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생애사연구의 시작과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의 발전 과정

        박성희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4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ginning of German biograph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to sociological research methods until the 1920s to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biographical research in German literature, history, and pedagogy as a soci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research. By the 1970-80s, biographical research was finally developed into a study that was recognized as a soci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created its own life by exercising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n individual in society, and the behavioral ability to solve problems, based on the complexity of combining various theories. In future biographical research paradigms, autonomy, identity, problem-solving skills, social structural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intensively derived in the analysis process so that the identity of individuals or homogeneous groups can be shown and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oral writer should gradually re-establish his or her identity in a changing society. 생애사는 전통적으로 문학의 한 장르로 여겨졌으나, 역사학, 교육학 등에서 장기간 생애사가 접 목되면서 오늘날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발전하였다. 미국에 정착한 폴란드 이민자의 사회 문 화적 삶의 방식을 폴란드 학자들이 연구하기 시작한 후,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가 수용되면서 생애사연구 방법은 복잡한 이론적 토대 속에서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연구 문제 는 1920-80년대까지 독일 생애사연구의 시작과 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 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은 독일 문학, 역사학, 교육학에서 시작된 생애사연구가 사회학적 연구방 법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생애사 연구방법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독일 생애사연구의 시작을 문학적 측면, 역사학적 측면, 교육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970-1980년대 생애사연구는 다양한 이론을 결합한 복잡성을 근거로 하 여, 한 개인이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일련의 생애사적 고통 속에서 문제를 해결해 가는 행 위력을 발휘하며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 행위력, 경험을 통해 삶을 창출해 가는 스키마를 발견 하는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인정되었다. 생애사연구는”광범위한 개인적 삶의 실체와 사회적 실 체를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측면에서”(Kohli & Robert, 1984), 위기를 극복해 가는 개인의 생 애사성을 새롭게 해석해 보려는 사회학적 경로분석이라 하겠다. 주체적 의식을 갖고 살아가는 사회적 행위자의 총체적인 삶을 연구하는 생애사연구 방법은 이상적 기준과 표상적 기준이란 이분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문 간의 협력을 통해 맥락적 이해를 밝혀 새로운 사실을 도출해 가 는 탐색적인 분석방법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윤택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연구 방법이 된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을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되어온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이론적 쟁점들과 방법론적인 쟁점들을 논의하면서 앞으로의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본다. 미국 여성 구술사 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여성의 경험을 가시화하는 작업에서 1980-1990년대를 통해 이론적 방법론적 논의를 하였고, 현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이후의 여성 구술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은 1990년대부터 여성 생애사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고,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구술 증언 수집을 통해서 학문적인 논의로 발전되어 2000년대에는 피해자 여성 또는 여성 전사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과 집단의 여성들의 생애사들이 연구되고 있다.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에서 방법론적인 쟁점들에 관해서 이 논문은 여성 구술자의 선정에서의 어려움, 인터뷰 진행 과정의 성격, 인터뷰 결과물에 대한 통제에서의 문제들을 토론한다. 또한 이론적인 쟁점들에 관해서는 여성의 경험, 문화, 주체, 여성 목소리 재현 방식들, 그리고 여성의 권력화에 대한 논의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자는 한국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자들이 여성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지만 여성과 함께 하는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구술사 연구 방식과 과정에 대한 좀 더 성찰적인 사고와 비평적인 인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ssues of women's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It attempts an historical overview of American women's oral history research and Korean women's life history research. In the U.S.A.. women's oral history research star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women's movement in the 1970's and develope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scussions through the 1980's and 1990's. In the period 2000-2010 women's oral history researchers have been searching for the ways to historicize women's experience in the face with plight of postmodernism. In Korea, women's life history through oral history interviewing has been popular among feminist researchers since the 1990's. Women's oral life history research has expanded from interviews of victims and female warriors to ordinary women whose everyday life is in a particular locality and social group. This article deals with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women's oral historyselecting woman narrators, the interview relationship between interviewer and narrator as a process and an interaction, and control over the product of interviews. It also illustrates the theoretical issues such as women's experience, culture and ubjectivity, modes of re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and empowerment of women.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a women's oral history researcher should be self-reflective and critical of th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ssues involved in women's oral history so that it can be with women as well as for women.

