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실버소외계층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UX 프레임워크 서비스디자인 연구

        이재익(Lee, Jae l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최근,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확보로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쉬운 접근을 통해 참여와 공유의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편의성 확대와 행복감을 증진하고, 시니어세대에게 더욱 풍성하고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스마트콘텐츠 UX(User Experience)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세대 특히, (신)실버소외계층을 위한 융복합 맞춤형 스마트 콘텐츠 UX 프레임워크 서비스디자인 제안을 통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 접근에 있어 편의성 증대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 세대, (신)실버소외계층의 신체기능, 감각과 감성, 특성, 스마트콘텐츠의 활용실태, 라이프스타일, 사용방식, 행동방식 및 행태, 스마트콘텐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행한다. 둘째, 연구의 구체화 및 향후 적용을 위하여 시니어 세대의 색 속성 변화에 따른 색채지각 반응과 스마트콘텐츠 구조 및 조작과정, 카테고리 구성요소와 UX, 스마트콘텐츠의 기본 색채를 분석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신)실버소외계층을 위한 스마트콘텐츠 UX 프레임워크를 연구하기 위한 건강(심리) 기능성 시범콘텐츠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세대의 스마트폰 주 사용 기능은 50% 이상이 SNS와 단순 정보검색에 편중되어 있어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이 시니어 세대의 신체 및 감성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그 접근성은 절대적으로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시니어세대의 신체특성 및 색채지각 반응을 분석한 결과, 시각 노화 및 눈부심에 대한 민감도, 청각 노화 등의 인지능력은 급격히 떨어지나 적절한 난색계열의 밝은 색채의 적용은 우울증을 감소시키거나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니어 세대를 위한 스마트콘텐츠 UX 분석결과, 콘텐츠 구조와 조작과정은 기존의 인터렉티브 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것이 예상되며 또 콘텐츠 카테고리 구성요소와 기본색채 UX는 시니어 세대의 신체감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구성요소와 방식의 개발, 중채도의 포인트 칼라와 난색 계열의 바탕색과 아이콘 색의 명확한 명도, 채도 대비 등의 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니어 세대용 스마트 콘텐츠 UX 프레임워크 구조 및 색채를 기본으로 한 건강(심리) 기능성 시범콘텐츠를 제안하였으며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즉, 프레임워크 구조 및 색채는 모바일 및 다양한 정보단말에 적합하고, 실제디자인된 UX를 적용하기 위한 저작환경 SDK(Software Development Kit) 개발, 라이브러리 연동 등의 모듈 구성, 선호색상, 선호배색 등의 색상지표의 개발 및 디자인 적용 시 가시성과 일관성 등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제안된 건강(심리) 기능성 시범콘텐츠는 향후, 바이오 피드백기술 등을 활용하여 시니어 세대를 위한 차세대 맞춤형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의 건강(심리) 기능성 콘텐츠 개발로 더욱 더 진화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diverse cultural contents enabled easy access via smart device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haring and participation and, thereby, improving quality of life. It is also urgently needed to develop an UX framework for customized smart contents in order to provide more diverse contents to senior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rvice design of an UX framework for customized smart contents targeting the (new) silver isolated generation and improve convenience in access to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physical function, senses and emotion, characteristics, use of smart contents, lifestyle, use method, behaviors and manners, and smart contents environment of senior generation,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Second, to specify and apply the research in the future, an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color perception responses according to change of color properties of senior generation, smart content structure and manipulation process, category components and UX and basic colors of smart contents.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 service design for health (psychology) pilot contents was proposed, in order to research the smart content UX framework for the (new) silver isolated generation.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over 50% of use of smartphones by the senior generation was concentrated on social network and simple information search. This suggests that most applications do not take into account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enior generation and, therefore, are not accessible to them. Also, analysis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lor perception responses of senior generation showed that their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vision, sensitivity to glare, and hearing have rapidly deteriorated, but appropriate use of warm and bright colors helped reduced depression and promote positive emotions. Second, analysis of smart content UX for senior generation showed that the content structures and manipulation methods are likely to change so that they are changeable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unlike in conventional interactive methods. Also, the content category components and basic color UX will need to take into accoun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nior generation and be designed by using accent colors of medium saturation, warm background colors, and icons with clear brightness, saturation, and contrast.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 health (psychology) pilot content designed by using the UX framework structure and colors for smart contents targeting senior generation was proposed. The framework structure and colors must be suitable for various mobile and information devices; authoring SDK must be developed in order to apply the designed UX; modules for library interlocking, etc. must be built; an index of colors and color schemes preferred by senior generation must be developed; and, visibility and consistency must be maintained when applying the design to the contents. Also, the proposed health (psychology) pilot content must be further developed as a next-generation customizable content for smart devices by using biofeedback technology, etc.

