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문점화 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복문산출능력 비교

        윤미라,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ability of complex sentence production and the syntactic processing abilities between the elementary grades 1-3 in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do not stutter (CWNS).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15 CWS and 15 CWNS as participants. Procedures involved a computer-assisted complex sentence production task, during which each participant was presented with the same set of 40 questions of target sentences. Both groups of children had to combine two simple sentences and three simple sentences under two conditions: (a) spontaneous condition, (b) sentence priming condition. The statistical methods of three-way mixed ANOVA were adopted to the test.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0 difference between CWS and CWNS was found in accuracy, but there was a sentence priming effect in the CWS group.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WS and CWNS groups was found in reaction time, furthermore, there was a sentence priming effect in CWS group. Third, the CWS group was more likely to stutter during a no priming condition and combining three simple sentenc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WS may have difficulty in rapid and efficient planning or retrieving of sentence-structure units in complex sentence produ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yntactic complexity and the length of the sentence influence the stuttering of CWS when they had to produce complex sentences. 연구목적: 초등학교 일반 아동과 말더듬 아동의 구문점화 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복문산출능력을 비교하여 복문을 산출할 때의 통사처리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성별과 학년을 일치시킨 초등학교 1-3학년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각 15명씩, 총 30명에게 복문만들기 과제를 테블릿PC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두 집단의 구문점화조건(점화 유/무)과 문장수(2문장, 3문장)에 따른 복문산출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3요인 혼합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말더듬 아동 집단의 구문점화조건과 문장수에 따른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두 집단의 정반응률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말더듬 아동집단은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 정반응률이 높아지는 폭이 일반 아동집단보다 컸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 반응시간이 빨라졌는데, 말더듬 아동집단은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 반응시간이 빨라지는 정도가 일반 아동집단 보다 컸다. 셋째, 말더듬 집단은 점화문장이 제시될 때와 2문장을 복문으로 산출해야 할 때 비유창성 발생 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론: 복문 산출에 있어서, 말더듬 아동은 문장의 구조를 계획하고 알고 있는 문법적 지식들을 동원하여 결합시키는 효율성에 있어서 일반 아동보다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말더듬 아동집단의 경우 점화문장이 주어졌을 때와 복문으로 산출해야 하는 단문의 개수가 줄어들었을 때,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보아, 말더듬 아동에게 통사적 처리과정에 대한 언어적 압력을 덜어주고 복문 산출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문장 산출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 비유창성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世紀 前半期 國語 文法書의 接續文과 副詞節에 대한 硏究

        이은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2

        본고는 20世紀 前半期의 國語 文法書에서 接續文과 副詞節이 어떠한 양상으로 기술되어 왔는지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複文의 下位 部類 設定 類型을 검토하였다. 제1유형은 ‘-고’류 복문을 제1부류로 설정하고, ‘-면’류 복문과 ‘-게’류 복문을 제2부류로 설정한 것이다. 제2유형은 ‘-고’류 복문을 제1부류로, ‘-면’류 복문을 제2부류로 설정한 것이며, 제3유형은 ‘-고’류 복문을 제1부류로, ‘-게’류 복문을 제2부류로 설정한 것이다. 제4유형은 ‘-고’류 복문을 제1부류로, ‘-면’류 복문을 제2부류로, ‘-게’류 복문을 제3부류로 설정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節의 下位 部類 設定 類型을 검토하였다. 제1유형은 ‘-고’류 절을 제1부류로 설정하고, ‘-면’류 절과 ‘-게’류 절을 제2부류로 설정한 것이다. 제2유형은 ‘-고’류 절을 제1부류로, ‘-면’류 절을 제2부류로 설정한 것이며, 제3유형은 ‘-고’류 절을 제1부류로, ‘-게’류 절을 제2부류로 설정한 것이다. 제4유형은 ‘-고’류 절을 제1부류로, ‘-면’류 절을 제2부류로, ‘-게’류 절을 제3부류로 설정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njunctive sentence and adverbial clause in Korean grammar book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Chapter Ⅱ, we examined on descriptions of complex sentences. The first type is ‘-go’ complex sentences are a first class and both ‘-myeon’ complex sentence and ‘-ge’ complex sentence are a second class. The second type is ‘-go’ complex sentences are a first class and ‘-myeon’ complex sentences are a second class. The third type is ‘-go’ complex sentences are a first class and ‘-ge’ complex sentences are a second class. The fourth type is ‘-go’ complex sentences are a first class, ‘-myeon’ complex sentences are a second class and ‘-ge’ complex sentences are a third class. In Chapter Ⅲ, we studied on descriptions of clauses. The first type is ‘-go’ clauses are a first class and both ‘-myeon’ clauses and ‘-ge’ clauses are a second class. The second type is ‘-go’ clauses are a first class and ‘-myeon’ clauses are a second class. The third type is ‘-go’ clauses are a first class and ‘-ge’ clauses are a second class. The fourth type is ‘-go’ clauses are a first class, ‘-myeon’ clauses are a second class and ‘-ge’ clauses are a third class.

