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웅의 시간/영토 그래프로 본 『조웅전』-한국의 고전구조 시론 1-

        김용철 ( Yong Cheol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 Vol.0 No.51

        영웅의 몰락과 회복의 과정을 소설화한 영웅소설 『조웅전』은 사건이 전개되고 인물들이 등장하는 모습을 따라서 그래프 위에 선과 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그래프의 모습은 “영웅의 시간”과 “영웅의 영토”라는 두 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다. 『조웅전』의 그래프는 왼쪽에서 아래로 떨어졌다 오른쪽에서 상승하는 곡선을 보이고 있다. 이때 영웅과 천하국가는 같이 몰락하나 영웅이 준비하는 동안 천하국가의 몰락을 10년간 유예함으로써 영우의 구원을 기다리게 한다. 이 “영웅의 시간” 그래프는 고난형 영웅, 준비형 영웅, 구원자형 영웅을 차례로 나타내며 이중 천하국가를 구원하는 구원자형 영웅의 활약이 기본이 된다. 또한 “영웅의 시간”은 몰락, 고난, 준비, 회복 및 복수, 누림과 평화의 시간이라는 5단계로 나타난다. 이 “영웅의 시간” 그래프는 동시에 “영웅의 영토” 그래프이기도 하다. 가운데를 지나가는 선 아래 부분이 영웅 조우의 영토이다. 이 “영웅의 영토”는 영우의 힘이 가지고 있는 힘과 비례하며 “영웅의 몸”을 나타낸다. “영우의 몸”은 영우의 주체적 힘과 객관적 힘의 불일치와 일치의 과정을 두 차례 반복하며 작품을 이끌어가고 있다. 이러한 “영웅의 영토” 그래프를 타고 등장인물들은 제 위치에 맞게 등장한다. 이때 이 그래프를 타고 아버지의 부재, 상하층 인물의 등장, 숨어있는 인물과 드러난 인물의 교차 등장 등의 과정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작품은 자신의 편폭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 The fictional process of ChoUng-Jeon an korean hero novel can represent the line and surface of a graph. On this graph plot and charaters appear in order. This graph is a Hero`s Time and Hero`s Territory Graph. This graph display a curved line. It goes below and then goes up. This curve display hero`s fall and restoration. Hero and the world fall at the same time. And hero builds strength and relieves the world. Required time is ten years. In ten years the world delay the perishment and wait for hero`s relief. Hero`s time graph display a trial and preparation and messianic hero in turn. The messiainc hero is a fundamental form. The heroic time diplay a stage of fall-trial-preparation-restoration-peace time in turn. Hero`s time graph is Hero`s territory graph too. The part below central line is hero ChoUng`s territory. This territory is in proportion to ChoUng`s heroic strength. This territory represents hero`s Mom. Hero`s Mom repeats the process of disaccord/accord of subjective/objective. In this process Hero`s Mom drives ChoUng-Jeon forward. The characters appear on the stage in this graph. The characters represent three charactiristics. First Father`s absence. Second crossing appearance of upper/lower class. Third swinging appearance of exposing and disposing characters.

      • KCI등재

        미디어에 비친 현대 한국의 영웅: 2011~2020 언론 보도를 중심으로

        이영준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2

        현대 한국사회에서 영웅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전통적인 호국영웅, 재난현장에서 생명을 구조한 시민영웅, 심지어 인간의 생명을 구조하는 데 일조한 개나 고양이에게도 영웅 칭호가 부여될 정도로 사회 일반에 폭넓게 퍼져있다. 그것은 아마도 영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재)발견에서 그 원인의 하나를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시시각각으로 일어나는 각종 사고, 코로나 팬더믹과 같은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재난 상황, 날로 험악해지는 범죄 등 악화하는 사회적, 자연적 환경 속에서 영웅은 존재 가치가 더욱 선명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영웅 연구는 양적인 측면에서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영웅을 고전적 또는 사전적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변화하고 있는 영웅형상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영웅의 긍정적 기능에 기초하여 그들을 우리 사회로 (재)소환하기 위해서는 기초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인식하에 최근(2011년~2020년) 우리나라 언론 속에 드러나는 영웅형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크게 세 가지 유형, 즉 국가나 민족을 수호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사람, 타인의 행복과 이익에 도덕적 의의를 부여하고 행동한 사람, 단순히 사회적으로 성공을 거둔 사람을 영웅으로 부르고 있으며 이에 덧붙여 영웅적 행동과는 무관하게 자긍심 고취와 격려를 목적으로 특정 집단의 구성원들에게도 영웅 칭호를 부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것은 한국사회가 영웅 칭호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나며 비록 친사회적 행동의 확산을 자극케 하는 긍정적 기능이 있을지라도 영웅의 질적 하락을 막기 위해서라도 영웅 개념에 대한 학문적 검토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 KCI등재

