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방 후 여학생’ 연구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7

        이 글은 1949년에 창간된 잡지 『여학생』을 중심으로, 해방 이후 수적으로 증가한 여학생들이 글쓰기와 독서경험을 공유하면서 ‘문학소녀’로서의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밝힌 것이다. 해방 후에는 보통교육이 확대되는 한편, 훈육과 지도의 과학화 담론이 강조되면서 연령과 신체적 변화, 심리적 반응 등을 고려하여 여학생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의 계발이 강조되었는데, 김용호의 『여학생의 심리』는 그 대표적인 사례였다. 이러한 교육담론은 여학생의 글쓰기와 독서경험이 남학생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믿음을 낳았고, 이에 여학생이라는 특화된 독자집단을 겨냥한 잡지 『여학생』이 창간되기에 이르렀다. 박목월이 창간한 잡지 『여학생』은 여학생 독자들에게 학창시절이라는 공통된 기억을 형성하면서, 센티멘털한 취향의 ‘문학소녀’라는 정서와 감각을 강조하였다. 잡지 『여학생』은 문학소녀들의 독서와 글쓰기 욕구를 적극 반영하면서 여학생독자들과 소통하고 있었으며, 독자들 또한 잡지의 지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문화적ㆍ젠더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잡지 『여학생』은 이러한 여학생독자들의 독서와 글쓰기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매체였을 뿐만 아니라, 문학소녀들의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도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무엇보다 잡지 『여학생』은 해방 이후 여학생 독자를 ‘문학소녀’로 표상하며 이들의 공식적 매체로 등장한 최초의 잡지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choolgirl, as subject of culture after the Korea liberation, logic of self??construction through the magazine Yeohaksaeng. Until 1945, women’s writings published in printed media were limited in highly educated women who recongized themselves as public figures. So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writing was considered as a form of intellectual and high??class culture. Interestingly, women reader’s reading communities through these magazines also functioned as literary communities. They expressed actively their opinions and feedbacks on serial novels and other reader’s contributions to the magazines. For them, the desire of self??expression through writing was equal with that for readings and it was their own unique feature which was distinguished with the contemporary male readers. The magazine Yeohaksaeng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advocating a full??fledged women’s magazines after the Korea liberation. The magazine Yeohaksaeng reflected the schoolgirl’s writing desire and provided a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readers and readers, editors and readers, writers and readers through writing. This magazine fulfilled the schoolgirl’s writing and reading desire, and formed communal identity as a young lady of literary interests. Especially, this magazine has significance provided a place for communication with a young lady of literary interests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Korea liberation.

      • KCI등재

        타자화된 여성 범죄자, 통제된 여학생

        박소예(So-ye Park)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이 글은 남성 필진에 의해 주도된 여성 잡지 『부인』, 『신여성』의 여성 범죄 관련 기사가 주요 독자층인 여학생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려는 전략 하에 구성 및 편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부인』과 『신여성』의 여성 범죄 기사는 대부분 구여성의 범죄를 다룬다. 사건보도 형식의 기사는 구여성의 범죄 사건을 놀라울 만큼 전근대적인 사건으로 소개하고, 논설문은 범죄에 내몰린 구여성의 무지함을 강조함으로써 구여성 범죄자를 흥미와 계몽의 대상으로 타자화한다. 하지만 여성의 죄에 대한 논의는 여학생이 도덕적 규범을 위반하지 않도록 강제하기도 한다. 여학생은 여학생의 외양을 하고서 밀매음, 사기 등의 범죄를 저지르는 가장(假裝)여학생과 자신을 구분하기 위해 사회가 ‘죄’로 규정하는 성적・물적 욕망을 억누르고, 사회가 만든 ‘여학생다움’에 부합하고자 스스로를 검열하고 통제한다. 여학생을 사회에 이바지하는 바람직한 여성이 되도록 통제하려는 여성 잡지의 기획과 전략 속에서, 여학생과 구여성 범죄자의 대립적 구도는 여학생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기보다는 여성계 내부의 갈등과 분열을 통해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위를 공고히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women’s crime in the women’s magazines Women and New Women, led by male writers, were edited under a strategy to effectively control their primary readership, female students. The women’s crime articles in Women and New Women mostly deal with crimes committed by the old-fashioned women. The article in the form of case reporting introduces the criminal case of the old-fashioned woman as a surprisingly pre-modern case, while the opinion pieces emphasize the ignorance of these female criminals, thus objectifying them as subjects of interest and enlightenment. However, these discussions about women’s crimes also serve to enforce moral norms upon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pseudo-female students by assuming the appearance of the ideal female student, suppressing their sexual and material desires that society defines as “sin”, and censoring and controlling themselves in order to become the desirable students society expects them to be. Within the strategies aimed at controlling and molding female students into desirable women who contribute to society,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female students and female criminals was used to solidify men’s dominance over women through conflicts and divisions within the female community.

