생명관, 인간관, 형신관을 토대로 한 平淡의 추구 및 審美的인 문학적 관조가 그의 생태적인 삶의 원동력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도연명의 형신관(形神觀)과 생태적 삶

        李蘭淑 ( Lee Nan Sook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晋末宋初의 陶淵明(365~427)의 형신관에 담긴 철학사상을 살펴보고, 그의 생태적 삶 사이의 연관성을 고찰한 논문이다. 동양철학에서는 形·神·氣·精 등을 인체의 생리적 요소로 논했는데, 이들 개념을 고려해 육체와 정신의 형신관계적 특성을 종합한 것이 바로 形神觀이다. 『황제내경』에는 “形과 神이 갖추어져야 천수를 다할 수 있다.(形與神具, 而盡終其千年)”고 하였는데, 이 문장은 ‘養形’과 ‘養神’의 조화가 생태적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도연명의 형신관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동시대 승려인 慧遠(334~416)과 醫易學의 형신관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세 분야의 형신관은 매우 대조적이다. 각각의 형신관 비교를 위해 첫째 「佛影銘」에 깃든 혜원의 불교적 관점의 형신관을 분석하고, 둘째 醫易同源, 醫易同道, 醫易相通을 근본사상으로 하는 의역학의 형신관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인간을 形(육체), 影(그림자), 神(정신)의 3가지 관점으로 분석한 도연명의 형신관을 「形影神」의 「形贈影」· 「影答形」· 「神釋」의 3수와 「雜詩」· 「挽歌詩」등을 종합해 形觀, 影觀, 神觀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혜원은 形盡神不滅論적이며 불교적 관점의 형신관을 가지고 있다. 고대과학적 사유의 원형을 간직한 의역학은 형신합일적 整體觀에 입각한 형신관을 가지고 있다. 도연명은 인간을 물리적 생명체, 감성적 생명체, 자기성찰을 하는 이성적 생명체로 나누어 이해했고, 영생과 초월성을 추구하지 않은 形神一元的이며 神滅論적인 형신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감성과 이성에 모두 의미를 부여하고, 형·영·신의 조화로움과 善의 가치실현을 강조했다. 도연명의 생명관, 인간관, 형신관을 토대로 한 平淡의 추구 및 審美的인 문학적 관조가 그의 생태적인 삶의 원동력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Tao Yuanming(陶淵明, 365~427) and study its connections with his ecological life. In Tao Yuanming’s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characteristics, he analyzes human through body(形), shadow(影) and spirit(神).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Hui Yuan(慧遠, 334~416) and Yiyixue(醫易學) based on Zhouyi philosophy.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three areas are- Firstly, the concepts of Ru·Fo·Dao(儒·佛·道) mentioned in the oriental philosophy are specific and vary. Secondly,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is an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various aspects and qualities of Human life. Huangdinajing(黃帝內經) references that “the natural span of life can be accomplished if it is Physical(body) and Psychological(spirit).” These words imply that the harmony between the elemen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an important constituent for ecological harmony. The paper specifically explains three aspects. Firstly, it deals with the study of the Hui Yuan’s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driven by Buddhism. Yuanming and Hui Yuan, both have peaks illustrating expressions of image. This paper analyses Hui Yuan’s perspective of mortality of the body and immortality of soul(spirit) concentrating on foyingming. Secondly, it analyzes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Yiyixue based on『zhouyi』 philosophy. This paper has endeavored to compare the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of Yiyixue centered on the stagnant organic biological 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spirit. Thirdly, Tao Yuanming’s perspective has been specifically investigated, largely covering the three aspects of 「Xingzengying(形贈影)」,「Yingdaxing(影答形)」 and 「Shenshi(神釋)」 in 「Xingyingshen(形影神)」. These perspectives are also mentioned in other literary works. Therefore, the paper has examined these aspects by classifying it in to three separate perspectives Body, Shadow, Spirit and tried to scrutinize through Tao Yuanming’s perspectives of mortality of the spirit. The study concludes different perspectives of Tao Yuanming, Hui Yuan, and Yiyixue. Tao Yuanming’s perspectives are based on harmonization between Body, Shadow, Spirit thoughts of mortality of the body and soul. Moreover, Tao Yuanming laid emphasis on actualizing the values with the help of meditation. Throughout the paper, Tao Yuanming’s Physical-Psychological perspective along with his life and driving force of his literary contribution could be explored and comprehensively understood.

