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초등학교 문학 수업의 유형

        곽춘옥 ( Chun Ok Kwa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초등학교 문학 수업은 문학을 가르치기 위해 언어기능을 활용하는 `문학을 위한 수업`과 언어기능을 가르치기 위해 문학을 텍스트로 사용하는 `문학을 통한 수업`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모두 문학 수업으로서의 문학 감상과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동시에 지도하여야 한다. `문학을 위한 수업`이 문학 수업이되 언어 사용과 함께 이루어지듯이, `문학을 통한 수업` 역시 수업의 주안점은 각 수업의 목표가 지향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의 신장에 두되, 문학 감상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의 `실제`를 보면 `지식`은 <문학의 본질과 속성>, <문학의 양식과 갈래>, <한국 문학의 역사>로, `수용과 생산`은 <내용 이해>, <감상과 비평>, <작품의 창조적 재구성>, <작품 창작>의 내용으로 분류하고 있다. `지식`을 학습 목표로 반영한 수업은 `이해학습`이며 `수용과 생산`을 학습 목표로 반영한 수업은 `적용학습`이다. `지식` 중심의 이해학습에는 문학 지식 습득을 위한 수업과 문학 감상을 위한 방법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학 수업의 이해학습일 경우 직접 교수법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과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수용과 생산` 중심의 적용학습은 익힌 방법을 적용하여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과 비평을 하는 수업이 이루어진다. 적용학습이라고 해서 모두 반응 중심 학습 모형의 절차만을 따르지는 않아야 한다. `가치 탐구학습 모형`, `토의·토론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등 다양한 모형을 적용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type of Literatur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It is based on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language skill and `practice` in Literature curriculum. Literatur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is teaching fiction and teaching through story. We should taught both Literature appreciation and language skill ability extension at teaching fiction and teaching through story. The content of `practice` in Literature curriculum is `knowledge` and `reception and production`. The comprehension instruction is content of `knowledge`. This might include knowledge about strategies, text and about genres. The application instruction is content of `reception and production`. This might include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Literature appreciation. The comprehension instruction is able to use direct teaching, knowledge study learning, problem solution learning. The application instruction is able to use response center learning, value investigation learning, discussion·debate learning, creation developing learning.

      • KCI등재

        한국문학번역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과 교재의 개발방향

        윤정화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4 No.-

        본고는 한국문학 번역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 다는 인식하에 시도되었다. 본고는 한국문학번역원에서 2012년 9월에서 2014년 6월까지 1년 반 동안 한국문 학번역을 위해 선발된 외국인 학습자 5기와 6기(2기)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와 심층인터뷰 방법으로 교재와 그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 사항을 조사한 결과를 수 록하였다. 이 조사에는 2012년부터 2013년 한 해 동안 한국문학과 한국어 학습을 수료한 학생 15명과 이제 새롭게 한국문학번역을 연수받을 학생 16명, 총 31명이 참여하였다. 이 설문지의 내용을 토대로 하고 현재 번역 연수 지원을 받는 학습자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학 번역 목적의 한국 어 학습자들의 교재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 본 것이다. 교재를 개발하기에 앞서 이들의 학습 목적을 조사하는 이유는 기존의 한국문 학 번역 교과목의 목표가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이었기 때문이다. 즉, 기존 의 강좌내용은 한국어 능력 함양이 목적이고 이에 한국문학은 한국의 사회 문화 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도구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한국문학번역 학습 자들의 학습 목적은 한국문학의 이해와 분석, 그리고 번역 자체이므로 그 목적 자 체가 매우 다르다. 조사 결과, 한국문학 번역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문학을 이해하고 표현할 때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이 필요하다는 답을 했다. 즉, 문학 작품과 함께 한국문학을 이해할 수 있는 문학관련 서적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하는 어휘 와 문법 표현 등을 숙지하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문학번역 목적 학습자 들은 한국문화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관용적 어휘나 표현을 배워 한국 문학, 이 중에서도 소설 작품이 갖고 있는 특수한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기를 원했다. 학습자의 목적에 맞는 교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맞 는 교육 내용으로 교재가 구성되었을 때 교육의 효과는 커질 것이다. 한국문학 목 적 학습자의 요구에 맞도록 한국문학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배경지식을 담은 어휘들과 문학적인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어휘들을 학습한 후 그 이해한 내용을 표현할 때 요약, 정리하고 자신의 문학적 소감을 표현할 수 있는 쓰기 능 력에 적합한 문법 요소들을 선정하여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with a purpose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contains results of a survey on demands about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foreign learners selected by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to translate Korean literature for one and half years from September 2012 to June 2014. A total of 31 students, including 15 students who finished lessons on Korean literature and the Korean language for a year from 2012 to 2013 and 16 students who will join a free training program for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took part in the survey. An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needs of Korean learners with a purpose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based on contents of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6 learners who were taking part in the free translation training program. Those learners had sufficient experience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had the high level Korean language skills. They expressed high demands on reading and writing, out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s they wanted to have skills on reading and writing, they needed knowledge of a vocabulary, idiomatic expressions, grammar and the sentence structure.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to rais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novel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survey, those Korean learners needed Korean language skills needed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Korean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y wanted to learn a vocabulary and grammatical expressions mainly to improve an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literary works and literature-related books. Those persons wanted to acquire an ability to understand special meanings of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novels, through learning idiomatic terms or expressions that they couldn't know without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The effect of education will get larger when various materials satisfying learners' purposes are developed and teaching materials contain right contents for learners' needs. Proper grammatical elements for the writing ability should be selected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so that students with a goal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can learn terms containing background knowledge needed to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ose Korean learners and a vocabulary necessary for understanding literary expressions and then they can summary, arrange and express their literature impressions for expression what they understand.