      • KCI등재

        이화여전의 젠더 분리주의 교육과여학생 작품의 ‘S’ 감정

        윤유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5 No.-

        1920년대 가부장주의 담론에서 여학생의 동성애는 이성애로 옮겨가기 직전에 순결을 지키기 위한 관계로써 여학생에게 권장되고 있었다. 여학생의 발화가 배제된 채 논의되었던 여학생의 동성애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화여전의 학생기독교청년회의 문학부가 주체적으로 발행한 교지 『이화』를 살펴보았다. 이화여전의 교육방침은 식민지의 젠더 분리주의 정책에 따라 작동되고 있었기에 여학교에서 유행하는 ‘여학생 동성애’ 문제를 제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었다. 여학생의 목소리에서 발견되는 ‘S’ 감정은 여성 문학장 형성의 핵심요소 중 하나로 비춰진다. 따라서 여학생의 동성애적 감정을 여성주의 시각에서 재해석하였다. 미션계 여학교에서 동성애는 ‘공공연하게 인정되는’ 자연스러운 행위였다. 사회적 제도 안에서 ‘동성애’는 개별 여성의 성장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었다. 남녀를 구분하는 식민지의 젠더 분리 정책은 ‘동성애’라는 코드가 여학생에게 감성교육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담론을 형성했다. 그리고 여학교 내부의 젠더 분리주의 교육은 여학생이 동성연애를 하는 하나의 계기를 마련해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혼 적령기에 접어든 이화여전 문학청년들의 센티멘털리즘 글쓰기, 학교의 교육방침에 따른 엘리트 여성으로서 소명을 다하고자 하는 우월의식은 식민지의 젠더 분리 정책이 통용된 여성 고등교육기관의 독특한 특징이다. 1장인 서론에서는 1920년대 가부장주의 담론에서 드러난 순결교육과 여학생 동성애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학교라는 공적 공간에서 맺어진 여학생들의 새로운 관계인 ‘S’는 식민지의 교육방침과 관계하고 있었다. 2장에서는 이화여전의 종교교육이 이화여전 여학생들의 엘리트 의식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했는지 살펴보았다. 이화여전의 종교교육은 여학생들에게 젠더 분리주의를 수용하게 했고, 양성평등을 토대로 여성을 타자화하면서 지식인 여성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기독교 교리를 바탕으로 교육된 서구의 이성중심주의 사상은 여학생들의 창작행위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3장에서는 이화여전의 감성교육이 내재화된 교지 『이화』의 문학란을 통해서 젠더 분리주의 교육이 문학청년들의 시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에 필요한 여성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이화여전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이화여전의 교수들은 여학생들에게 지적 연대를 강조하였다. 1930년대에 이르러 여학생들은 교지 등의 매체를 통하여 감정을 스스로 발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학교 안팎의 교육방침에 따라 이화여전 문학청년들의 ‘동성애’는 자연발생적인 감정으로 드러났다. 이화여전의 문학청년들은 섹슈얼리티를 소거하는 방식으로 정신적 연애의 표현태로써 동성애적 감정을 드러냈다. 미션계 여학교에서 종교를 위해 활용되었던 문학에 동성애 코드가 섞여 들어간 것은 젠더 분리 정책과 사회의 가부장주의 담론에 대항하는 여학생 문학의 자율성에 상당한 원인이 있다고 판단된다. 기독교 교육을 통해 형이상학적 의미를 부여받은 여학생의 자연발생적인 감정이 센티멘털리즘 글쓰기라는 저항적 형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지 『이화』에 실린 재학생 노천명과 졸업생 모윤숙의 시를 'S' 감정으로 읽을 수 있었다. 결론인 4장에서 교지 『이화』에서 드러난 이화여전 문학청년들의 내면과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rough female students the issue of same-sex love on female students being discussed in paternalism discourse of the colonial Chosun. In 1920s, just before proceed from paternalism discourse to heterosexuality, the same-sex love of female students had been encouraging as a relations for keeping their virginity. This work examined the independent school paper issue 'Ehwa' of Ewha women's college young student christian association literature department for analyze female student's same-sex love dicussed without their utterance. Ewha women's college which is 1930's wom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the women education system to basically access an issue of female student's same-sex love in women's college, since Ewha women's college followed gender