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

        정다운,손다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3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이란 서로 다른 문화가 대면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 참여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실시하는 의사소통을 말한다. 의사소통에서 서로 다른 문화가 작용할 때 이문화에 대한 이해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할 수 없으면 갈등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문화의 작용으로 인해 갈등이 유발될 때 이를 극복하면서 성공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말하기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말하기 전략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를 ‘발견-지식 활성화-해석-조절’의 단계로 이해하고 말하기 전략은 특히 ‘조절’ 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조절’ 단계에서 학습자는 한국 문화에 맞추어 발화하거나 혹은 대화 상대자와 협상을 시도하는 말하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 사용 능력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도입-분석-설명-토론-적용-마무리’의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Korean speaking strategies to improve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when different cultu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communicat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basic cultural differences influe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an result in miscommunication or conflict in communication. Therefor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needed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is paper posits that speaking strategy education, which can be used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peak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understood as comprising the stages of “Discovery- Knowledge Activation-Interpretation-Adjustment.” Speaking strategies can be applied especially at the “Adjustment” stage, when Korean learners can use speak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Korean culture or by attempting to negotiate with their interlocutors. Based on the students’ ability to use speaking strategies, the teaching model of “Introduction- Analysis-Explanation-Discussion-Application-Finishing”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윤정숙,김정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모와 자녀의 원활한 언어적 수단을 마련하고, 실제적으로 가정에서 개방형 의사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이중언어를 발달시킬 수 있는 양육 방법 및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다양한 언어로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국문화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이 부모와 원활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한국문화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하여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여야 한다. 또한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국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초등학생 자녀의 한국문화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국문화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한국과 모국의 이중문화적 정체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유지시켜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인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배고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목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일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는 교실에서는 다양한 문화권의 학습자들과 목표어권의 교사 사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간 의사소통은 다른 문화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대화할 때 생기는 문화적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를 이해하며, 상황에 맞는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으며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서로의 문화 차이점을 인식하여 의사소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갈등을 줄여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으로 탄뎀 수업을 실례로 보여주고자 한다. 탄뎀 수업은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습자가 일대일 즉, 면대면으로만나 학습하는 것이므로 목표어, 목표 문화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적절한 교수학습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에 세 학기 동안 탄뎀 수업을 수강한 외국인 학습자 33명과 한국인 학습자 35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양상을 살펴보며, 또한 탄뎀 수업 운영 방식과 학습자들의 성취도와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Goal of Koreanlanguage education to foreign students is to build communication skillsneeded for their daily lives. Foreign students experience intercultural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from various cultures and the instructorof the target languag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is the ability to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behave properly in thegiven situation and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clearly. This study introduces tandem class as a case of a class for improving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andem class is a class thatapplies tandem language learning in which a group of two people ofdifferent mother tongues gets together to learn each other's language. Intandem class, foreign student and Korean student have one on one,face-to-face session to directly experience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therefore it is the most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33 foreign students and 35Korean students who took tandem classes for 3 semesters; how tandemclasses were managed; and how much the students improved and weresatisfied.

      • KCI등재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에 나타난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Ⅰ의 특징연구

        김유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of the German I of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for the last 4 years (2019-2022) in the field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and to find out whether the questions or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 properly the points of view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well. To this end, in this paper,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lture and communication domain of the German I subject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the two curriculum presented above, and then the questions of the culture and communication part in the German I of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aterial of questions on culture, geography took the largest proportion, and life, language, and tradition were ask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Second, the field of questions on culture was expanded from German culture to German-speaking areas, while questions on culture that could evalu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with people from German culture were not asked. Third, the questions on the communication area were evenly asked in the basic expressions of communication in <Table 1> present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various conversation materials, on the other hand, only two questions were able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cultures. It is true that 2 out of a total of 64 questions on the field of communication for the past 4 years, or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sk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small in number, but the example of the questions can serve as an index for developing questions that evalu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에서 최근 4년(2019-2022) 동안의 독일어Ⅰ 수능시험의 문항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문항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인 문화 간 의사소통의 관점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위에 제시한 2개 교육과정에서의 독일어Ⅰ과목의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의 평가 기준을 각각 살펴보고, 다음으로 독일어Ⅰ수능시험의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문항의 소재는 지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생활, 언어, 전통 순의비중으로 출제되었다. 둘째, 문화 문항의 영역이 독일 문화권에서 독일어권으로 확대되어 출제되었으나, 독일어 문화권 사람과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문화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다. 셋째,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은 다양한 대화 소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본표현에서 골고루 출제되었으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은 단 2개에 불과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최근 4 년간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에 해당하는 총 64개의 문항 중 2문항이 문화 간 의사소통관점에서 출제되었다는 점은 수치로는 적은 편이지만, 이 문항의 사례는 향후 수능시험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 개발을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수업 :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8 No.-