      • KCI등재

        교통사고로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트라우마 이해 : -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 -

        이명우,박정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auma from which a middle-aged women had suffered a spousal bereavement by a traffic accident, through the biographical research. To perform a research, one middle-aged woman was taken as a research subj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analysis developed by Rosenthal, which closely examines the substantiality of life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a life as experienced and a life as told.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analysis developed by Rosenthal goes through step 1 for successive analysis of life-history data, step 2 for text structure and thematic area analysis, step 3 for the recomposition of a life as experienced, step 4 for the consecutively detailed analysis, step 5 lor the reconstruction in a life as told and a life as experienced, and step 6 for the process of type 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with this method, it was shown the commonality as saying of ‘surviving only when being helpful for other person’, and the uniqueness as saying of ‘making an achievement by challenging what is interested'. Based on this, ‘life that my achievement leads to being conducive to other person' was elicited as the uniqueness.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period and the social context that the person had lived as well as ‘trauma experience’ itself, is the very important approach in understanding trauma that a person experienced.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연구를 통해,교통사고로 인한 배우자 사별을 겪은 한 중년여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40대 중년여성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고 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인의 체험된 생애사와 구술된 생애사의 차이를 통하여 삶의 실재성을 규명하는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Rosenthal에 따른 자료 분석은 1단계 생애사적 데이터의 연속적 분석,2단계 텍스트 구조와 주제적 영역 분석,3단계 체험된 생애사의 재구성,4단계 연속적 세밀분석, 5단계 구술된 생애사와 체협된 생애사의 재구성 그리고 6단계 유형 형성의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6단계에 따르는 분석 결과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어야 살아남는다는 공통성,‘관심 있는 것에 도전하여 성취를 이룸’이라는 독특성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나의 성취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삶’이 고유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 사람이 경험하는 트라우마를 이해하는 데 있어, ‘트라우마 경험’ 그 자체만이 아니라 그 사람이 살았던 시대와 사회적 맥락 안에서 개인의 트라우마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접근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과 방법

        박경용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1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Chosun-jok) diaspora is an useful method for recor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adaptation, the oral history of Korean-Chinese’s everyday lives. And it is history, culture contents and the text for analysis. Focused on Korean articles and books, there have been very poor only 16 books of life histories and 5 articles on this part until now. But it is much significant and worthwhile that these studies lead to more research about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in the future. I would propose 'the more inclusive oral life history’ as an alternative plan for up-grad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For this, we must inclusively contain the concerning oral tradition, oral testimony, life narrative and the oral history of everyday lives in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then we must make up-grade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in the field of oral history. It is necessary for us to adopt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wo unlike diaspora types so as to study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The case of the first diaspora about Korean-Chinese in original regions should be all focused on oral tradition, oral testimony, life narrative and oral culture history of everyday lives. But another case of the second diaspora about Korean-Chinese in re-migration regions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in new migration regions than oral tradition and oral testimony. We can conserve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make up for Korean history through recording of the oral life history about Korean-Chinese diaspora. We can make good use of it to education and culture tourism storytelling and for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broadcasting and movie, drama, literature, museum etc.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는 조선족의 이주와 적응, 생활사를 기록하고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방법론이자 역사문화콘텐츠이며 분석을 위한 텍스트다. 중국 조선족은 이미 초기 이주세대가 대부분 자연 사멸함으로써 이주와 적응, 생활사의 많은 기억이 소멸되어 안타까운 실정이다. 한국과 중국에서 한국어로 간행된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6권의 생애사와 5편의 논문이 산출된 정도여서 우선 양적으로 대단히 빈약하다. 하지만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의 단초를 열어주었다는 점에서는 그 가치와 의의가 적지 않다.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의 한 가지 대안으로 이른바 ‘포괄적 구술생애사’를 제시한다. 이는 구술생애사를 구전 및 구술증언 등과 더불어 구술사의 한 가지 단순한 분야로 간주하는 기존의 입장을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포괄적 구술생애사’는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구전 및 구술증언, 생애담, 구술생활사 등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구술사 영역 내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것이다.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는 디아스포라 유형에 따라 연구 전략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즉 동북3성의 본거지 조선족과 이곳을 떠나 중국 내외로 재이주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의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이주 시기와 동기, 과정뿐만 아니라 연령층이 상이하고 이주지의 생활조건들이 달라 이주와 적응, 생활사의 양상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본거지 조선족 구술생애사는 구전과 구술증언, 생애담을 비롯하여 이주와 적응, 생활사 중심으로 접근한다. 반면 재이주지 조선족 구술생애사는 생애주기에 따른 생애담과 이주과정 외에 재이주사회에 정착, 적응하는 과정의 생활양상 위주로 접근한다. 필자는 우선 동북3성 각처의 ‘조선족 100인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기록’을 제안한다.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 내 관련 연구기관이나 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이희영(Hee-Young Yi)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3

