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을 위한 부재소성변형 평가

        엄태성,김재요 한국지진공학회 2010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4 No.5

        안전한 내진설계를 위해서는 부재에 요구되는 소성변형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비선형해석없이 탄성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이중골조의 부재소성변형을 평가할 수 있는 빠르고 간편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보, 기둥, 벽체 등의 소성변형은 부재강성, 층간변위비, 모멘트 재분배, 단면치수 및 소성힌지 위치의 함수로 결정된다. 벽체와 보가 모멘트 접합된 경우에는 벽체의 소성변형에 의한 로킹효과를 고려하여 증가된 소성변형을 구한다. 8층 이중골조에 대하여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고, 비선형해석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단순계산으로 부재소성변형을 합리적으로 예측하지만, 정확한 부재소성변형 평가를 위해서는 비탄성 층간변위비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방법은 향후 성능중심 내진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성능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safe seismic evaluation and design,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plastic deformation demands of members. In the present study, a quick and reasonabl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member plastic deformations of dual system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results of elastic analysis, without using nonlinear analysis. Plastic deformations of beams, columns, and walls are functions of member stiffness, story drift ratio, and moment redistribution determined from elastic analysis. For dual systems with rigid connections between walls and beams, an increase in the plastic deformations of beams due to the rocking effect was considered.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8-story dual systems and the predicted plastic deform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nonlinea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accurately predicted the member plastic deformations with simple calculations, but that for the accurate evaluation of member plastic deformations, the inelastic story drift ratio must also be predicted with accuracy.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both the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of new structures and the seismic evaluation of existing structures.

      • KCI등재

        변형률 구배 소성 저차 유한요소에 의한 크기 의존 구조 문제의 모델링 및 해석

        박문식(Moon Shik Park),서영성(Yeong Sung Suh),송승(Seung Song)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5 No.9

        미크론 단위의 크기를 갖는 구조물의 소성변형에서 나타나는 길이 효과를 고려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하기 위하여 변형률 구배 소성이론을 이용하는 탄소성 유한요소 모델링 및 해석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고차, 고자유도 및 혼합요소, 초 요소 등을 필요로 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배제하는 변위법 저차 평면 요소 및 삼차원 요소를 도입하였다. 이는 비선형 증분 해석의 프레임워크에서 계산된 소성 변형률의 절점 평균값으로 보간하여 적분점에서의 변형률 구배를 구하고 테일러 전위 모델에 의한 변형률 경화 구성방정식을 적용하므로서 가능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선형 삼각 및 사각요소, 선형 사면체, 육면체 요소에 대해 적용되었으며 마이크로 굽힘, 마이크로 비틀림, 마이크로 기공과 같은 대표적인 길이 스케일 문제를 통하여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계산이 매우 쉬우면서도 실험 값들과 비교해 볼 때, 변형률 구배 소성이론 즉, 길이 효과를 잘 나타내어 주었다. An elasto-plastic finite element method using the theory of strain gradient plasticity is proposed to evaluate the size dependency of structural plasticity that occurs when the configuration size decreases to micron scale. For this method, we suggest a low-order plane and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based elements, eliminating the need for a high order, many degrees of freedom, a mixed element, or super elements, which have been considered necessary in previous researches. The proposed method can be performed in the framework of nonlinear incremental analysis in which plastic strains are calculated and averaged at nodes. These strains are then interpolated and differentiated for gradient calculation. We adopted a strain-gradient-hardening constitutive equation from the Taylor dislocation model, which requires the plastic strain gradient. The developed finite elements are tested numerically on the basis of typical size-effect problems such as micro-bending, micro-torsion, and micro-voids. With respect to the strain gradient plasticity, i.e., the size effects, the results obtained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which are simple in their calculation,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cited in previously published papers.

