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각매체 비교연구 - 중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손짓언어의 시각매체 교육효과와 학습자 관여도에 대한 특성과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는 한ㆍ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손짓언어는 각기 다른 문화규범에 의해 형성된 상징기호인 까닭에 다의적인 메시지 해석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비언어 습득을 위한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주요목표는 상이한 문화구성원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태도 변화를 유도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때문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에서의 인지적 접근을 위한 시각매체의 활용은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구하여 비언어 정보취득에 유용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 의해 중국 손짓언어 교육의 시각매체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에서는 한국 영상자료가 가장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학습자 관여도에서는 중국영상과 한국영상, 사진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시각매체별 관여도에서는 학습자의 흥미가 학습효과에 효율적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시각매체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비언어 단서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함께 매체 자료내용이 학습과정에 유기적으로 통합되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통한 문화갈등 해결 능력의 긍정적 효과가 보다 확대되도록 시각매체의 올바른 활용방안이 구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론적으로만 수행되었던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지적 접근교육에 실용성을 부여함으로써 시각매체 교육방안의 실질적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earner’s involvement and seek ways to promote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inducing changes in cognitive attitude of learners with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s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for cognitive approach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enhances the motivation of learners and works as a useful tool for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in terms of effects of learning, Korean visual data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achievements and in regard to learners’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more learners were interested in Chinese images, Korean images, and photographs. Considering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along with raising new awareness about nonverbal signs, it should be reviewed if the contents of the media are organically integrated in the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to expand the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cultural conflicts through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ays to properly use instructional media should be sough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nvolved practicality in the cognitive approach to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has only been made theoretically, and provided practical starting point for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 KCI등재

        독일 초등학교의 다문화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장준호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3

        본 연구는 독일의 초등학교(Grundschule)에서 실시되고 잇는 다문화 시민교육정책 및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독일에서의 다문화 시민교육은 이념형(ideal type)으로서 다문화 시민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A'(고유한 전통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 B'(다양한 문화에 대한 공평한 태도) + C'(세계시민적 소양)의 조합이 나올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연구의 첫 번째 내용은 독일 초등학교의 현장을 조사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다문화 시민교육을 살펴본다. 여기에는 독일의 초등학교3곳의 방문과 뮌헨시의 정책담당자와의 인터뷰,나아가 바이어른 주 의회의 국회의원과의 인터뷰가 포함된다. 연구의 두 번째 내용은 바이어른 주의 교과과정 가이드라인과 교과서에 반영된 다문화 시민교육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정책은 사회통합 정책과 긴밀히 결합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정책의 핵심은 한국어 교육이다. 셋째, 학교 선생님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이 중요하다. 넷째, 다문화교육과 시민교육이 결합되어야 한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다롱,김진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1

        최근 들어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역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청도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중앙정부에서는 지역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는 일방적이고 단선적인 지원형식 및 의사소통체계, 단년도 회계주의 원칙에 따른 프로젝트 기반 지원제도 고착 등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지역특성을 살려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매우 취약하고, 실행주체의 역량검증 시스템이 미비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보다 바람직한 지역문화예술교육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현재 6년째 운영 중이며 우수센터로 평가받고 있는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 지역특화 지원·운영모델 개발, 2. 문화예술교육 수혜대상층 확장, 3. 지역단체 역량강화 시스템 구축, 4. 지역문화예술교육 연구와 자체 네트워크 조직, 5. 지역기반시설 간 협력체계 구축 등 다섯 가지의 방안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in th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also to seek for a solution for developing it further. It suggested an activating plan for th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a case of supporting program of the Gwangju Art and Culture Education Center and on i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First, it is required to activate the regional features and develop models of supporting and operating lo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quire the diversity of cultures. Second, it should include more diverse groups and populations and prepare diverse participating channels,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operating programs. Thir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the system for building capability of local groups to develop high quality of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ing the local environment. Fourth, it is also needed to organize networks of participants and studies on th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each local area. Lastly, a plan for establishing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infrastructures.

      • KCI등재

        노인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콘텐츠 방안 연구

        김한식 ( Kim Hans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상호문교육콘텐츠로서 노인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찾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문헌자료를 분석하였고, 다문화교육 관련 전문가 11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노인 다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교육콘텐츠의 방안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의 일상 속에서 노인의 눈높이에서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생활공감형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안했다. 둘째,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접촉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체험-참여형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안했다. 셋째, 노인들의 다문화적 인성과 가치를 사회에 실천할 수 있는 장으로서 사회환원형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안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상호문화교육콘텐츠의 세 가지 방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then found a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I analyzed the literature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n the in-depth interviews of 11 exper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ree ways of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a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follows: First, it proposed a sympathetic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s understandable at eye level of the elderly in everyday life of the community. Second, it proposed a participatory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that provides continuously an opportunity for positive contact with the multicultural situation. Third, it proposed a community dona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s a means by which the elderly can realize the multicultural society values. In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hree ways to the field of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 and to research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프레이리(P. Freire) 비판적 문해교육방법을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교수법 구상

