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

        김지영(Kim Jee 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이 논문은 조선시대 애정소설의 문학적 관습을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애정관과 애정소설의 문화적 기능에 대해 추론하고 있다. '사랑'이라는 것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발견되는 방식과 절차가 다르고 그 안에 담긴 연인들의 이상과 좌절 역시 독특한 특징을 가질 만큼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애정소설은 애정전기류에서 파생되어 전기적이면서 환상적인 요소를 보여주고 있지만, 점차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며 남녀들의 사랑이 성장하기 어려웠던 조건을 보여주기에 이른다. 이 논문에서는 사랑에 대한 당대의 감각적, 문화적 맥락을 복원하고 비유적 표현과 애정시라는 담화 양식의 활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 애정소설에서 발견되는 고급한 문학으로서의 관습적 빗장을 풀고 조선시대 애정 이야기의 특징을 좀더 쉽게 풀어내보고자 했다. 조선시대 애정소설에서 남녀의 첫 만남부터 성애가 이루어지기까지 걸리는 시간, 만남의 장소, 연애과정과 시련,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의 비극적인 결과 등, 사랑의 세부 장면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는 거기에서 일정한 사랑의 시나리오를 읽을 수 있다. 거리에서 만난 한 여인에게 반하여 한 달간 여인의 방밖에서 밤을 지새우는 서생, 양가집 담을 넘어 들어가 깊은 규방에 감춰져 있는 처녀를 멋들어진 시 한 수로 유혹하는 남성, 귀신이 되어서도 배필을 만나 운우지락을 이룰 것을 부처님께 탄원하는 여귀, 이웃집 선비에게 연정을 품다가 못 참고 한밤중에 그의 처소에 뛰어든 처녀 등의 생동하는 인물들, 이들이 주고받는 시속에 나오는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압축하고 있는 장면들, 남녀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 사물이나 배경들, 애인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이상적인 커플과 그들의 사랑이 규정되는 방식과 인용 상황들, 애정소설에서 사라진 혹은 억압되어 감추어진 관습과 그 의미 등이 이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랑에 얽힌 당대의 여러 관습들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실제적인 관습도 있겠지만 문학적인 관습이라 해야 할 것들이 더 많다. 조선시대 애정소설은 남녀의 사랑이나 성역할을 다르게 규정함으로써 일정한 패턴의 사랑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특수한 사랑이야기에는 사랑에 대한 당대의 관습이 반영되어 있기 마련이다. 첫눈에 사랑에 빠진 남녀가 현실의 제약 조건들을 극복해가는 과정은 남녀 모두에게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애정소설에 동원된 여러 가지 고사와 비유적 표현들은 그러한 그들의 고민과 원망을 담은 채 낭만적 사랑의 관습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위에서도 현실과 문학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남녀의 사랑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후사 잇기'라는 서사적 패턴을 과감히 생략하고 성애에 대해 이야기할 자리를 마련할 수 있었지만 사랑의 육체적 측면보다는 정신적 측면을 먼저 강조함으로써 사랑을 고상한 것으로 표현했다. 그 이유는 당대의 독서 관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교훈적인 독법을 강조하는 조선시대 유교적 관습은 애정소설의 독법 역시 일정 정도 제한하고 있었다. 흔히 애정소설은 '음란'한 것으로 치부되면서도 교훈적인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고 생각되었는데, 이러한 이중적인 독서 태도는 애정소설을 교훈적으로 읽는 독특한 방식을 마련하게 된다. 애정 소설에 흔히 표현된 '기이'라든가 '허망함', '망연자실' 등의 감상은 애정소설에 표현된 사랑이 현실에서는 이루기 어려운 것임을 깨달을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독서 관습이 작품 속에 그대로 반영됨을 보여주고 있다. 말하자면 조선시대 애정소설은 사랑의 실패로 인한 허망함과 인생의 씁쓸함을 느끼게 해주는 특수한 '감정교육'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상징적 차원에서 제안한 것이지만 애정소설이 씌어지고 읽혀졌던 나름의 특수한 문학적 맥락을 추정해 보는 노력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ultural function and literary convention of romance in Chosŭn. There were many pieces of romance which were written by men literati; they were of noble extraction and highly educated, but most of them couldn't have a chance to go into politics. Those romances were in general consider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ir writers' class and desire. The theme of love that is pointed up in romances is, however, not able to be appropriated only by men or women, and I think that the given interpretations are resulted from somewhat a male-oriented perspective. Romances of Chosŭn offer diverse