      • 소성변형 예측 모형과 이를 사용한 배합설계 및 지불계수 결정

        이현종,김원재,Flores Julius Marvin,김태우,이진욱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서울시 도로포장은 대부분 30년 이상 노후화된 포장으로서 이미 구조적 손상이 많이 진행된 상태이고,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증가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포장 파손이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설계당시의 포장 단면 두께가 현재의 교통량을 반영하지 않아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서울시의 버스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차량에 의한 교통하중이 증가하고 기존 도로포장에 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여 중차량 교통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도로파손을 해결하기 위해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두께와 다양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중차량 교통하중 집중현상, 교차로 및 버스정류장에서는 차량속도 감속으로 인해 소성변형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해외의 여러 기관에서는 소성변형 예측 모형 개발 또는 기존 모형을 개선하여 소성변형으로 인한 도로포장 파손을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러한 모형들은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을 고려하여 개발하였으며 이는 소성변형에 대한 도로포장의 수명 및 성능 변화를 예측하여 유지보수 공법과 적용 시기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성변형 예측 모형은 하중재하 속도 및 횟수, 아스팔트 포장층 온도, 전단응력과 강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전단응력과 강도의 비율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응집력과 마찰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고려하여 아스팔트 혼합물 물성을 활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소성변형 예측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Westrack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35%의 오차율을 보였고 LTPP 자료를 활용하였을 때는 1.19%의 오차를 보여 매우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개발된 소성변형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와 지불계수에 적용하였다. 배합설계의 경우, 교통량 및 차량속도와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최적의 아스팔트 바인더 함량을 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성변형 예측 모형을 적용하여 설계 공용수명 대비 공용수명의 비율을 적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지불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 KCI등재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 연구

        김준형(Kim Jun Hyung),서영찬(Suh Young Chan),권수안(Kwon Soo Ahn),조용주(Cho Yong Ju)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2D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Full-Scale 포장가속시험기(HAPT; Hanyang Accelerated Pavement Tester)를 소개하고, 이 시험의 시험운영과 함께 개질아스팔트 혼합물과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장가속시험은 일반 밀입도와 3종의 개질아스팔트 각각에 대해 3가지 온도조건(25-30, 40, 50℃)에서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이 평가 결과들은 DSR실험등 바인더의 실내실험 결괴들과도 비교하였다.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소성변형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시험 대상이 된 모든 개질아스팔트 구간에서 일반 밀입도에 비해 소성변형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온조건에서는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포장을 대상으로 포장온도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 저항성을 분석한 결과 온도가 어느 이상 되면 소성변형 저항성이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성변형에 관련한 중요한 인자로 제시되는 G*/sinδ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회복탄성계수는 소성변형 저항성을 나타내는 인자로 바람직하지 않음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Korean full-scale APT(Accelerated Pavement Tester) an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general dense grade asphalt mixture and modified asphalt mixtures as the first running of the tester. The tests evaluated the rutting resistance for dense grade mixture and three different modified asphalt mixture under three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25-30, 40, 50℃). The results of the testing were compared with the laboratory test results. Results of the tests indicated that the all the modified asphalt sections showed higher rutting resistance than the dense grade sec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was more noticeable at higher temperature condition. Additionally, G*/sinδ is found out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permanent deformation prediction whereas the resilient modulus was not.

      • KCI등재

        개질재 첨가에 따른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및 변형강도 특성 연구

        김현환,최영렬,김광우,도영수 한국도로학회 200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1 No.4

