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 文武王 9년(669) 赦書에 보이는 ‘五逆’의 再檢討

        정병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7 동국사학 Vol.62 No.-

        669년 2월 문무왕은 赦書를 내려 “五逆을 범하여 죄가 사형에 해당하는 자 이하를 모두 사면한다”라고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때의 오역은 唐의 十惡을 차용하여 다섯 가지로 변용시킨 것으로 이해하였다. 하지만 唐五代의 사서에서도 五逆의 용례가 확인되는 만큼 중국의 그것을 참조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당오대의 사서에서 오역을 언급하는 경우는 모두가 오역 등의 특정 죄명을 사면 대상에서 제외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문무왕의 사서는 오역을 포함한 모든 죄명을 사면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문무왕의 사서에 보이는 오역은 별도의 관점에서 고찰해야 한다. 당대의 사서를 검토해 보면, ① 十惡五逆·十惡·五逆은 의미상 서로 상통하고, ② 십악을 포함한 일체의 죄명을 사면하는 사서가 종종 반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문무왕의 사서는 당대 사서 형식의 하나였던 것이다. 또 그 안에 사용된 법제 용어도 당대의 용례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요컨대 문무왕 사서의 오역은 당률의 변용을 말하는 증거라기보다 오히려 당률의 도입이라는 측면을 보여주는 자료로 이해된다.

      • KCI등재
      • 중한 문학작품 번역에 나타난 오역 양상 분석

        신봉림(申峰林)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8 중국조선어문 Vol.214 No.-

        번역은 예로부터 서로간의 문화와 력사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중한 문학번역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인정하는 동시에 번역 결과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력사가 길지 못하다는 것도 인정해야 한다. 본 론문에서는 위화의 소설《许三观卖血记》와 그 번역본을 연구대상으로 오역양상을 크게 언어 내적요인과 외적 요인에 의한 오역으로 분류하였다. 언어 내적요인에서는 어휘와 문법에 대한 부적절한 리해에서 비롯된 오역, 언어 외적 요인에서는 생략과 추가번역 및 문화적 요소로 인한 오역으로 분석한 후 오역부분의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오역 유발 요인을 분석하고 오역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소설 ≪三重门≫ 속 비유와 관용표현의 한국어 번역 오류 분석

        이선희(Lee, Sun-hee)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9 No.-

        중국 소설 ≪三重门≫에는 다량의 비유와 관용어가 나타나며, 이는 동물, 음식, 역사 사건, 자연, 사람 등 상당히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중국어뿐만 아니라 중국문화와 사회에 대한 배경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들 비유와 관용어 가운데는 중국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있고, 작가가 창의적으로 개발한 것들도 많으며, 모두 현대중국어의 매력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원문에 대한 이해부족이나 생략 등으로 인한 오역이 상당히 많으며, 이는 원문의 재미와 풍자를 독자들이 제대로 느낄 수 없다는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三重门≫ 속에 나타난 비유와 관용표현의 한국어 번역상에 나타난 오류를 찾아 분석하고, 대안번역을 제시함으로써 본 소설이 가진 원어의 비유와 관용어의 의미를 올바로 전달하고자 한다. ≪三重门≫의 오역은 주로 원문의 어휘 의미와 문법구조에 대해 잘못 이해함으로써 발생하였다. 이러한 비유와 관용표현의 오역 유형들은 대부분 중한 번역 시 흔히 나타나는 경우들이다. 본고의 논의는 이러한 오역의 원인과 대안 번역을 제시함으로써 중한 번역의 어려움 가운데 하나인 비유와 관용표현의 번역을 할 때, 오역을 피하고 더욱 정확한 번역을 위해 주의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Chinese novel “Sanchongmen(Triple Door)”containslarge quantities of figurative language and idioms, encompassing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animals, foods, historical events, nature and people.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is, we need background knowledge of Chinese culture and society as well as Chinese language. Some of these figurative language and idioms are commonly used in Chinese, and many have been created by the author, all fully demonstrating the charm of modern Chinese. In the Korean translation, however, there are a lot of mistranslation due to the lack of vocabulary and grammatical structure for the original text and the omission of some parts of the original text. Most of these types of misinterpretation of figurative language and idiomatic expressions are common cases in Chinese and Korean translations. This is a sad part of that it makes Korean readers unable to sympathize with the fun and satire of the original text. Therefore, this study will find and analyze the mistranslation in Korean translation of figurative language and idiomatic expressions that appear in “Sanchongmen”and suggest alternative translations. Through this, we try to correctly convey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ds and idioms that the novel has. By presenting the causes of these mistranslation and alternative translations, this study suggested points of caution to avoid mistranslations in the translation of Chinese parables and idiomatic expressions.