        배영주(Young-Ju Bae)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6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6 No.2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이 특정 문화 내용이나 다문화적 가치에 대한 단순한 전달이나 이해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그것들이 학습자 삶 속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학습자 실천력 배양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를 가능케 할 실천적 다문화교수법을 구안해 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삶의 맥락과 과제를 연결지어 그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실천에 이르도록 하는 교육방법을 제안한 파울로 프레이리의 비판적 문해교육론에 주목하여 과연 그것이 다문화교육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한다. 연구 결과, 그의 교육방법이 다문화교육의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으려면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측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것들을 수정하여 실천적 다문화교수법의 모델을 구상,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다문화교수법은 아직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다문화교육의 핵심이 변화된 문화 지형에서 나름의 방식대로 조화로운 삶을 영위해야 할 학습자들의 삶의 변화 노력에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교수방법의 고안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I noticed on Paulo Freire’s critical literacy education method and tried to acquir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 and to design a teaching model. Paulo Freire is a Brazilian educator and philosopher who is a leading advocate of critical pedagogy. He championed that education should allow the oppressed to regain their sense of humanity, to overcome their conditions. He acknowledged that for this occur, the oppressed individual must play a role in their liberation, and he presented a student centered teaching method, in which ‘critical consciousness’, ‘conversation’, ‘contexts of life world’ were counted for much. I investigated applicability and limits on literacy teaching metho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considering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literacy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I could ascertained that Freire’s literacy education method had to be revised for applying i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 shaped my idea for practical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 and presented a new model utilizing Freire’s literacy teaching method. The presented teaching method model in this study is not a perfect one yet, but I am looking forward, with this as a momentum, it could be a kind of start point for inquiring practical teaching method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시각문화교육 내용 분석

        이은적(Eun jeo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시각문화교육을 반영한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은 다른 내용과는 차별화 된 적합한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심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시각문화교육의 도입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의 대상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이를 반영한 5, 6학년 미술과 교과서(검정 5종)이며, 새로운 교과서 개발을 앞 둔 현 시점을 고려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에 포함한다. 분석 기준은 시각문화교육의 개념과 담론에서 도출한 다섯 가지 내용 요소 즉, 시각 이미지의 직접적인 미적 체험, 이미지의 의미 전달 방식에 대한 이해와 제작, 대중문화와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 영상 매체의 특성의 이해와 활용, 대중문화와 고급문화간의 교류라는 내용 요소로, 이 내용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본다. 국가 교육과정에 성취 기준과 구체적인 활동의 예가 제시되기 때문에 외적으로는 교과서별로 유사한 제재를 선정하여 공통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집필자의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 따라 차별화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질적인 교과서 개발을 위해 집필자는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로 교육과정을 바르게 해석해야 하고 또한 시각문화교육의 내용 요소를 긴밀하게 연계 지으며 균형 있게 제시하는 방안을 더욱 연구하여야 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2009 Amendment Curriculum and art textbook focusing on 5 content elements and discusses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Direct aesthetical experience of visual images, understanding of the ways of representing the meaning of images and making them, critical analysis of popular culture and its images, understanding and using the features of visual media and doing interaction between popular and high level culture. The 5 content elements are elicited from the concept and discussion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Due to the specific representations of 2009 Amendment Curriculum, art textbooks appear to pick up similar topics and handle their common contents outwardly. However, from the analysis based on the 5 content criteria, they reveal different contents and ways of approaching depending on the writer’s interpretation of the 2009 Amendment Curriculum.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of art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standards of the 2015 Amendment Curriculum. The writers of the textbook need to interpret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ey also need to inquire into the ways to connect the content elements of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provide them in a balanced way.

      • 예비중등교사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최진선(Choi, Jin-su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인간 Vol.5 No.2