      • KCI등재
      • KCI등재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기반의 앱 콘텐츠 UX/UI 연구

        이보경(Lee, Bo Kyung),김성훈(Kim, Sung H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스마트시대와 함께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스마트한 노년기를 보내는 것이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액티브시니어라고 불리는 노년층들은 더 나은 노년기를 위해 건강관리에 집중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건강을 좀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기반의 앱 콘텐츠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스마트 헬스케어 앱 콘텐츠보다 액티브시니어가 더 효율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앱 콘텐츠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범위는 스마트 앱 콘텐츠의 발전현황과 스마트 헬스케어 앱 콘텐츠, 액티브시니어에 대해서 검토해보고, 액티브시니어가 스마트 헬스케어 앱 콘텐츠를 사용함에 있어서 유형을 분류하고, 선행연구의 요소 중에서 인터랙션과 GUI 모듈을 설정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액티브시니어가 스마트 헬스케어 앱 콘텐츠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으로 진행되어졌다. 연구결과, 액티브시니어가 스마트 헬스케어기반의 앱 콘텐츠를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복잡하지 않아야 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스마트 헬스케어 앱 콘텐츠를 기반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앱의 콘텐츠 개발에 있어 앱 콘텐츠 구성요소들을 액티브시니어가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터치 제스처 인터랙션을 통한 조작과 효율적인 GUI 구성을 통한 직관성 등의 세부 분석 항목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임이 본 연구의 결과로서 예측되었다. As the smart era emerges and the aging population grows while the aging becomes faster, people are getting increasingly interested in smart aging. In particular, those who are called active seniors focus on healthcare to make their late years better. Such changes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healthcare based application contents for application users so that they can manage their health in a more convenient way. Thus, this study explored application contents for active seniors to use them in a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way than existing smart healthcare ones. The study was intended to review the development status of smart application contents together with smart healthcare application contents and classify patterns in which active seniors use smart healthcare application contents regarding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Case study was carried out by setting up modules with respect to the elements such as interaction and GUI which would make active seniors use healthcare based application contents effectively. Then, factors that are likely to make smart healthcare application contents difficult for active seniors to use them were identified. The result indicated that healthcare based application contents should be efficient and simple to ensure active seniors easy access to such contents. The result also suggested that components of the application contents based on the existing smart healthcare ones should have more detailed items with operation by touch gesture interactions and intuition by efficient GUI structures while developing smart healthcare application contents so that active seniors can use them in an easy and convenient way.

      • KCI등재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 GUI 연구

        정성인,이재익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4 No.-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삶은 더욱 편리하고 윤택하게 변화하고 있다. IT 기술 발달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 스들이 대중들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 간 인터넷·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접어들게 되 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와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App) 서비스로 인해 인간의 주거생활은 더욱 편리해지고 있지만, 실제로 주택 주거시간이 많은 액티브시니어세대에게 있어 스마트홈 App 사용은 빈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시니어세대의 편리하고 윤택한 주거생활을 위한 스마트홈 App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국내에 서비 스 중인 이용자수가 많은 스마트홈 App을 다섯개 선정하고 선정된 스마트홈 App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조사· 분석 하였다. 스마트홈 App의 조사·분석 결과 스마트홈 App의 GUI 측면에서 액티브시니어세대가 사용하기에 다소 미흡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최종적으로 액티브시니어세대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스마 트홈 App GUI를 제안 하였다. 본 연구 제안을 통해 액티브시니어세대의 스마트홈 App 활용성 증대로 인한 삶의 질 향상 이 기대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life has become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The development of IT led to people's use of diverse smart devices. The internet based network system of smart devices triggered the emergence of IoT era. With increases in smartphone users and smartphone application (App) services, residential life of people have become more convenient.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with a lot of residence time in housing didn't use smarthome App ofte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smarthome App promotion plan for convenient and comfortable residential life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This study chose domestic five kinds of apartment smarthome App for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and surveyed and analyzed their Graphic User Interface. As the result, they somewhat lacked layout, menu, icons, and colors in terms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u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easy-to-access and easy-to-use smarthome App GUI by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GUI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active senior generation's usability of smarthome App and thereby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스마트폰 색채에 따른 시니어의 가독 특성