      • KCI등재
      • KCI등재

        관상서 『麻衣相法』의 번역 난점과 번역문 분석

        백수진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4 No.-

        『MaUiSangBeob(麻衣相法)』 is the book of physiognomy which was compiled in China. For the book is very practical, many handwriting copies and photoprint copies were circulat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our history. Now, seven kinds of Korean translated versions of 『MaUiSangBeob』 are publish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lose examination of many translations of the book especially to the explanation part of 'the five sensory organs(五官)' shows many mistranslation. The Chinese colloquial translation book also shows many mistranslation. 'The five sensory organs' are explained by analogy the form of animals, and described them in a type of system of chinese poems by four lines‒each line has seven words(七言絶句)–and rhymes. As a result, translators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original fully. Another reason to misunderstand the orignal text is that there are only two old books to explain the five sensory organs in detail with pictures, which is‒『MaUiSangBeob』 and 『SangRiHyungJin(相理衡眞)』. There are no other books about the physiognomy except them. And even in modern books of the physiognomy, it is hard to explain without the classic interpretation of this two old books‒『MaUiSangBeob』 and 『SangRiHyungJin』. Looking at the cause of the wrong translation of the translator, first, it is a misinterpretation caused by not finding the word or subject to be explained in the sentence. Second, it is a misinterpretation caused by a lack of physiognomic knowledges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 shapes, and third, it is a misinterpretation caused by vocabulary or syntactic structure, not contextual meaning and physiognomic knowledge. 『마의상법』은 중국에서 편찬한 관상서이다. 이 책은 실용성이 높아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에 필사본과 영인본이 많이 나돌았고, 지금은 국내에 번역본이 7종이나 출간되어 있다. 이 책이 많이 알려진 이유는 다른 관상서와 달리 오관(귀, 눈썹, 눈, 코, 입)의 형태별 특징에 대해 그림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해놓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상 실전에 필요한 실용성으로서의 가치가 높았다. 관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마의상법』이 필독서나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마의상법』의 번역문을 검토해보면 유독 ‘오관’ 설명 부분에서 오역이 많이 나타난다. 중국, 대만의 백화 번역서도 마찬가지로 오역이 많았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번역문을 분석하여 관상서 번역의 특수성과 번역 난점을 알아보고, 오류 분석 방법을 통해 올바른 번역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의상법』의 ‘오관’ 부분은 대부분 동물의 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칠언절구 시의 형식으로 표현하였고 압운법까지 사용하였다. 그러다 보니 역자는 문맥 의미에 의존한 번역조차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이 ‘오관’ 부분의 설명과 그림이 있는 관상 고서는 『마의상법』과 『상리형진』 두 권뿐이라는 점이다. 번역에 참고할 다른 관상서가 없다. 현대 관상서도 이 두 권의 고전 해석을 벗어나서 설명하기는 어렵다. 역자의 오역 원인을 분석한 결과, ① 문장에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단어, 즉 주어를 찾지 못해서 생긴 오역, ② 동물의 형상 특징을 묘사한 관상학적 지식의 부족으로 생긴 오역, ③ 문맥 의미와 관상 지식이 아닌 어휘나 통사구조에 얽매여 생긴 오역 등이 있었다. 이러한 오역 원인과 번역과정 분석은 『신상전편』, 『상리형진』 등 다른 관상 고서의 번역에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한역본(韓譯本) 『성경(聖經)』의 오역(誤譯)에 관(關)한 연구(硏究) -마가복음(瑪可福音)을 중심으로-