separatism pollicy of colony. Also, since 1930's women literature field was formed focusing on Ewha women's college, it can interpret the same-sex love that was seen as a the key element of women literature by made from women college-centred. The same-sex love was natural behavior publicly qualified at the mission women school. The forms of expression named 'same-sex love' came on in process train emotional education to female student considered as a symbol of emotional modern people among female student seems one of the reasons to form women literature based women college. Same-sex love had to affect the growth of individual woman in social system, and colonial separate policy classifying man and woman helped the growth of woman emotionally and instructively as a code called 'same-sex love'. Superiority awareness trying to fill a strong sense as a woman of sentimentalism writing and school education discipline of Ewha women's college iterary youth in optimal age to marry is an unique aspect of wom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 used separatism view in colonial education, and is related to homosexual emotion that appears in the poem. In introduction, the first chapter, researched about interrelationship beteween female student's education in sexual morality and same-sex love emerged paternalism discourse. New relationships 'S' of female student cemented at public space school was related with school education discipline. In second chapter, checked the religious education of Ewha women's college had contributed to Ewha women's college student's elitism how to process. The religious education of Ewha women's college was accepted gender separatism to female student, and increased female chauvinism based christian doctrine. In third chapter, analyzed how gender separatism had affected literary youth's works through the literary columns of school issue Ehwa internalized emotional education of Ewha women's college. On the basis of Ewha women's college that cultivate female of ability needed for society, professors of Ewha women's college emphasized intellectual solidarity to their students. In those education policy of Ewha women's college, Same-sex love was natural acts. Main agent, female student of Ewha women's college, related with society regulation gave metaphysical meaning in their writing connecting with themselves. At this moment, spontaneously emotion given metaphysical meaning of the Christian religion expressed sentimentalism writing. Noh Cheon-myeong and Moh Yoon-sook expressed homosexual emotion as using longing and sympathy. Mingling exercised literature for religion and same-sex love code together is showing that had operated the autonomy of literature at female student's works. In conclusion, the fourth chapter, identified that inner side of Ewha women's college literary youth found on school issue 'Ehwa' identified that had been crashing into paternalism discourse of outside th school. In the paternalism discourse, female same-sex love of women college was seen as an antichrist acts.

