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의 새로움 - 빌헬름 마르를 중심으로-

        나인호(Inho Na)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7

        이 논문은 근대적 반유대주의의 태조라 불리는 빌헬름 마르를 중심으로, 반유대주의 담론이 인종주의와 결합하면서 어떠한 질적 변화를 겪었는가를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반유대주의는 종교적이거나 문화적인 혹은 사회적· 경제적인 이유를 들어 유대인의 특정 측면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반유대주의와 달리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 그 자체’에 집중 하였다. 보수주의, 급진 민족주의, 식민지 인종주의, 사회다윈주의 등의 모든 언어를 동원하여 유대인을 우리를 위협하는 ‘적대적 인종’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악의 원흉인 악마적 인종’, 그것도 모든 것을 ‘유대화’할 정도로 가공할 능력을 지닌 ‘악마적 인종’으로 추상화시켰다. 이와 동시에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종말론적인 인종투쟁 사관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증오를 세계관적으로 정당화시켰다. 이에 의하면, 역사는 빛의 세력인 우리와 어둠의 세력인 유대인종과의 투쟁의 역사이며, 현재는 유대인종의 최종적 승리와 우리의 멸망을 바로 목전에 둔 역사의 마지막 환란 단계이다. 따라서 유대인종에 맞서는 최후의 결전이 시급하다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에 대한 새로운 편견과 표상들을 만들어 냈다기보다는 기존의 유대인에 대한 온갖-때로는 서로 모순되기까지 했던-정형화된 편견들과 부정적 표상들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이데올로기적 틀을 제공하였다. Focusing upon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this paper studies how the German anti-jewish discourse was qualitatively changed by its combination with the racism. The target of traditional anti-jewish discourse were specific aspects of Jewish people: Gentiles attacked Jews -for example- either on the religious-cultural or social- and economical reasons. But the racial Anti-Semitism aimed at the Jews itself as target: With the languages of conservatism, radical nationalism, colonial racism, and social darwinism, the jewish people was invented as satanic anti-race who was the chief instigator of all evils. In this context, the racial Anti-Semitism justified the hatred toward the jewish people with apocalyptic view of history, according to which history is the history of struggle for surviving between jewish and non jewish people(especially German people), that is, race of darkness and of lightness, and the last racial war for the victory of this jewish evil race is imminent. As mentioned above, the racial Anti-Semitism provided an ideological framework for integrating various -often inconsistent -tradition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toward Jews.