        장광진 ( Gwang Jin Jang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6

        본 글에서 연구되어진 강조점은 韓譯本 『聖經』의 誤譯을 瑪可福音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는 일이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사용되어진 연구방법은 한문본 성경을 저본으로 하여 먼저 직역을 하고, 초기 번역으로 이루어진 한국어 성경의 대본과 대조한 이후에 잘못된 오류를 지적하고 오역을 찾은 다음,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위하여 사용된 한문본 성경의 저본은 1912년 上海大美國聖經會에서 발행한 『舊·新約聖經 文理串珠』이다. 한국어 성경은 로스역 즉 1887년 경셩 문광셔원에서 발행한 『예수셩교젼셔』와 식자층을 대상으로 번역, 1906년에 출판된 兪星濬역 『新約全書 국한문』, 그리고 1950년 대한셩셔공회에서 발행한 『관주 성경젼셔』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1. 문맥파악이 부정확한 경우 2. 한자와 어구를 빠뜨리고 번역한 경우 3. 축자역으로 인하여 의미가 부정확한 경우 오역의 유형을 살펴보면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결국 번역은 해석이라는 것이다. 오역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뿐, 오역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번역자가 원천언어와 수용언어 사이에서, 그 번역자들이 살았던 그 시대의 대중들의 언어와 상황을 대변하는 대응언어를 선택하여, 원저자의 뜻을 독자들에게 옮기는 일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초기 번역자들의 시대언어를 발견하게 되고, 그 언어를 오늘의 우리들의 상황으로 가져와서, 우리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그 참된 의미를 알 수 있게 된 것이 본 연구의 의미라고 말할 수 있다. The emphasis resulted from this research lies in observing the errors in translation of a Korean Version, 『Seong Goung』, centered o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For this research I followed the several steps as follows. Firstly I translated letter by letter the basic Holy Bible in the Chinese language, and I compared mine with the Korean Holy Bible which had already been translated from that very Chinese Holy Bible. I pointed out the mistaken errors and found out the erroneous part of translation. Lastly I presented my translation as revisions. The basic Holy Bible in the Chinese language used in this study is Ku-Sin Yark Seong Goung Mun Li Guan Ju, which means old and new testaments as Usual Gem, issued by Shanghi Great American Bible Society, in 1912. The three kinds of the Holy Bible in the Korean language are the Book of Jesus Sacred Holy Bible translated by Ross, published by Seoul Mun Gwang Book Store in 1887, the Book translated for the learned people by You, Seong-Jun in 1906, which consists of Chinese letters and Korean alphabets. and the Book of the referenced Holy Bible, published by the Korean Bible Society in 1950. The study is made up of following contents. 1. Incorrect understanding of contexts 2. Translated sentences missing Chinese letters and phrases 3. Incorrect meanings on account of letter by letter translation The conclusion which I can decide upon is that in the last sense translation is a kind of interpretation. We can only express those as words of erroneous translation but they are not real wrong translation. That is because the translaters chose the common language of the people of their own time and transferred the meanings of the original author to the readers between the original language and the accepted languages.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at we bring their own languages of the beginning translaters to our own time and we come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s by means of re-interpretation suitable for our language. I think that this is a worth-while work of this research.