        문화간 의사소통이란 낯선 문화와 가치 체계를 이해하고 낯선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알맞은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며, 그들을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다른 문화권을 배경지식으로 하고 있는 사람과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간 의사소통에 관련된 실질적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문화간 의사소통 교육에 필요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틀로 문화간 의사소통적 지식, 문화간 언어적 감수성, 문화간 풍속과 행위를 교육 요소로 정하고, 인식, 이해, 수용, 창작, 표현을 학습자의 반응 틀로, 차이로 인한 오해 사례, 비교 사례, 조화로운 수용 사례와 같은 관계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제시 틀을 분석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자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간 의사소통의 일화를 제시하여 문제 의식을 제공하였으며, 둘째, 세계화됨으로써 언어문화 이해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자료로 제시하였다. 셋째, 중국 언어문화를 소개하고, 광고, 영화에 나타난 외국인의 관점으로 살펴본 언어문화 이해를 기술함으로써 문화간 의사소통 자료를 제시하였다. 문화간 의사소통 자료는 방대한 양을 다루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공동 연구를 통해 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to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systems of value, to communicate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the appropriate manner, and to understand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other words, that means the practical ability to interact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it is necessary to present substantial material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present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the frame work for present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nowledge, intercultural linguistic sensitivity, and intercultural customs and actions were chosen for educational elements. Recognition, comprehension, reception, creation, and expression were offered as the learners` action framework. Examples of misunderstanding due to differences, examples of comparison, and examples of harmonious acceptance were exhibited as the relations framework for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These frameworks should be studied not by analytical manner but by integrated manner. Through this study educational materials were suggested as follows: 1) Awareness of issues was offered by showing episod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2) Data, supporting the idea that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could be varied by globalization, were presented, 3) Material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by introducing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and analyzing the foreigners`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appeared in advertisements and movies. Further joint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make the systems for treating a large amount of material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영어교실에서 문화 간 화자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실러버스와 과제 구성의 방향

        김진석,장은숙,이효신,윤웅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적응 발달단계와 문화 간 의사소통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2개 반과 중학교 2개 반의 영어 수업에서 설계한 1, 2학기의 실러버스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 적응 단계별 실러버스 및 과제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화 적응 발달 단계는 인식, 수용, 통합 단계로 구분한다. 각 단계들과 문화 간 의사소통 간의 관련성을 논의한 결과, 인식 단계에는 무능력이나 무지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장벽으로 오류를 많이 범하면서 의사소통을 하는 의사소통 전 단계를, 수용 단계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겪으면서도 문화적 장벽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단계를, 통합 단계에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와 의사소통하는 데 문화적 장벽이 거의 없이 적절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의사소통 숙달 능력 단계를 제안하였다. 실러버스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강교사와 홍교사는 문화 간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문화 기반 활동들이 제대로 설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간 화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시청이나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여 문화 간의 차이를 우리말로 설명하기, 노래와 찬트하기, 문화 TPR로 문화 간 차이 체험하기, 문화 간 비교하기, 문화동화법, 문화 퀴즈, 문화 섬 체험 등이 체계 적으로 수업 시간에 구현되도록 실러버스를 계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학교 배교사와 이교사의 경우, 대부분의 활동들이 타문화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머물고 있어서 초등학교의 문화 수업 간의 위계화나 연계성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의 내용을 소재로 하는 활동들을 고려하여 실러버스 및 수업 활동이 좀 더 체계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고려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으로 시뮬레이션, 문화 주제의 소집단 토의, 홈스테이, 문화 기반 상호작용 전략 연습, 구두발표, 역할극, 미니드라마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ing syllabuses and task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intercultural speakers in English class, because the objective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wo primary classes and two middle school classe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 connectedness, scope, and task considering the ways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nectedness and the scop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asks between primary syllabuses and secondary syllabuses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in class were not design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Thus,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the syllabuse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designed systematically.