        김정은 체제 ‘여성영웅’ 정치의 유형과 특징 -『로동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송현진 ( Hyeonjin Song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10년을 맞아 김정은 체제 여성의 역할과 여성정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여성영웅’ 정치는 김정은 체제가 추구하는 여성담론을 담고 있어 북한여성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로동신문』을 분석해 김정은 체제에서 여성영웅 정치를 추진하는 배경과 여성영웅의 유형, 특징을 분석했다. 김정은 체제가 여성을 동원하기 위해 여성영웅 정치를 펼치고 있는 배경과 그에 따른 여성영웅의 유형은 첫째, 시장화 확산은 사회주의대가정의 붕괴로 이어져 여성들을 체제에 결속시킬 필요가 절실해 미풍선구자 영웅을 등장시켰다. 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매개로 수령결사옹위 영웅을 호명했다. 둘째,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되자 더 많은 노동력을 동원해 경제를 회복하고자 당정책을 관철한 여성영웅을 호명했다. 또한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위상이 추락하자 국위선양 영웅을, 사회문화가 이완되자 사회통합 영웅을 등장시켰다. 이를 통해 발견한 김정은 체제 ‘여성영웅’ 정치의 특징은 전문직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며, 성별분업 체계와 성별직급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천리마 시대 영웅 등 과거 시대 영웅을 호명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여성영웅은 혁명 주체로서 공산주의 혁명가의 역할보다는 기존 성역할을 재확인하는 역할과 체제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정은 체제 여성영웅 정치의 특징을 밝힌 본 연구는 집권 10년을 맞아 국가전략 중 여성정책 및 담론의 지속과 변화를 점검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ole of women in the Kim Jong-un regime and the status of women’s policies in the 10th year of Kim Jong-un’s reign. ‘Female hero’ politics has important meaning in the study of North Korean women because it contains the discourse on women pursued by the Kim Jong-un regime. To this end, the Rodong Sinmun and Chosun Women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active promotion of female hero politics in the Kim Jong-un regime, as well a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heroes. The background of the Kim Jong-un regime’s policy of female heroes to mobilize women and the types of female heroes that follow are: First, the spread of marketization leads to the collapse of the large socialist family,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unite women to the system again, so a pioneer hero appeared. did it He also called for the hero of defending the leader’s association as a medium to maintain the system. Second, as economic difficulties persisted, a female hero who carried out Party policies was called out to revitalize the economy by mobilizing more skilled labor. In addition, when North Korea’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ell, a hero to promote national prestige appeared, and a hero for social integration appeared when the existing social culture relax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m Jong-un regime’s ‘female hero’ politics discovered through this are that it emphasizes the role of professional women, there is a gender division system and gender division of ranks, and calls out heroes of the past, such as the heroes of the Chollima era.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female her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and the role of reaffirming the existing gender role rather than the role of the communist revolutionary as the revolutionary subject. This study, whic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hero politics of the Kim Jong-un regime,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women’s policies and discourses in the national strategy for the 10th year in power.