      • KCI등재

        während와 seit 용법을 중심으로 한 독일어 복문의 시제 결합에 관한 연구

        지광신 ( Jee Kwnagsin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19 No.-

        독일어에는 시간 접속사-복문의 경우에도 시제 결합 규칙이 없다는 주장은 한 범주에 속한다고 간주되는 모든 시간 접속사의 복문에 일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시제 결합 규칙을 설정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während와 seit를 분석한 결과 많은 학자에 의해 동시간성이라는 같은 범주로 분류되지만 그 각각의 접속사가 갖는 의미도 다르고 그 의미에 따라 주문장과 부문장의 시제 결합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접속사는 고유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주장은 최소한 시간 접속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seit와 während의 분석 결과 seit-복문과 während-복문에서의 주문장과 부문장의 시제 결합은 접속사의 의미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시제는 동사의 동작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seit-복문에서 “현재-과거”시제 결합의 경우 시제 자체의 분석만으로는 가능한 시제 결합이라고 할 수 없지만 동사에 따라 현재 완료 대신 실제 언어 사용에서 흔히 과거 형태가 사용된다든지 또는 동사의 의미에 따라 seit의 의미에 부합하면 청자에 따라 가능하다고 판단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경우 조차도 시제 분석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수 없으며 접속사의 의미 범주 내에서 허용되기 때문에 접속사의 의미가 우선 된다고 하겠다. 오히려 seit와 während의 의미 분석결과는 접속사가 각각의 고유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접속사”끼리의 분류라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seit는 두덴 문법서 제7개정판(2005: 1091)에서는 während와 함께 동시간성으로 분류하고 제6개정판(1998)까지 에서는 동 시간성과 전 시간성 두 부류에 다 속하는 것으로 분류 하였다. seit의미 분석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seit자체가 갖는 의미의 속성이 두 가지 속성을 다 갖고 있으므로 어느 면을 강조하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부류로 분류될 수는 있어도 seit자체가 두개의 의미를 갖는 동음이의어의 형태는 아님을 확인하였다. seit-복문과 während-복문의 시제 결합 분석 결과 부문장의 관련시가 주문장과 부문장의 시제 결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현상은 과거와 현재 완료 시제의 결합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복문의 결속 구조 연구

        장미라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4 No.-

        The study looks at the cohesion of complex sentences as part of the discussion on improving Korean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skill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rarely addressed how understanding and using the complex sentences impacted on learners' ability to read and write. First of all, we looked into the concepts and definition of cohesion, and concluded that the conjunctions shown in complex sentences are cohesion. This verified that we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of connective endings, nominal Ending, adnominal Endings, and connective endings-correspondence patterns as types of cohesion mechanism in complex sentences rather than grammar item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for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and use the complex sentences in reading and writing, we looked into the cohesion mechanism as its relationship to the complex sentences,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complex sentences as one of the grammar items. This will help Korean learners to improve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s.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및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한국어 복문의 결속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복문의 이해 및 사용 능력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못했다. 이에 먼저 결속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복문에 나타나는 접속의 관계를 결속 구조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전성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와 연결어미에 대응하는 표현을 문법 항목이 아니라 결속 기제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 및 쓰기에서 겪는 복문 이해 및 사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문법 항목 중심의 복문 이해가 아니라 문법적 결속 기제로 복문 내 관계를 살피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및 쓰기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KCI등재