        In general, it is well known fact that the stone mastic asphalt (SMA) pavement has a high resistance against rutting. However, performance of SMA is not well measured by general method used in the laborato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pplicability of deformation strength (SD) for performance estimation of SMA,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ut depth and dynamic stability, and SD of SMA. This study carried out wheel tracking test and Kim-test with optimum asphalt content (OAC) determined by mix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D of SMA was very poorer than those of dense-graded asphalt mixtures. SD showed similar WT dynamic stability and rut-depth level. It was found that Kim-test was not reflected higher rutting resistance of SMA like as indirect tensile strength (ITS) test and Marshall stability test. Also, it was revealed that dynamic stability and rut-depth of WT had some problems to estimate rutting resistance of SMA mixtures. SMA 혼합물은 소성변형 저항성이 매우 큰 혼합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실내 시험에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법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성변형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SMA 혼합물의 변형강도치와 반복주행시험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SMA에 변형강도의 적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MA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거쳐 최적 아스팔트함량의 혼합물에 대하여 변형강도 시험과 반복주행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변형강도는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특성을 보이기에는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김테스트에 의한 변형강도는 간접인장강도나 마샬 안정도와 마찬가지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복주행시험의 결과인 동적안정도나 최종침하깊이도 역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잔류응력의 영향을 고려한 용접부 내진 평가

        김종성(Jong-Sung Kim),장현수(Hyun-Su Jang)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BDBE 와 같이 심각한 지진 하중 하에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APR-1400의 가압기와 고온관을 연결하는 밀림배관의 탄소성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1~2]. 이전 연구에서 지진에 중요한 위치인 가압기 노즐과 핫레그 노즐의 용접부 모사할 때 3case (용접부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기하학적 형상과 용접 물성을 고려한 경우, 잔류응력을 고려한 경우)에 대해서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잔류응력을 고려하여 지진해석을 수행한 경우, 누적소성변형률과 등가소성변형률이 다른 경우에 비해 상당히 크게 발생하였다. 잔류응력 해석시 용접부가 융착되는 시간은 매우 짧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잔류응력을 고려한 지진해석의 누적소성변형률과 등가소성변형률을 좀 더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 어닐링 온도를 고려하여 잔류응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용접 재료인 ER308l의 물성은 주기적인 테스트 결과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인장 실험의 결과를 통해 샤보세 경화 모델을 정의하였다. 또한 분석 변수(예: 지진 변위 시간 이력)는 이전 연구에 사용하였던 것과 동일한 값을 사용하였다. 잔류응력을 고려한 지진 해석시 핫레그 노즐과 용접부 사이에서 취약부위가 발생하였다. 취약 부위에 대해 ASME code [3]의 변형률 기반 허용 기준 평가를 수행하였고, 무결성이 만족되었다. 어닐링 온도는 잔류응력 해석에 의해 발생한 누적소성변형률과 등가소성변형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잔류응력을 고려한 용접부의 내진 평가 시 여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o verify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under severe seismic loads, such as BDBE, the finite element elastic-plastic analysis of the surge line system connecting the pressurizer and the hot-leg of APR-1400 was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y, seismic analysis was conducted on 3 cases (not considering geometry shape of weld, considering geometry shape of welds and material properties of welds, considering welding residual stress) when simulating welds in pressurizer nozzles and hot-leg nozzles, which are critical location for earthquakes. When seismic analysis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welding residual stress, accumulated plastic strain and equivalent plastic strain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cases. When conducting welding residual stress, the time for weld to fuse is very short. Therefore, in this study, welding residual stress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annealing temperature to more realistic simulation of accumulated plastic strain and equivalent plastic strain of seismic analysis considering welding residual stress. The welding material was used as ER308l instead of TP316 which was previously used material. Since the properties of ER308l do not have cyclic test results, define the Chaboche hardening model through the results of a simple tensile experiment. Furthermore, the analytical variables (such as seismic displacement time history) used the same values as those used in previous study. The seismic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effects of welding residual stress, and vulnerable point occurred between hot-leg nozzles and welds. The integrity was satisfied by performing strain-based acceptance criteria evaluation of ASME code. The annealing temperature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umulated plastic strain and the equivalent plastic strain caused by welding residual stress analysis.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ismic evaluation of welds considering welding residual stress affects the margin.

