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시권력들의 작용과 생명 정치 :푸꼬의 권력분석틀과 아감벤의 근대 생명정치학 비판

        양운덕 ( Woon Deok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연구 Vol.0 No.36

        서구 근대 주체의 신체와 생명에 관한 푸꼬의 미시권력 분석, 생명관리 권력bio-pouvoir과 그것을 잇는 아감벤의 생명 정치bio-politica는 어떤 관련을 갖는가? 일상 공간에서 신체를 길들이는 규율절차들에 대한 분석은 ‘생명관리 권력’에 관한 분석으로 나아가는데, 그것을 새롭게 사고하려는 ‘생명정치’의 틀은 ‘예외 상황’에서 주권적 권력에 의해서 추방되고 수용소에서 모든 권리를 상실한 ‘자연 생명nuda nita’과 ‘희생당하는 인간homo sacer’을 주제화한다. 규율 권력은 일상 공간에서 작용하는 지식-권력과 테크놀로지들의 작용이 근대 사회의 선험적 조건임을 제시하는데, 이와 맞물리는 생명을 관리하는 권력은 자연 생명을 권력의 배려 하에 두고자 한다. 생명정치의 틀은 수용소라는 예외적 상태가 정상적인 법, 정치 질서의 기반이고, 자연 생명zoe을 정치적 삶bios으로 고양시키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사고가 어떻게 자연생명을 정치공동체에 ‘배제하는 방식으로 포함하는’ 지, 전체주의와 자유민주주의 모두가 어떻게 자연 생명을 권리의 원천이자 희생 지점으로 삼는지를 밝힌다. 생명 정치는 모든 곳을 잠재적인 수용소로 만들고, 살 가치가 없는 생명들을 제거하고, 건강과 치안의 이름으로 국민의 생명을 형태화하고, 실험용 인간들을 과학지식을 위한 도구로 삼는다. 푸꼬는 계몽적 기획에 따르는 ‘능력과 자유의 역설’ 때문에 능력을 증대시키면서도 권력관계를 강화하지 않을 실천 형태를 모색한다. 그리고 자연 생명은 그것에 투자하는 권력의 대상이지만, 동시에 근본 욕구들과 권리들의 지향점, 권력에 대항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아감벤은 근대 서구의 정치 공간에서 자연생명이 ‘적절하게’ 정치화되지 않았다고 보고 자연생명과 정치적 삶bios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How are Michel Foucault`s analysis of micropowers, “biopower” and Giorgio Agamben`s “biopolitics” related (regarding the body and the life of the modern western subject)? While Foucault`s analysis of disciplinary procedures that domesticate the body in everyday spaces leads to that of “biopower, ” Agamben`s framework of “biopolitics, ” which seeks to rethink biopower, thematizes the “bare life” (nuda vita) and the “sacred man” (homo sacer: who may be killed and yet not sacrificed), which have been exiled by sovereign power under “the state of exception” and have lost all rights in concentration camps.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demonstrates that the play of power-knowledge and technologies, which operate in everyday spaces, is the transcendental condition of modern society, and the power that controls life, which works in tandem with such a condition, seeks to subsume the bare life under the regulation of power. Compared with it, Agamben`s framework of biopolitics illuminates how the state of exception of concentration camps is the basis of normal legal and political order, how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since Aristotle, which politicize the bare life into the political life, has included the bare life in the political community as “an inclusive exclusion”, and how both totalitarianism and free democracy turn the bare life into the source of rights and the locus of their sacrifice. Biopolitics transforms all places into potential concentration camps, eliminates lives that does not deserve to live, gives form to the lives of a people in the name of health and public peace, and uses human guinea pigs(VP: Versuchspersonen) as the instruments of scientific knowledge. Foucault seeks to find a form of praxis that will enhance one`s ability but will not strengthen power relations, because of the “paradox of ability and freedom” ensuing from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 bare life is the object of power that invests in it yet, at the same time, it is the destination of fundamental desires and rights. Arguing that the bare life has yet to be politicized “appropriately” in the political space of the modern west, Agamben seek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bare life(zoe) and the political life(bios).