        이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생애사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을 기존의 행위이론 영역에서의 성과와 관련하여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였다. 첫째, 개인과 사회의 상호구성물인 생애사, 생애사의 지향적인 기능이 갖는 ‘본원적 사회성’, 그리고 생애사를 매개로 드러나는 ‘구체적 일반성’이라는 생애사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조명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양적방법론이 ‘객관성’을 가진 사회구조와 행위에 대한 연구방식인데 비해, 질적 방법론은 ‘개인’에 집중하는 사회의 부분에 대한 연구방식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비판한다. 나아가 생애사연구가 개인의 구체적인 생애사를 통해 사회의 구조를 재구성하는 하나의 방법론임을 밝힌다. 둘째, 생애사연구의 방법론적 원칙을 사례분석을 통해 밝힘으로써, 기존 연구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생애사연구의 대상인 구술생애사는 지나간 체험에 대한 사실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현재를 기점으로 한 기억을 통해 재구성된 결과물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구술생애사 자료에 대한 연구가 ‘체험된 생애사’와 ‘이야기된 생애사’라는 서로 구분되는 차원에서의 재구성작업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셋째, 생애사연구는 양적인 지표로 환원될 수 없는 사회구성원의 체험, 의식의 변화, 새로운 가치의 형성과정 등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것을 통해 사회적인 규칙성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의 발생의 기원과 변화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론적 가능성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생애사연구가 식민지경험과 분단, 전쟁과 폭력으로 각인된 한국의 사회현상을 과정적으로 천착하며, 그 변화의 동인과 경과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하나의 사회학적 방법론임을 밝힌다. This article tries to illuminate the theoretical meaning and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biographical research regarding productive results of the theory of action. Concretely, this article ha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ly, I study the theoretical basis of biographical research, namely Biography as the reciprocal product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primary sociality’ of the orientation function of the biography and also the ‘concrete generality’ which becomes clear through means of Biography. By doing so, the binary mode of thinking is criticized, e. g. the assumption that the quantitative method is focused on an objective social structure and action, while the qualitative method concentrates on individuals and, therefore, refers to a part of the society is challenged. In addition, this article illuminates that biographical research is a method, which reconstructs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concrete life histories of individual. Secondly, by applying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biographical research to the case study, I try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existing research in Korea. In terms of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ral life history as the object of biographical research does not only refer to past experiences, but it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reconstructed from the present through memories.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in biographical research the material of oral life history must be distinguished into ‘a life as experienced’ and ‘a life as told’. Both categories are reconstructed in each case on a different level. Finally, biographical research offers the possibilities of reconstructing experiences, changes of consciousness, developing processes of new values that may not be reduced to quantitative categories. Thus, biographical research enables us not only to confirm social rules,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origin and the changing process of social formations. Based on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I maintain that biographical research is an adequate sociological method in order to regard social phenomena in Korea that are charged with colonial history, division of the country, war and violence from a processional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the motives and processes of social chang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자료기반 확장: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한 구술 생애사 자료의 조직 및 분석

        한신갑 ( Shin-kap Han ),이상직 ( Sang-jic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생애사 연구자들은 대개 특정 사건을 겪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 생애 체험을 깊게 해석하려는 목적으로, 소수의 사례를 분석한다.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다수 사례의 생애사 자료로 생애이력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의 방식을 확장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하여 생애이력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생애사 시간표는 주로 생애과정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자료수집 용도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미 수집된 구술 생애사 자료를 조직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이나 연도 단위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축과 가족, 학교, 노동, 혼인 등의 범주로 구성된 주요생애 영역을 나타내는 축을 교차하여 만든 표에, 주요 사건의 발생 시점과 지속 기간을 표시하면 한 개인의 생애이력을 체계적으로 요약해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 요약된 사례별 생애이력을 모아 유사한 생애이력을 가진 사례들끼리 묶으면 하위집단별 생애이력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개별 생애사의 특성을 집단 전체 생애사의 맥락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노숙인 생애사 자료를 사례로 소개하면서 관련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한다. The usual approach in life history research concerns how people understand and narrate their particular experience,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with a deep yet narrow focus on a small number of cases. As a result, how to organize, sort, compare, and map a large number of cases has yet to receive much sustained attention. We propose a method to scale it up-life history calendar.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applying it to repurpose existing oral history archive. The calendar we showcase here is constructed in tabular format to summarize individual information on various life history domains, such as family, school, and work, over time. Using the oral history archive data on 60 homeless people, we sort and group them to produce an interpretable framework that charts various paths to homelessness, and within which individual life history can be meaningfully contextualiz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n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생애사 재구성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양영자 ( Yeung Ja Y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를 위해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해당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 이야기된 생애사는 ``독자로서의 의무가 이끄는 삶으로 엮여 들어가"독자 행세"를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삶``이라는 생애사적 관점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 반면, 체험된 생애사는 ``자기주도적인 삶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삶을 살아온 것으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음을 조절메커니즘에 의거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 생애사 간 차이는 생애사적 자기평가와 생애사적 실재성 간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가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학 분야 생애사연구 방법에 함의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biography of a male elderly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 based on the narrativ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 life as told is constructed in a biographical perspective of life from the only son, who is oppressed by the duties for his role. On the contrary, a life as experienced is constructed with life from a self-determined point of view.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life as told and life as experienced stand for discrepancies between the biographical self-evaluation and the biographical reality. Some implications from this reconstructing biography, based on the narrativity, were addressed as regards welfare practice for the elderly and biographical research in the welfare for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생애사적 사례 재구성