      • KCI등재

        나치 독일과 아랍의 반유대주의 동맹 : 지속과 단절을 둘러싼 논쟁

        윤용선(Yun, Yongs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3 No.-

        본 논문은 1930년대와 2차 세계대전 시기에 영불 제국주의와 팔레스타인 정착 유대인이라는 공동의 적으로 형성된 나치 독일과 아랍 민족주의의 동맹을 다루고 있다. 나치-아랍 동맹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는 한 인물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21년 영국에 의해 예루살렘의 대무프티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이슬람 최고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된 알후세이니(Amin al-Husayni)는 팔레스타인 아랍인의 지도자로 민족국가 건설을 추진했다. 그는 자신처럼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를 건설하려 한 시오니즘 운동과 이에 우호적이었던 영국 위임통치에 저항해 1936년 봉기를 주도하기도 했다. 봉기에서는 이슬람주의, 반제국주의, 반시오니즘, 반유대주의 등이 동원 이데올로기로 등장했으며, 훗날 아랍 세계에 확산해 오늘날에도 영향을 끼치는 아랍 반유대주의는 이때 시작되었다. 아랍의 반유대주의는 중동 분쟁 및 팔레스타인 분쟁과 결부되어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일부는 그것을 팔레스타인 아랍인의 절망과 분노의 표현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아랍의 반유대주의에서도 우려할만한 유대인 혐오가 존재하며, 팔레스타인 문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게다가 일부 학자들은 9.11 이후 부각된 이슬람 지하디즘의 기원을 1930년대 나치 독일에서 찾으며 ‘이슬람파시즘(Islamofascism)’이란 신조어를 만들기도 했다. 졸고는 나치즘과 아랍 반유대주의의 관계를 둘러싸고 학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논쟁에 주목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아랍의 반유대주의가 중동/팔레스타인 갈등의 원인인지 아니면 결과인지 여부에 관한 대립적인 두 견해와 논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 먼저 여러 논자의 입장을 스케치하고, 이어서 이러한 입장에 내재한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이러한 논의에 내재한 역사정치적 측면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즉, 아랍의 반유대주의가 팔레스타인 문제의 핵심인 이스라엘 국가의 정당성과 관련해 어떠한 정치적 함의를 갖는지도 아울러 평가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lliance of Nazi Germany and Arab nationalism, formed in the 1930s and during World War II, as a common front against the British imperialism and Jewish settlers in Palestine(Ishuv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zi-Arab alliance a figure played a decisive role. Amin al-Husayni Al Hussini, who was appointed by the British Mandate in 1921 as Chairman of the Supreme Council of Jerusalem and the Grand Mufti of Jerusalem, was the leader of the Palestinian Arabs and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He led the 1936 uprising, resisting the Zionist movement and his friendly British mandate to try to build a Jewish state in Palestine like him. In the uprisings, Islamism, anti-imperialism, anti-Sionism, and anti-Semitism emerged as mobilization ideologies, and later Arab anti-Semitism began to spread to the Arab world and still affect today. Arab anti-Semitism is controversial, coupled with Middle Eastern and Palestinian conflicts today. Some argue that it is an expression of the despair and anger of the Palestinian Arabs, while others believe there is a fear of Jewish hatred in Arab anti-Semitism, and that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Palestinian conflicts. In addition, some scholars search the origin of Islamic Jihadism, which emerged after 9.11, in Nazi Germany in the 1930s, and coined the term Islamofascism.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debate in academia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Nazism and Arab anti-Semitism. More specifically, let us look at two opposing views and arguments about whether Arab anti-Semitism is the cause or results of the Middle East / Palestine conflict. In this regard, I will first sketch the positions of various journalists and then interpret the meaning inherent in these position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aspects inherent in this discussion.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assess what political implications Arab anti-Semitism has in relation to the legitimacy of the state of Israel, the heart of the Palestinian issue.

      • KCI등재

        하마스, 반유대주의의 화신 : 그 이념적 기원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김덕일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4 민족연구 Vol.- No.83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nature of Hamas's armed struggle and the Israel-Hamas war by examining the origins of anti-Semitism and the identity of Hamas. To do so, this study reviews the major works on anti-Semitism, Islamism, and Hamas's parent organization, Egypt's Muslim Brotherhood, to show that anti-Semitism did not originally exist in the Islamic tradition, and that anti-Semitism in the Islamic world was a product of the convergence of European anti-Semitism and the Islamism that emerged in the 20th century. By analyzing the 1988 Covenant and the 2017 General Principles and Policies, which contain Hamas's ideological identity, this study argues that Hamas is a terrorist organization that believes in Islamist anti-Semitism, and that Hamas's war against Israel is not just a territorial dispute but a religious war that can only end with the destruction of Israel and the world's Jew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being the first in Korea to explore the ideological origins and identity of Hamas through the theme of anti-Semitism. 이 연구는 하마스가 내세우는 반유대주의의 기원과 하마스의 정체성을 살펴봄으로써 하마스의 무장 투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본질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위해 이 연구는 반유대주의, 이슬람주의, 하마스의 모체 이집트 무슬림형제단에관한 주요 연구성과를 검토해 원래 이슬람 전통에서 반유대주의는 존재하지 않았고, 이슬람 세계에서 반유대주의는 유럽의 반유대주의와 20세기 출현한 이슬람주의가융합한 결과물이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하마스의 이념적 정체성을 담은 1988년규약 및 2017년 일반원칙과 정책을 분석해 하마스가 이슬람주의식 반유대주의를신봉하는 테러 단체이며, 하마스가 이스라엘과 벌이는 전쟁은 단순한 영토 분쟁이아니라 이스라엘과 전 세계 유대인이 멸절되어야만 끝나는 종교 전쟁임을 주장한다. 이 연구는 반유대주의를 주제로 하마스의 이념적 기원과 정체성을 국내 최초로고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나치집권 이전 교양시민계층의 반유대주의 : 베를린 반유대주의논쟁'을 중심으로;zum Berliner Antisemitismusstreit