      • 불경의 역경에서 상용어휘 오역 사례 검토

        박영록 세계불학원 2022 세계불학 Vol.- No.1

        The “Archive of Buddhist Culture (Archive of Buddhist Record Cultural Heritage)”, built by Dongguk University's Buddhist Academy, provides translations for most of the Tripitaka into Korean, which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to Buddhist researchers but also to Buddhist beginners and ordinary believers.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they make an error in translation, which engenders controversy. The error i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results from several different causes, rather than that of personal ability to read the original. First of all, the peculiar and difficult letters and those words in Buddhist scriptures can cause misunderstanding, and it may also be a reason that Chinese characters in Buddhist scriptures have many different meanings from those of ordinary ancient texts. Many of the Buddhist scriptures are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text in Sanskrit. These Chinese Buddhist scriptures have reflected the spoken language since the Eastern Han Dynasty(東漢), which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very different from the Chinese characters in Pre-Qin and Han (先秦 兩漢). On the other hand, the poor logic of the context whe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is another important cause. There are the common and easy vocabularies such as ‘乃至’, ‘不’, ‘見’, ‘聽許’, ‘謂’, ‘所’, ‘於’, ‘散解’, “佛心則安”, etc. An error was made in their translation when they failed to analyze the logical relationship in the context. For example, “the officials were so happy that they asked what was going on” is a wrong translation without any logic because it has a structure that they were very happy without knowing the reason. Buddhist scriptures consist of the descri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third-person omniscient writer of Buddha and are mixed with indirect speech and direct one. When they fail to distinguish between them, they have a mistake in their translation. ‘乃至’ is one of the words that this writing focuses on. This is not only a common word that appears more than 160,000 times in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an extremely common word in modern Korean. While the modern Korean word ‘乃至’ is a word that leads to an option, there is no use of ‘乃至’ in Buddhist scriptures. Its original meaning is “so that it reaches where” and is used as “to where it reaches” and “to omit the intermediate process”. But Korean does not include the latter meaning of “乃至” and it cannot be used as Korean translated vocabulary in the latter meaning of “乃至” of Buddhist scriptur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its appropriate alternative in the future. Finally,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and has a poor organization. But From my own research, I focus on exemplifying a methodology to argue it when discussing mistranslation in Buddhist scriptures.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 건립한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는 대장경의 대부분에 대한 번역을 제공하고 있어 불학 전문 연구자들 뿐 아니라 불학 연구의 입문자나 일반 신도들에게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한국의 불교학에서 획기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번역작업을 하다 보면 오역이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아울러 숙명적으로 오역논란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불경의 오역은 개인적으로 고문을 읽는 능력의 문제라기보다 좀 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우선 불경에 보이는 특이하고 난해한 글자나 어휘 자체가 오해를 낳을 수 있으며, 불경의 한문이 일반 고문과 다른 특징이 많다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불경은 범어원문을 번역한 것으로서 불경의 번역 한문은 동한(東漢) 이래의 구어를 반영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선진(先秦) 양한(兩漢)의 고문과는 자못 다른 특징이 존재한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는 불경의 번역에서 문맥의 논리성을 소홀히 하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글의 제목에 보이는 “상용어휘”란 한문, 나아가 오늘날의 한자어에서도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어휘를 말한다. 예컨대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쉬운 한자어로 ‘乃至’, ‘不’, ‘見’, ‘聽許’, ‘謂’, ‘所’, ‘於’, ‘散解’ 및 “佛心則安” 등과 같은 단어나 문구는 이 자체로는 어려울 것이 없다. 이글에서 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쉬운 어휘에 대한 오역이 발생하는 것은 문장을 분석할 때 논리적 관계의 파악이 소홀히 되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기뻐서 어쩔 줄 모르며 어떤 일인지 물었다”는 것은 아직 이유도 모르는 상태에서 아주 기뻐하였다는 구조여서 논리성이 결여된 번역이다. 한편으로 불경은 대체로 부처님이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서술하는 구조인데, 때문에 간접화법과 직접화법이 섞여 있는 것을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개별 어휘 중 이글에서 중점을 둔 것은 ‘乃至’의 용법이다. 이것은 불경에 16만번 이상 출현하는 상용어일 뿐 아니라 현대 한국어에서도 극히 상용되는 어휘인데, 문제는 현대 한국어의 ‘乃至’와 불경의 ‘乃至’가 용법상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번역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크게 보면 ‘乃至’의 원의는 “어떤 행위를 계속 하여서 ~에까지 이르게 되다”이다. 이것이 “심지어 ~ 하게 되다”의 의미일 때는 번역이 가능하지만 중간 과정을 생략하는 용법으로 쓰일 수가 있는데, 이것은 번역이 불가능하다. 향후 이 점에 대해 대안 마련이 필요할 듯하다. 끝으로 이글은 사례연구여서 구성이 다소 산만하지만, 여기에서 중점을 둔 것은 어떤 문장에 오역이 있는지에 대해 논할 때 그것을 논증하는 방법론을 예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정약용의 점서적 역학관 연구: 주희와 모기령 비교