      • KCI등재

        안전, 생명정치 그리고 법 - 코로나 사태를 통해서 본 생명정치와 법 -

        김봉수(Kim, Bong Su)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연구 Vol.62 No.1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는 우리의 일상 물론 사회 나아가 국가권력의 모습과 그 속성까지도 변화시키고 있다. 역사는 재난, 전쟁, 전염병 등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거대한 위험들이 휩쓸기 이전과 이후가 어떤 식으로든 결코 같을 수 없음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사회 혹은 국가를 지배하는 권력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권력의 본질과 속성의 변화를 포착하고 이해하는 것은 ‘그 이후의 세계’를 예상해 보고 대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미셀 푸코의 권력론과 생명정치론을 분석틀로 바라봤을 때, 코로나 사태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권력의 실체는 ‘생명관리권력’이라 할 수 있다. 푸코의 개념정의에 따르면, 생명관리권력은 ‘사람을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두는 권력’이다. 하지만 여기서의 생명은 ‘단지 살아 있다’는 사실적 층위에서의 삶이다. 즉 ‘생물로서의 삶’을 말한다. 이러한 생명권력하에서의 생존조건을 국유화되고, 인간의 삶은 오직 생존을 위한 삶으로 전락한다. ‘생물로서 인간’의 삶은 유전자 층위까지 분해되고 개인의 고유성은 상실되며, 종으로서 인간, 즉 개인이 아닌 인구로서 생명은 몰개성화 되는 동시에 자본화된다. 이러한 생명관리권력의 특성들은 코로나 사태 속에서도 확인된다. 생명관리권력은 수치화와 통계화를 통해 질병을 객관화함으로써 이러한 비정상성을 합리성의 영역으로 통합한다. 이에 따라 인구 중 병에 걸린 자와 이로 인해 죽은 자의 수는 발병률과 사망률로 표시·집계되고, 이를 연령별, 지역별, 직업별 등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시 그래프로 제시된다. 결국 정상화란 정상분포(평균)곡선에서 벗어난/일탈한 비정상곡선을 다시 정상곡선과 포개지도록 만드는 작업이 된다. 이를 위해 생명관리권력은 예방의학기술을 활용하여 평균으로서의 정상성을 추구한다. 여기서 안전은 그래프상의 평균값이 되고, 그 수치가 정상성의 규범적 기준이 된다. 결국 생명관리권력 하에서는 규범이 정상화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화가 규범을 창출한다. 이 과정에서 사법권력과 그 권력장치로서의 법은 주변부로 밀려나고, 그 역할과 기능은 규율권력이 부과한 명령이나 의무를 위반한 자를 처벌하는 부수적·보조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머문다.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위기극복을 위해 예외적으로 허용되고 도입된 생명관리권력의 장치들이 비상사태가 종료된 이후에도 그 목적과 명분을 바꾸어가며 고착화·제도화되어, 비상사태 이전과는 다른 모습의 정상상태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생명권력과 생명정치 하에서 법의 역할과 가치는 무엇일까? 이러한 ‘비정상성의 정상화’ 상황 하에서 법은 비상조치들의 시간적·규범적 한계를 명확히 규정하고, 생명관리권력이 일방적으로 부여하는 법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저항해야 한다. The prolonged coronavirus outbreak is changing not only our daily life, but also the appearance and nature of state power as well as our society. History repeatedly shows that before and after the great dangers threatening human life, such as disasters, wars, and infectious diseases, can never be the same in any way. This is no exception to the power over society or the state. In particular, capturing and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nature and nature of power is of great importance in anticipating and preparing for the ‘world after that’. When looking at Michel Foucault"s theory of power and the theory of biopolitic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reality of power operating in the corona crisis can be said to be the “life management power”. According to Foucault"s definition of concept, life-management power is ‘the power that makes people alive and leaves people to die’. However, life here is a life on the level of fact that it is ‘just alive’. In other words, it refers to ‘life as a living thing’. The conditions of survival under this power of life are nationalized, and human life is reduced to life only for survival. The life of a ‘human as a living thing’ is decomposed to the gene level, the individual"s personality is lost, and the human as a species, that is life as a population rather than an individual, is depersonalized and capitalize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ife management powers are also confirmed amid the corona crisis. The life management power integrates these abnormalities into the realm of rationality by objectifying diseases through numerical and statisticaliza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sick people and the number of those who died due to it among the population are displayed and counted as the incidence rate and mortality rat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is by age, region, and occupation are again presented as a graph. In the end, normalization is the work of making the unsteady curve that deviates/depart from the normal distribution (mean) curve overlap the normal curve again. To this end, life management power pursues normality as an average by using preventive medicine technology. Here, safety is the average value on the graph, and that number is the normative criterion for normality. After all, under the power of life management, norms do not define normalization, but normalization creates norms. In this process, the judicial power and the law as its power device are pushed to the periphery, and their roles and functions remain to perform ancillary and auxiliary functions to punish those who violate orders or duties imposed by the discipline power. Th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devices of life management power, which are exceptionally permitted and introduced for overcoming such a crisis, are fixed and institutionalized, changing their purpose and justification even after the emergency is over, creating a normal state of a different appearance from before the emergency. Then, what is the role and value of the law under the life power and life politics? Under ‘the normalization of such abnormalities’, the law clearly defines the temporal․normative limits of emergency measures, and must resist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law unilaterally given by life management power.