        윤용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6 No.-

        Antisemitismus zieht sich wie ein roter Faden durch die deutsche Geschichte. Dass er auch in der burgerlichen Gesellschaft des 19. Jahrhunderts ein Thema war, beweisen bisher die zahlreichen Publikationen und Autoren. Im folgen Tesxt wird zuerst ein allgemeiner Uberblick uber die Entwicklung der antisemitischen Stromungen im Burgertum des Kaiserreichs und der Weimarer Republik gegeben. Im Anschluss daran wird das Verhalten der Universitatsprofessoren dieser Zeit genauer beleuchtet. Als spezielles Zeitereignis wird der Berliner Antisemitismusstreit erforscht, der sich um 1880 zwischen bedeutenden Historikernder Zeit, u. a. Heinrich von Treitschke und Theodor Mossen, entspann. Dabei wird es Aufschluss daruber gegeben, inwieweit antisemitische Stromungen in der Gelehrtenwelt bereits vor dem Nationalsozialismus vorhanden waren, wie sie sich im einzelnen auswirkten und woran die Lucke der beiden Historiker im Verstandnis der Judenemanzipation lag. Die vorliegende Arbeit zeigt, dass ein Umbruch in der gesellschaftlischen Entwicklung wie die Judenbefreiung des 19. Jahrhunderts in Deutschland kaum entsprechende Wirkungen auf Bewuβtsein der Bevolkerung mit sich bringt. So waren ungeachtet der weitgehenden Herrschaft der modernen und liberalen Stimmungen das deutsche Bildungsburgertum von alten antisemitschen Vorurteilen nach wie vor nicht befreit. Das Phanomen "Gleichzeitigkeit der Ungleichzeitigen", die in der Regel fur Ubergangszeiten charakteristich ist, erreichte ihren Hohepunkt, als sich prominente Liberalen wie Mommsen und von Treitschke im Berliner Antisemitismusstreit an der gesetzlichen Gleichheit der Junden unter einer Voraussetzung festhielten, die eine vollkommene Assimilation der judischen Bevolkerung in die deutsche Kultur, einschlieβlich der Konfession, vorsah. Somit unterstutzt die Arbeit mit dem Beispiel des deutschen Antisemitismus im 19. Jahrhunert die Auffassung, dass nationalistische Stromungen in Deustchland im 19. Jahrhundert in fast allen Bereichen der Gesellschaft verbreitet waren.

      • KCI등재

        반유대주의와 독일 유대인의 청년운동

        최형식(Choi, Hyung-Si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3 No.-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대인 사회의 삶은 집단 정체성의 강화와 유대인 사회내부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전략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경제위기와 그 결과 등장한 반유대주의와 민족주의 그리고 전쟁, 혁명과 정치적 불안에 직면하여 유대인 공동체는 그들의 활동영역을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제 유대인 사회 내부의 정치적·사상적 대립의 광장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중요한 결과로서 유대인 조직과 연맹들이 탄생하였다. 여기서 유대인 청년들도 예외는 아니었 다. 유대인 청년운동 조직들의 탄생은 사실 독일 청년운동 조직들과의 의도적인 분리가 아니라 점증하는 반유대주의로 인한 증오의 결과로 나타난 불가피한 분리였다. 그리하여 유대인 청년운동은 독일 청년운동의 전통과 가치관 그리고 규범을 그대로 수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반유대주의를 극복하여 유대인 청년들이 독일청년운동조직에 다시 통합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대인 청년운동조직의 대표 격이었던 KC와 BW는 동일한 목적으로 탄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목적을 성취하 기 위한 길은 서로 달랐다. KC는 동화주의로, BW는 시온주의 길을 걸으면서 반유대주의를 극복하는 것이었다. 즉 1880년대 이후 등장한 반유대주의의 확산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한편으로는 완전한 동화를 통하여 ‘선한 독일인’이 되는데 더 욱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였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유대인은 결코 독일사회에서 영원한 이방인일 수밖에 없음을 깨닫고 유대주의를 더 이상 종교가 아닌 유대민족으로 규정하면서 시오니즘을 강화시켰다. 전자는 자유주의(동화주의)에 기초한 KC의 성향이었다면 후자는 시온주의에 기초한 BW의 입장이었다. It can be said that the life of Jew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was characterized by the reinforcement of group ident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trategy against anti-Semitism. Faced with the rising anti-Semitism, nationalism and political unease - such as wars and revolutions - which emerged as a result of the economic crisis, the Jewish community became a hotbed of internal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s. As an important consequence of such a situation, Europe’s Jews formed their own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Jewish youngsters did not allow themselves to be excluded from this development. The launch of Jewish youth movement organizations was not in fact a deliberate attempt on the part of young Jews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eir German counterparts, but an unavoidable choice made out of their antipathy towards the growing anti-Semitism. Thus, their movement adopted the traditions, values and norms of the German youth movement as they were. Not only that, they considered rejoining the German youth movement after overcoming anti-Semitism. However, the KC and the BW, both of which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Jewish youth movement, followed different paths to achieve their own ends, although they started out with the same purpose. The former adopted the principle of assimilation, while the latter opted for Zionism, in their efforts to overcome anti-Semitism. The new surge in anti-Semitism from the 1880s onwards led some Jews to see the need to make even greater efforts to join the ranks of "good German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orough assimilation. However, other Jews saw clearly that they would always be nothing more than strangers amid German society and launched a stronger Zionist movement, no longer defining Judaism as a religion but as the basis of the Jewish race itself. The former indicated the KC’s propensity based on liberalism (assimilation), while the latter was the position adopted by the BW based on Zionism.