      • KCI등재

        영웅적 탁월함의 양면성 - 『오뒷세이아』 11권 <영웅들의 목록>을 중심으로 -

        김준서 한국서양고전학회 2022 西洋古典學硏究 Vol.61 No.2

        이 논문은 『오뒷세이아』 11권을 마무리하는 <영웅들의 목록>이 그리스 신화 속 전통적인 영웅상에 내재한 양가성을 비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영웅들의 목록>에 등장하는 여섯 명의 전설적인 인물들 중 “세 명의 죄인”이라는 통칭으로 묶이는 티튀오스와 탄탈로스, 그리고 시쉬포스는 자신들이 저지른 범죄로 인해 혹독한 형벌을 받고 있는데, 이들의 범죄행위는 상고기 그리스 세계관을 지탱하는 기반이자 토대인 ‘신-인간-짐승’이라는 존재론적 삼분구도를 무너뜨리는 전복적인 행위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때문에 많은 호메로스 연구자들이 『오뒷세이아』의 이 장면으로부터 선과 악, 옳고 그름의 구분과 그에 따른 처벌이라는 일종의 인과응보/권선징악의 도덕률을 찾아내려 했는데, 이는 주로 “세 명의 죄인”과 <영웅들의 목록> 속 나머지 등장인물들인 미노스/오리온/헤라클레스와의 대비를 강조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하지만 “세 명의 죄인”을 넘어서 <영웅들의 목록>에 등장하는 여섯 명의 신화 속 인물들은 모두 ‘신과 인간 그리고 짐승 사이에 놓인 경계 위반’이라는 주제를 통해 하나로 묶일 수 있다. 이 주제는 그리스 신화를 관통하는 주도적인 모티프로, 그 주역인 영웅이 지니고 있는 존재론적 특수성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영웅을 범인으로부터 차별화시켜주는 동시에 그 위대함의 토대가 되는 초인적인 탁월함은 역설적으로 신의 영역을 침범함으로써 발생하는 불경함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영웅들의 목록>은 그리스 신화의 지배적 모티프인 ‘신-인간-짐승’의 존재론적 삼분구도에 내재된 위태로움, 그리고 영웅이라는 존재의 양가성과 영웅적 위대함 속에 숨겨진 영광과 파멸 사이에서 표류하는 모호성을 부각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미노스/오리온/헤라클레스로부터 어떤 긍정적인 측면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해도, 그와 같은 긍정적 측면은 “세 명의 죄인”과의 동질성 속에서 그들이 발산하는 강력한 부정성에 의해 잠식당하게 된다. <영웅들의 목록> 대미를 장식하는 헤라클레스의 수대(baldric)에 대한 묘사와 그에 대한 오뒷세우스의 반응은 헤라클레스로 대변되는 전통적인 영웅상과 그 위대함을 묘사하는 방식에 대한 『오뒷세이아』의 비판적 태도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 '토지'의 여성영웅소설적 면모 고찰

        최은영 한국지역문학회 2020 한국지역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영웅성’을 조선 후기 창작된 여성영웅소설과 비교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특히 '토지'의 등장인물 중 ‘서희’를 중심에 두고 고소설과의 서사의 유사성을 통해 '토지'가 현대적 ‘여성영웅소설’이라는 장르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토지'와 '홍계월전'에는 ‘출생-위기-위기 극복-귀환’이라는 영웅소설의 서사 유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토지'와 고소설의 여성영웅소설은 무남독녀로 태어나 가문의 위기를 극복한다는 점과 강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모티브에서도 유사성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토지'는 현대적 의미의 ‘여성영웅소설’이라고 장르를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제약을 극복하는 방식에서 전쟁이나 독립운동과 같은 남성적 영역에서 남성으로 위장을 통해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기질이나 성품을 통해 상인으로 성공한다는 점에서 고소설의 여성영웅과 차이를 지닌다. 또한 사회적 성공을 통해 가부장적인 역할을 모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여성으로 혈통을 이어 가문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여성적 가치를 이어나간다는 점에서 고소설의 여성영웅에서 한 단계 나아가는 현대적 의미의 여성영웅으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heroin novel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To-Ji(The Earth)󰡕 written by Park Kyoungri by comparing with a heroin novel created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To-Ji󰡕 describes a vast amount of historical backdrops from 1897 and 1930. If we, however, see centrally 3 parts narrative of a process of getting back a house that belonged originally to Seo-hee from Jo Jun-gu, then we can figure out a narrative flow of hero novel which goes to 'Birth-crisis-overcome the crisis-Return'. We can also find similarities with heroin novels from a motif of 󰡔To-Ji󰡕 that how to progress its main narrative. These similarities, therefore, can be that a main female character was born as an only daughter who cannot carry on her family line and thus faced to a difficulty(or crisis). After gaining social success, however, she did a mesalliance and gave a birth to a boy. 󰡔To-Ji󰡕, therefore, has characteristics of heroin novels genre with having a narrative pattern and a similar motif.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as well. These differences are that she finally succeeds as a merchant not by disguising as a man who joins to an army and exhibits her skills in the male-centered area such as an Independent Movement or wars but via her spirits and good natures. Succeeding as the merchant through her own effort, nature and skills is different from the old heroin novels. She does not imitate a patriarchal role and carry on her family. These are shown from that she keeps her virtues of female by sustaining her blood. As you can see from these points, this novel has the female character who have a modern sense of the heroin unlike with the ones found in the old heroin novels.