      • KCI등재

        변형강도 시험용 하중봉의 원형절삭반경 선정연구

        박태원,도영수,김광우,Park, Tae-W.,Doh, Young-S.,Kim, Kwang-W. 한국도로학회 200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변형강도시험에서 하중봉의 치수가 변형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경(D) 40mm, 하단의 원형 절삭 반경(r)을 10.0mm와 10.5mm로 제작한 두 개의 하중봉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의 변형강도를 측정하고, 반복주행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소성변형 특성치와 상관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하중봉의 원형 절삭반경에 따른 골재치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변형강도 값과 변동계수는 r=10mm하중봉을 사용한 것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10mm 하중봉이 변형강도와 소성변형 특성치와 상관성 분석에서도 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골재치수와 원형 절삭반경은 변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수의 교호작용에서는 골재의 크기가 $10mm{\sim}19mm$내에서는 r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성변형과의 상관성이 더 우수하며 변동계수도 낮은 것으로 나타난 D=40mm, r=10.0mm의 하중봉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valuated influence of the loading head dimension on characteristics of deformation strength ($S_D$) of asphalt mixtures. Kim test and Wheel tracking (WT)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S_D$ characteristics with relation to WT results for various mixtures. The $S_D$ value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_D$ values of r=10mm were smaller than those of r=10.5mm. It was also found that $S_D$ values obtained using r=10mm loading head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rut parameters of WT test. It was indicated that the aggregate size and radius (r) of round cu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S_D$ at = 0.05 level in the analysis of variance. However, in interaction of r and aggregate size showed no significance within $10{\sim}19mm$ aggregate size at the same level.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diameter (D) of 40mm and the bottom edge radius (r) of 10mm was suitable dimension of loading head for deformation strength test.

      • 축방향변형요소-점소성요소 조합해석기법을 이용한 변형률속도에 따른 구조물의 응답해석

        임윤묵(Lim Yun Mook),신승교(Shin Seung Kyo),박주완(Park Ju Wa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5A

        기존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구조재료의 인장ㆍ압축강도 등과 같은 재료특성은 하중의 재하속도가 변함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지진이나 충격하중과 같이 고변형률속도를 가진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변형률속도에 의존적인 구조재료의 역학적인 특성을 고려한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속도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해석을 위하여 탄-점소성모델과 축방향변형요소를 조합한 새로운 수치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치해석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직접인장 및 휨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한 기존 실험결과와 수치해석결과의 비교ㆍ검토를 수행하였다. 검증된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정적하중 재하시와 충격하중 재하시 접합부를 가지고 있는 보-기둥 구조물의 하중-변위거동 및 파괴거동을 검토하였다. 또한, 변형률속도를 3×10??/s 에서부터 3×10?¹/s 까지 변화시켜 매개변수해석을 수행하여 변형률 속도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범위를 검토하고 구조물의 파괴형상이 연성파괴에서 취성파괴로 전이되는 변형률속도의 한계값을 수치해석적으로 규명하였다. From the material point of view, concrete shows an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as the strain rate increases, and the change in failure mode from ductile to brittle also happens. Thus,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concrete subjected to high strain rate loading such as earthquake or impact is essential. This study proposes a numerical method that can predict the strain rate effect of concrete. Developed numerical model uses coupled axial deformation link element (ADLE) and elasto-viscoplastic element as a basic element. To verify the numerical method, simulations of uniaxial and three-point bending specimen are performed and the predicted response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Concrete beam-column is simulated to investigate the load-deflection response and failure mode under static and impact loading. A parameter study regard?ing strain rate from a value of 3×10??/s to a value of 3×10?¹/s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amage range of concrete and a limit value of strain rate from which the failure mode changes from ductile to brittle.