        김수영의 시 '풀'에 나타난 통사구조 분석

        엄홍준(Um Hong-joon)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3

        이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의 시 ‘풀’에 나타난 통사구조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렇게 하기위해서, 이 시를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째, 시제에 관한 것이다. 첫 연에서 과거와 현재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면 이 시에서는 모두가 현재가 쓰인다. 많은 학자들이 3행과 5행에서 과거시제어미 ‘-었-’이 쓰였기 때문에 이들 행을 과거로 분석한다. 하지만 ‘-었-’은 과거시제뿐만 아니라 현재완료, 현재진행형, 그리고 미래완료형에도 사용된다. 이런 연유로 첫 연의 시제는 모두 현재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둘째, 동사의 능격성에 따라 서술어를 구별하여 비능격 동사와 능격동사로 구별하였다. 이 시에서 김수영은 ‘풀’의 능동성을 표현하기 위해 거의 모든 동사를 비능격 동사로 사용하였다. 다만 ‘나부끼다’라는 동사만이 능격 동사인데 이 동사를 사용한 것은 ‘풀’의 수동성을 보여주기 위해 즉 아직 풀이 능동성을 갖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였는데 크게 단문과 복문으로 나누었고 다시 복문을 대등하게 연결된 복문과 종속적으로 연결된 복문으로 나누었다. 김수영은 ‘풀’의 능동성을 객관화하기 위해 단문을 사용한다. 그리고 ‘풀’이 ‘바람’의 도움 덕택에 자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얻게되는 과정을 표현하려고 할 때에 김수영은 종속적으로 연결된 복문을 사용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람’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보려주려 할 때에는 대등하게 연결된 복문을 사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yntactic structure in Kim, Soo-young’s ‘the Grass’. In order to do this, we divide the poem into three categories. First, we examine the tenses used in the poem. The present tenses are used except that in the first stanza, the present and the past are used. Since ‘-ess-’, the past ending, is used in the third and fifth lines of the first stanza, almost every critic claims that the tenses of the lines are the past. A question arises immediately in that ‘-ess-’ can be used as the forms of the present perfect, present progress, and, furthermore, the future perfect. For this reason, we argue that, despite the presence of ‘-ess-’, all the tenses are relevant to the present in the first stanza. Second, the predicates, the verb and adjective in Korean, are classified into the unergative verbs and ergative verbs according to the ergativity of the verbs. In the poem, the poet uses almost all verbs as the unergative verbs to express the ‘activeness of the grass’. On the other hand, a verb ‘nabukkita’ (flutter), in the second line, is used as the sole ergative verb related to ‘the grass’, to show ‘the passiveness of the grass’, that is, to show the grass yet have no ability to act independently. The third and last, we look into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hich are divides into the simple and complex sentences. And the complex sentences are divided into the one with the coordinate clauses and one with the subordinate clauses. The poet uses the simple sentences to objectify the activeness of ‘the grass’. When he intends to express the process in which ‘the grass’ come to have the ability to act independently by the aid of ‘the wind’, the poet uses the complex sentences with the subordinate clauses. On the contrary, the poet uses the complex sentences with the coordinate clauses when ‘the grass’, at last, comes to have the ability to act independently regardless of being aided by ‘the wind’

