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의 영토 교육 현황과 문제점

        강승호(Kang, Seung-ho)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본 연구는 역사교육에서의 영토교육이 지나치게 독도 관련 연구에 치우쳐 있어 한국의 영토 변천 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의 영토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는 1990년대 중반까지 영토 관련 내용이 매우 드물어 체계적인 영토교육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 역사왜곡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1997년에 마련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역사교육에서도 영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 개정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서는 독도와 간도 문제가 하나의 독립된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었다. 역사과 교육과정에 영토 관련 내용이 늘어남에 따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영토 관련 서술도 증가하였다. 2011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초기 우리 민족의 활동 무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토의 변천과정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서술되었다. 검정제로 발행된 교과서이지만 전근대 시기의 영토 관련 내용은 분석 대상으로 삼은 3종의 교과서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근현대 시기의 경우에는 독도와 간도 문제가 강조되면서 교과서마다 서술 분량과 내용, 수준에 큰 차이를 보인다. 역사교육에서의 올바른 영토교육을 위해서는 영토 관련 내용의 범위와 수준 등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ilting heavily to Dokdo-related studies,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cannot properly reflect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territory. First of all, one could hardly expect a systematic territory-related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in History, which constitutes the basis of history class, as territory-related details were very rare up to the mid-1990s. However, as increasing so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distortion of history including the Northeast Project of China and the Japanese claim to Dokdo, the importance of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began to be emphasized, starting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stablished in 1997. In the 2009 amendment of the high-school curriculum in Korean History, the issues of Dokdo and Gando were presented as independent criteria of achievement. As the curriculum in History got more and more content on territory, the territory-related description increas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in Korean History. The high-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2011 curriculum included a relatively organized descrip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from the earlier domain for the Korean nation to the present. Published with official certification, the three textbooks selected for the analysis are more or less the same with respect to their description of the territory in the pre-modern periods. Different textbooks show much difference in length of description, content, and level, however, as the issues of Dokdo and Gando receive emphasis, coming in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To ensure correct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a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scope and level of the territory-related descriptions should be necessary.

      • KCI등재

        “그냥” 영토교육과 “새로운” 영토교육 - 통합적 영토교육 모형과 디지털스토리텔링맵의 구현 -

        전보애 ( Bo Ae Ch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외 문헌연구 및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영토교육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그 범위와 순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통합적 영토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일차원적인 시각을 벗어나 접근방법, 스케일(범위), 학습의 영역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입체적인 시도를 하였다. 둘째,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공간정보기술과 위치기반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ICT기술을 영토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디지털스토리텔링맵(Digital Storytelling Map)이라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통합적 영토교육 모형 및 디지털스토리텔링맵의 구현이 영토 및 영토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미친 효과성을 양적, 질적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학생들의 설문조사, 심층면접 및 관찰일지를 통한 분석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에 국한되거나 국토애에만 기대는 기존의 영토교육을 “그냥” 영토교육으로 인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영토교육을 “새로운” 영토교육으로, 영토를 단순한 장소가 아니라 배움터, 삶터, 발판 등과 같은 영토정체성이 체화된 형태로 받아들이고 있어 영토 및 영토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토정체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규명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영토정체성을 지닌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will propose a model for territori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sequence and the scop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lated literatures. Based on this, an integrated model for territorial education is developed in terms of multi-dimension of scale, domain of learning, and approach to territorial education.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digital storytelling map, which allows pupils to investigate authentic problem actively by using various geospatial technologies an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Location-based Services and Mobile applica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represents an attempt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rritorial education model and digital storytelling map on the pupil`s territorial identity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from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pupils recognized the traditional territorial education which focused on memorizing knowledge or patriotism through territorial attachment as “not so hot” territorial education. On the contrary, pupils are aware of the “inventive” territorial education, which shows their changed perception about territory from simple place to “home”, “foothold”, and “stepping ston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to advance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spectrum of territorial identit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foster citizens-to-be who stand his/her ground on a desirable attitude toward territory.