sources for past ways of loving and enable us to see lovers in years past and to shape the ways of love in their time. The way of representation for love and sexuality in a romance is fraught with several kinds of interferences of main discourse at those days. In this sense, love and sexuality of romances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appropriate historical contexts and signified to retrieve the relationship and sexual politic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when those romances were at first written by men literati, they might be high quality literature. In fact, however, they were actually marginal texts in the Confucius tradition and incorporated with other novels in many narrative aspects. Those romances had been influenced and generated by Liu-chao(六朝)'s Zhi-guai(志怪) and Tang(唐)'s Chuan-qi(傳奇), which were characterized by weird and uncanny things, but they were getting close to reality, and in turn rendered the social world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relationship. Love and sexuality represented in romances, however, isn't equivalent to the reality and we should be careful to the literary convention of romance developed in correlation with reality. In most of romances, we can see the discrimination, of the character of women's love from men's love. Love of women is a romantic love; when the spring comes and the autumn ripens, heroine of romance laments her own lot and indulges in reverie. Her love comes from the incorporation of reality and fantasy. Love of men, on the contrary, is a passionate love; hero of romance is fascinated by attraction and beauty of women, and steals into her abode to make a sexual relationship with her. However, love of men is more obscure than women's because romance is rendered not by the view of women but by the perspective of men. Love in romance, as a rule, can be said a romantic love in the sense that it makes compromise with the society in the problem of system of wedding. The resources of passionate love are concealed by metaphors accompanying clichés consisted of historical and canonical events. While this means that romances of Chosŭn have structural weaknesses and fragilities, instead, we can find through them some of the desire, the anxiety and ideal couples which people of Chosŭn had cherished. Following this axis, love stories have their own typical love scenario from beginning to end of love. When we speculate on the modes of love in romances, we can find which is received and which is rejected in romances. It is wedding and chastity of women that they receive, but it is the obligation of descending that they reject. In a patriarchal and Confucian society, love and sexuality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wedding and sexuality are directly combined. In this cultural backgroun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erotic view in the relation of men and women. Romances of Chosŭn, therefore, obliterate the cliché of 'descending' that is the introductory part in other different kinds of novels and, are able to make enough room to narrate love and sexuality. However, it is not easy to grasp the way of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sexuality in Chosŭn romances. Romances represent love and sexuality as lofty one by poem of love and in tradition of instructive reading since negative evaluat