      • KCI등재

        상해판 『독립신문』의 여성관련 서사연구

        이상경(Lee Sang-Kyung)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상해판 독립신문에 실린 여성의 작품 “여학생일기”와 그 외 여성 관련 서사물을 통해, 1919년 3ㆍ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여학생, 또 그 여파로 해외로 유학 혹은 망명하게 된 여성들이 1910년대 식민지 근대 여성교육의 수혜자이자 그에 대한 비판자로서 성장하면서 여성으로서의 자각과 피식민지 민족으로서의 자각을 획득해 나가는 과정을 밝히고자 했다. “여학생일기”는 1910년대 학교 현장에서 일본과 조선을 문명과 야만으로 설명하고, 강제병합을 시혜로 설명하는 일본인 교사와 그것의 불합리성을 논파하며 맞서는 학생들 사이에 감도는 긴장감과 그것이 3ㆍ1운동으로 터져 나올 수밖에 없게 되는 과정을 바로 당대, 당사자의 말로 들을 수 있었다는 의의를 가진다. 3ㆍ1운동 당시 여성에게 가해진 각종 성고문을 폭로하는 기사는 여성에게 가해진 성적 모욕을 민족에 대한 모욕으로 전환시켜 남성의 공분을 불러일으키는 한편, 당사자인 여학생들은 그것을 폭로라는 형식으로 공적 담론의 장으로 끌고나와 민족운동의 명분을 획득함으로써 전래 여성에게 부과된 성적 수치심이나 정조 관념으로부터 해방되고 담론에 균열을 일으켰다. 이상 여학생 자신의 목소리와 비교하면 상해판 독립신문 창간호부터 연재된 소설 “피눈물”은 3ㆍ1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남녀 학생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되 여학생은 감성적이고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A Diary of a Girl Student”, “Bitter Tears” and articles about women, focusing on how they are led to find their identity as an educated girl and a colonized woman. These women either participated in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r were influenced by it. They chose to exile or to study abroad after it. They show ambivalent attitude toward modern education. Though they become New Women through it, they also criticize it. I think that “A Diary of a Girl Student” was written by Kim Won-Kyung. She was a student of Gyeongseung-yeogobo (Gyeongseung Girls’ High School).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she fled to Shanghai, China. The school was a government school oper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was the only one of the girls’ high school which participated in a group in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n the first day. This diary is vividly represents the racial tension between a Korean girl student and a Japanese teacher. The articles lifted the lid on being tortured. Then Korean men regarded an insult to women as that to the n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is caused cracks on the notion of women’s sexual purity. “Bitter Tears”, supposedly written by man writer, is a typical narrative to show how women participated in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presence of girls is portrayed as sensitive and has to be protected.