      • KCI등재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문화학습에 관한 연구

        권영환(Kwon, Yung-Hwan),고지영(Ko, Jee-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문화학습에 관한 연구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영어에서의 새로운 개념인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언어학습에서의 문화학습의 개념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자세히 다루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는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한 문화적 산물과 관습에서 출발하여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이해를 포함하는 사고방식이다.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란 다양한 문화적 상황에서 다른 문화를 바르게 판단하고 그 문화들 속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대화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문화적 능력은 부인, 방어, 최소화의 자민족 중심단계와 수용, 적응, 통합의 민족 상태주의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이 단계는 다른 문화에 대한 경험과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가 다른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의 변화를 보이는 능력으로 발달된다. 둘째, 초등영어에서 이러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문화학습은 목표문화인 영미문화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여 기술과 태도를 학습할 뿐만 아니라 보편문화의 지식, 기술, 태도를 지도하여 어떤 문화권 사람들과도 상호교류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가는 과정이다. 국내외적으로 한국인의 교류가 미국 등 영미권 나라만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문화교육에서 영미권 문화를 포함한 보다 폭넓은 문화권의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의 문화를 지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세계를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어떤 문화권 사람들을 만나도 상호교류 할 수 있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발달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의 새로운 관점과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위치를 재조명 할 수 있는 이론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외국어교육에서 언어의 한 요소로 한정되어 있던 문화학습의 역할이 세계를 더 넓게 바라보는 인식으로 확대될 것이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발달되어 미래를 이끌어갈 세계인의 소양을 기르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culture learning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culture learning in language education are thoroughly review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e is a competence held by a member in society and can be expressed in our lives, as well as influence social interaction in a human society. This starts from shared cultural heritage and customs and evolves to a way of thinking including interaction among members and emotional understanding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one way in which we can evaluate different cultures in a variety of cultural situations and can deal, converse, and interact with diverse cultures appropriately. Cultural competence is divided into an ethnographic conditional st age of denial, defense, minimal centeredness of their own culture, adaptation, and integration. This stage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awareness of differences amongst cultural experiences and cultural differences leading to competence with which we can behave appropriately in a different cultural context. Second, in order to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language teachers need to teach techniques and attitudes of understanding of Western cultures including knowledge about the cultures. We also need to instruct how to develop interactive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the target cultures through learning universal cultur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inally, we, as language teachers, are required to set up the process of instructing our students to interact with and build cultural awareness of not only American culture but with any different cultural group in the global arena.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oretical information which can restate perspectiv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the placement of culture education within this framework. The role of culture learn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one segment of language learning, can be expanded to broader awareness of the world, Through this process, we can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ind significance in cultivating qualifications of global citizens.

      • KCI등재

        基于‘文化沟通’视角的韩⋅中基本色彩词‘붉다’和‘红’的含义对比及翻译方法研究

        王?(Ning Wang) 중국어문논역학회 2020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6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자 문화를 생성하고 표현하는 주요 수단이다. 따라서 언어 간의 의사소통은 단지 단어의 음성이나 개념적 의미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언어를 지탱해 주는 문화 간의 의사소통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언어만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목표 언어를 바탕으로 하여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방법을 파악해야 한다. 언어를 구성하는 어휘 체계 중에 색채어(色彩词)는 사회와 문화 공동체의 특성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 주며, ‘비연속적’인 형식으로 자연 속의 연속적인 색채들을 반영한다. 그뿐만 아니라 색채어 또한 개인적 정감을 드러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화간의 차이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이라는 시각에서 출발해서 한⋅중 양국 문화에 대표적인 색채어로서의 ‘붉다’와 ‘红’이 지닌 연상적 의미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 결과에 따라 문화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진행 할 수 있게 하는 몇 가지 색채어 번역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에서는 ‘어원적 의미’, ‘개념적 의미’, 그리고 ‘연상적 의미’ 이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붉다’와 중국어 ‘红’의 의미를 비교하였으며, 심도 있게 두 색채어휘의 연상적 의미 간의 대응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러한 대응 관계를 ‘연상일치(联想一致)’, ‘연상대응(联想对应)’, ‘연상충돌(联想冲突)’ 그리고 ‘연상충격(联想冲击)’ 4가지 기준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각 연상 관계에 따른 번역법은 ‘연상일치에 따른 직역법(直译法)’, ‘연상대응에 따른 대체법(代替法)’, ‘연상충돌에 따른 직역가주법(直译加注法)’, 그리고 ‘연상충격에 따른 감색의역법(减色意译法)’ 총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Language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culture, and also a main method of generating and expressing cultur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between languages is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phonetic or literal meaning, but also the proces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t not simply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 but further emphasizes that on the basis of making flexible use of the acquired language, both sides are more active and appropriate to select the suitable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ulture. In the vocabulary formation system, color words vivid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cultural community. It expresses the sequential colors in natural world in the form of ‘non-continuity’ and express individual feelings at the same time,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community. As a result, from the specific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paper will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associative meanings between the most representative color words i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the associative meaning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lor words, ‘붉다’ and ‘Hong’ in South Korea and China, thus seeking for several translation schemes that can promote the smooth progres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s paper compares Korean ‘붉다’, Chinese ‘Hong’ and other color lexical groups related to red from three aspects of ‘etymology’, ‘basic meaning’ and ‘associative meaning’ and deeply analyzes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associative meanings of red color in two count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17 kinds of associative meanings in Korean related to ‘붉다’, including 7 kinds of affirmative meanings and 10 kinds of negative meanings. By contrast, there are 17 kinds of associative meanings related to ‘Hong’ in Chinese, including 9 kinds of affirmative meanings and 8 kinds of negative mean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meanings through deep comparison, four corresponding forms of associative meaning ‘associative overlap’, ‘associative correspondence’, ‘associative conflict’ and ‘associative shock’ are sorted out and summarized in this study. At the same time,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four translation methods to promo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at is, ‘literal translation based on associative overlap’, ‘substitution method based on associative correspondence’, ‘literal translation with annotation based on associative conflict’ and ‘free translation with subtraction color based on associative shock’, and lists the specific translation examp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nslation method.