      • KCI등재

        〈애정 모티프〉를 활용한 영웅소설의 치유 스토리텔링과 의미

        안기수(Ahn, Gee-So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이 연구는 조선조 영웅소설에서 애정 모티프를 수용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애정 치유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애정을 치유하기 위한 스토리텔링에서는 남녀주인공이 겪는 첨예한 애정갈등에 따른 고난의 양상과 성격이 다양하게 형상화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스스로 자유의사에 의한 결혼과 부모에 의한 결혼의 갈등, 그리고 신분이 높은 사람과의 강제적인 혼인과의 갈등을 해결해 가는데 영웅소설 창작에 어떻게 치유 스토리텔링이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애정 모티프는 애정소설이 가지고 있는 주요한 서사장치의 소재로서 인간의 가장 본질절인 욕구이자 흥미소이다. 그런데 이러한 애정 모티프가 애정소설에만 국한해서 수용된 것은 아니다. 영웅과 사랑이야기는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이야기이며 조선시대 영웅소설의 서사체계에도 애정갈등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영웅소설을 외형적인 서사구조로만 보면 탁월한 영웅능력을 가진 주인공의 낭만적인 영웅담에 국한해서 주목하게 된다. 창작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서사체계는 주인공이 어려서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탁월한 능력을 수학한 후 국가의 전란에 참가하여 적을 무찌르고 위기로부터 국가를 수호하여 그 공로를 인정받아 높은 벼슬에 오르게 된다. 그리고 주인공은 상승된 자신의 신분을 이용하여 혼사장애를 겪으면서 상처받은 옛 연인을 다시 만나 애정을 치유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다. 영웅소설은 이러한 애정서사의 틀을 하나의 서사원리로 일정하게 도식화하여 수많은 애정 모티프를 스토리텔링하고 있으며, 창작관습이 당시대 대중들에게 통속화된 것을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영웅소설에서 볼 수 있는 주인공의 일생과정에 형상화된 애정 모티프를 다양한 유형이나 서사패턴으로 사건을 스토리텔링하여 이것을 긴장과 이완으로 풀어가면서 작가와 독자는 물론, 당시대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애정갈등의 상처를 낭만적으로 치유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애정 모티프를 수용한 영웅소설이 보여주는 자기 서사의 글쓰기 방식이 당시대인에게 애정에 대한 유사한 상처를 공유하거나 작품을 통하여 대리체험의 치유 글쓰기와 일맥상통한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The study looked at the aspects and meanings of storytelling to heal affection in the works, targeting Joseon-era hero novels using love motifs. In particular, the storytelling to heal affection, he noted that various aspects of hardship and personality are depicted in various ways due to the sharp conflicts of affection experienced by the heroine I would like to see how healing storytelling is being use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marriage by free will and marriage by parents, and the conflict between marriage by a person of high status. In general, affection motifs are human"s most essential needs and interests as the subject of a major epic device that love fiction has. But these love motifs are not limited to romance novels. Heroes and love stories are universal stories that appear worldwide and are also featured in the epic stories of the Joseon-era hero novels. This is the story of a hero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f you look at hero novels in an ostensible narrative structure, you will only pay attention to the romantic hero stories of the main character with outstanding hero skills. The epic system of creative hero novels is recognized for its contributions by the hero"s youth to overcome all kinds of hardships and to study outstanding ability, and then to defeat the enemy and defend the nation from crisis. And the protagonist takes advantage of his elevated status to meet his ex-lover, who was hurt while suffering from a marriage disorder, again ends by healing his affection and living happily. Hero novels schematize these frameworks of love stories and tell stories of countless love motifs in a constant pattern, demonstrating the popularization of literary creation. The author is romanticizing the wounds of social affection not only of writers and readers but also of those times by telling stories about events in various types or types of epic patterns, as he embodies the love motifs embodied in the protagonist"s life-long process It was to note that the style of writing a self-written narrative that shows a hero"s story embracing a love motif is in line with the writing of healing through proxy experience or sharing similar wounds about affection to people of that time.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애정 전기소설의 흔적 찾기- 이순원의 「은비령」을 중심으로 -