      • KCI등재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 -잡지 <여학생>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김양선 ( Yang Sun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이 논문은 1960년대 대표적인 여학생 잡지인 <여학생>지 문학란의 젠더적, 세대적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당대 청소년들의 공통감각 형성에 문학이 미친 영향과, 1960년대 여성문학 장의 다양한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씌어졌다. 먼저 작가, 지식인들이 쓴 소녀상 관련 특집이나 에세이에서는 이기심, 사치, 욕망을 지양한 여성상을 제시했다. 특히 이 글들에서는 바람직한 소녀상의 요건으로 청순, 순결, 순수, 우아, 가련함과 같은 정적이고 수동적인 특성을 꼽았다. 두 번째, 청소년들의 문학·교양과 지식 함양을 목적으로 수록된 문학 관련 에세이들을 검토하였다. 교양 있는 국민이 갖춰야 할 자질로 문학 지식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고전 명작에 해당하는 서양문학이 집중적으로 소개되었다. <여학생> 문학란에서는 번역소설 초역→명작 다이제스트→작가나 교수들이 추천하는 고전문학 목록이 서로 연동하면서 명작, 고전, 양서라는 정전 시스템을 강화하였다. 세 번째, ‘현상문예’, ‘여학생문단’ 작품들의 경향과 심사평을 중심으로 여학생 독자들의 글쓰기 경향 및 규범을 살펴보았다. 여학생 독자들의 문학열은 <여학생>이 문학소녀의 창작 욕망을 실현하는 장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 여학생들은 문학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문예적 감각과 문학에 대한 교양 지식을 내재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심사평은 아름답고 순수한 세계를 그릴 것, 그러나 센티멘털리즘을 벗어날 것이라는 모순적인 성차화된 규범을 여학생들에게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여학생>지 문학란은 여성독자를 위한 대중 교양교육의 장 역할을 했다. 여성-국민의 전(前) 단계에 접어든 여학생들은 문학란을 통해 당대 사회가 요구하는 젠더화된 감수성 및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현상문예’ 제도와 ‘여학생문단’은 문학·교양에 대한 지(知)와 감성을 축적하고자 하는 여학생들의 열망이 실제 창작으로 연결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generation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section in <Girl Student(Ryeohakseng)>, the representative magazine in 1960s. Specially, how the teenager`s literature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common sense, and how it made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women`s literary field in 1960s are this paper`s main interest. First, writers, intellectuals demanded an ideal woman who got rid of selfishness, luxury, or desire through their essays. In addition to, the passive qualities such as innocence, purity, elegance, emotionality were demanded to girls. Second, there were the literary essays for aiming at the cultivation of literature·culture of teenage girls. The literary knowledge was highlighted as a precondition of educated people, especially western literature(fiction) that corresponded to the classical masterpiece was introduced intensively. In particular, abridged translated novel → digest of masterpieces → and list of recommended books for teenagers were linked together, and strengthened the canonized system, like classics, masterpiece, good books. Third, in the prize literature contest and ``girl student`s literary circle``, contributor`s writing trends and commentaries about them showed the girl student`s writing trends, tastes and norms. The female readers` desire for literature itself meant that <Girl Student(Ryeohakseng)> served the stage to realize the creative desires of literary girl. Girls were able to internalize their cultural knowledges about literature and literary senses through literary writing activities. However, the commentaries about their writings presented a contradictory gender norms that described beautiful, pure world but got rid of their sentimentalism. In conclusion, literature section of <Girl Student(Ryeohakseng)> served the public liberal arts education, and helped the formation of gendered sensitivity and knowledge for the pre-staged women-citizens, that is teenage girls. In addition to, the prize literature contest and ``girl student`s literary circle`` can be evaluated as the representative case that the desire for literary knowledge is realized into the girl student``s writing practice.

      • KCI등재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대학교 여학생 진로 교과목 개념모형 개발연구

        이재은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대학교 여학생의 인지적, 심리적 특징을 고려하여 여성 학습자에 특화된 진로 교과목 개 발을 위한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이유는, 기존의 여학생 별도의 진로 프로그램이 여성의 임파워먼트를 목표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학습자 관점의 교 육내용과 교육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 없이 진로와 취업이라는 기능적 측면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계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교육이론이자 철학인 페미니즘 페다고지를 기저이론으 로 삼고, 여학생 진로 교과목의 구성요소와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 진로이론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연 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교 여학생 300명을 대상의 요구분석과 통합하여 내용 요소를 도출하는 한편, 페미니즘 페다고지 기반의 교수학습 방법 설계 원리와 세부 전략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교육내용 범주와 10개의 설계원리가 도출되었으며 5개 교육방법에 관한 설계원리와 18개의 실행전략 및 23의 교수학습방법이 도출되었다. 최종 개념모형은 설계원리 중심의 개발연구 방 법을 활용하였으며 개념적 모형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진로교육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학교 여학생 진로교과목 개발을 위한 개념적 모형은 몰성적 이거나 분절적으로 접근되었던 여학생 진로 프로그램을 페미니즘 페다고지라는 교육철학이자 교육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통일성 있는 내용구성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설계원리를 기반으로 여학생에게 특화 된 진로모형이라는데 차별화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젠더 관점의 여학생 진로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college female career education course, taking into account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The reason for this research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a separate career program for female students aims at women's empowerment, it focuses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career and employment without discussing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 learn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model wa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feminist pedagogy, the component of women's career theory,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ent factor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composed by integrating 300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the needs analysis. As a result, 6 content categories and 10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and 5 design principles, 18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23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rived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these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a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rses for female students, and an expert review was conducted for four career education expert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ceptual model. The conceptu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college female career courses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apply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feminism pedagogy and the educational learning theory to the female career courses that have been approached molarly or segmentally. It is meaningful to have derived and developed a career model specialized for female students.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rses for girls from a gender perspective.