        신원봉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4 다산학 Vol.- No.25

        Zhu Xi(朱熹) Mao Qiling(毛奇齡) and Cheong Yagyong(丁若鏞)hold the perspective that Zhouyi(The Changes of the Zhou) is a book ondivination in common. As this perspective is not often seen in the historyof Zhouyi’s thoughts, this study have emerged it as a new fl ow ofthough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ach other. For this, in ChapterII,the background of thoughts for which this perspective is establishedwas watched for. And in ChapterIII, the way of reading for Zhouyiestablished by them was watched for. And in ChapterIV, the concretecontents of divination established by them was watched for. The backgroun of Zhu Xi’s view of divination was Neo-Confucianism. From a actual perspective, he recognized that Zhouyi is a book ondivination, and expanding the principle of nature applied in divinationhe tried it to graft onto his metaphysical theory. In this course, Zhu Xiaccepted taoist’s natual perspective of Zhouyi on a grand scale. But inthe view of Mao Qiling, Zhu Xi’s study of Zhouyi was not traditional Confucianism. So, Mao Qiling tried to reestablish the original featureof Confucian Zhouyi. For this purpose, he tried to reinterpret Zhouyithrough his own ‘Five Theory for Zhouyi(五易說)’. Cheong Yagyongalso thought that Zhouyi should recover it’s original feature. But differentfrom Mao Qiling, he tried to establish coherence theory of divinationfor Zhouyi throughout the theory of ‘Five Theory for Zhouyi’. The view on Zhouyi they developed in the perspective of divination,advanced more concrete method by Cheong Yagyong. The eye-openingprogressive method by Cheong Yagyong was two aspect. The one wasnew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hang on to string to represent thethird”<掛一以象三>. And the other was that the number of Yaobian(爻變)is only one. This original view for Zhouyi can be estimated to open aNew Horizon. 주희, 모기령, 정약용은 모두 『주역』이 점서占書였다는 관점을 공유했다. 이 관점은 역학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주장을 서로 비교해 하나의 새로운 사상적 흐름으로 부각시켜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들 점서관占筮觀이 정립된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이들에 의해 새롭게 정립된 『주역』의 독법讀法을, 그리고 4장에서는 이들이 발전시킨 점서법占筮法의 구체적 내용에대해 살펴보았다. 주희 점서관의 사상적 배경은 성리학이었다. 주희는 실사구시적 측면에서 『주역』이 점서임을 확인했고, 아울러 점서적 측면에 활용된 자연의 이치를 확충해 그의 이학理學과 접목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주희는도가의 자연역自然易을 대거 수용했다. 그러나 모기령이 볼 때 주희의역학은 정통의 유가 역학이 아니었다. 모기령은 복서卜筮를 통해 유가역儒家易의 원래 모습을 재현하려 했고, 자신의 ‘오역설五易說’로 『주역』을새롭게 재해석하려 했다. 정약용 역시 『주역』이 유가역의 본래면목을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모기령과는 달리 효변설爻變說의 체계로써 정합적整合的인 점서관의 체계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들이 발전시킨 점서적 역학관은 정약용에 의해 구체적 점서법으로 발전되었다. 정약용에 의해 정립된 점서법의 내용 중 괄목할 만한 것은 두 가지 측면이었다. 하나는 「계사전」 설시법揲蓍法의 내용 중 “하나 를 걸어 삼재三才를 상징한다[掛一以象三]”라는 구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었다. 아울러 정약용은 각 책策에는 각기 다른 괘명卦名과 괘획卦畫이새겨져 있었다는 주장을 근거로 변효變爻의 개수가 오직 하나밖에 없다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는데, 이 견해는 역학사의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 KCI등재

        중한번역에서 나타나는同形異義語 오역과 사전 정의 고찰 — 중국군 단위부대 명칭을 중심으로

        김상규 중국어문논역학회 202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4

        번역과정에서 동형이의 한자어로 인해 오역이 발생하는 이유는 바로 ‘언어간섭(language interference)’을 받기 때문이다. ‘언어간섭’이란 외국어를 학습할 때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동형이의 한자어를 잘못 번역하면 의사소통에 오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문 분야에 대한 번역인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동형이의어로 인한 오역문제는 특수한 영역에 속하는 군사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사용되는 용어 하나에 따라 부대의 임무가 상이해지고, 전투 상황을 이해하는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군사 분야에서는 그만큼 더욱 오역문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抗美援朝戰爭史 번역서와 6⋅25전쟁 당시 중공군이 작성한 문서에 수록된 동형이의 단위부대 명칭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일부 사례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간의 오역문제와 동형이의어 의미의 차이를 고찰하였고, 해당 용어에 대한 한중사전의 정의를 살펴보면서 일부 의견을 제언하였다. The reason why mistranslations occur due to Chinese characters of homograph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is because of ‘language interference.’ ‘Language interference’ means that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e meaning conveyed or received is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Thus, incorrectly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of homographs can lead to misunderstandings in communication, and this can be a serious problem in translation for a specialized field. Mistranslation problems due to homographs are no exception, even in the military field, which is a special area. Depending on the term used, the unit's mission is different and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 combat situation is different, so in the military field, more attention must be paid to misinterpretation issu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names of military units of homographs included in the translation of 《抗抗援朝戰爭史》 and in documents written by the Chinese military during the Korean War were used as the subject of study. Through some cases, mistranslation issues and differences in meanings of homograph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re considered, and some opinions were suggested by examining the definitions of the Korean-Chinese dictionary for the relevant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