        이윤진(Younjin Lee),성지현(JiHyun Sung),민혜성(HyeSeong Min),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최근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니어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특히,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사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시니어 세대는 시지각적 측면에서 색채의 인식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화면의 색채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을 알아보고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화면의 배경색과 글자색의 조합에 따른 가독성을 평가하여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이 반영된 스마트 콘텐츠용 색채 가이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니어군 50명과 일반군 15명이 스마트폰에 제시되는 98개의 가독성 평가용 화면을 < 잘안보인다 ? 보인다 ? 잘보인다 >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가독성은 배경색과 글자색 간의 명도차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을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작은 명도차에서도 가독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차가 커질수록 두 집단 모두 가독성은 증가하지만 시니어군은 일반군에 비해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이 작은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색과의 조합에 따른 글자색의 가독성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높은 가독성을 나타냈으며, W색상 배경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인 우위의 경향을 보인 반면, Bk색상 배경에서는 W색상일 때 보다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시니어군의 경우 밝은 배경의 어두운 글자 조합보다 어두운 배경의 밝은 글자 조합의 경우가 가독에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가 작은 경우,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일반군에 비해 높다는 특이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시니어군에게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가독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increasement of senior population, the senior market is expanding in scale and in particular, senior targeted smartphone penetration and usage has upsurged. In comparison, for the senior generation in terms of perceptual, the range of colors reduces and therefore, study for color on senior targerted smartphone screen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visual attributes and the senior targeting smartphone scr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color combination effecting the readability is evaluated to be reflected for color guide basis material.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are as follows; Nintyeight smartphone screens were shown to the senior group of 50 people and general group of 15 people for readability assessment using a rating scale of <not seen well ? seen ? well seen>. In result, readability was found to have relationship with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Comparison of the color combin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readability,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scores for lower brightness difference than the senior group. Also, with higher brightness difference, although both groups showed increase of the readability, the senior group showed smaller increase than the general group. Secondly, comparing the readability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ext color,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senior group in general, for W background the general group showed tends to lead while senior showed higher readability for Bk than W background. Therefore, for the senior group, a combination of a dark background with bright letters had better readability than a bright background with darker letter combination. In addition, R color letters that has small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the senior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general group.

      • KCI등재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 GUI 연구

        정성인 ( Seong In Jeong ),이재익 ( Jae Ik Le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4 No.-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삶은 더욱 편리하고 윤택하게 변화하고 있다. IT 기술 발달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이 대중들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 간 인터넷·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와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App) 서비스로 인해 인간의 주거생활은 더욱 편리해지고 있지만, 실제로 주택 주거시간이 많은 액티브시니어세대에게 있어 스마트홈 App 사용은 빈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시니어세대의 편리하고 윤택한 주거생활을 위한 스마트홈 App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국내에 서비스 중인 이용자수가 많은 스마트홈 App을 다섯개 선정하고 선정된 스마트홈 App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조사·분석 하였다. 스마트홈 App의 조사·분석 결과 스마트홈 App의 GUI 측면에서 액티브시니어세대가 사용하기에 다소 미흡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최종적으로 액티브시니어세대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홈 App GUI를 제안 하였다. 본 연구 제안을 통해 액티브시니어세대의 스마트홈 App 활용성 증대로 인한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life has become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The development of IT led to people`s use of diverse smart devices. The internet based network system of smart devices triggered the emergence of IoT era. With increases in smartphone users and smartphone application (App) services, residential life of people have become more convenient.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with a lot of residence time in housing didn`t use smarthome App ofte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smarthome App promotion plan for convenient and comfortable residential life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This study chose domestic five kinds of apartment smarthome App for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and surveyed and analyzed their Graphic User Interface. As the result, they somewhat lacked layout, menu, icons, and colors in terms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u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easy-to-access and easy-to-use smarthome App GUI by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GUI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active senior generation`s usability of smarthome App and thereby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한 활동 프로파일 기반의 스마트 시니어 분류 모델 개발