        양영자(Yang, Yeung-Ja)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사례를 개별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생애사주체개개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에, 그 사례로서 2명의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의거해 개별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 생애사를 관통하는 생애사적 관점 및 조절메커니즘은 ‘행복한 생활을 하는 삶’으로 서로 일치가 되었고, 이에 따라 해당 생애사주체는 일관성 있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다른 한 생애사를 관통하는 생애사적 관점은 ‘존경받는 생활을 하는 삶’인데 비해, 조절메커니즘은 ‘문명한 생활을 하는 삶’으로 서로 불일치가 되었고, 이에 따라 해당 생애사주체는 갈등적인 생활을 하였는데, 이러한 갈등적인 생활속에서도 ‘제 3의 길’로서의 생애사적 관점을 새롭게 구성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개별적인 생애사 사례 재구성에 의거해 생애사주체 개개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개별적인 생애사가 구체적인 일반성을 확보한 유형화된 사례로서도 기능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개별적인 생애사 사례재구성이 사회복지실천에 함의하는 점도 제언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reconstruct biographical cases. The followingm conclusions were ascertain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2 biographical cases of marriage migrant women, which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 biographical perspective as a conscious action orientation in a biography, ‘a life of happiness", which wa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mechanism as an unconscious action orient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gent in this case could live consistent according to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Whereas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in the other biography, ‘a life worthy of respect",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control mechanism, ‘a civilized lif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gent in the other case was in trouble with life, that was in accordance neither with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nor with the control mechanism, and during the process, a new biographical perspective as ‘a third way" has been constructed. Based on these biographical case reconstruction, the possibility of a single case as a typical case with a concrete generality had been discussed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theories and practices were addressed.

      • KCI등재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 - 멘델바움 생애사와 루이스 람보의 회심이론으로 분석 -