        신희경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7

        본 논문은 고전 소설과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사랑 혹은 애정의 의미가 갖는 공통점에 주목하여 애정 전기소 설 분석 방법을 현대 소설 <은비령>에 적용함으로써 애정 전기 소설의 흔적이 현대 소설에 존재하는 모습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은비령>에 나타나는 애정 전기소설의 흔적을 탐색하는 본고의 연구 방법은 작 가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현대소설에 고전 소설의 흔적이 나타날 수 있음을 드러내보이고자 한다. 애정 전기 소설의 주인공이 가지는 가장 특징은 고독감이다. 사회와 불화한 고독한 인물이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는 면에서 두 사람의 사랑은 知己와의 만남이라고 한다. <은비령>에서 ‘나’의 가족 해체 경험은 현대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의 문제와 관련된다고 볼 때 ‘나’는 애정 전기소설의 고독한 인물이 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고독한 존재로서 선혜와의 만남은 고독한 존재의 만남이라는 측면 에서 애정 전기소설의 주인공들과 닮아 있다. 애정 전기 소설에서는 대화를 통해 표현하기 어려운 사랑과 감 정상태를 표현하는 매개체로 詩와 편지가 등장한다. 주인공들이 이러한 매개체를 통해 깊은 정신적 교감과 유 대감을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은비령>에서 이러한 역할은 ‘엔야’와 전화메세지가 하고 있다. 애정 전기소설의 주인공들이 만나는 공간은 현실에는 없는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고자 하는 욕구가 만들어 낸 환상으로서 욕망의 구현체이다. 때문에 은비령은 현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 환상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은비령의 환상성은 눈과 결합되어 나타난다. 현실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같은 환상적인 풍경들과 함께 인적 없는 길에 대한 서술은 은비령이 가진 비현실성을 나타내는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공간적 서술 표지 뿐 아니라 시간적 서술 표지 역시 은비령이 특수한 공간임을 말해준다. 은비령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이 되고 있다. 은비령의 시간성은 시간의 주름들이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삶을 하나의 줄기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두 사람의 정황을 환상적이면서도 비극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애정 전기소설은 인물의 사랑이 죽음이나 이별 등 비극적인 결말을 통해 현실의 질곡을 보여줌으로써 작가의 식을 드러낸다. <은비령>에서는 인간의 시간이 유한한 만큼 인간의 삶과 욕망, 인연 모두 유한한다는 것을 깨 닫고 있다. 이러한 깨달음은 광대한 공간과 시간 속으로 인간의 그것들을 흘려보내면서 그들의 사랑을 결연도 절연도 아닌 상황으로 만들었다. 전기소설에서의 비극적 결말은 인간 존재에 대한 반성적 인식의 계기가 되는 것처럼 <은비령>에서의 비극적 결말 역시 작가가 가진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과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애정 전기소설은 20세기 이전에 이미 그 장르적 특질을 소진하고 소멸하였다. 하지만 고독한 인물의 비극적 사랑과 기이한 공간에서의 비현실적 체험을 통해 현실적 삶의 가치와 인간 삶의 의미를 드러내는 <은비령>으 로 현재까지 이어지는 애정 전기 소설이 가진 보편성을 찾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races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are found in modern novels by applying the analytical method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focusing on the commonality of the meaning of lov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modern novel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main character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s a feeling of loneliness. It is said that a love between two persons is to meet with ji-gi(知己) in that an isolated person who is discordant with society meets someone who understands him (or her) to fall in love. The meeting of 'I' who experienced family dissolution with Sunhye who went through a death of husband resembles that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n that the meeting is between two lonely beings.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poem and letter play a role of a medium of love and feeling that cannot be expressed with conversation. In <Eunbiryoung>, 'Enya' and telephone messages play the same role. The space that main characters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meet is realization of desire; in other words, a fantasy that the desire for new order creates and does not exist in reality. If the reality expressed by kyuk-po in <Eunbiryoung> is fear and impossibility, Eunbiryoung is fantasy because it is a space that makes different type of exploration from that in reality possible. In addition, this fantasy combines with snow. Time in Eunbiryoung plays a role of connec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and the current life and makes the situation of two persons recognized as fantastic and tragic one. Love i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presents writer consciousness by showing a dilemma of reality through a death or farewell. In <Eunbiryoung>, there is a recognition by characters that life, desire, and relationship of human being is as finite as personal time. This recognition releases all of these human emotions into extensive time and space and makes their relationship not connected nor disconnected. Tragic end in <Eunbiryoung> also shows the reflection of and view on human being as if that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s a motivation of reflection on human being.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ceased to exist with exhaustion of its genre nature before 20th century. However,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continue until now through modern novels such as <Eunbiryoung>, which presents the value of real world and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tragic love and unrealistic experience in eccentric space of a lonely person. the novel poetics of love romance interpret and unravel the meaning of human being through love using the discourse of the Middle Ages, and its modern feature is shown in <Eunbiryoung>.

      • KCI등재후보

        ≪절화기담≫에 나타난 윤리의식과 19세기 애정소설의 변모

        류함함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건지인문학 Vol.15 No.-

        ≪折花奇談≫是以一對已婚男女相互傾慕, 繼而不斷試圖突破層層阻碍, 實現兩人肉體上的欲望和戀情這一特殊情節爲主線的朝鮮后期愛情小說。 小說將18世紀末19世紀初的漢陽設定爲了作品的時間和空間背景, 以漢陽的享樂和慶典氣분爲基調, 在這樣的都市空間里, 男女主人公以突破世俗的肉體上的欲望和戀情爲目標開始了一段愛情。 這樣的愛情故事給朝鮮后期的韓國古典愛情小說帶來了新的面貌。 這可以說是18世紀末19世紀初漢陽在時間、 空間上的變化帶給當時人們重新認識自我、 重新思考愛情的一次机會。本論文將以19世紀初創作的小說《折花奇談》爲具體的硏究對象, 在充分考慮朝鮮后期的漢陽這一時、 空間背景的前提下, 着重考察小說中體現的倫理意識幷對其意義進行分析。 幷在此基礎上, 通過對作品情節構造、 矛盾的展開、 人物身分及性格的變化等內容的分析, 探討作品中體現的19世紀初朝鮮后期韓國愛情小說的新面貌。 本文將以文學倫理學批評爲主要硏究方法, 從作品的倫理意識和倫理特征着手進行硏究。 學界關于《折花奇談》的硏究已經取得了흔多成果, 本文將把作品置于時間和空間背景之中, 通過理解該時代的倫理道德和作品內在的倫理意識來更加深入地了解作品本身。