      • KCI등재

        기둥-보 연결 강구조물의 소성회전각에 의한 피로곡선 연구

        공병승,Kong, Byung Seung 한국강구조학회 1998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지진 등과 같이 소성변형의 범위가 큰 Low-Cycle-Fatigue 범주에서 구조물의 응력변동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피로곡선인 S-N선도 보다 실질적으로 간단하게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소성회전각에 의한 피로곡선을 제시하였다. 이는 소성힌지가 생성되는 곳의 소성변형율과 구조물의 소성회전각이 서로 정비례를 이루는 상관관계임을 입증하여, 실험을 통하여 밝혀진 소성변형율의 피로곡선의 기울기와 소성회전각의 기울기가 서로 같은 값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이론은 Manson과 Coffin의 변형을 피로곡선을 도입하였고, 실험은 ECCS 주관하에 실시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하여 소성힌지 부위의 위치와 정확한 소성변형율을 산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esents a fatigue line with a plastic rotational angle to a great extent of plastic strain of Low-Cycle-Fatigue period, such as earthquake, etc. This fatigue line with a plastic rotational angle is measured and analysed more simply in practice rather than Woehler's fatigue line which is developed in stress variation of the structure. It shows that the slope of fatigue line with a plastic rotational angle is equal to that with plastic strain through the experiments by proving the correlation that the plastic strain ratio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lastic rotational angle in plastic hinge. The theory is induced by Manson and Coffin strain fatigue line, and the experiments are tested by ECCS. The location of the plastic hinge is achieved and accurate plastic strain ratio is calculated through FEM.

      • 소성변형과의 상관성에 근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변형강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광우,이문섭,김준은,최선주,Kim, Kwang-Woo,Lee, Moon-Sup,Kim, Jun-Eun,Choi, Sun-Ju 한국도로학회 2002 한국도로포장공학회 논문집 Vol.4 No.4

        This study dealt with developing a new approach for finding properties which might represent r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asphalt mixture under static loading. Two aggregates, a normal asphalt (pen 60-80) and 5 polymer-modified asphalts were used in preparation of 12 dense-graded mixtures. Marshall mix design was used in determination of OAC and each mixture at the OAC was prepared for a newly-developed Kim test on Marshall specimen (S=10cm) and gyratory specimen (S=15cm), and for wheel tracking test. Kim test used Marshall loading frame and specimens were conditioned for 30min at $60^{\circ}C$ before loading through Kim tester an apparatus consisting of a loading column and a specimen and column holder Diameter (D) of column was 3cm and 4cm with each column having different radius (r) of round cut at the bottom. The static load was applied at 50mm/min in axial direction of the specimen, not in diametral direction. The maximum load ($P_{max}$) and vertical deformation (y) at $P_{max}$ point were obtained from the test. A strength valu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P_{max}$ r, D and y by using the equation $K_D = 4P_{max}/{\pi}(D-2(r-\sqrt{2ry-y^2}))^2$ and is defined as the deformation strength ($kgf/cm^2$). The values of $P_{max}$/y and $K_I=K_D/y$ were also calculated. In general the leading column diameter and radius of round cut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K_D$ and $P_{max}$ values while specimen diameter was not. The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e $K_D$ had the best correlation with rut depth and dynamic stability. The next best correlation was found from $P_{max}$ which was followed by $P_{max}$/y and $K_I$ in order. 본 논문은 아스팔트 포장의 소성변형 저항성 추정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험법 및 장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소성변형 저항성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는 변형강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하중봉의 직경(D) 3, 4cm, 각 봉의 하단을 다양하게 원형절삭(r)한 김 테스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마샬시험과 같이 공시체를 $60^{\circ}C$에 수침처리하고 같은 속도의 정하중을 공시체에 다짐방향으로 가하여 최대하중 ($P_{max}$)과 이때의 수직 변위 (y)를 구하였다. 변형강도는 개발된 식 $K_D = 4P_{max}/{\pi}(D-2(r-\sqrt{2ry-y^2}))^2$으로 구하였으며 소성변형 특성치와 평균 $R^2$이 0.77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시험방법은 마샬안정도보다 훨씬 소성변형과의 상관관계가 큰 측정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기존의 마샬시험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공시체도 기존의 방법대로 제조 및 처리하도록 하여 적용이 빠를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골재입도, 최대치수, r 등에서도 타당성과 상관성 검증을 통해 시험법을 표준화한다면 실용화 가능성이 매우 클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