        박병애,김성배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본 연구는 탈북민 목회자 3명의 생애사를 통하여 복음 수용 과정을 분석하였다. 복음수용을 생애사로 연구한 것은 복음수용은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간디의 생애사를 연구한 멘델바움생애사 분석방법의 삶의 영역, 삶의 전환점, 삶의 적응으로 개별 생애사를 분석하였고, 3인의 개별생애사를 영역끼리 모아서 공통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공통주제를 근거로 람보(Rambo)의 7단계 회심이론에 근거하여 복음수용성을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삶의 영역을 결집하여 나타난 공통주제는 체제모순 속에서 자기 꿈의 유보(맥락), 생존만이 유일한 선이 되는 처절한 고통(위기), 극한의 땅에 비춰진 복음의 빛에 세례 받음(만남, 추구), 나를 죽이고 하나님의 형상 드러내기(상호작용, 헌신), 철로역정의 좁은 길 가기(결과)로 나타났다. 삶의 전환에서 나타난 공통주제는 코나투스에 의한 탈출(맥락, 위기), 도구적 수단으로써의 복음수용(만남), 호모사케르의 삶(위기), 창조적 소수자로써의 비전(헌신), 속사람의 부활(결과)로 도출되었다. 삶의 적응에서 나타난 공통주제는 북한과 중국에서는 약자로서의 은폐전략(맥락), 체제의 모순을 이용한 자기 성취(추구), 신변안전과 자기 권리의 교환(추구), 위험환경에 카멜레온의 생존방식(추구), 세상적 성공을 분토로 여기기(헌신), 자기의 영혼을 건 불꽃같은 목회(헌신), 무조건 적인 성경에의 의지(결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생애사에 나타난 복음수용은 ‘맥락’으로는 북한에서는 기아, 자유의 제한으로 나타났고 이는 ‘위기’이다. 중국에서는 주체사상의 내재적 모순과 기독교적 관찰에서의 통찰은 ‘추구’이고, 하나님 사람과의 만남과 하나님의 사랑의 속성체험은 ‘만남’이다. 새로운 세계의 발전과 성경통독학교를 ‘추구’이고 남한 사회에서는 겉도는 탈북민과 남한교회의 지지로 나타났는데 이를 ‘상호작용’이다. 보상심리와 남한의 풍요로움은 또 다른 ‘위기’로 분석을 했고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북한 주민에 대한 보편적 사랑과 세상 속에 분리된 사랑은 ‘헌신’이다. 참여자들은 통일 후 북한선교라는 큰 비전을 갖고 있는데 이는 ‘결과’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gospel acceptance process through the life history of three North Korean pastors. The reason why the gospel acceptance is studied as a life history is that it is not a one-time event, but a process. This study analyzed the individual life history of the Mandelbaum life history analysis method, which studied Gandhi's life history, as a the dimensions, turning, and adaptation of Mendelbaum's life history. A common theme by gathering the individual life history of three members. Based on such a common life history, Rambo's seven-stage conversion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gospel accepta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common themes that emerged by consolidating the areas of lif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reservation of one's dreams (context) amidst the contradictions of the regime, the dire suffering (crisis) where only survival is the only good, and being baptized by the light of the Gospel shining on the extreme land (encounters, quest), killing me and revealing the image of God (interaction, commitment), and walking the narrow path of the railroad (consequences). The common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life are the escape (context, crisis) by Conatus, the acceptance of the Gospel as an instrumental means (encounters), the life of homosaker (crisis), the vision as a creative minority (commitment), and the inner person's It was derived as a resurrection (consequences). The common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adaptation of life are the concealment strategy (context) as the weak in North Korea and China, self-achievement (quest) using contradictions of the system, exchange of personal safety and self-rights (quest), and the way chameleons survive in dangerous environments (quest), regards worldly success as an anger (commitment), a flame-like ministry (commitment) that has earned one's soul, and unconditional will to the Bible (consequences). The adoption of the Gospel in the life history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indicated by their experiences in North Korea, China, and Korea. The adoption of the Gospel in the life history of the participants was ‘context’ in North Korea as hunger and restrictions on freedom, which is a ‘crisis’. In China, the intrinsic contradiction of the Juche Ideology and the insight in Christian observation is 'quest', and the encounter with God and the attribute experience of God's love is 'encounter'. The ‘questt’ of the development of a new world and the Bible Reading School, and in South Korean society, the outward appearance appeared with the support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South Korean church, which is ‘interaction’. Compensation sentiment and South Korea's richness were analyzed as another “crisis,” and overcoming these ‘crisis’, universal love for North Koreans and separated love in the world are ‘consequences’. Participants have a big vision of North Korean missions after unification, which is the result.

      • KCI등재

        일반논문 :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김영천 ( Young Chaen Kim ),한광웅 ( Kwang Wng H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통해 교육현상이 생성되는 맥락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이런 생애사연구는 맥락성, 구술성, 내러티브적 성격을 갖고 있다. 우선,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 자체보다 이야기의 배경을 이루는 시간적 맥락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생애사연구자는 참여자와 면담에서 생애사 자료를 구술 받는다. 생애사연구의 구술성은 면담할 때 연구자와 참여자 관계의 비구조적 성격으로 이어진다. 연구자는 참여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기술하면서 자료를 수집한다. 연구자가 참여자와 면담에서 수집한 자료의 구술성은 생애사연구의 내러티브적 성격을 강화한다. 생애사연구의 글쓰기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시간적 맥락에 따라 이야기 체로 배열, 배치한다.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 탐구를 통해, 교육현상이 생성된 계보를 좆아 그 복잡한 사슬고리를 밝힌다. 이런 측면에서 생애사연구는 교육현상이 생성된 맥락을 참여자가 들려주는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his research make clear life story`s character and meaning. Life story research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understand context make educational phenomenon by participant`s life`s story. Life story research have contextuality, orality, narrative. First, Life story research focus time`s context form story`s background. So, researcher dictate life story data by interview. Life story research`s orality connect researcher and participant relation`s non-structural character at interview. Researcher describe story participant tell, collect data, and write participant`s life`s story that follow time`s context. Life story research clarify complex a link make educational phenomenon. So, life story research get an opportunity that understand educational phenomenon`s context by participant`s life`s 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