      • KCI등재

        고전소설에 나타난 복수 영웅 ‘규합(糾合)’의 특징적 양상과 의미

        박혜순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우리 소설사에서 영웅소설은 한 명의 영웅이 중심이 되어 활약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며 유행해 왔다. 극한의 상황에 처한 개인이 온갖 고난을 극복하며 영웅적 면모를 발휘하게 되고 결국 성공에 이르는 서사는 독자들의 감성을 자극했고 조선시대 대중적으로 큰 유행을 했다. 그 과정에서 초월적 존재의 조력이 등장하지만 이것은 오히려 인물이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영웅을 돋보이게 만들고 대중들로 하여금 위기의 순간 안도하게 만드는 힘이 되었다. 조선 후기에 오면서 이 영웅의 이야기는 다방면에서 점차 변화를 겪게 된다. 삼국지연의, 수호지 등의 독서 경험은 영웅소설의 서사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고 다수의 오마주 혹은 패러디를 생산했다. 남성들의 우정과 의리 그리고 치밀하게 수행되는 작전 속의 기발한 모사들의 지략 대결은 우리 소설에서 군담의 다양성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장편 소설들이 대거 창작되면서 보다 서사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이 끌어들여지게 된다. 진성운전과 남정팔난기는 이런 다양한 고전소설 창작 변화의 흐름에 서 있는 작품으로 일인 영웅이 아닌 복수의 영웅 규합이 서사를 주도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작용한다. 우리 고전소설에서는 영웅들이 규합을 하는 것이 정치적 노선의 유사함 혹은 궁지에 몰린 영웅들이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뭉쳐야만 하는 이유이기 보다는 대의의 성공을 위해 영웅의 세력을 확장해가는 의미가 더욱 강하다. 영웅소설 장르가 지닌 서사적 토대와 대의의 성공에 집중하는 고전소설에서는 군담의 성공을 보다 확실하게 보여줄 장치가 필요했고 그 중 하나가 규합인 것이다.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진성운전과 남정팔난기는 복수영웅 규합 작품들 중 영웅들의 규합이 지닌 서사적 비중이 큰 대표적 작품들이다. 특히 이들 두 작품은 복수 영웅들이 주인공을 보조하기만 하는 도구적 역할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들을 처음부터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모이지 않으며 복수와 우정과 의리 같은 개인의 감정이 기반이 되어 규합하고 있다. 이들 영웅들의 규합은 개인의 감정이 기반이 되고 있기 때문에 ‘대의’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견고한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 결연과 천의(天意)이다. 이를 통해 영웅들의 규합이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두 작품을 살핀 결과 진성운전의 규합은 장편소설의 자장 안에 있으며 남정팔난기는 삼국지연의의 영향 하에 있음이 밝혀졌다. 본고에서 고찰한 두 작품에 나타난 규합의 양상은 나아가 우리 고전 소설 속에 나타난 전반적인 규합의 특징을 살피는 데 도움을 될 것이다. Looking into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it is known that heroic novels used to be popular with a single hero mainly around which a story goes along. The typical narration that an individual facing extremely harsh situations overcomes them, exerting heroic aspects, and eventually succeeds, touched and attracted readers' emotions, and became very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process, a hero was also assisted by a transcendent existence and it rather created synergic effect during the course of a hero's growth, making him distinctive and outstanding and giving readers a relief at the moment of danger. as it turned to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gradual change took place in the story of a heroic novel in many aspects. Such heroic novels as 'Samkukjiyeonyi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Suhoji (A Record of Happening in A Lake)' enriched the narrations of a heroic novel and created a lot of parodies, receiving much homage. Friendship and honor between men and the strategic war of novel resources by tacticians found in those novel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diversity of war stories of Korean novels. In addition, as a lot of full-length novels were written, several elements to make narration richer could be introduced. 'Jinsungunjeon' and 'Namjeongpalnangi' were th classical novels written in the course of such change. They mainly feature joining the forces of more than one hero. In Korean classical novels, heroes join their forces not because they stand on a similar political line or are pushed into a corner so it is inevitable to do so, but because they want to extend their power to attain a great cause. Therefore, it is joining force that can ensure the success of a war story in a classical novel that focuses on narrative background and the attainment of cause with which the genre of a heroic novel is characterized. The joining force of multiple heroes in 'Jinsungunjeon' and 'Namjeongpalnangi', which are the subjects of research in the present study, take a greater part of narration than other novels. In particular, these two literary works are characterized with heroes' role that is not supplementary for main character anymore. They are not gathered for a certain purpose from the beginning, but joined on the basis of individual emotions such as revenge, friendship, or loyalty. Since the joining of these heroes is formed on individual emotion, a stronger link is necessary to promote a great cause. It is relationship and the will of Heaven that are used for the link. Through them, heroes are jointed more tightly. From examining the two works, it was known that joining force of heroes in 'Jinsungunjeon' took place in the context of a full-length novel, while that of 'Namjeongpalnangi' was influenced by Samkukjiyeonyi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he aspects of heroes' joining forces in those two novels will be helpful for us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force joining by heroes in our classical novels.