      • KCI등재

        영토교육의 개념화와 영토교육모형에 대한 접근

        서태열 ( Tae Yeol Se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영토교육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토대로 종래의 영토교육에 대한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성찰하여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접근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토가 국가의 존립과 국가영역, 집단이나 사회의 생활, 개인의 삶과 실존이라는 개인적 차원, 사회적 차원, 국가적 차원에서의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영역성과 정체성의 관점에서 영토교육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영토교육에 대해 3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하면서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접근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영토 및 영토와 관련된 사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증진시키는`영토에 대한 교육`과, `영토로부터의 교육`은 영토 속에서의 영토에 대한 체험을 중심으로 영토(국토)환경에 대한 접촉을 통하여 국토에 대한 자각(영역자각), 국토에 대한 경외감, 국토에 대한 새로운 깊은 인식과 애착의 형성, 자아의 성숙, 영토와 관련된 자아정체성을 비롯하여 지역정체성, 국가정체성을 형성시키는`영토로부터의 교육`과, 영토(국토) 및 영토(국토)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에 영토(국토)이용에 대한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이를 개인적인 차원이나 집단적인 차원에서 실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영토를 위한 교육`을 통합하는 모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approach model for territory education through examining reflectively hitherto approaches based on the conceptualizing territory education. For this, the meaning of territory was examined in terms of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dimension such as subsistence of nation, social life and individual existence. And through criticizing hitherto territory education in terms of three aspects, the desirable approach model was suggested as follows. It is the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 about territory` which enhances knowledge and deepens understanding about facts and events related to the territory, and `education from territory` which builds up regional and national identity based on cognition and experience in territory through attachment, respect, devotion and affection, and `education for territory` which enhances practicing ability based on recognition about problems concerning territory. This integrated territory education would be better in the line of communicative form, not of blind chauvinism.

      • KCI등재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박배균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This paper, with a critical engagement with recently emerging discourses on territory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educate the issues of territorial identities and sovereignty to students, urges that a total re-formu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expanding territory education ― is needed in order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territorial conflicts, and develop more peacefu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territory education perspective ― due to its nationalist orientation and its theoretical reliance on the organic conception of territory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is more likely to aggravate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With growing concerns on the nationalist territory education, there have been recent efforts to develop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errito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notion of civic nationalism, education for critical literacy, and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This paper, however, highlights that these efforts are still limited in overcoming the logics of territorial exclusiveness and thus not fully useful in developing a peaceful East Asia, as long as they are made under the name of territory education, and suggests to get rid of the frame of territory education. With this problem orientation, I argue tha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pletely re-formulate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wasting our time and energy for territorial education ― if we w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ake a genuine contribution to the East Asian peace.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1) the developers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ncorporate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into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2) research and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need to be much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territorial trap’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wo pillars of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영토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부각되고 있는 영토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영토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강화하기보다는 지리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주장한다. 특히 기존의 영토교육론은 민족/국가주의적 성향, 유기체적 국토개념과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내부자적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배재와 포섭의 속성과 영토적 배타성을 강화하여 영토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긴장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문제제기 했다. 최근 이러한 민족/국가주의적 영토교육론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적 애국주의, 비판문식성 교육, 초국가적 시민양성등에 초점을 두는 영토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논의들이 제기되기도 하지만,필자는 이러한 논의들 역시 영토교육의 틀 속에 갇혀 있는 한 민족/국가주의와영토적 배타성의 논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고 지적하면서, 영토교육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에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넘어서 지리교육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필자는 1)관계론적 장소개념을 지리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2) 국가의 틀을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동아시아 지리’에대한 연구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영토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부각되고 있는 영토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영토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강화하기보다는 지리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주장한다. 특히 기존의 영토교육론은 민족/국가주의적 성향, 유기체적 국토개념과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내부자적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배재와 포섭의 속성과 영토적 배타성을 강화하여 영토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긴장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문제제기 했다. 최근 이러한 민족/국가주의적 영토교육론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적 애국주의, 비판문식성 교육, 초국가적 시민양성 등에 초점을 두는 영토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논의들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논의들 역시 영토교육의 틀 속에 갇혀 있는 한 민족/국가주의와 영토적 배타성의 논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고 지적하면서, 영토교육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에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넘어서 지리교육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필자는 1) 관계론적 장소개념을 지리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2) 국가의 틀을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동아시아 지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with a critical engagement with recently emerging discourses on territory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educate the issues of territorial identities and sovereignty to students, urges that a total re-formu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expanding territory education ― is needed in order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territorial conflicts, and develop more peacefu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territory education perspective ― due to its nationalist orientation and its theoretical reliance on the organic conception of territory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is more likely to aggravate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With growing concerns on the nationalist territory education, there have been recent efforts to develop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errito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notion of civic nationalism, education for critical literacy, and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This paper, however, highlights that these efforts are still limited in overcoming the logics of territorial exclusiveness and thus not fully useful in developing a peaceful East Asia, as long as they are made under the name of territory education, and suggests to get rid of the frame of territory education. With this problem orientation, I argue tha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pletely re-formulate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wasting our time and energy for territorial education ― if we w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ake a genuine contribution to the East Asian peace.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1) the developers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ncorporate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into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2) research and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need to be much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territorial trap’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wo pillars of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 KCI등재