      • KCI등재

        1970년대 생명정치와 한센병 관리정책: 김정한의 「인간단지」와 최인호의 「미개인」을 중심으로

        김려실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8 No.-

        Michel Foucault coined the word biopower(or bio-pouvoir in French)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modern politics which found a fundamental power strategy: Governing not the territory but the population. Giorgio Agamben, accepting Foucault’s theory, argued that involving the homo sacer in politics was the primary activity of Western sovereign power. In this paper, referring to the theories of them, I reflect back on the biopoltics(or bio-politique in French) under Park Chung-hee regime to trace the origin of the power governing and controlling Koreans to their very foundation. Korean literature in 1970s perceived sensitively the relation between the birth of sovereign power above the constitution and the politicization of life. There were several authors who depicted such an invisible but actually working phenomenon against the sovereign power which invented a new constitution to abolish the old one. This paper examined Kim Jeong-han’s the Human Estate and Choi In-ho’s the Uncivilized among them. They detected the relation between bare life(or la nuda vita in Italian) and the governance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thus reconstructed the context in which the life of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was politicized, based on true stories. The Human Estate questioned the settlement project for the people healed from Hansen’s disease, enforced by Korean government. It also criticised that the leprosy control carried out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not to abolish the leper colony but to invisualize it, through examining the continuity with the politics of leper deportation implemented by the Japanese empire. The Uncivilized reproduced the commotion of rejecting the children of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in a public school, which aroused social criticism of the day, to expose how civil society conspired with biopolitics. The novel, meanwhile, clarified there were neoliberal power techniques behind such a conspiracy, which govern the life of population in the form of economy. On the threshold of Yushin, the revitalizing reform, these texts gave attention to the power over life and urged us to change the given conditions of life by describing the escape and the resistance of bare life called the patient with Hansen’s disease, who was excluded by the power. It is significant that they clearly grasped the symptom of such resistance when we recall the fact that popular movements, in the time that anti-Yushin resistance hardened, were provoked by the ‘biological resistance’ of oppressed and exploited lives. 미셸 푸코는 영토가 아닌 인구에 대한 통치가 권력의 핵심 전략이 되는 근대의 정치 메커니즘을 생명권력(bio-pouvoir)이라고 명명했다. 푸코의 이론을 수용한 아감벤은 호모 사케르를 정치 영역에 포섭하는 행위야말로 서구 주권 권력의 본래적인 활동이라는 점을 환기했다. 푸코와 아감벤의 이론을 참조하여 이 논문에서는 우리 삶의 근저를 지배하고 규율하고 있는 권력의 근원을 찾아서 박정희 시대의 생명정치에 대해 반추해보고자 한다. 1970년대 한국문학은 초헌법적인 주권 권력의 탄생과 생명의 정치화의 관계를 민감하게 감지했다. 헌법을 중지하고자 새로운 헌법을 발명한 주권 권력에 대항하기 위해, 비가시적이었으나 현실적으로 작동했던 그와 같은 현상을 묘파한 일련의 작가들이 있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도 벌거벗은 생명이 본질적으로 개발독재의 통치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탐지하고 실화를 바탕으로 한센인의 생명이 정치화되는 맥락을 재구성한 김정한의 「인간단지」와 최인호의 「미개인」을 분석했다. 「인간단지」는 국가 주도의 정착촌 사업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것을 일제시기 한센인 격리정책과의 연속성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개발독재 시기 한센병 관리정책이 수용소의 폐지가 아니라 비가시화라는 점을 비판했다. 「미개인」은 당시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한센인 자녀와의 공학 거부 소동을 재현함으로써 시민사회가 생명정치에 어떻게 공모했는지를 폭로한 한편, 경제의 형식으로 생명을 통치하는 신자유주의적 권력기술이 그와 같은 공모의 배후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유신으로 가는 문턱에서 이들 텍스트는 생명에 행사되는 권력에 주목하였고 그 권력이 배제한 한센인이라는 벌거벗은 생명의 탈주와 저항을 그림으로써 우리에게 주어진 생명의 존재 조건 자체를 바꾸기를 촉구했다. 반유신의 저항이 무르익어 가던 시기 민중운동이 억압당하고 착취당한 생명들의 ‘생체적 저항’으로부터 촉발되었다는 사실을 돌이켜볼 때 이들 소설은 그 같은 저항의 징후를 명확히 포착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주권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성의 역사 1-앎의 의지 를 중심으로