      • KCI등재

        논문 : 북한의 영웅서사, 60년의 간극 -『조옥희』를 중심으로

        김은정 ( Eun Jeong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북한 최초의 여성 영웅인 조옥희를 형상화한 소설과 혁명열사릉에 안장된 여성영웅들의 기록을 중심으로 여성 영웅 서사를 검토하고 있다. 또한 조옥희 관련 문예 창작물과 회상기를 통해 전시문학에 나타난 영웅과 현대 영웅의 차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조옥희는기존 영웅들과는 달리 당대에 평가를 받고 영웅칭호를 수여받은 인물이며, 지위와 계급 그리고김일성과의 심적, 물리적 거리에 따라 대우가 달라지는 북한의 영웅 선별 과정에서 벗어나 있는인물이기도 하다. 전시문학에 나타난 영웅과 현대 영웅의 차이는 한국전쟁기까지의 영웅서사가 폭력적 사태에 대비한 육체적·도덕적 무장과 희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2000년대 초기영웅서사는 공적과 희생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전쟁 영웅인 조옥희가 2008년 호출된 것은전쟁 미경험자인 인민들에게는 선군시대의 후방 모델에 부합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heroine narration with the novel which embodied Jo Ok-hui, the first heroine of North Korea and with the record of heroines which buried in Revolutionary Cemetery. It also compared today`s hero with the hero who disappeared in the wartime literature through the reminiscences and the literary creation related to Jo Ok-hui. Jo Ok-hui is person who was awarded the title heroine unlike previous heros and who strayed from the process of hero selection according to status, class, an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f Kim Il Sung. The hero narration of the wartime literature focused on sacrifice and fortification morally and physically provided against violent situation until the Korean War period. However hero narration in the early 2000s did on sacrifices and achievements. Jo Ok-hui, heroine of the Korean War was called in 2008 be cause she was the person suitable for model of in the times of "songun" to Inmin(people) who are poor at war.