      • KCI등재

        「침생전(沈生傳)」의 애정(愛情) 전기소설(傳奇小說)의 계승과 변모 양상

        서보현 ( Seo¸ Bo-hyeon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본고는 18세기에 창작된 <심생전>이 애정 전기소설의 장르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변모한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애정 전기류 소설은 장르의 폐쇄적 성격으로 인해 전통 애정 전기에서 변이된 형태를 띠는 <절화기담>이나 <포의교집>과 같은 19세기의 작품들이 애정 전기소설로 분류하는 것이 온당한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심생전>은 애정 전기소설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7세기에 이어 18세기에 창작되었다. 그런데 <심생전>이 다층적 양상을 띠는 작품이기도 하거니와 전기 소설적 요소를 가지는 동시에 전기소설의 완정한 형태는 벗어나고 있어 애정 전기소설인지, 애정 소설인지 명확히 규정하는 것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다. 이에 본고는 <심생전>에 나타난 전기적 요소를 포착하여 전성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의 전통을 계승하고 변모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8세기 애정전기소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17세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이 기이성을 상실했음에도 전기소설로 볼 수 있는 근거를 작품에 형상화된 사건이 현실적이지 않고 환상적이라는 것에서 찾았다. <심생전>의 두 주인공은 신분적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현실적 장애가 비극적 결말을 초래하고 있다. 경화사족인 심생과 중인가의 딸인 처녀가 사랑을 이루기에는 사회적인 편견과 규범이 그들을 가로막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물들의 처지가 현실적으로 이루어내기 힘든 욕망과 충돌하면서 환상성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옥이 <심생전>이 애정 전기 장르의 전통을 변모한 양상을 모색하였다. <심생전>은 인귀 결합의 형태는 사라지고 산 사람간의 결연을 그림으로써 17세기 애정 전기 작품들의 변화 양상을 수용하였다. 특히 첫 만남 장면에서 초기 애정 전기 작품들에 나타난 우연적이고 기이한 만남을 사실적이고 현실적이게 느껴지도록 표현하여 기이성이 현실적으로 변화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삽입시는 남녀의 결연을 이끌어내는 주요한 서사적 장치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심생전>에는 분위기를 비현실적으로 이끌며 수사적 과장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삽입시는 탈락되고 산문적이고 사실적인 표현들이 주를 이룬다. 또, 감정 전달의 기능을 담당했던 삽입시 대신, 작품의 결말부의 처녀가 심생에게 보낸 편지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초기의 애정 전기에서 초월적 존재인 여주인공보다 고독한 인간 남주인공의 내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에 반해 <심생전>은 남주인공보다 낮은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도전적인 면모를 보이는 처녀의 내면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논찬부에서 사사로운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과거 공부에 임할 것을 전달하는 스승의 메시지가 작품 전반이 전달하고 있던 두 주인공의 숭고한 사랑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점에 주목할 때, 역설적이게도 처녀의 처지에 다시 한 번 주목하게 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심생전>은 애정 전기 소설의 전성기라 불릴 수 있는 17세기를 지나 기이성을 탈피하고 사회상을 현실적으로 담아내면서, 애정 전기가 근대 문학으로 나아가게 하는 가교적 역할을 한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how < Sim-Saeng-Jeon > created in the 18th century maintain and transform the genre tradition of Romantic Jeongi Novel. The closed nature of the genre of Romantic Jeongi Novel has led to a debate ov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19th century works such as < Julwhagidam > and < Poeuikyozip >, which have been mutated from traditional Jeongi Novel is classified as Romantic Jeongi Novel. < Sim-Saeng-Jeon >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following the 17th century, which is the heyday of love biographical novels. There remains room for controversy over clearly defining whether it is a Romantic Jeongi Novel or a Romantic Novel, since < Sim-Saeng-Jeon > is a multi-layered work with Jeongi Novel elements, and simultaneously is deviating from the complete form of Jeongi Novel.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18th century Romantic Jeongi Novel by examining both how Jeongi Novel has changed after its heyday and its driver through the electrical elements shown in < Sim-Saeng-Jeon >. To begin with, even though Romantic Jeongi Novel has lost its peculiarity since the 17th century, it that found that the events depicted in the works are not realistic but fantastic.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status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in < Sim-Saeng-Jeon > lead to tragic consequences. Social prejudice or norms block Kyung Hwa Sa Jok Sim-Saeng and Middle Class Intellectuals female protagonist to make love, and these characters' situations collided with desires that were difficult to realistically achieve, forming a fantasy. Next, The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that the social aspect of the time when Ok-Lee Lee created < Sim-Saeng-Jeon > impacted on the romantic Jeongi novel genre. < Sim-Saeng-Jeon > accepts the changing aspect of the 17th century novel that expresses the encounter of living people, eliminating the form of human and ghost meeting. In particular, in the first meeting scene, readers can see the form of change that expresses the accidental encounters in early romantic Jeongi novels to make them feel realistic. What the Romantic Jeongi Novel has in common is the achievement of love and the encounter between two genders. Especially, insertion poem is a major narrative element that lea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prose and realistic expressions are mainly used in < Sim-Saeng-Jeon > without the insertion poem, which leads the atmosphere unrealistically and acts as a rhetorical exaggeration. In the early Romantic Jeongi Novel, the focus was on the inside of the lonely male protagonist rather than the transcendental female protagonist. On the other hand, < Sim-Saeng-Jeon > focuses on the inside of a female protagonist who shows a challenging aspect despite her status lower than the male protagonist. In particular, when noting that the teacher's message that conveys what the will devote to national examination without being swung over by private feelings in the Nonchan part does not match the sublime love of the two protagonists conveyed in the whole work, ironically, once again in the situation of female protagonist. You can see the effect that attracts attention. Furthermore, < Sim-Saeng-Jeon > can be said to be work that played a bridging role in allowing the Romantic Jeongi Novel to modern literaure, while escaping from the peculiarity and caputred the social image realistically.