        김용규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This paper aims to examine Foucault’s formation of power theory and transformation ofpower models in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This book is a work thatshows a crucial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Foucault’s power theory. It means theculmination of Foucault’s power concept, which has been going on since “The Order ofDiscourse” in the 1970s, and anticipates his power theory to be unfolded in the late 70s. Asmost of his lectures in the Collège de France and talks have been recently published, theoverall outline of his power theory is being revealed. Foucault sought various ways to definethe concept of power by 1975. First,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ower,Foucault moves the field of power from the state or political structure to the society. He urgesthat power be understood as a strategy to be exercised, not possessed, and that power is understoodas a power relationship that inherently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and power.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deepens and extendsthe concept of power as a ubiquitous, productive and resistant concept that is spreadingthroughout the social body. Second, in terms of the form of power, Foucault’s concept ofpower begins by criticizing the traditional sovereign power that defines human beings as legaland ideological subjects and goes, through disciplinary power that trains bodies and makesthem docile, into biopower that manages and controls population(social body). The workthat displays thi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ower is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Knowledge. This paper examines Foucault’s theory of power from disciplinary power to biopowerin detail. 이 글은 성의 역사 1-앎의 의지 를 푸코의 권력이론의 형성과 권력모델의 변화라는 시각을 통해 검토하고 그 한계와 성과를 짚어보는 데목적이 있다. 앎의 의지 는 푸코의 권력론의 전개에서 중요한 전환을보여주는 작업이다. 그것은 1970년대 「담론의 질서」 이후 진행된 푸코의 권력 개념의 정점이면서 70년대 후반에 펼쳐질 그의 권력론을 앞서선취하고 있다. 1975년 무렵 푸코는 권력 개념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를 다각도로 모색하였다. 당시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와 대담들이 발간되면서 그의 권력론의 전체적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첫째, 권력 개념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푸코는 권력의 장을 국가나 정치구조에서사회로 이동시킨다. 그는 권력을 소유가 아니라 행사되는 전략으로 이해하고 저항과 권력의 투쟁적 관계를 내재적으로 포함하는 권력관계로 이해할 것을 촉구한다. 이를 좀 더 확장하여 앎의 의지 는 권력을 사회체전체로 확산되어 나가는 편재적이고 생산적이며 저항적인 개념으로 확장한다. 둘째 권력의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을 법적․이데올로기적주체로 내세우는 주권권력을 비판하면서 시작하여 유순한 신체들(개인적 신체)을 통제하고 훈육하는 규율권력을 거쳐 인구(사회체)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생명권력으로 발전해간다. 이러한 확장과 발전을 집약하는저작이 앎의 의지 이다. 하지만 앎의 의지 에서 개진된 생명권력은 그뒤 또 다른 권력 개념으로 발전해간다. 이 논문은 규율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나아가는 푸코의 권력론을 살펴본다.

      • KCI등재

        생명정치, 생명권력, 생명법

        김현철 ( Hyeon Cheol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6 법과 사회 Vol.0 No.51