      • KCI등재

        논문 : "영웅군담소설"의 연구사적 조망

        김현양 ( Hyeon Yang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이 글에서는 영웅군담소설의 주요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1) 영웅군담소설에 대한 이해/ 인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교체되었는가 (2) 영웅군담소설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가 (3) 영웅군담소설을 온당하게 이해/인식하기 위해서는 어떤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해 서술했다. (1)과 관련해, 영웅군담소설은 군담소설에서 영웅소설로 그 개념이 교체되었으며, 영웅소설개념도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지닌 소설``에서 ``가족의 이산과 회복의 구조를 지닌 소설``로 교체되었다고 했다. 또한 영웅군담소설을 ``가족의 서사``로 개념화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했다. (2)와 관련해, 갈등 양상과 갈등의 해결 방식을 주목해, 영웅군담소설을 ``주인공이 천명(天命)에 따라 외적(오랑캐)의 침입으로 조성된 균열된/전도된 중국중심적 국가 질서를 군사적 대결을 통해 회복하는 소설``이라 개념화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영웅군담소설은 ``국가의 서사``와 ``가족의 서사``를 두 축으로 해 전체 서사가 구성된다고 했다. 개념의 중심은 ``국가의 서사``이나 의미해석의 중심은 고정되지 않는다고 했다. (3)과 관련해, 영웅군담소설을 온당하게 이해/인식하기 위해서는 복수(複數)의 서사 층위 가운데 특정 서사 층위만을 주목하는 미시적 시각을 지양하고, ``국가의 서사``를 거점으로 해 거시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eroic martial novel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ree main issues: firstly, how has the understanding/percep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been formed and changed; secondly, how can the heroic martial novels be conceptualized; thirdly, what kind of perspective should be taken in order to have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With regard to the first issue, the concept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has been changed from martial novels to heroic novels and the concept of heroic novels also has changed from ``the novel which has the biography of a hero as its main structure`` to ``the novel which has the separation and reunion of the family as its structure``. Conceptualization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as ``the epic of the family`` raises problems. With regard to the second issue, focusing on the conflicts and the solution of the conflicts, the heroic martial novels should be defined and conceptualized as ``the novel which shows that the hero with the mandate from heaven restores the Chinese-oriented national order disrupted/overturned by the invasion of the foreign enemies through the martial confrontation. Besides, the narrative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consists of the two narrative axles: ``the epic of the nation`` and ``the epic of the family``. The core of its concept is ``the epic of the nation``, but the center of the interpretation is not fixed. With regard to the third issue, to get to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heroic martial novels, in approaching it, the microscopic perspective which centers on the particular narrative story only should be abandoned, and rather, the macroscopic perspective which centers on ``the epic of the nation`` should be taken.

      • KCI등재

        2000년대 영웅서사의 특징과 변모 양상 : 인물과 서사 구축을 중심으로

        오영록(Ou, Youngroc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영웅 서사는 주로 과거의 전유물로 인식되기에 관련 연구 또한 이와 관련하여 진행됐다. 그러나 여전히 2000년대 이후에도 영웅 서사는 존재한다. 이것은 여전히 영웅 서사에 대한 수용자들의 필요와 수요가 있고, 이에 대한 소환의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영웅의 근원을 발굴하는 고고학적 작업보다는 영웅 서사가 존재하는 현실을 인과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역사학적 작업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2000년대 영웅 서사의 특징과 변모 양상을 살핀다. <어벤져스>는 영상 매체인 영화로 대중들에게 다가간다. 신화적 결핍은 민족의 정체성에 대한 부재를 의미하는 것이기에 반드시 충족을 필요로 하기에 상상된 공동체의 서사가 바로 <어벤져스>다. 이 작품은 정통성 부여와 함께 미국의 현 상황을 드러내는 공동체의 서사를 형성한다. <어벤져스>는 선악의 대립에서 극적 긴장감을 유지하고자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되지 않도록 서사를 구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영웅들은 여전히 고전적인 영웅의 면모를 드러낸다. <왓치맨>은 만화 원작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문자 매체의 활용, 사실주의의 추구, 서술자의 존재와 같은 근대소설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작품의 패러디적 인물 설정은 단순 차용이 아닌 인물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자 하는 의도이다. 이 작품은 고전적 영웅서사의 문법을 거부하며 영웅을 사실적인 인간들로 나타낸다. <왓치맨>은 모순적 상황 속에 놓인 문제적 개인들이 나타나는 가운데 주요 인물이자 서술자의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진다. 『지구영웅전설』은 미국 DC 코믹스의 영웅인 슈퍼맨, 배트맨, 원더우먼, 아쿠아맨을 각각 무력, 자본, 대중문화, 자유무역의 의인화로 그려낸다. 여기에서 이들은 자본주의의 세계화에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미국 그 자체의 알레고리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미국인도 백인도 아니기에 영웅이 될 수 없는 바나나맨의 시선으로 제시된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의 세계화가 다양성을 표면적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결국 미국의 영향력에 근거한 일방적 논리의 주입임을 나타낸다. Since heroic narratives are mostly regarded as sole possessions of the past, releva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light of this fact. However, even after the 2000s, there are still some heroic narratives. Why? This is mainly because there are needs and demands for heroic narratives and there are some people who want to recall them from the past. This article aims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heroic narratives of the 2000s based on the historiographical needs that involve efforts of explaining the cause and effect of reality where heroes exist, instead of archaeological studies that are supposed to discover the origin of heroes. <Avengers> reach out to viewers through popular video media called movies. The lack of myth means the absence of the identity of certain people. Therefore, assuming this must be fulfilled, they created the community’s heroic narrative called <Avengers>. This work, as well as the granting of legitimacy, forms a heroic narrative for the community that reveals the current status of the USA. Amidst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n order to maintain dramatic tensions, <Avengers> writers successfully formed a narrative, while avoiding the possibility of being misunderstood as a mimic of Deus Ex Machina. Nevertheless, heroes in the <Avengers> movies still reveal the facets of traditional heroes. Although <Watchman> is based on the original cartoon series, it still shows modern, nove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 of SMS, pursuits of realism, and existence of the narrator. The parodic characters in the movie show that the writers wanted to depict persons as real as possible, instead of just borrowing characters somewhere else. The work denies the traditional grammars used in heroic narratives but depicts heroes as real people. As problematic individuals facing contradictions appear, the <Watchman> movie ends as a tragedy where the main character and the narrator dies. “Earth hero legend” depicts USA DC comic heroes such as Superman, Batman, Wonderwoman, and Aquaman as brutal military power, capital, public culture, and free trades, respectively, in its personification. They represent the allegory of the USA that fulfils its roles in the world of capitalism. In this work, bananman, who cannot become a hero because he is neither American nor White, tells the story. As a result, the writer tries to express that even if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is seemingly aiming at diversity, it is just a one-sided logic claimed by the USA with its huge influence on the world.