        영토교육 연구에서의 동향 분석

        조인성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3 글로벌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에서 행해진 영토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영토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영토교육’을 핵심 주제로 다룬 선행 연구들을 검색하고, 최종 137편의 논문이 분석할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국토교육, 글로벌 영토교육, 글로컬 영토교육, 독도교육 등 네 가지의 연구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이에 따른 영토교육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향후 영토교육 연구를 위한 학술적 방향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영토교육에 대한 연구의 초점을 독도교육에서 다른 연구 유형인 국토교육, 글로벌 영토교육, 글로컬 영토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토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거나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 수준에 머물러 학습자를 소외시키기보다는 교육현장이나 수업의 주요 주체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셋째, 영토교육 관련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반영하고 점검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글로컬 영토교육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territory education conducted in South Korea from 1996 to 2022. In this study, the collected research work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research types of national land educati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glocal territory education and Dokdo Island education, and then trends in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were explore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cademic directions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focus of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from Dokdo Island education to the other research types of national land educati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and glocal territory education. Second, in terri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ttempt studies revolving around 'learners,' major subjects in education field or classes, rather than remaining at the level of the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s or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and thus alienating lear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inspec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studies related to territory education. Fourth, given the low percentage of studies 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it is judged that these studies will have to be vitalized.

      • 영토 교육에 관한 지리교과서의 비교 연구

        김민정(Minjung Kim),이자원(Jawon Lee)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3 應用地理 Vol.- No.30

        최근 주변 국가들과의 역사인식과 영토분쟁 문제가 심화되면서 지리 교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점에서 지리 교과목의 개편과 축소는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인접 국가인 중국 및 일본과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중국과의 이어도 문제 등 영토 문제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영토분쟁은 과거에도 존재했고, 앞으로도 계속될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영토 분쟁에 대하여 바로 알아야 하고, 잘못된 인식이 있다면 바로 잡아야 한다. 특히 앞으로 우리가 짊어지고 갈 학생들에게 올바른 영토 교육을 해야 하는 것은 더욱 중시되어야 할 사안이며 우리 국토의 소중함도 함께 인식시켜야 한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교과서와 다른 매체들을 통해 자기 나라들의 영토와 국토 교육이 이루어져 왔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학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접하는 영토교육은 당연히 지리교과서가 중심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국토교육이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독도와의 외교적 마찰이 지속되고 있는 일본고등학교 지리 교과서의 국토교육 내용과 비교해 다루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도 최근 교과서가 개정되면서 우리의 국토 단원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교과서에서 많은 예시문과 자료를 제시함으로 교과서를 통해 우리 영토와 국토를 제대로 공부할 수 있게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보편적인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리적 인접국가의 영토와 국토교육에 대한 이해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는 지리 교과서에서 영토 문제를 인접국가의 지리교육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우리나라 국토의 소중함과 함께 우리 학생들이 올바른 국토관을 갖는데 기여 할 수 있도록 꾸준히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 한다. Recently, problems caused by territorial disputes have been aggravated and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geography has increased greatly. Because of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not only Japan, but China has also started to develop some territorial problems with Korea. A typical example would be problems related to ‘Leodo’. Now, these territorial problems we are facing attract a lot people’s attention and we have to realize that we should be the ones who have to solve them in the near future.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system incorporates basic elements from geography textbooks and countries apart from Korea are also believed to have utilized their own system through a variety of medias and textbooks. Therefore, territorial education will play a big role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This helps us show how territorial education is being handled in Korean textbooks compared to those of Japan. As the new curriculum system gets utilized, textbooks we use in schools have been altered and have started to give big coverage to Korean geography. Moreover, people are trying their best to make pupils study about geography of Korea the right way, through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presented in textbooks. Nevertheless, we are still at the stage where we aren’t perfect. We will be required to clearly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our current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and study persistently for all the students in Korea.