        모든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서 교사가 먼저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학생의 문화적 배경을 배려·존중하며 편견을 최소화 하는 반편견 교육 역량과, 문화적 역량 갖춘 교사가 요구된다. 우리사회의 사회갈등과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사회적 장치로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미래에 더욱 가속화될 다문화 사회에 상호문화역량을 갖춘 예비교사를 양성함에 있어 상호이해교육 실천은 미래에 보다 빈번해질 사회적 갈등과 충돌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구·경북에 소재하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의 상호이해 교육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학생 및 이주배경의 부모를 둔 아동·청소년들을 고려한 상호문화교육역량을 갖춘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있는지, 상호이해교육과 관련된 교육이나 봉사경험이 있는지, 그리고 상호이해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우리사회 모든 학생들에 대한 상호이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예비중등교사의 상호문화역량을 양성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현실성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 도구를 설정하였다. 1. 예비중등교사의 편견과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가. 이주배경을 둔 아동·청소년 그리고 외국인에 대한 편견 어떠한가? 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2. 상호이해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와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예비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가. 상호이해교육관련 교과목 이수와 다문화 관련 봉사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관심, 지식, 자신감은 어떠한가? 다. 상호이해교육에 필요성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라.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역량은 어떠한가? 3.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상호이해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모집단은 경북·대구광역시 지역의 교사 양성기관이 있는 5개 사범대학교, 예비교사 800명 대상으로 설문지 배부 하였는데 591부가 수집되었다. 그 중 불성실한 설문지 15부를 제외시키고 총 576을 수거·통계를 하였다. 통계적분석·검정을 위해 SPSSWIN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집단 간 빈도 차이 검증을 위하여 교차분석(χ2 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을 위해 t 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의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를 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예비중등교사의 인종 문화의 대한 편견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편견 6 문항의 평균을 비교 해 보면 ‘피부색(인종)이 다른 사람이 우리사회의 리더가 (leader) 되는 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에서 다른 5 문항의 평균 M=4.1 비해 가장 낮은 평균(M=3.52)을 보여 이주자가 우리사회에 리더가 되는 것에는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교과목 이수 경험과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 및 상호교육에 관련 교과목 이수와 봉사활동 경험 유무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및 상호교육에 관련 교과목 이수유무에서는 전체평균 77.8%가 이수 안 하였으며, 다문화 관련 봉사활동 경험 유무에서는 전체평균 76.4%가 봉사를 안 했다고 응답하였다. 다문화 및 상호이해교육에 관련 교과목 이수와 봉사활동 경험 유무를 배경변인으로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관심, 지식, 내용, 자신감에서는 교과목 이수경험과 다문화 관련 봉사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상호이해교육에 대한 관심, 지식,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범대에서 상호이해교육관련 교육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의 49.6%를 제외한 나머지 참여자들은 상호이해교육 관련 내용들이 교과서에서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였고, 내용 구성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개념, 실태, 교수법 순으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17.9%)가 가장 많이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본 연구 77%의 참여자들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상호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비중등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서는 높은 문화적 역량 있는 교사로 자신 있어 보이지는 않았지만, 상호이해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과 봉사경험이 있는 예비교사 집단이 더 높은 평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중등교사를 위한 상호이해교육의 목적 요구로 428명이 ‘점차 다문화 가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문화를 존중할 수 있는 마음을 기르고 사회적 통합과 융합을 위해서’, 397명이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편견 없는 긍정적인 태도 융통성과 개방성 있는 유능한 인재를 위해’, 상호이해교육의 목적을 요구하였다. 상호이해교육의 내용의 요구 1순위는, 424명이‘상호이해교육의 개념 및 다문화 실태’, 2순위, 421명이 ‘상호이해교육의 필요성’, 순으로 응답하여 상호이해교육의 내용을 공부하길 요구하였으며, 상호이해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5개 예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상호이해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164명(28.5%)이 가장 많고, 두 번째로 이주민센타, 이주·아동, 청소년센타 등, 또는 기관에 봉사활동으로 137명(23.8%)이 1 번으로 선택 했다.

      • KCI등재

        한국문화(韓國文化) 교육(敎育)을 위한 문화(文化) 지식(知識) 분류(分類) 방안(方案) 연구(硏究)

        류현정 ( Ryu Hyun-j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2

        이 硏究는 원활한 意思疏通 能力 拾得이라는 言語 敎育의 기본적인 目標를 바탕으로 韓國語敎育을 위한 韓國文化 敎育 내용을 효율적으로 分類하여 제시할 수 있는 方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言語 敎育에서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文化的 배경 교육을 ‘言語 敎育’과 구분되는 개념으로서의 ‘文化 敎育’으로 再槪念化 하고, 다시 ‘事實的 敎育’과 ‘方法的 敎育’의 차원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硏究에서는 文化 項目 分類에 관한 先行硏究의 결과를 토대로 韓國 文化를 크게 成就文化, 情報文化, 行動文化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事實的 敎育의 차원과 方法的 敎育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敎育 內容을 제시할 수 있는 方案을 구상하였다. 본 硏究의 결과는 韓國語 意思疏通 能力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文化敎育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文化의 항목을 체계적으로 分類하여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데 意義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discriminatory method of classifying cultural knowledge which can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communicate in Korean language proficiently.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but current Korean textbooks are still focused on linguistic knowledge such as grammar, vocabulary, and expressions. The linguistic-based teaching fails to provide enough cultural knowledge about Korea. In this study, the ‘culture’ is re-conceptualized to the ‘knowledge’ as an educational object and the ‘cultural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actual knowledge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refers to general information about cultural objects and facts. Methodological knowledg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way of lif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This study attempts to change focus of cultural education from factual knowledge to methodological knowledge. Thi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taxonomy of knowledge and the factual knowledge and the methodological knowledge are subdivided into three forms of culture-culture of achievement, culture of information, and culture of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ttempts to give a theoretical basis to classify the cultural knowledge which has a wide range of concep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 KCI등재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분석: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정영애,류영철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3