        Bio-politics, 즉 생명정치라는 용어는 푸코가 사용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해 현대 의 새로운 상황을 표현하는 주요한 용어가 되었다. 그 의미를 크게 나누어 보자면, Bio를 생물학 즉, biology의 의미로 이해하고 그 방향에서 접근하는 방향(생물학적 생명정치)과 그리스어의 사회적 존재를 뜻하는 bios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향(비오 스적 생명정치)의 두 방향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푸코는 전자를 아감벤은 후자의 방향을 제시한 사람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생명정치에 관해서 전개된 논의에서 미진한 점이 있다면, 네그리와 하트 등 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자본의 문제를 주요 요소로 다루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대 자본주의는 ‘상품에 대해 소외된 노동자’의 형태가 아니라 ‘생명 자체가 상품’이 되는 자본의 논리 속에서 사람을 통제 하고 관리한다. 그를 통해 자본의 논리는 소외의 형태가 아니라 생명(생체)에 대한 침투의 양상을 띠고, 그를 통해 생활세계 곳곳에서 의식과 문화의 새롭게 변화시킨다. 이런 의미에서 생명정치는 단순한 정치현상이 아니다. 특히 21세기의 생명정치는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매개로, 자본과 권력이 새롭게 접합되는 현상이다. 이는 욕망-자본과 불안-권력의 의존적 견제를 통한 공생이라는 관점에서 재음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변화는 법의 변화를 요구한다. 새로운 생명정치 시대에 법은 생명법으로 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생명법은 무엇보다 생명헌법의 구상에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의 생명정치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차별과 불평등이 등장하고 있고, 그것들은 사람들의 삶을 재구성한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우리가 바라는 사 회, 우리가 살고 싶은 사회의 모습을 헌법을 매개로 재정립하는 새로운 헌법투쟁을 할 필요가 있다. Bio-politics has been used as the principal terms that express the new situation of contemporary world. But it is unsatisfactory part that Bio-politics theories until now, except for a few people such as Hardt and Negri did not consider the issue of capital as a key element. Contemporary capitalism manage and control people through the new logic of capital which is not the form as ‘workers alienated by commodities’ but as ‘life itself commodity’ and makes a new shift in consciousness and culture around every forms of life. In this sense, Bio-politics of the 21st century is one of phenomena on new junction of capital and power via a new understanding of life. In other words, this junction means the symbiotic relationship of desire-capital and anxiety-power by mutual dependent check. It require a change of laws, especially bio-law and bio-constitutional law. We ought to start new works of ‘constitutional struggle’ for reshaping the constitutional forms of our desirable society’

      • KCI등재

        연구논문 : 푸코의 권력이론의 양상과 “주체”의 문제

        안현수 ( Hyun Soo A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권력이 주체를 예속화하는 다양한 방식을 살펴본다. 규율권력은 주체의 신체활동을 면밀하게 통제하면서 지속적인 복종을 강제한다. 규율권력은 주체를 개별화시키는 기술이다. 특정한 주체를 만들기 위해 공간과 시간을 통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규율체계는 규범에서 출발했고, 그 규범에 따라 실행된 훈육의 결과로 주체의 정상성이 만들어진다. 그에 반면 내치권력은 규율권력처럼 개별적인 신체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인간 전반에 작용하는 메타규율적인 성격을 갖는다. 내치체계는 점차 강제적인 통제에서 조절적인 관리로 변화가 발생한다. 생명권력은 인간이란 종의 근본적인 생물학적인 요소를 정치, 권력의 일반 전략 내부로 끌어 들이는 메커니즘의 총체이다. 생명권력은 ‘살게 만드는 권력’이다. 그래서 출생률, 사망률, 건강을 관리 통제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또한 생명권력은 ‘죽게 내버려 두는 권력’이다. 생명권력의 이와 같은 죽음의 기능은 인종주의에 토대를 두고 있다. 또한 생명권력은 인구의 안전이 문제가 된다. 안전장치는 인구의 순환과 상호작용 문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푸코의 권력장치의 분석은 결국 인간의 통치문제와 관계된다. 통치성은 인간행동을 목표로 삼는다. 푸코는 그러한 영구적인 지배방식의 기원으로 기독교 사목제도를 들고 있다. 반면에 푸코는 사목제도에 끊임없이 저항하는 사례로서 ‘대항 품행’을 이야기 한다. 푸코가 말하고자 하는 저항의 실천은 복종화 된 주체의 현재 양태를 비판하는 실천과 사유에 있다. 푸코에게 진정한 저항이란 자기 수련을 발명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the principal has the power to look at the various ways subordination. Physical activity is the subject of disciplinary power to closely control the Continuous submission to force. Power is subject to the discipline of personalized technology. Particular subject area and to make the way to control the time are mainly used. Disciplinary system is departure also from the norm, the norms of the discipline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subject is made normality. Power is power, police-power, while he governed, rather than acting as a separate body acting on a meta-discipline throughout the whole of human nature. Control of the internal police- system is gradually forced management to change the adjustment occurs. What kind of life, the power of the human element in the fundamental biological politics, power draw into the general strategy of the whole mechanism. Power of bio is the power to make live. So the birth rate, death rate, it is important to control and manage health problems. In addition, the power of bio is let them die power . Power of bio, death, the function of such a foundation is putting racism. In addition, the safety of life, the power of the population is a problem. Safety apparatus to interact with a population of circulating serves to manage the problem. Foucault`s analysis of power devices, and in the end the problem is related to the human government. The governmentality aimed at human behavior characteristics. Foucault is the origin of such a permanent way of governance institutions holding a Christian pastoral system. Foucault, on the other hand, the pastoral system as an example of the ever-resistance ``against the Code of Conduct`` to talk. Foucault is trying to say is subjected to fire resistance of the practice and criticism of the principal aspects of the current practice and the reasons are. Foucault invented the true resistance is to be self-training