      • KCI등재

        문화 할인’ 시각에서 본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문화 간 의사소통 : 〈나의 붉은 고래〉를 중심으로

        치하이르한(Hairihan Q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애니메이션연구 Vol.17 No.2

        호스킨스(Colin Hoskins)는 1988년 발표한 논문1)에서 ‘문화 할인(cultural discount)’에 대해 글로벌 문화 무역(영화, 애니메이션 등 문화 상품)에 있어 내포하고 있는 문화적 요소가 다른 민족 관객들의 인정이나 이해를 받지 못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2) 또한 국제 문화 무역에는 애니메이션작품 등 문화 상품에서 내포되는 문화 요소가 상품을 제작한 그 민족의 관객들의 인정이나 이해를 받지 못해 일으키는 문화적 가치의 하락도 ‘문화 할인’에 포함 된다.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은 자국 시장에만 한정하지 않고 애니메이션의 생산, 제작, 유통 등 여러 단계에서 국가 간 기업 협력과 해외 진출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작품의 성공적인 문화 간 의사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을 위해서는 다른 문화권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타문화를 이해하면서도 공통점을 발굴하여 문화적 교류를 이루어야 한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문화 간 의사소통 과정에 있어서 ‘문화 할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문화 할인’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오늘날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를 중심으로, 호스킨스의 이론을 통해 〈나의 붉은 고래〉의 문화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 할인’의 문제점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향후 중국 애니메이션의 해외진출에 있어 원활한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Colin Hoskins put forward the concept of cultural discount in his paper “Reasons That The United States Dominates International Market of TV Programs” issued in 1988, which meant that where will be some reduction of the value of products, causing by the cultural factors contained in which are not recognized or understood by other ethnic audiences in the international cultural trade ; or meant that the cultural products like animation will reduce the value of products, causing by the cultural elements of their connotation which are not recognized or understood by the audience in the international cultural trade. Currently, China’s animation industry has cooperated with transnational companies and had cross-border communication in the production, manufacture and sales of animation products,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at is not satisfied with self-produced and self-sale. However, the animation films can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and have common cultural exchang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s the precondition of bette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of animation in different countries. Therefore, we must solve the most urgent problem that how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scount correctly and minimize the impact of it i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communication of Chinese anima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take the animation 〈Big Fish & Begonia〉 as an example, and use Hoskins’ theory to analyze the problem of “cultural discounts” that this animation produces in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so as to provide theory for the futur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of Chinese animation in accordance with.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석영(Han, Seo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ability, empathy abi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99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informed cons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4.0.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fluency in speaking foreign languages and exchange of foreigne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 -tion skill ability(r=.49, p<.001), and empathy ability(r=.27, p<.05)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se factors explained 65% of the vari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ability(β=.45, p<.001), empathy ability(β=.37, p<.001), fluency in speaking foreign languages(β=.19, p<.001), and exchange of foreigners(β=.09, p=.011) in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s developing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using these influencing factors and providing diverse practicum to enhance cultur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수준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 3개 간호대학의 간호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4월 5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관련 특성 중 외국어 구사능력과 외국인과의 경험 정도는 문화적 역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은 문화 간 의사소통(r=.49, p<.001) 및 공감(r=.27, p<.05)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의 영향요인은 문화 간 의사소통(β=.45, p<.001), 공감(β=.37, p<.001), 외국어 구사능력(β=.19, p<.001) 및 외국인과의 교류 경험(β=.09, p=.011)으로 나타났으며 총 65%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 간호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 시 문화적 역량의 하위 구성요소와 영향요인들을 수업설계에 포함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능력 증진을 통한 문화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