      • KCI등재

        고려속요의 현대역 현황과 과제

        김명준 ( Myung Joo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된 고려속요의 현대어 번역을 살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함과 함께 문학 교과서 및 외국어 번역 대상으로서의 현대역 정전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려속요의 현대역 상황을 보면, 번역 건수는 130여건으로 편당 평균 6.7건이 이루어 졌으며, 직역과 의역의 비율은 7:3으로 직역이 앞섰다. 번역물들을 직역과 의역에 따라 시어, 여음, 서술어, 화자의 발화 방식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그 결과 시어에서 직역을 수행한 이들은 시어의 생략과 오역이 적지 않았으며, 의역한 연구자들은 원전을 벗어난 번역, 원전의 구성을 바꾸는 번역을 하기도 하였다. 여음의 번역에서 직역자들은 여음을 원전 그대로 옮기거나 생략하였으며, 의역자 가운데는 시적 기능을 살려 의미역을 하기도 하였다. 서술어 번역에서 직역자는 원전의 고어투를 그대로 옮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의역자는 작품을 다시 구성하여 설명하는 방식으로 옮겼다. 또한 역자마다 서술어 번역을 시제와 정서를 달리하기도 하였다. 화자의 발화 번역에서 등장인물이 여럿일 지라도 직역자는 단수 화자의 목소리로, 의역자는 복수 화자의 톤으로 옮겼다. 이런 결과 시어와 여음구에 대한 옳은 번역이 없었고, 서술어 번역에서 어학적 고려를 충분히 하지 않았으며, 화자의 발화 처리 방식이 작품 해석의 다양성을 오히려 제한 하기도 하였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필자는 다음을 제시하였다. 시어의 번역은 난해어구는 명확한 해독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분명하고 오류가 적은 어석을 적극 반영하며, 여음구의 번역은 넘치는 의역을 피하여 원전대로 옮기며, 서술어의 번역은 문법 규칙을 따르면서 운문 갈래의 미감을 살리며, 화자의 발화 번역은 단·복수를 고려하여 해석의 제한을 두지 않기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중등 문학 교과서들에서 현재의 현대역을 활용함으로써 나타난 문제점과 번역 대상으로 삼을만한 현대역이 없어 발생한 서구어 번역물에 보이는 혼란과 오역들이 극복하기 위해, 현대역의 정전 정립을 위한 공동 작업과 용도와 수용자를 고려한 현대역의 다품종 생산을 제언하였다. 이상의 노력이 어려운 일임은 분명하지만 현대어역의 학문적 가치, 교육적 의미 그리고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작지 않은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future research by searching modern translation of Goryeo folk song studied up to now and to establish canon of modern translation as a subject of translation of literary textbook and foreign languages. In situation of modern translation of Goryeo folk song, the number of translated folk songs are around 130 and its average is 6.7. In this case, the ratio between literal transl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was 7:3 and the cases of literal translations were more. We have researched translations by dividing into poetic words, Yeoeum, predicate, and utterance of speaker according to literal & liberal translation. As a result, the translators who made literal translation in poetic words had many omissions and mistranslation parts while those who made liberal translation in poetic words missed the points of original songs or changed the constructions of original songs. In translation of Yeoeum, literal translators translated them as they were in original songs or omitted them while some of liberal translators translated liberally by emphasizing its poetic function. In predicate translation, most of literal translators translated by expressing tones of archaic words as they were but liberal translators translated in a method to reconstruct and explain the works. In addition, each translator differs tense and emotion in predicate translation. In case of multiple characters in speaker``s utterance translation, literal translators translated as the utterance of single speaker but liberal translators as the utterance of multiple speakers. As a result of the above, there was no correct translation to poetic words and Yeoeum phrases, linguistic consideration was not enough in predicate translation, and a method of speaker``s utterance rather restricted a diversity of interpretation in works.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 I, the author of this article suggest followings: In translation of poetic words, we have to wait for clear interpretation for difficult phrases, have to reflect clear & less errors of interpretation actively, have to translate as the original songs by avoiding liberal translation in Yeoeum phrases, have to emphasize an esthetic sense of poetry section by observing grammar rules in predicate translation, and have not to restrict the interpretation in translation of speaker``s utterance by considering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ndicated in middle & high school literary textbooks by using current modern translation and confusions & mistranslations in western translations which have been occurred because of no modern translation to be a subject in translation, I suggested various kinds of modern translation considering co-work, use, and readers for canon of modern translation. It is obvious that above efforts are very difficult but I believe that they would be a help to scholarly value & educational meaning of modern transl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Foreignized, domesticated and published translations of Don’t eat the marshmallow --- ye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transl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변길자,김원보 미래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 Vol.18 No.1

        본 논문은 자기개발서인 마시멜로이야기 2장의 번역을 원문에 충실한 직역 번역물(Foreignization Strategy)과 번역문에 충실한 의역 번역물(Domestication Strategy), 또 기존의 출판 번역물을 어휘선택 어순 문장구조 및 문화차이 등의 관점에서 비교해보았다. 이런 비교를 하기위해 본고의 주저를 포함한 두 명이 각기 의역 번역물과 직역 번역물을 담당하였으며, 기존에 출판된 번역물은 정지영과 김경환이 공저로 번역한 번역물을 이용했다. 이 세 개의 번역물을 비교분석한 결과 번역자들은 원문에 충실하면서 번역물의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의역과 직역 둘 다의 전략을 활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둘 다의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의역이나 직역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이유로 독자는 외국문화를 접하면서 자연스러운 모국어 표현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의역에 중점을 둔 번역물은 원문작가의 의도와는 달리 독자의 사상이나 문화적 헤게모니에 영향을 줄 수가 있는 반면 직역에 충실한 번역물은 가독성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결론적으로 번역자는 번역물의 장르, 목적, 독자를 고려하여 의역과 직역의 활용정도를 적절하게 결정해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