      • KCI등재

        손창섭의 단편 애정 세태소설 속 결혼 모티프와 인물 연구-「애정의 진리」, 「애정무효」, 「잊을 수 없는 과거」를 중심으로-

        강유진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6

        최근 발굴된 「애정의 진리」, 「애정무효」, 「잊을 수 없는 과거」와 같은 일련의 단편 애정 세태소설들은 손창섭의 초기소설과 후기소설의 전환이 비교적 점진적으로 나타났으며, 단편에서 장편으로의 전면적인 형식적 전환이 나타나기에 앞서 후기소설의 주제적 특성이 이미 암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이자 단서이다. 이 세 소설의 가치와 의미는 개별 작품론을 넘어서 손창섭 작가론의 측면에서 다루어졌을 때 보다 명확히 드러낼 수 있다. 이처럼 손창섭의 소설 「애정의 진리」, 「애정무효」, 「잊을 수 없는 과거」는 개별 작품의 분석과 연구의 필요성 외에도 손창섭 소설의 변모 양상을 밝히기 위해 함께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연구적 관심을 바탕으로 「애정의 진리」, 「애정무효」, 「잊을 수 없는 과거」의 인물 설정과 주요 모티프에 나타나는 유사성과 차이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손창섭 후기소설의 계보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애정의 진리」, 「애정무효」, 「잊을 수 없는 과거」는 손창섭의 소설 경향이 신문연재소설로 변화되는 시점에 발표된 단편소설들로서 손창섭의 후기소설의 주요 인물 설정, 모티프, 주제 의식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후기소설을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 소설들을 발표한 이후 손창섭은 후기소설에서 지속적으로 가부장제 시스템에 대한 비판과 해체를 제안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애정 세태소설에 매진한다. 그는 일련의 애정 세태소설들을 통해 사회체계로서의 가부장제를 거부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 나갔다.

      • KCI등재

        『오옥기담(五玉奇談)』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규정과 20세기 초 애정전기소설사의 향방

        권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paper intended to investigate that the love romance was continu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accordance with the epochal change of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now, the early 20th century’s love romance hasn’t be studied.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love romance was ended in the 18⋅19th, til recently. This study realized the aim of this paper through the narrative chang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largely classified 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at O-ok-ki-dam is not the new-style novel of the retro theme and the old-fashioned style or the edited version of the five enlightening-korean short classical novel, but the results of the love romance history’s subjective change to intend to narratively agree with the early 20th century’s epochal issue, in the stylistic tradition of the love romance. The second part is that the love romance history still carried the flow to agree with the literary calling of fictional concordanc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since the 18⋅19th. 본 연구는 선행연구사에서 18⋅9세기까지 지속된 역사적 양식으로 논의되어온 애정전기소설이 20세기 초엽의 시대사적 변화에 조응하는 가운데 지속되었다는 사실을 서사적 전변과 시대의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오옥기담 소재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가 단순한 복고적 주제와 구투의 문체로 된 신소설 혹은 다섯 편의 계몽적 단편국문고소설을 묶은 편집본이 아니라 애정전기소설의 양식적 전통 속에서 개화기라는 20세기 초엽의 국가적 이슈에 서사적으로 대응해나가고자 한 애정전기소설사의 주체적인 전변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애정전기소설사가 18⋅9세기 이후에도 시대적 변화에 대한 허구적인 응전이라는 문학적 소명에 부응하고자 하는 흐름을 여전히 이어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향에서 실현되었다. 첫 번째는 오옥기담 소재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규정이다.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가 애정전기소설의 보편적인 양식에 부합하는 작품이면서도 이전 시기 애정전기소설 텍스트들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수성을 구현한 독창적인 작품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의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특수성이 지니는 애정전기소설 통시사적인 의미를 규명하였다. 두 번째는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 텍스트에서 도출해낸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미학의 전변 국면이 지니는 시대사적 의의이다. 『오옥기담』 소재 다섯 편의 텍스트들에서 도출한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전변 국면이 20세기 초엽의 변화된 시대의식 및 환경세계와의 조응을 통해 이루어진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즉, 『오옥기담』 이 <금잠가연>⋅<변씨열행>⋅<선분기담>⋅<취란방기>⋅<청루의녀>라는 다섯 편의 텍스트를 특별히 선택하여 편집한 데에는 편집자의 특별한 편집의도가 내재해 있다고 할 수 있는 바, 『오옥기담』 편집자의 편집의도를 20세기 초엽의 시대의식 및 시대배경 속에서 규명해낼 수 있었다.