      • KCI등재

        탈영웅적 사회와 평화의 전망

        공진성(Gong, Jin-s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

        희생태세의 감소로 특징지어지는 사회의 탈영웅화와 그에 따른 전쟁수행방식의 탈영웅화는 1990년대 이후로 유럽과 미국의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관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탈영웅화 현상이 그 자체로 평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탈영웅화 현상은, 그들에 따르면, 사회의 도시화와 인구성장율의 감소로 인한 것이며, 탈영웅적인 사회는 성공적으로 도시화하지 못하고 여전히 높은 인구성장률을 지닌 영웅적인 사회 혹은 영웅적인 공동체와 동시대에 존재하게 된다. 근대성과 영웅성의 이같은 불일치가 일시적이나마 전쟁의 소멸을 가져오는 듯했지만, 무기기술의 확산과 테러리즘이 그 가능성을 우회하여 새로운 전쟁을 가져온다는 것이 또 다른 관찰이다. 따라서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면 우월한 무기체계를 지닌 탈영웅적 사회와 우월한 희생태세를 갖춘 영웅적 공동체 간에 발생하게 되며, 이때 영웅적인 공동체는 자신들이 지닌 비대칭적 우월성에 기초하여 탈영웅적인 사회의 불안정한 정신적 하부구조를 공격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가능한 탈영웅적 사회의 평화는 어떤 모습일까? 시민적 자유의 희생을 대가로 하는 보안국가와 시민들의 영웅적인 초연함은 그 가능한 두 모습일 것이다. The postheroic societi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 reduced readiness of society members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overall good of society and their accordingly postheroic way of warfare, have been observed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by some academics and researchers in the USA and in Europe. However,these postheroic phenomena do not ensure by themselves that peace prevails. The emergence of the postheroic society has been caused by urbanization and decreasing birthrate. Therefore, postheroic societies continue to coexist with heroic societies or communities which are not successfully urbanized and which maintain a relatively high birthrate. This disparity between modernity and heroicity ape can cause new wars. Conflicts flare up between postheroic societies with superior weapons and heroic communities with a greater readiness to sacrifice and attack the labile mental substructure of postheroic societies on the basis of their asymmetric superiority (Ed- I don’t understand). What kind of peace can be achieved and in which form will this peace be taken in this situation? Two possible forms of peace in a postheroic society are the security state which is managed at the cost of abandoning civil rights and freedom, and the heroic tranquility of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