      • KCI등재

        글로벌 시대 지정학 비전과 영토교육의 재개념화

        남호엽 ( Ho Yeop Na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는 글로벌화 맥락을 배경으로 하면서 영토교육의 재개념화와 교수전략의 모색을 추구하고 있다. 영토의 문제는 지정학의 전형적인 탐구대상이다. 글로벌 시대에 와서 국가 중심의 고전 지정학 비전은 초국가적인 접근 방식에 의해 상대화되고 있다. 영토는 영역화의 운동 양상을 반영하며, 지정학 비전의 재현물로서 개별 주체들에게 각인된다. 영토교육은 정교하게 조직화된 지정학 비전의 상황이며, 일종의 공간 전략 혹은 지리적인 실행의 과정이다. 글로벌 세상에서, 영토교육은 일정한 관계 설정과 의미 추구의 전략으로 사고할 수 있다. 즉, 글로벌시대 영토교육은 배타적인 민족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비판 문식성의 발달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탈근대 지평에서 영토교육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이는 영토교육의 다차원적인 스케일을 고려하면서 초국가적인 주체 형성의 논리를 추구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rritorial education and planning of teaching strategy in the global context. The problems of territorial conflict are typical tasks of geopolitical inquiry. In a globalized world, the strength of classical geopolitical visions are weakened by geographies of transnational network. Territory is a social construction which reflects on movement of territorialization and product of geopolitical representation. Territorial education is a case of this representation and the process of geographical practices. Approach of territorial education is changed into a new perspective and teaching method. Namely, it escapes from exclusive nationhood education and pursues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and cultivation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e.

      • KCI등재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 분석

        이하나(Ha Na Lee),조철기(Chul Ki C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중등 지리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 것으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토교육 내용은 자국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보는 시각을 중시한다면, 일본의 경우 세계에서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영토교육 내용으로 영역 모식도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등학교 『사회』에 처음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 중학교 『사회-지리적 분야』 에서도 이미 제시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경우 교육과정의 계속성과 계열성을 확보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일찍부터 영역의 의미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영역 가운데 영해에 대한 학습을 특히 강조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영해를 표시한 지도를 제시하고 있다면, 일본의 경우 배타적 경제수역을 제시한 지도를 대부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일본이 영해의 수준을 넘어 이보다 훨씬 더 넓은 면적인 배타적 경제수역까지 확대하여 영역의 의미를 재정립하고자 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4극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4극의 위치와 경위도를 확인하는 선에서 그친다면, 일본은 4극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와 사진을 제시하면서 4극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나아가 4극의 중요성을 호안공사와 연결시켜 일본이 그들의 영역(특히 배타적 경제수역)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강조하고 있다. 다섯째, 영역에 대한 학습 후 영토문제를 다루고 있다. 실효적인 지배를 하고 있는 독도에 대한 우리 나라의 입장보다 실효적인 지배를 하고 있지 않은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의 입장이 더욱 단호하면서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지리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영토교육의 내용은 형식적인 틀에서는 매우 유사하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영토교육은 영토문제가 발생했을 때 임시방편으로 실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속에서 계열성과 계속성을 확보하여 적극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될 때, 영토교육은 영토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와 더불어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영토의식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erritorial education described in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is the result that show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geography textbooks when it comes to territorial education. Korea and Japan have a contrasting territorial background. However, both countries start their territorial education by learning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ir country.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focus on what people in the world think of Japan, but in case of Korea, the geography textbooks focus on how Koreans look at the world. In short, the territorial education in Japan try to emphasize Japan from the view point of the world. The next common ground is that the two countries provide territorial models in their geography textbooks in order to increase understanding. However, the Japanese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se territory models much earlier than Korean students and these models help them visualize and solidify their concept of territory. And, the two countries both put great importance on teaching territorial sea. In Japan, they try to include EEZ(Exclusive Economic Zone) in their territory. Considering these facts, it can be concluded that Japan is enlarging their concept of national territory as maritime territory. Lastly, after learning of territory the two countries both treat on territorial problems. But Korea treats passively territorial problem as such Dokdo, but Japan treats actively their territorial problems. Like that, the contents of territorial education described in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re similar in terms of selection, but differ in quality in terms of organization. Therefore, future territorial education in Korea will be actively and successively done through succession and sequence of geography curriculum.