      • KCI등재

        푸코와 생명정치

        김성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3

        The mechanisms of power to protect and control life are becoming concern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complex political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m are also arising. Biopolitics and biopower are discussed as a result. Michel Foucault first introduced the phrases “biopower” and “biopolitics” as exploring the genealogy of power. Does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exhibit oppressive dominance, as claimed by far-right populists or a left-leaning philosopher Agamben? Or, as Negri and Hart assert, is Foucault's biopolitics creating the emancipatory subjectivity? In the end, the right way to tackle these issues is through a study of Foucault’s biopolitics and biopower which were initially brought up by himself. However, the issue of biopolitics is pushed back as a result of Foucault's shift in the path of research from the genealogical problematic of power relations to the ethical one of the production of subjects. Does Foucault's biopolitics, which turned to “aesthetics of existence” before he goes into detail about it, allow for such a possibility of production of revolutionary subjects?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권력의 메커니즘들이 부각되고 이것들과 관련된 복잡다단한 정치 현상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정치와 생명권력이 회자되고 있다. ‘생명권력’과 ‘생명정치’라는 용어는 원래 미셸 푸코가 권력의 계보학을 탐구하면서 제시한 개념이다. 과연 푸코의 생명정치는 극우 포퓰리스트나 좌파 사상가인 아감벤이 생각하듯이 억압적인 지배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인가? 아니면 네그리와 하트가 주장하듯이 그의 생명정치는 해방의 주체성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인가? 이런 쟁점을 해소하려면 결국 생명정치와 생명권력이라는 문제를 최초로 제기한 푸코의 논의를 통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푸코의 탐구 방향이 권력관계의 계보학적 문제틀에서 주체 생산의 문제틀로 이행하면서 생명정치의 문제는 뒤로 밀린다. 신자유주의와 다른 ‘자유’를 실천하는 주체의 생산이 필요한 시대에 푸코가 제대로 다루기도 전에 ‘실존의 미학’으로 방향을 바꾸게 된 그의 생명정치는 과연 그러한 변혁적 주체 생산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가?

      • KCI등재후보

        생명 권력과 '욕망인의 분석'

        허경(Huh, Kyo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 중 제1권 『앎의 의지』(1976)는 근대 이후 섹슈얼리티의 문제와 권력이 어떻게 결합되었는가의 문제를 다룬다. 푸코는 1984년에 『성의 역사』 제2권 및 제3권에 해당되는 『쾌락의 활용』과 『자기에의 배려』를 발간하는데, 이 두 권의 내용은 전작과는 달리 서양 문화의 근간을 이룬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시기의 성과 주체화의 문제, 푸코의 용어로는 ‘자기와 자기의 관계’ 곧 ‘윤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푸코의 입장에서 ‘욕망’이란 단어는 정신분석에서 그 단어가 여전히 주요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실에서 잘 보이는 것처럼 여전히 근본적으로 푸코가 비판하는 프로이트의 억압-해방 가설에 입각해 있는 것, ‘성-욕망’의 담론에 기초한 것이다. 자연적 생물학적 성과 욕망이 아니라, 사회적 역사적으로 구성되는 육체와 쾌락이 문제이다. 욕망이 아니라 쾌락이다. 쾌락은 주어진 한 사회와 시기에서 일정한 진리놀이들과 함께 개인이 스스로를 주체로 구성하는 주체화 과정의 주요 요소인 동시에, 자기의 테크놀로지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이렇게 해서 푸코의 지식의 영역, 권력의 영역을 잇는 제3의 영역 곧 윤리의 영역이 탄생한다. 이 논문은 이들 시기 중 특히 『앎의 의지』에 나타난 서양 근대의 섹슈얼리티와 권력 곧 ‘생명 정치’ 혹은 생명권력의 상관관계라는 문제에 있어 부각되는 다양한 논점들을 명확히 하고 이를 평가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Michel Foucault(1926-1984) publishes in 1976 the first volume of Histoire de la sexualité, The Will to Knowledge. This book is written methodologically under the same line of 1975's Discipline and Punishment, that of microphysics of power, or of anatomy of power. Foucault deals in The Will to Knowledge the problem of Sexuality. And in 1984, Foucault finally publishes his last two books after 8 years silence, The Use of Pleasures and The Care of the Self in which he focuses on some technologies of the self concerning the problem of sexuality from the point of the ethics, that is to say, the relation to oneself with oneself. This chang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om sex-desire to body-pleasures. This article wishes to deal with the problem of desire and its two main areas, discipline of body and regulation of population, that is the crucial themes of bio-power in The Will to Power.