        윤유동,양영욱,지혜성,임희석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 및 웹 서비스의 도입으로 온라인 사용자들은 대규모의 콘텐츠를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대규모의 콘텐츠 사이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 모델링 및 추천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그러나 정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니어 계층의 적극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시니어 계층에 초점을 맞춘 사용자 모델링 및 추천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계 학습 방법을 기반으로 스마트 시니어 계층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고, 스마트 시니어 분류 모델을 개발 한다. 이 결과, 스마트 시니어 계층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시니어 분류 모델 개발을 통해 시니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활동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 연구에 대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With the recent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introduction of web services, online users can access large-scale content regardless of time or place. However, users have had trouble finding the content they wanted among large-scale content. To solve this problem, user modeling and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However, in spite of active changes in senior group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nformation environment, research on user modeling and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focused on senior groups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modeling smart senior based on their preference, and further develop a smart senior classifica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As a result, we can not only grasp the preferences of smart seniors, but also develop a smart senior classification model, which is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f a recommendation system which will provide the activities and contents most suitable for senior groups.

      • KCI등재

        은퇴 시니어의 일자리를 위한 도심형 업사이클링 스마트팜 플랫폼 서비스 시나리오 제안

        윤선하,이가영,구유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As the aging phenomenon accelerated, social interest in life after retirement increased. and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in retirement, such as various efforts for seniors an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elderly. However, many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jobs after senior retirement. In preparation and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senior population as it enters an aging society, it is urgent to improve post-retirement job policies for seniors. The need for self-directed job policies and psychological care for retired seniors to stand on their own feet is remarkable. Methods : In this study, proceeded to conducted the aging society, social problems caused by elderly’ exit from the labor market, and the status of the smart farm industry through previous literature studies.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social problems after retirement of elderly and to derive solutions, a service scenario implemented to identify and improve problems centered on the 4-step Double Diamond Process of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ervice scenario considering the congnitive and physical abilities of seniors was recognized and a UX platform centered on senior users was developed. 1)A dashboard service that allows self-management of work schedules using voice guidance. 2)The smart farm vertical rail controller device that allows seniors to easily adjust the smart farm rail position and reduces senior labor intensity. 3)As a work satisfaction feedback system, a system that proposes continuous management and suitable work posi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eniors was produced. Conclusions : Not only smart farm companies but also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ctively reflected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 service scenario through verification. In addition, the existing employment system for senior citizen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has a problem that it is only isolated case and does not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roblem are solves through the UX platform, which is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physical ability of retired seniors,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retired seniors is activated. And, a service scenario that can be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mmunity-based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s was proposed. 연구배경 : 고령화 현상 가속화에 따라 은퇴 후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여 시니어를 위한 여러 노력과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나 우울 등을 은퇴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니어의 은퇴 후 사회적 참여와 일자리를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고령사회로 진입하여 경제활동 인구는 급속히 줄고 시니어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에 대비해 시니어를 위한 은퇴 후 일자리 정책 개선이 시급한 현실이다. 은퇴 시니어가 자립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일자리 정책 제공과 심리적 케어의 필요성이 두드러진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 시니어의 노동시장 퇴출로 인한 사회적 문제, 스마트팜 산업 현황에 대한 파악을 진행하였다. 시니어의 은퇴 후 사회적 문제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의 4단계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Double Diamond Process) 중심으로 문제점 도출 개선하는 서비스 제안을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방법 분석결과 시니어의 인지, 신체적 능력을 고려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스마트팜 업무 시스템 UX플랫폼 중점으로 프로토타이핑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1) 음성 안내를 통한 업무 일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 기능. 2) 시니어의 노동 강도를 줄인 스마트팜 수직 레일 제어 컨트롤러 장치. 3) 업무 만족도 평가 시스템으로 지속적 관리와 시니어 개인의 특성에 맞는 업무를 제안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결론 : 스마트팜과 농촌진흥청,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부 공공기관의 검증을 통해 서비스의 실무적 개선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기존의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시니어 일자리 고용 시스템은 단발적이고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은퇴 시니어의 신체능력을 고려한 사후관리가 되는 UX 플랫폼을 통해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 은퇴 시니어의 사회적 참여를 활성화한다. 그리하여, 커뮤니티 기반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시니어의 스포츠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인식 연구: 유튜브를 중심으로