      • KCI등재

        복문에 쓰인 어미 ‘-지’의 유형과 의미

        박미은(Park, Mi-eun)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어미 ‘-지’로 이어진 복문의 유형을 구분하고 선행절에 쓰인 어미 ‘-지’의 의미와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가 쓰인 복문의 대조 유형을 선행절과 후행절의 동일 주어 여부와 후행절의 문장 유형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지’로 이어진 복문은 후행절이 수사의문문이나 부정문인 경우에는 기존의 논의와 같이 부사절로 내포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후행절이 평서문이고 선 후행절의 주어가 다를 때에는 병렬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선행절에 쓰인 어미 ‘-지’는 화자의 기정보에 배치되는 정보에 대한 [대조]를 나타낸다. ‘-지’로 이어진 복문은 선행 발화의 내용과 다른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선행 발화를 부정하게 되기 때문에 선행절이 후행절을 함축하게 되어 선행절이 강조되는 효과를 얻는다. ‘-지’ 선행절이 포함하는 정보는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라는 점에서 종결어미 ‘-지’와 그 근원 의미는 동일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ending ‘-ci’ by investigating type from ‘-ci’ used in multiple sentence.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ci’ multiple sentences in the following ways: (i) whether its subject is equivalent at both antecedent and following clauses, (ii) what types of its following clause shows. In case of following clauses from ‘-ci’ multiple sentences at rhetorical questions and negative sentences, embedded combinations are founded as previous studies said. However, coordinative connections are found when its following clause is declarative sentences, and its subject is not equivalent at antecedent clause. ‘-ci’ multiple sentences contain both old and new information. Also, as these deny their information, antecedent clauses are emphasized. Sentence ending ‘-ci’ and ‘-ci’ multiple sentences are not same morpheme although ‘-ci’ clauses contains its speaker-known information.

      • 복문에 사용된 ‘-(으)시-’의 사용 양상과 교육 방안 - 중국인 중,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조윤수 ( Cho Yoon-Su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본 연구는 중급과 고급의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높임법 ‘-(으)시-’를 복문에서의 사용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높임법에 대한 인식 조사, 요구도 조사와 복문에서의 ‘-(으)시-’에 대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 15명과 중국인 고급 학습자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문장을 완성하는 문장 완성형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 일부 학습자들에게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학습자들을 숙달도로 나누어 전반적인 복문에서의 ‘-(으)시-’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급 학습자보다 고급 학습자가 복문에서의 ‘-(으)시-’의 사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좀 더 세부적으로 문장의 종류별로 학습자들의 ‘-(으)시-’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 내포문에 비해 접속문에서의 ‘-(으)시-’사용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두 집단 모두 접속문에서 ‘-(으)시-’를 더 올바르게 사용하였다. 중급 학습자 집단은 ‘대등 접속문→종속 접속문→관형사절 내포문→인용절 내포문→부사절 내포문’순으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고급 학습자 집단은‘대등 접속문→종속 접속문→관형사절 내포문→부사절 내포문→인용절 내포문’순으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어의 일치성으로 문장을 분류하여 ‘-(으)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 문장의 주어가 동일한 경우보다 문장의 주어가 2개 이상일 경우에 ‘-(으)시-’를 더 잘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문장 내에‘-(으)세요’의 유무에 따른 학습자들의 ‘-(으)시-’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문장에‘-(으)세요’가 포함된 경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세 번째로, 문장의 용언에 높임 어휘의 유무에 따른 학습자들의 ‘-(으)시-’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문장에 높임 어휘가 포함된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모든 문장 완성형 검사에서 학습자들을 숙달도로 나눠서 분석한 결과 고급 학습자의 ‘-(으)시-’ 사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며 우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러한 사용 양상과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교육 방안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문에서의 ‘-(으)시-’ 사용 양상만 파악한 다른 연구들과 달리 중급과 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복문에서의 ‘-(으)시-’ 사용 양상을 파악했으며 이에 관련된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뒤따라 향후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을 가지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use of the Korean honorification method '-(으)시-' in the complex sentence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and to suggest educational plans based on thi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of learners' perceptions of the method of honorification, a survey of needs, and an experimental study on '-(으)시-' in the complex sentence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study, a total of 30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and 15 Chinese advanced learners were conducted to complete sentences, and post-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me learners after the experiment. First, we divided learners into proficiency and examined the use of '-(으) 시-' in overall complex sentence.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으)시-' in the complex sentence by advanced learners than intermediate learners. In more detail, I looked at the patterns of learners' use of '-(으)시-' by sentence type, and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use of '-(으)시-' in the conjoined sentence compared to the embedded clause. Both groups used '-(으)시-' more correctly in the conjoined sentence. The intermediate learner group had a high correct answer rate in the order of "equal conjoined sentence →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 prenoun embedded clause → quoted embedded clause → adjunct embedded clause", and the advanced learner group had a high correct answer rate in the order of "equal conjoined sentence →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 → prenoun embedded clause → adjunct embedded clause→ quoted embedded clause". Next, sentences were classified by the consistency of subjects to examine the use of '-(으)시-', and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howed better use of '-(으)시-' when there were two or more subjects of sentences than when the subjects were the same. Second, I looked at the use patterns of '-(으)세요' by learn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으)세요' in the sentence.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a high rate of correct answers when the sentence included '-(으)세요'. Third, the use of '-(으)시-' by learn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cabulary that honorific in the usage of the sentence was examined.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orrect answer rate when the sentence included honorific vocabulary. As a result of analyzing learners by dividing them into proficiency in all sentence completion tests, advanced learners' use of '-(으)시-'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as excellent. Finally, based on these usage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and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suggestions for educational measur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esented. Unlike other studies that only identified the use of '-(으)시-' in simple sent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use of '-(으) 시-' in the honorification of intermediate and high-end Chinese learners and suggested related educational plans. Following this study, I hope that specific research will continue with suggestions for future education plans.