      • KCI등재

        1960∼70년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권력의 중층성: 주권권력, 규율권력, 생명권력을 중심으로

        이수형 ( Yi Soo-h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기존 논의를 통해 이청준 소설을 의미화하는 주요 계기를 모종의 억압에서 찾고자 하는 관점이 많은 동의를 얻어 왔으며, 나아가 그 억압을 1960~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정치권력과 직간접적으로 연결시켜 이해하려는 경향도 찾아볼 수 있다.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권력이 흔히 상상되는 것처럼 이항대립적이지 않고 보다 복잡한 양상을 띠는 이유는 소설에 반영된 당시 현실의 권력의 성격 자체가 중층적이라는 사실에서 찾을 수있다. 이청준 소설에서 이루어진 권력 탐구를 대표하는 신문관이라는 존재는 주인공의 환상을 빌려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당시 한국 현실에서 작동했던 죽음의 권력으로서의 주권권력의 성격이 은폐되지는 않는데, 이는 피신문자가 전쟁을 겪으면서 체험한 과거에 대한 진술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1960~70년대는 주권권력의 시대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규율권력과 생명권력의 시대이기도 했다. 이때 규율권력의 주요 테크놀로지는 고백이다. 고백의 과정을 통해 작동하는 규율권력은 생산적 주체의 산출을 목표로 하지만 이청준 소설 안에서 번번이 실패하며, 이는 규율권력의 내면화 역시 실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뿐 아니라 자기계발을 수행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산출한 생명권력 역시 같은 시기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청준은 주권권력이 낳은 벌거벗은 생명의 참극을 폭로하고, 규율권력이낳은 생산적 주체를 거부하고, 생명권력이 낳은 호모 에코노미쿠스적 자기계발을 비판함으로써 권력 탐구와 비판을 수행한 대표적인 소설가로 자리매김된다. As the nature of power in reality is complex, the power in Yi Chong-jun`s novels is not contradictory. Despite being forced to appear in the hero`s fantasy, the nature of sovereign power as the power of death is not concealed. This is evidenced by a statement about the past war experience. The 1960s and 1970s were the era of sovereign power, but on the other hand, the age of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The main technology of regulatory power is a confession. The power of discipline that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confession is aimed at the production of a productive subject, but fails repeatedly in Yi`s novel, which also shows that internalization of the power of discipline also fails. At that time, there was a period of bio-power that produced self-improvement and homo economicus. Yi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novelist who explores the tragedy of the bare life created by sovereign power, rejects the productive subject created by the disciplinary power and criticizes the homo economicus created by the bio-power.

      • KCI등재

        사목권력과 생명권력

        이문수 한국정부학회 2010 한국행정논집 Vol.22 No.3

        본 논문은 Michel Foucault의 1976-1979년 사이의 저작과 강의를 기초로 그의 사목권력과 생명권력의 개념과 의의를 서구의 근대적 행정권력의 출현과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논구하고자 한다. 사목권력이란 기독교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개개인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바탕으로 "각자와 모두"에 대하여 보살핌을 실천하면서 생성되는 권력으로, 17세기 통치가 독자적 개념이 되면서 주권적 권력을 보완하는 가능을 통해 근대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생명권력이란 통치의 대상을 인구로 보면서 나타나는 권력으로 여기서는 인간을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생물적 존재로 본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 두 권력은 인식론적 전제로서 통계학, 인구학, 경제학, 행정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발전시키면서 그 실천성을 보장받는다. 생명권력이 현대에 와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일정 부류의 인간들을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희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