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인용을 중심으로-

        손다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2 사고와표현 Vol.15 No.3

        이 연구의 목표는 인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인용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표절을 비롯한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가심각하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에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2022년 2 학기에 S대학과 K대학에서 ‘글쓰기’ 교과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학술적 글쓰기와 표절 경험, 이에 대한 인식, 인용과 인용 교육 경험, 이에대한 지식 등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대학 글쓰기로 학술적 글쓰기를 해 본 적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인용을 해 본 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표절과 인용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해 의도치 않게 표절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스스로 표절해 본 적이 없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를 해소하며 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하게하기 위해서는 인용에 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윤리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차원에서 인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또한 인용의 목적, 방법뿐만 아니라 표절과 구분하는 법을 익히게 하고 이론과 실습을 연계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 도구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비교하기’ 교육 내용 연구

        손다정,정다운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7

        이 연구의 목표는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대상인 초등학생의 학습 도구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비교하기’ 기능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그 교육 내용을 제시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비교하기’ 기능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초등 교육과정과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비교하기’ 기능이 제시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의 주요 교과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되는 ‘비교하기’ 기능의 특징과 구성 요소, 구성 요소별 활용 단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비교하기’ 기능은 전 교과에서 교과의 단원별, 차시별 학습 목표와 관련된 자료를 제시해 학생들이 비교해 보게 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성취해 나가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교과별로는 교과의 특성별로 비교 대상과 비교 활동의 성격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하기’ 기능의 교육 내용은 ‘대상-활동-정리-응용’의 구성 요소를 단계별로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어휘 중심으로 된 표준 한국어 교재(학습 도구)의 내용 구성에서 벗어나 교과 학습에 반드시 필요한 기능별로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분석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손다정,정다운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No.-

        이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교재를 분석해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보고서는 장르적 특징이 명확하여 교양 글쓰기 교재에서도 보고서라는 장르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보고서 쓰기 교육에 장르 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고 장르 중심 쓰기 교수 모형을 확인한 결과 ‘장르 이해하기-협력적 쓰기-독립적 쓰기’ 단계로 교육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교재에서 구현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고서 쓰기 교육은 교재 내에서 그 교육 내용과 방법이 효과적으로 제시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보고서’라는 장르의 사용 맥락과 텍스트의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학습 활동 없이 학습 내용으로만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학습자가 직접 보고서 장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또한 교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협력적 쓰기’를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개별 활동 후 학습자 간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게 하는 활동이 일부 있기는 하였지만 이것은 ‘협력적 쓰기’ 활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마지막 ‘독립적 쓰기’도 쓰기 절차별 안내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과제가 교재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강의에서 보고서 쓰기 교육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먼저 ‘장르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보고서 장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고 분석하고 교사가 설명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협력적 쓰기’ 단계에서는 교사, 동료, 교재와 협력하면서 장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텍스트를 써 보게 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독립적 쓰기’ 단계에서는 글쓰기의 절차에 따라 자신의 보고서를 스스로 써 보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보고서 쓰기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identify the content included and method employed in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 a direction for effective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 academic essay writing is characterized as a distinctive genre, and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provid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cademic essay genre. Accordingly, a genre-based approach to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a genre-based writing pedagogical model was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ages: genre understanding,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nalyzed how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ere incorporated in textbooks.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some elements of content and methodology were not presented effectively in the textbooks. To begin with, the context of using the academic essay gen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xt were often presented to learners as learning content without corresponding learning activities. Hence,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experience and fully understand the academic essay genre.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revealed that most textbooks did not present cooperative writing as an activity. Although there were some activities instructing learn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providing and receiving feedback after completing individual activities, they were not considered cooperative writing activities. Finally, tasks for independent writing, in which learners were fully informed about each step and allowed to write freely, were not proper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First, in genre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tep wherein learners ask questions and analyz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n, the teacher should provide an explanation to enhance learners’ independent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essay genre. Next, in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it is necessary to instruct learners to write the actual academic essay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genre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colleagues, and the textbook. Finally, in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learners need to write academic essays by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ated writing procedure. The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 KCI등재

        Examining Factors Affect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 Focusing on School Organizational Features

        손다정,강호수,최보미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6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 focusing on school organizational features. More specifically, we look at organizational features of a school type (Hyukshin school), an open school climate, and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management. The study uses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and samples 1,277 teachers at 159 middle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ults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use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d the Hyukshin School, while an open school climate and the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management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use of teachers’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손다정,정경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Korean History items of the TOTKA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etermine whether they met the test's objectives, and, based on that, offer recommendations on improving the items on Korean history. For this purpose, the previous first sixteen tests were used to extract all the Korean history items, which were then assessed for content, item style, difficulty level, and degree of discrimination. The scope and importance of the Korean history knowledge covered in the test were confirm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rough item-typ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with only a few "knowledge utilization type" ques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items' difficulty and degree of discri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area had higher difficulty and a lower degree of discrimination than other areas of Korean studies. Based on this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urrent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as limited in its assessment of a candidat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refore,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on how to improv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section in a way that fulfills the requirements of this test while enabli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 effectively teach the Korean language using their knowledge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교양 교육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과의 교육 내용 분석

        손다정,김혜령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6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llege writing syllabus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hereby suggests the educational contents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college writing as part of general education. College writing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nd has a clear identity in essential liberal arts in academic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writing as a liberal arts subject, and highlights its potential. It targets three universities that have included college writing as a common,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 with unified educational content. Finally, we analyze the curriculum goals, credits, as well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has meaningful implications that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secure its identity as a liberal arts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al contents and practices suitable for it.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continuous writing education is necessary while embody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writing. 이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양 교육 차원의 글쓰기 교과 교육 내용을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 교육이 교양 교육으로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글쓰기는 교양 교육으로서 분명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교양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양 과목으로서의 글쓰기 교과목의 성격에 대해서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글쓰기를 전체 공통의 필수 교양 과목이자 통일된 교육 내용으로 운영하고 있는 세 학교의 글쓰기 교과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각 학교의 교과 목표, 학점 등의 기본 정보, 교육 내용 등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양 교육으로서 글쓰기 교과목의 내용 구성과 운영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이 교양 교육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그에 어울리는 교육 내용과 실습을 설계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대학 글쓰기의 특징을 구현하며 지속적인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