      • KCI등재

        딥러닝을 활용한 경판 방각본 소설의 유형 고찰 -영웅소설과 애정소설 유형을 중심으로-

        강우규 ( Kang Woo-kyu ),김바로 ( Kim Ba-ro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경판 방각본 소설 중 영웅소설과 애정소설로 파악되는 작품들의 유형성을 분석하였다. <조웅전>, <소대성전>, <임장군전>의 영웅소설과 <숙향전>, <숙영낭자전>의 애정소설을 토대로 영웅소설과 애정소설을 분류하는 딥러닝 유형 학습 모델을 구축했다. 이를 토대로, 영웅소설로 분류되는 <금방울전>, <장백전>, <장풍운전>, <정수정전>, <현수문전>, <황운전> 6작품과 애정소설로 분류되는 <백학선전>, <쌍주기연>, <양산백전>, <옥주호연> 4작품의 유형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애정소설과 영웅소설 사이에서 이견이 존재했던 <백학선전>, <쌍주기연>, <양산백전> 등은 애정소설로 파악되었고, 영웅소설로 분류되던 <금방울전>, <장백전>, <장풍운전>, <현수문전> 등도 애정소설로 파악되었다. 영웅소설로 분류되던 <정수정전>, <황운전> 그리고 애정소설로 분류되던 <옥주호연>만이 영웅소설로 파악되었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여성영웅소설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체적으로 <조웅전>, <소대성전> 등의 일반적인 영웅소설과 <정수정전>, <황운전> 등 여성영웅소설이 유형성을 공유하고 있고, <장백전>, <현수문전> 등 왕조교체형이라고 불리는 영웅소설이 이들과는 상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ology of works identified as hero novels and romantic nov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First, we built a deep learning type learning model based on hero novels such as Jowoongjeon, Sodaesungjeon, and Imjanggunjeon, and romantic novels such as Sukhyangjeon and Sookyoungnangjajeon. Through this, we verified six works of hero novels(Geumbanguljeon, Jangbaekjeon, Jangpungunjeon, Jungsujeongjeon, Hyunsumunjeon, and Hwangunjeon) and four works of romantic novels(Baekhaksunjeun, Ssangjugiyeon, YangsanBaekjeon, and Okjuhoyeon). As a result, Baekhaksunjeun, Ssangjugiyeon, and YangsanBaekjeon, which had a difference opinion between romantic novels and hero novels, were identified as romantic novels. Geumbanguljeon, Jangbaekjeon, Jangpungunjeon, and Hyunsumunjeon were also identified as romantic novels. Only Jungsujeongjeon, Hwangunjeon and Okjuhoyeon were classified as hero novels, all of which were female hero novels. In other words, the general hero novel and female hero novels such as Jungsujeongjeon, Hwangunjeon share the stylistic tangibility. Novels, such as Jangbaekjeon and Hyunsumunjeon, which feature heroes who cause the downfall of a dynasty, have different stylistic features.