      • KCI등재

        하이데거와 반유대주의의 문제

        김진(Kim, Jin)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6 No.-

        하이데거 철학에서 인종주의와 반유대주의 논쟁은 일종의 정치신학 논쟁이다. 하이데거 지지자들은 그의 나치 참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인종주의와 반유대주의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파리아스와 파이에는 하이데거의 전 저술과 강의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발견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쟁은 하이데거 자신의 주장들과 새로운 자료 발굴을 통한 비판적 주장들에 대하여 공정하게 접근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하이데거의 정치신학적 요소들, 특히 그의 민족사회주의와 반유대주의적 경향성은 그의 본래적인 ‘현사실성’의 지평 위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하이데거의 반유대주의는 민족사회주의자들의 이데올로기적 광신 체계가 아니라 일종의 문화적 반유대주의이다. 하이데거의 모든 저술들과 강의들이 하이데거 자신의 생각이 아닌 다른 외부적인 강제에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여지는 전혀 없으므로 그의 고유한 사상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하이데거는 민족사회주의 운동을 통하여 독일의 정신적 역사적 현존재의 정신을 확립하고 독일 민족의 대지와 혈통을 가장 순수하게 보존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이데거에 대한 종족주의 및 반유대주의에 대한 혐의는 이러한 사유 지평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하이데거의 문화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의 말살정책에 적극 가담했던 다른 나치추종자들과는 구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증오의 미학 - 독일 낭만주의에 나타난 반유대주의 고찰

        윤태원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1 獨語敎育 Vol.81 No.81

        Seit der Aufklärung ist die Zahl der wissenschaftlichen Untersuchungen über die Menschenrasse in Deutschland rapide gestiegen. Aus diesen Untersuchungen wurden der Rassenwahn der Weißen und der Rassenhass gegenüber den Juden erkennbar. Dieses subjektive einseitige Ergebnis übte einen großen Einfluss auf die rassistischen und religiösen Gedanken der nachfolgenden Generationen aus. Folge war unter anderem eine große Abneigung gegenüber dem Judaismus in der deutschen intellektuellen Gesellschaft. Das Phänomen äußerte sich besonders in der Romantik, konkreter gesagt, in der Berliner Romantik verbreitet. Der Hintergrund dieses Hasses bei den Romantikern gegenüber den Juden war die Veränderung des ästhetischen Gesichtspunktes der autonomen Ästhetik Schillers zur realitätsbezogenen operativen Ästhetik. Durch diese ästhetische Veränderung mischten sich die Berliner Romantiker, insbesondere Adam Müller, Brentano und Arnim in die Realität der Gesellschaft ein. Sie kritisierten die innere Politik der damaligen Hardenbergschen Regierung und die Napoleonische Besatzung auf Preußen. Die literarische Tendenz der Berliner Romantiker zeigte deutlich die patriotische, völkische und antisemitische Gesinnung. Die Werke von Arnim und Brentano, die als Vertreter der Berliner Romantik gelten, äußerten sich typisch antisemitisch und rassistisch. Die Ästhetik des Hasses bei den Berliner Romantikern spitzte sich immer mehr zu, und bot weiteren Generationen Anlass zum Judenhass. 독일 낭만주의 문학이 전반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철학적 이념, 미학적 장치, 장르적인 특성, 정치적 경향의 이면에는 당대의 시대정신이 깔려 있다. 이러한 시대정신을 주도하는 지식층, 관료, 정치인, 문인 등의 사상적 배경에서 반유대주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반유대주의는 계몽주의 시대에서 인종주의와 결합하면서 낭만주의 작가들의 사상적 정체성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에는 반유대주의가 직, 간접으로 스며들어 새로운 낭만주의 미학, 즉 ‘증오의 미학’이 탄생한다. 이른바 유대인을 증오하는 사상이 이전 사조에서는 볼 수 없었던 미학적 옷을 입게 된 것이다. 이 ‘증오의 미학’은 풍자시, 해학, 조롱, 단상 등의 낭만주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바, 본 연구는 독일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가, 특히 베를린 낭만주의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이러한 반유대주의 사상을 살펴보고, 그 사상과 당대의 시대정신이 어떻게 조화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래의 국내 독일 낭만주의 연구의 편협성과 부족함을 벌충하고자 하며, 더불어 낭만주의 문학의 총체적 모습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