        권구명 ( Kwon Goo-myeu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6

        연구목적: 이 연구는 스마트시니어라고 칭하는 장년층을 중심으로 스마트시니어의 스포츠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장년층 총 279명을 편의표집법으로 표집하였다. 그리고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coding)시키고, jamovi 1.2.27 Version과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마트시니어의 유튜브 콘텐츠 특성과 유튜버 특성이 유튜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시니어의 유튜브 콘텐츠 특성과 유튜버 특성이 유튜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시니어의 유튜브 몰입도가 유튜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시니어에게 스포츠 미디어 콘텐츠는 신뢰와 더불어 재미와 정보제공을 하며, 다양성이 부합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smart seniors on sport media contents, focusing on elderly people called smart seniors. Methods: The number of the surveyed for this study was 279 who participated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itself was conducted by using jamovi 1.2.27 program and SPSS 21.0 program;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Conclu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YouTuber is partially influences by the YouTube flow of smart senior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YouTuber is partially influences the YouTub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Third, the YouTube flow is partially influences the YouTub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Therefore, For smart seniors, sports media content provides fun and information along with trust, and provides content that matches diversity.

      • KCI등재

        조선시대 동래정씨 출토 배자를 아이템으로 한 뉴시니어 낙상방지 스마트웨어 디자인 개발

        김신혜,김은정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3 No.-

        본 연구는 뉴시니어 세대를 위하여 조선시대 배자의 특징을 적용한 뉴시니어 세대의 신체적 기능 향상을 위한 스마트웨어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중기 동래정씨 출토 배자를 디자인 아이템으로 활용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3D CLO Virtual Fashion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마트의류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조선시대 배자는 저고리나 포 위에 겹쳐 입는 복식으로 구성법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조선시대 배자 중에 낙상 감지 에어백 벨트 내장을 위한 디자인 아이템으로 동래정씨 출토 배자를 선정하였다. 동래정씨 출토 배자의 형태적 특징을 적용한 스마트웨어 디자인은 전통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차분하고 멋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끈으로 여미는 전통 방식 대신 시니어가 쉽고 빠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지퍼를 달아 실용적으로 디자인하였다. 배자의 밑단에는 낙상 감지 에어백 벨트를 내장하여 착용자의 미끄러짐이나 낙상을 감지 및 판별하여 에어백을 스스로 작동시키는 스마트웨어 디자인으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스마트웨어 디자인은 시니어의 일상생활이나 겨울철 눈길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낙상 감지 스마트벨트는 시니어가 단독으로 착용하기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전통 배자에 내장하여 사용한다면 기기에 대한 낯설음이나 사용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martwear design for the new senior generation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new senior generatio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Dynasty baeja. The baeja excavated from Dongnae Jeong Clan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as used as a design item, and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review and smart clothing design using the 3D CLO Virtual Fashion program. Baeja of the Joseon Dynasty is a costume worn over a Jeogori or Po, and it appears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purpose. Among these Joseon Dynasty baeja, a baeja excavated from Dongnae Jeong Clan was selected as a design item for the interior of a fall detection airbag belt. Smartwear design that appl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eja excavated from Dongnae Jeong Clan can represent a traditional image and create a calm and stylish atmosphere. Instead of the traditional method, the strap is designed practically by attaching a zipper so that seniors can wear it easily and quickly. A fall detection airbag belt was built into the bottom of the baeja to detect and discriminate against slipping or falling of the wearer and apply the airbag as a smartwear design that operates by itself. This smartwear design can be said to be a smart function that can prevent falls accidents that can often occur in seniors' daily lives or on snow in winter. In particular, the fall detection smart belt may not be familiar to seniors to wear alone, but if it is built into a traditional Baeja, it will be able to solve the unfamiliarity of the device or the difficulty of us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