      • KCI등재

        북한과 중국 농업집단화 소설의 애정서사 비교 연구―천세봉의『석개울의 새봄』과 호연의 『맑은 하늘』을 중심으로

        이호옥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8 No.2

        북한과 중국은 사회주의 이념에 따라 낡은 소농경제 형태에 대한 사회주의적 개조의 일환으로 농촌에서 모두 농업 집단화를 실행하였다. 이러한 농업 집단화는 양국의 경제발전에 소중한 경험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학창작의 중요한 소재로 되어 문화영역을 풍부히 하였다. 그중 천세봉의 『석개울의 새봄』과 호연의 『맑은 하늘』은 양국 문학계에서 전범으로 인정받는 농업 집단화 과정을 그린 대표적인 장편 소설로서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이 "농업 집단화"라는 내용적은 측면에 우선적인 관심을 둔 비평이 많으며 애정서사의 측면으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에서는 두 소설 속의 애정서사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농업 집단화 소설의 애정문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음을 볼 때 이러한 접근이 새로운 시각에서의 연구가 될 수 있다. 사실 두 소설은 당의 문예정책에 호응하는 농업 집단화 제재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남녀 간의 애정에 농후한 관심을 가진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애정서사는 내용상 사회주의서사인 텍스트의 중심적인 전략에 비해 주변적이고 삽입적인 인상을 주는 까닭에 중요한 서사적 기능을 감당함에도 불구하고 연구에서 배제되거나 중시를 받지 못하고 있다. 농업 집단화를 다룬 전경화 된 플롯에 숨겨진 애정서사의 전개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이데올로기적 서사전략을 파악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北韓和中國根据社會主義理念,作爲對農村小農經濟的社會主義改造,都實行了農業集體化運動。農業集體化運動不僅對兩國的經濟發展提供了寶貴的經驗,還爲文學創作提供了重要素材,풍富了文化領域,在兩國文學史上有着非常重要的意義。其中千世峰的《石溪邑的新春》和浩然的《艶陽天》,分別是北韓和中國兩國農業集體化小說的代表作品之一,對타們的硏究也흔活躍,但大多是從政治意識形態的角度出發,硏究作品즘樣充分反映黨的路線和政策爲主,而這類硏究存在過于注重政治層面的弊端。其實這兩篇小說雖然是依照主流意識形態寫作的宏大社會主義서事,但其中對男女之間的愛情給予了濃厚的關心。而宏大農業集體化서事中的這種愛情揷曲與總體서事相比顯得微不足道,所以一直以來不能受到重視。本文探索和比較了北韓和中國農業業集體化宏大社會主義事中所隱藏的愛情서事, 力圖爲兩國農業集團化小說的闡釋和分析提供一個較爲新的視角,重新審視農業集體化小說。

      • KCI등재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애정 의지 유형과 그 의미

        김서윤 ( Kim Suh-yoon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조선시대 애정전기소설의 특징 중 하나는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결연 상대를 선택하며, 신분 차이나 문벌 차이에 따른 역경에 굴하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상대와 애정 관계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여성의 주체적 태도는 사회 제도나 관습의 질곡에 대항하여 개인의 자유와 존엄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은 자칫 애정을 개인적인 감정으로만 이해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실상 애정이란 그 자체가 현실의 산물이며, 사회 제도나 관습의 영향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애정과 현실의 관계를 곧 개인과 사회 간의 대립 관계로 파악하는 것은 인물이 추구하는 애정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애정 그 자체가 이미 그것을 추구하는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의 질곡을 반영한 결과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개인의 애정과 사회 현실을 갈등 관계로만 보는 시각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애정전기소설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인물들의 현실적 처지와 관련하여 그들이 추구하는 애정의 성격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애정전기소설에서 여성의 주체적인 애정 의지는 각자의 신분과 사회적 처지에 따라 지향하는 바가 서로 다르며, 그들의 애정 욕구는 각자의 처지와 그에 따른 삶의 문제를 반영한 결과물임을 논의하였다. In romantic jeongisoseol[傳奇小說] of Joseon dynasty, women characters select their partners themselves. Not submitting to any difficulty, even to death, the women characters have been thought of as symbols of subjectivity protecting human dignity and liberty against social restrictions such as institution and custom. But affec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only individual and instinctive affair, because affection itself is not free from influence of social institution and custom. We need to consider that affection and social environment is not opposed to each other. In romantic jeongisoseol, women’s will for affection aims at different objects according to their surroundings. They are attracted by different traits of men and pursue different kinds of relationship with partners. Whereas Woonyoung and Baedo who feel more deficiency of stability are attached to stable relationship itself, Choi and Okyoun focuses more on ideal married lives with sufficient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It implies that women’s needs for affection reflect their own circumstances and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