        바그너의 반유대주의 I: 원인과 배경

        김용환 한국서양음악학회 2014 서양음악학 Vol.17 No.1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는 음악사상 가장 연구가 많이 되고 오늘날까지 극단적인 찬사와 비난을 동시에 받으면서 논쟁의 한 복판에 서있는 인물이다. 본 논문은 바그너에 관한 연구 중에서 현행 학계의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는 바그너의 반유대주의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고, 그 첫 번째 단계로서 바그너의 반유대주의의 원인과 배경을 다루었다. 논의의 전개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부각된 주요 주장과 사안에 따라 첨예한 대립 중에 있는 주요 쟁점을 검증·정리하였다. To this day Richard Wagner is the composer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who has beenresearched most in music history since he received not only honorable mentions but also severecriticisms. Overall, this paper pursues the understanding of Wagner’s antisemitism which is one ofthe most heated issues in the current academic society of music history. The first step to the studydeals with the cause and background of Wagner’s antisemitism. For logical unfolding of research,the significant and acute issues embossed preceding research are verified and classifi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프랑스령 알제리의 ‘새로운 반유대주의’와 유대인-무슬림 관계

        음동건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3 No.-

        This study explains the changes in Jewish-Muslim relations in French Algeria, focusing on Algerian Jewish perceptions of ‘new antisemitism’ from their Muslim neighbors. In French Algeria, Muslims were forced to endure discrimination with their native status. In contrast, Jews gained French citizenship en masse through the Crémieux Decree in 1870 and formed their identity as French citizens. This imbalance created tensions between the two groups, setting a stage for the realization of ‘new antisemitism’. In the early stages of the Algerian War, Jews in French Algeria claimed to be neutral ambiguously. They sought to maintain the status of French citizens and hol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Muslim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have expressed their concern about ‘new antisemitism’ since 1956. After the Suez War, such fear became a reality in French Algeria and the history of Jewish-Muslim coexistence in Algeria ended with its independence.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mporary Algerian Jewish press, Information Juive. By exploring how French Algerian Jews viewed Algeri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is study will confirm the impact of their fear and the realization of that fear on the changes in Jewish-Muslim relations in French Algeria. 본고는 프랑스령 알제리의 유대인-무슬림 관계 변화를 무슬림 이웃으로부터의 ‘새로운 반유대주의’에 대한 알제리 유대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무슬림은 원주민 지위에 묶인 채 차별을 견뎌야 했던 반면, 유대인은 1870년 크레미외 법령(Décret Crémieux)을 통해 일괄적으로 프랑스 시민권을 획득한 뒤 프랑스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갔다. 이러한 불균등은 두 집단 사이에 긴장 관계를 조성하며 ‘새로운 반유대주의’가 실현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했다. 프랑스령 알제리의 유대인은 알제리 전쟁 초기 ‘모호한 중립’을 표방하며 프랑스 시민의 지위와 무슬림과의 오랜 이웃 관계를 동시에 지켜내려 했지만, 1956년부터 ‘새로운 반유대주의’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수에즈 전쟁 이후 그러한 두려움이 현실화되면서 알제리의 유대인-무슬림 공존의 역사는 독립과 함께 막을 내렸다. 본고는 당대 알제리 유대인 언론 『앵포마시옹 쥐브(Information juive)』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고, 알제리와 이웃국가들을 바라보는 프랑스령 알제리 유대인의 시선을 통해, 그들의 ‘새로운 반유대주의’에 대한 두려움과 그 두려움의 현실화가 프랑스령 알제리의 유대인-무슬림 관계 변화에 미친 영향을 확인할 것이다.