      • KCI등재

        근대소설에 나타난 여학생의 신체 연구

        엄미옥 한민족문화학회 2008 한민족문화연구 Vol.27 No.-

        In this study, how the bodies of girl students in the colonial mordernera were depicted as modern women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spects of their bodies appeared in novels and discourse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ies regulated in discourses and physical bodies is investigated to look into a process of the girls' forming their identity. Girls appeared in novels of the 1920-30s were influenced by Christianity and developed psychology of asceticism, sexual morality and a-good -wife-and-wise-mother complex, and experienced a confusion of morality and value when free love went in fads. Girls who got knowledge and ability to control their bodies from books and physical exercise pursued free love. However, pathological discourse of the womb and menstruationmade girls become ashamed of their sexuality and the bodies of girls who lost their virginity were depictedas the body of Thanatos who died of disease. After the mid 1930s, bodies of female students were depictedas bodies of bourgeois which were adorned by makeup and retrained by pure blood and chastity complex. In novels, girls who kept their chastity achieved happy marriage and girls who didn't failed in theirmarriage, which tended to constrain their sexuality. In colonial mordernera, bodies of girls became stronger and westernized but their function was limited to looking after their families and raising children, and control and suppression were imposed on those who tried to go beyond the limit. Such stories created hierarchy of sex and sexuality and proved that a novel functioned as a discourse on a body, and showed that bodies of girl students became the essential object which constructed gender of modern women. 이 연구는 식민지 근대에 여학생의 신체를 둘러싼 담론과 소설에 재현된 신체 양상을 통해 근대 여성으로서 그들의 신체가 어떻게 구성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담론 속에서 규율되는 신체와 경험하는 신체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그 속에서 여학생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밝히고자 했다. 1920-30년대 소설에서 교육을 통해 기독교의 세례를 받아 금욕적으로 훈육된 신체를 형성하는 여학생은 현모양처 이념과 순결의식에 강하게 지배당한다. 이들은 자유연애에 이를 윤리적 잣대로 적용시키면서 도덕적 가치관의 혼돈을 경험한다. 서구물의 독서체험과 학교에서 배운 체조로 신체를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힌 여학생들은 자유연애를 추구한다. 그러나 자궁과 월경의 병리학적 담론화는 그들의 섹슈얼리티를 부끄럽게 여기도록 만들고, 정조를 잃은 여학생의 신체는 병들어 사라지는 타나토스의 신체로 그려진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여학생의 신체는 화장으로 치장하고 순혈, 순결이데올로기에 종속된 부르주아적 신체로 구성된다. 이는 순결한 여학생은 스위트 홈의 이상을 성취하고 정조를 잃은 여학생은 결혼에 실패하면서 섹슈얼리티가 통제되는 양상으로 재현된다. 식민지 근대에 신체의 기준은 강하고 서구적인 것으로 새롭게 수용되지만 여학생의 신체는 근대화된 가정을 구성하고 자식을 양육하는 데 한정되었다. 따라서 이를 벗어나는 신체는 억압받고 배제되면서 규율과 통제가 행해진다. 이러한 이야기 형식은 성의 위계화와 섹슈얼리티의 서열화를 낳으면서 소설 또한 신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더불어 여학생의 신체는 근대여성의 젠더를 구축하는 가장 핵심적인 장소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여학생 체육활성화 선도학교 운영 경험에 관한 셀프연구