      • KCI등재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연구 -복문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유혜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0 No.-

        본고는 한국어 구문분석의 활용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구문분석방안을 모색해 보고, 복문의 구조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구문분석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구문분석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검색, 대화시스템, 기계번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들 시스템에서 구문분석 정보가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문법 이론적 구조 분석이 실제 구문분석의 활용적 측면에서 중요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활용도가 높은 구문분석의 결과는 복잡한 계층구조를 배제하고 문장 주요 성분의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면서, 한국어 복문의 구조를 분석하면서 효율적인 구문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구문분석에서 구조적 계층구조를 최소화하는 자질 연산 문법을 도입하여, 복문 분석에 활용하였고, 기존 자질 연산 문법체계에서 다루지 않았던 복합적인 구조의 복문 구조 표시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the efficient parsing methodology of the Korean sentences for practical use and presenting the Korean parsing methodology. The systems using the parsing information are serach system, auto dialogue system, machine translation, etc. In these system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entences are not important. For the efficient parsing, we exclude the complex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entences and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sentence constituents. On the ground of the feature computation grammar, we analyse the structure of the Korean complex sentences. This methodology is efficient for the parctical use of the Korean parsing. Also, I present the efficient solution of the problem that the study of the feature computation grammar didn't solve.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 능력과 암묵적 학습 및 작업기억 간의 관계

        한우주,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문점화 조건을 달리한 복문산출 과제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수행이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간에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그룹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 자극 제시 전략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이 언어 발달의 기저요인이라고 알려진 작업기억, 암묵적 학습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것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의 중재에서 어떠한 의미를 함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5-7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38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47명을 대상으로 조건을 달리한 복문 산출과제,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청각 통계적 학습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모두 두 번의 점화를 제시하는 반복 점화 조건에서 높은 수행도를 나타냈으며, 반복 제시 방식에 따른 조건에서는 두 집단 간 다른 양상의 수행도가 나타났다. 구문점화 방식에 따른 복문 산출과 암묵적 학습, 작업기억 간의 상관관계에서도 두 집단은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에게 언어 자극을 제시할 때는 차별화된제시 전략을 사용해야 하며 집단과 방식에 따라 언어 산출에 작용되는 기저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 政治文献中复句的韩译研究 - 以《习近平谈治国理政》韩译本为例

        李羡,张淑珺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22 중한언어문화연구 Vol.23 No.-

        본고는 중국어 정치 텍스트에 나오는 복문에 대한 한국어 번역 방법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习近平谈治国理政』제1권을 대상으로 중한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여 인과복문과 조건복문에 대한 한국어 번역 방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국어의 인과복문과 조건복문을 번역하는 데 있어 직역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의역은 보조적으로 사용되었다. 직역의 경우는 주로 연결어미나 접속부사, 명사 등을 활용하여 원문의 논리 관계를 나타내며, 의역의 경우는 다시 문장 성분을 활용하는 전략, 다른 의미 관계 구문을 활용하는 전략, 그리고 재구조화를 활용하는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