      • KCI등재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저널리스트들의 논쟁 - 민족주의 · 반유대주의와 정의 · 인권-

        임종권 숭실사학회 2010 숭실사학 Vol.25 No.-

        이 논문은 드레퓌스 사건에서 저널리스트 중심으로 벌어진 논쟁을 분석한 것이다. 드레퓌스 사건이 발발한 이후 프랑스는 드레퓌스가 무죄임을 확신하고 재심을 요구하고 나선 드레퓌스파와 군대와 국가를 중시하며 드레퓌스의 유죄를 확신했던 민족주의자와 반유대주의자들과의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드레퓌스파는 국가의 안보와 군대의 신뢰성보다 정의와 진실이 더 중요하다고 보고 소위 「지식인」을 결집하여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했다. 이와 반면 반드레퓌파인 민족주의자들은 국민들에게 애국심을 호소하며 군대를 보호하고 반유대주의와 외국인 혐오주의를 동반한 민족주의 사상을 고취시켜나갔다. 이러한 의견은 사건 처음부터 신문을 통해 발표되면서 이 논쟁은 전국적인 국민의 관심사가 되었다. 프랑스 둘로 나눠지게 한 이 논쟁은 각자 제3공화국의 정치적인 이념의 토대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결정짓는 것이었다. 따라서 드레퓌스파와 반드레퓌스파 등 이들 두 진영의 가담자들은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각기 다른 정치적 견해에 따라 서로 결집하고 대결했던 투쟁의 양상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결국 드레퓌스 사건은 반유대주의, 민족주의, 그리고 공화파 체제에 대한 권위주의 흐름의 충격으로 생겨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드레퓌스파는 드레퓌스를 반대하는 운동을 드레퓌스 유죄에 대한 진실로서, 합법적인 정치 질서로서, 그리고 사회의 비전으로서 보이게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졸라의 충격적인 기사 「나는 고발 한다」는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의 열기를 높여 놓은 결과를 낳았고 이로 인해 반드레퓌스파들은 1898년 5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국회 다수파가 되었다. 반유대주의 신문에 의해 뜨겁게 격앙된 민족주의는 폭력으로 표출되어 4월 10일 졸라는 그가 거주하고 있는 멀지 않은 곳에서 돌로 공격을 당하기도 했다. 로슈포르는 1898년 5월 1일 자 렝트랑지장 에서 “드레퓌스 소송의 재심은 프랑스의 종말이 될 것이다.”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드레퓌스 사건에 대해 국민들은 그의 유죄를 확신했고 반유대주의자와 민족주의자들은 이러한 국내 분위기를 충분히 활용을 할 수 있었다. 1894년과 1898년 사이 반드레퓌스파들은 드레퓌스가 유죄든 아니든 간에 1894년 소송에 대한 모든 재심을 저지하기 위하여 드레퓌스 사건을 이념적인 체계로 경직시키는데 성공을 했던 것이다. 반드레퓌스파들은 군대, 민족, 권위 등 단순하고 신성한 교리에 대한 민중들의 강력한 지지를 만들어 낼 수가 있었고 자신들의 정치적 분열, 이론적인 모순성, 수적인 취약함 등을 극복할 있는 권력과 정치세력을 형성하고자 했다. 그들은 드레퓌스파들을 규탄한 것은 이들이 드레퓌스에게 공화국 시민권 부여, 사회의 개방, 자신의 세력들을 위한 지식인 운동 등을 지지했기 때문이었다. 공화파 가운데 온건한 반드레퓌스파와 극단적인 반드레퓌스파들, 그리고 진심에서 우러나온 반드레퓌스파, 또한 단지 사회와 군대의 질서만을 염려한 반드레퓌스파들. 이들 모두는 반유대주의 극우파와 동일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표현은 개인주의 시대가 끝난 이후 프랑스인의 동질성은 외국인들의 존재와 양립할 수 없다는 민족 예찬에 불과하다. 따라서 민족주의는 급작스런 반유태주의의 폭발을 의미한다. 드레퓌스파들은 이러한 반드레퓌스파들의 정치적 패배에 기여를 했지만 그러나 이들은 이 결과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 것이 아니었다. 결국 반드레퓌스파의 정치적 패배는 드레퓌스를 위한 드레퓌스주의자의 바람, 민족주의 경향의 변화, 시민의 자유가 맞이했던 위기의 종말, 그리고 「좋은 시절」(La Bell Epoque)로의 진입을 의미한다는 이유에서 드레퓌스에 호의적인 ‘드레퓌스파 프랑스’ 등, 이 모든 총체적인 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arguments about The Dreyfus affair developed between Journalists. After Affair broke out, in France, Dreyfusard who claimed new retrial of Dreyfus, believing confidently fully that Dreyfus was not guilt, on the other side, The Nationalist and Anti-Semitists who had put great stress on the army and country, being confident of Dreyfus’s guilty, these had a heated dispute about the affair each other through the journals. Dreyfusard claimed that the justice and truth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security of country and the faith of army. So, by mobilizing the intellectuals, they had insisted on Dreyfus’s innocence.