        이의재(Euijae Lee),진연경(Yeonkyung Ji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여학생 체육활성화 선도학교 운영 과정에서의 한 개인의 경험과 고민에 관한 셀프 연구이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 개인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개인적‧사회적 변화와 당면한 고민거리 탐구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비판적이고 자기성찰적인 회상을 주요방법으로 하는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러티브 텍스트 서술 형태로 기술 ‧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을 체육활동에 참여하도록 이끌어낸 과정과 운영에 대한 한 개인의 경험을 생생하게 담았으며, 이를 통해 개인적 사회적 변화와 고민을 논의하였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노력을 통해 체육활동에 수동적 참여자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 참여자로 변화한 여학생, 동료교사와 관리자의 변화, 또 교사인 ‘나’의 변화가 가져온 ‘지혜로운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가 향후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실천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공유되고, 지속적이고 발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의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elf-study is to address personal experience and concerns about a model school on the promotion of girls’ physical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significant changes as well as concerns, which have arisen from th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as a physical educator, who has been trying to invigorate girls’ physical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been de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a personal narrative text by utilizing autobiography as the main methodology in order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ith a critical and self-reflective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s some significant changes of; 1) girls’ students who have become an active and interdependent participators in physical activities,; 2) colleagues and supervisors who have become a reliable supporters for the promotion,; 3) myself, as a teacher in physical education, who has been changed by the ‘wisdom’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with an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ways in which girls’ physical activities should be constantly promoted by sharing this paper with people who hope to activate girls’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매체로 본 근대도시 여성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소고 : ‘여학생’, ‘신여성’, ‘모던걸’을 중심으로

        이윤희(Lee Yun 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도시 여성의 사회적 의미를 지칭을 중심을 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여학생’, ‘신여성’, ‘모던걸’은 사회적 언어로서 자리를 잡았고 근대를 상징하는 하나의 기호가 되었다. 이에 따라 본고는 근대도시 여성을 지칭하는 ‘여학생’, ‘신여성’, ‘모던걸’을 바라보는 당대의 시각을 텍스트의 상황 맥락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여학생’은 ‘신여성’과 ‘모던걸’의 시작이 되었다. 학생의 신분으로서 여학생은 도시공간에 등장한 새 로운 여성이었다. 근대소비문화를 이끌며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매체에서 다루어지는 구체적 대상은 ‘여학생’이었다. 그들은 1920년대 초반에는 ‘신여성’으로서 자신의 개성과 사회의 개조, 여성해방과 같은 여성 자신의 문제를 자각하고자 했다. 192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여학생은 양가적 측면에서 평가되는 ‘신여성’으로 서술되었다. 근대도시 속의 여학생은 ‘신여성’으로서 계몽과 해방, 주체적 자각의 텍스트로, 또는 허영과 사치의 상징으로 서술되었다. 당대의 지식인 계층의 시각에서 서술된 매체에서 ‘신여성’의 또 다른 이름은 부정적인 의미를 담은 ‘모던걸’이라는 지칭이다. 당대 사회의 ‘모던걸’은 여학생과 신여성의 나쁜 측면만을 보여주었다. 나쁜 신여성 ‘모던걸’은 그들의 정체성에 대한 분석이 아닌 외양적 모습을 통해 평가되고 있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여학생’, ‘신여성’, ‘모던걸’은 근대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여성 존재 방식을 일컫는 표현으로 그 사회적 의미를 말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근대도시 여성을 지칭하는 다양한 언어들의 사회적 의미를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층위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women living in modern cities by focusing on the terms referring to these women. Terms such as Female Student”, “New Woman” and “Modern Girl” have been established as a social language and become symbols of modern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erspectives toward the terms Female Student, New Woman, and Modern Girl that refer to modern city-dwelling women by examining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era. “Female Student” was the beginning of “New Woman” and “Modern Girl”. The term referred to the women who appeared in society with the position of student. Moreover, they were the main subjects of asocial phenomenon thatthe evolution of the modern consumer culture and were addressed as such by the media. They tried to become aware of various problems pertaining to their identity, social remodeling, and women’s liberation. They were often described as a New Woman and evaluated bilaterally. In modern cities, female students symbolized enlightenment, liberation and self-awareness and in some cases, vanity and extravagance. Modern Girl is another negative term used to refer to the New Woman by the media that narrate the perspectives of the intellect of the times. The term Modern Girl highlights only the negative aspects of the New Woman and Female Student. Hence, the Modern Girl or bad New Woman, was evaluated based on appearance alone rather than any analysis of heridentity. “Female Student”, “New Woman” and “Modern Girl” are phrases that refer to the new form of women that appeared in modern society and this study endeavors to reveal their social signific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social significance of various terms referring to the women living in modern cities, as well.