        본 연구는 우리 다문화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분석틀로 하여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표준한국어」와 「디딤돌」에서는 기여적 접근법과 부가적 접근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사회과 「스스로 배우는 교과 속 어휘」에서는 4가지 접근법이 모두 발견된다. 둘째, 교과 영역에서는 전체적으로 부가적 접근법이 많은 가운데, 중학교는 기여적 접근법이 더 많고, 초등 예비학교는 변혁적 접근법도 활용하고 있다. 사회실천적 접근법을 실천하는 학교는 하나도 없다. 셋째, 비교과 영역에서도 부가적 접근법이 가장 많다. 특히 초등 중점학교 와 중학교 예비학교가 그렇다. 초등학교는 변혁적 접근법과 사회실천적 접근법도 발견되나, 중학교는 교과 및 비교과 모든 영역에서 기여적 접근법과 부가적 접근법 활용에 그치고 있다. 일부 초등학교는 국어와 사회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변혁적 접근법을, 혁신학교인 행복학교는 PBL 또는 프로젝트 수업에서 캠페인 활동으로 사회실천적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다문화교육은 단편적 문화요소를 가르치는 기여적 접근법과 문화를 단순 비교하는 부가적 접근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류집단의 관점을 지양하고, 편견과 차별을 넘어 평등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보다 더 변혁적 접근법과 사회실천적 접근법 활용이 요구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ducational approaches taken by the Multicultural Prep Schools and Multicultrual Center Schools based on Banks’ four multicultrual approaches. After analyzing, this paper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approach implemented by the multicultrual text books are the contribution approach and additive approach.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sult Report, the curriculum of the Multicultural Prep School tend to adopt the additive approach, while that of the Multicultural Center Schools tend to adopt the contribution approach. None of the Schools have adopted the socal action approach. Third, in the extra-curriculum, the elementary-level Multicultural Center Schools as well as the Multicultrual Prep Schools implement the additive approach, while the Innovation Schools implement the socal action approach. Based on thes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Prep Schools and Multicultural Center Schools implement more of the transformation and social action approaches in their multicultrual education to achieve equal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 관련 문헌분석

        윤형준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4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13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degrees and academic journal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four variables: research year, research participant, research method, and categorization titl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wo content characteristics: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ducational support and direction of the disable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looking at the general study of education-related stud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3 papers are published every year except for 2010, 2016, and 2018. You can see that it is being done. By study participant, there were 8 studies targeting parents, with 3 studies targeting teachers, and 2 studies targe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research method, qual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with 8 articles, and literature studies were 4 articles. By research subject, there were 8 studies on topics related to par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3 studies related to the educational approach and experience of teachers, and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ere two studies on the overall support invol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related to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mothers are experiencing the limitations of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that they experience because they are multicultural familie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teachers' low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was found that parental education was first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xpand the program and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need for professional manpower at the level of local education offices was dema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analyzing the papers related to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mplications for demand and support were explored,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presented.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학위 및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13편을 연구수행연도, 연구참여자, 연구방법, 범주화 제목 등 4가지 변인에 따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과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적 지원과 방향의 두 가지 내용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관련 연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총 13편이 논문 중에서 2010년, 2016년, 2018년을 제외하고 매년 1~2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많은 양의 편수는 아니지만,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참여자 별로 살펴보면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편이었다. 연구방법 별로 살펴보면, 질적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문헌연구가 4편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는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에 대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과 관련된 주제의 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교육적 접근과 경험과 관련된 연구가 3편,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지원에 대한 연구가 2편이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내용적 특성들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하여 외국인 어머니들은 다문화가정이기에 겪게 되는 사회・경제적 배경의 한계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와 함께 의사소통의 어려움, 다문화 장애학생의 대한 교사의 낮은 인식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지원에서는 장애자녀의 교육을 위해 먼저 부모 대상의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을 위한 경제적인 지원의 확대와 교육과 돌봄을 위한 기관과 교육프로그램의 확대, 그리고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지역교육청 차원의 전문인력이 필요함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들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장애학생의 교육 관련 요구와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논문투고일: 2020.07.29 논문심사일: 2020.08.17 게재확정일: 2020.08.2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