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se, appealing a patriotic sentiment to the people, Anti-Dreyfusard had inspired the nationalism ideology with Anti-semitism, the xenophobia and the protection of army. By that these opinions were spread through the journals, the Dreyfus affair became the national interest on nationwide scale. These disputes that divided France into two parts set what should be the base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third Republic. Thus, Dreyfusard and Anti-dreyfusard who struggled and combined against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political opinions, show an aspect of political struggle. After all, the Dreyfus affair is a product of impact by the flows of Nationalist, Anti-semitism and the authoritarianism of Republican system. Anti-Dreyfusard realized a necessity to be shown the Movement of Anti-Dreyfus just as a cause of Dreyfus guilty, the legal political order, and the social vision. Zola’s shock article, 「J’accuse」 gave rise to the fever of various opinions on the Dreyfus affair. This caused Anti-Dreyfusard to be a majority party in the parliamentary elections on May, 1898. The nationalism excited by Anti-semitism journals was violently expressed at last, Then, Zola was attacked by stones at the place near to his house on 10, April. Rochefort announced that the retrials of Dreyfus would be the end of France in l’Intransigeant on May 1, 1898. The people firmly believed Dreyfus’ guilty. Thus, nationalist and Anti-semitist made good use of this mood. Between 1894 and 1898, Anti-Dreyfusard succeeded in stiffening the affair into an ideological organization to stop all retrial of Dreyfus relative to all suits of 1894, Dreyfus’ guilty or not guilty. Anti-Dreyfusard could get strong supports from people toward simple and holy doctrine of army, nation, the authority, and so on. And they wanted to make a political force and authority to overcome own political division, theoretical contradictoriness, and weakness in number. They blamed Dreyfusard, because these supported the intellectual movement for all political forces who had represented themselves, besides the open of society, and grant the Republic citizenship to Dreyfus. Moderate Anti-Dreyfusard and Anti-Dreyfusard among all the republic parties, Anti-Dreyfusard from the bottom of heart and Anti-Dreyfusard who was anxious of only order in the army and society, all of these were regarded in the same light as Anti-semitism and a extreme rightists. But the expression like this is merely a admiration of nation that a certain person has asserted the French homogeneity to be incompatible with foreign presence after the individualism is over. Therefore, The nationalism means the unexpected explosion of anti-semitism. Although Dreyfusard contributed to Anti-Dreyfusard’s political defeat, but they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result. After all, since anti-Dreyfusars defeated, the hope of Dreyfusard for Dreyfus, a change of the nationalism, the end of crisis of citizen’ liberty, and ‘Dreyfusard France’ in favor of Dreyfus on the ground that it symbolizes the entry into the 「La Bell Epoque」 and so on, so to speak, the anti-Dreyfusard’s political defeat was a overall results of th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