      • KCI등재

        교육대학교 여학생의 체육실기 기피현상 및 해법 탐색

        조한무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여교사 비율이 80%대를 육박하며 체육교육에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근거로 현재 교육대학교 여학생의 체육실기 기피현상을 살펴보고 해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하여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양적 자료수집을 위해 100명의 교대 여학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 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수집을 위해 11명의 교대 여학생과 개방적-반구조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질문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0%의 설문대상 여학생과 면담에 참여한 11명 중 8명의 여학 생이 체육활동을 싫어한다고 보고하였다. 체육실기를 기피하는 정도의 순위로서 타 교과와 비교할 때 1-5위 내로 선정한 여학생의 비율이 70%로 나타났으며, 기피 원인으로는 운동을 못해서, 부상이 두려워서, 평가가 부담돼서, 수업이 무의미해서, 움직이는 연습이 싫어서 등의 이유가 제시되었다. 대신 초등학생에게 체육활동이 중요하다는 데에는 대부분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이 향후 체육수업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자신감을 보였 다.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 체육 실기 기피현상의 원인으로 체육현장에 잔존하고 있는 ‘아나공’ 수업 등과 같은 불 성실한 수업내용에 주목하며 현장 체육교사들의 반성과 성찰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어 체육실기 기피현상에 대한 해법으로 여학생의 정서를 이해하고 반영한 교과구성, 여자 스포츠 강사의 확대 배치, 여학생 친화적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즐기는 수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체육교육자의 깊은 반성과 실천적 의지를 제시하였다. Assuming that recent dramatic increase of femal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aused several side-effects, such as feminization of male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status-que of female students’ hatred over physical activities in educ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lso tried to generate solutions that promote female stude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Data collection was two folds; 1)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 total of 100 female students attending an educ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survey subjects, being asked their general tendency on physical activities, teaching confidence on physical education, and so forth, 2) to collect qualitative data, 11 female students attending an educational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were participated in open-end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for quantitative data and question analysis for qualitative data were utilized. As the results, 70% survey participants hated physical activity while 8 out of 11 interviewees hated physical activity. 70% of survey participants designa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as one of top five classes they hate. The reasons for the hatred over physical activities turned out to be 1) poor exercise skills, 2) fear of injury, 3) burden over evaluation, 4) meaninglessness of physical education, and 5) hatred over movement. The female students believed that physical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paradoxically they have been neglected in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which they need to teach after becom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Meanwhile, 80% of survey participants were lack of confidence in teaching physical activity classes. This study highlighted faithless and poor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one of pivotal reasons of the hatred of female students, and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should be taken place by physical educators. In order to minimize the hatred over physical activity of female students, we propose the following solutions; 1) designing curriculums reflecting female students’ emotional traits, 2) expanding employment of female sports instructors in educational environment, 3)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female students-friendly physical education programs, 4) change of paradigm of physical education in which female students can enjoy physical education rather than being a subject of evaluation, and 5) in-depth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by physical educators should firstly be taken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