      • KCI등재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을 통해 본 일본의 영토교육 -「개정 교육법」부터 「2018 고교 학습지도요령」까지-

        이우진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erritorial education from 2006 to 2018 in Japan, and the main analysis objects are passages specified i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The Abe administration revised the old education law based on the Peace Constitution for “the Education Regeneration” in Japan. And, they set two of the educational goals as ‘the respect for public spirit and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Therefore, the Abe administration secured the legal justification to lead Japanese education policy in the nationalistic and rightward direction. After two years, they formulated ‘the Basic Plan for Educational Promotion’ under the banner of ‘Japan's Education Revitalization.’ A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the distorted territorial education in Japan had been gradually strengthened. ‘Japanese sovereignty of Dokdo’ was stipulated as indirect way I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which were revised in the first stage of the plan. But, in the second stage, Japan government directly specified ‘Japanese sovereignty of Dokdo’ i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Japanese Three Territorial Educational Logics regarding Dokdo’ were stipulated in 2014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Those Logics are specified in the Course of Study in the third stage of the plan. So, the distorted territorial education regarding Dokdo have become a required educational contents in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apan. ‘The Japanese Three Territorial Educational Logics regarding Dokdo’ was full of serious contradictions. Apart from these contradictions, the logics are not true. Because Dokdo is the obvious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geographical,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law. The current territorial education in Japan is distorted, and it is only a device to help nationalist and militaristic movements of Abe administration. 이 논문은 아베 내각이 2006년 「개정 교육법」이래로 2018년 「고교 학습지도요령」을 공포할 때까지 시행해 온 영토교육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의 주 대상은 『학습지 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에 있는 영토교육 관련 내용들이다. 아베 내각은 ‘일본의 교육 재생(再生)’을 위해 ‘평화헌법에 기초한 「구 교육기본법」을 개정’하고, ‘공공 정신 존중과 전통 계승’을 교육의 주요한 목표로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아베 내각은 일본교육정책을 국가주의적이고 우경화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법적 정당성을 마련하였다. 아베 내각은 「교육기본법」을 개정한 2년 후 ‘일본 교육 재생’이라는 기치 아래 「교육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이 계획에 따라 일본의 왜곡된 영토 교육도 강화되어 간다. 「교육진흥기본계획」제1기(2008~2012)에 개정된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 」에서는 ‘독도의 일본 영유권’을 직접 명기가 아닌 간접적인 방식으로 주장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진흥기본계획」제2기(2013~2017)에 들어서자 ‘독도라는 표현을 직접 명 기’하여 영토교육을 통해 애국심 강화를 극대화하려는 방식을 취하고, 「2014 중⋅고등학 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에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를 명기한다. 마지막 「교육 진흥기본계획」제3기(2018~2022)에 공포된 『2017 소⋅중학교 학습지도요령』과 「2018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에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를 고스란히 명기한다. 그 리하여 일본 내 고등학교 이하의 모든 학생들이 ‘독도와 관련한 왜곡된 교육’을 반드시 받아 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는 심각한 논리적 모순을 지니고 있으며, 이 모순을 차치하더라도 그 논리는 사실이 아니다. 왜냐하면 독도는 지리적,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대한민국의 영토이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에서 진행되는 영토교육은 왜곡된 것이며, 아베 내각의 ‘국가주의적이고 군국주의적인 행보’를 도와주는 장치일 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