      • KCI등재

        활동 중심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김규선,진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6 No.-

        문학 영역에서 '활동'중심 교수-학습의 의의와 한계를 밝혀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고, 실제 현장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은 여러 가지 의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의 상황에서는 자칫 학습독자들에게 진정한 문학 감상이나 체험을 제공하지 못한 채 학습독자들이 활동 자체에 매몰되어 활동은 있었으되 문학 감상은 없는 수업이 되는 경우 등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의 전개를 위한 방안으로, 계획된 활동이 어떤 문학능력을 기르려고 하는 것인지를 교사와 학생모두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서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여러 번 되새기는 기회를 갖는 것과 더불어 활동의 결과와 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전개되는 학생 활동을 교사의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발문에 의해 관리하고 지도하는 것, 교수-학습의 목표에 맞추어 활동들의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교사의 능력, 활동의 방향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간단한 메타적 조작과정을 병행하는 것 등을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는 각명(inscription)장치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ctivity-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adopted in literature in terms of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o search for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ir application to the field. Despite the many implications,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 doe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failing to provide true literary appreciation or experiences to the students under specific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nd letting the students be lost themselves in the activity itself with no literary appreciation. The followings are the plans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and to make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 more effective: first, they should remind themselves of what literary capacities are targeted in the planned activity over and over again so that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can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m throughou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y also need to do reflective thinking on the results and process of the activity. The teachers need to use their planned and intentional postscripts to monitor and guide the student activities,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allocate time to each activity properly according to the goals of teaching-learning, and to introduce a simple meta-manipulation process to adjust and control the directions of the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

      • KCI등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해석 양상 연구 : 정지용의 <향수>를 중심으로

        황티장(Hoang Thi Trang),김지혜(Kim Jee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베트남인 대상 한국문학교육에서 대학생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이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향후 베트남인 대상 한국 현대시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는 베트남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되는 모국 문학을 통해 문학 능력을 형성한 자들로, 외국 문학을 읽을 때에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학습자들이 모국 문학 기반의 문학 능력을 외국 문학의 독서에 활용하는 방식과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들이 정지용의 <향수>를 읽고 적은 감상문을 수집·분석하여 베트남 문학 기반의 문학 능력이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문학 독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했다. 그 결과, 베트남인 대학생 학습자들은 <향수>와 이미지와 형식이 구축하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베트남의 시교육을 통해 학습한 시의 장르적 특성을 도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수>가 일제 강점기에 발표된 시라는 정보는 학습자들이 베트남의 식민지 문학에 대한 선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이끌었다. 또한 <향수>의 주제의식이나 문학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그동안 베트남의 문학사가 자국 문학의 해석과 의미화에 투영한 가치의식을 활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과 베트남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 국가이자 근·현대사적으로 유사한 사건을 공유한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양국의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과 국가적 이념의 토대는 상이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베트남 문학을 통해 형성한 문학 지식을 한국문학 독서에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몇 가지 교육적 처치가 가해질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학교육이 다룰 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among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the curriculum of Korean modern cities for Vietnamese in the future.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 learners are those who have formed literary skills through Vietnamese literature taught and learned through Vietnam’s national curriculum. They use knowledge learned through literature in their home country when reading foreign literature. However,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se learners’ use of reading ability based on their native literature for reading in Korean literature has not been revealed. Therefore, in this study,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 learners read Jung Ji-yong’s Hyangsu and collected and analyzed a small amount of sentiments, confirming the influence of Vietnamese literature-based literary ability based on Vietnamese learners’ reading of Korean literature. Results confirmed that Vietnamese university student learners could be introduc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poetry in order to analyze the meaning of “fragrance,” image, and form. Hyangsu, the colonial paper published in the period of Shirahama information, was used so that learners could actively use their knowledge of the colonial literature of Vietna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Vietnamese literary historians used the value consciousness projected in Vietnamese literature to identify the literary meaning and value of Hyangsu. Korea and Vietnam belong to East Asian culture, and they are neighboring countries that share similar events through dialogue. However, the specific historical events of both countries and the foundations of national ideology are clearly different. Therefore,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utilize literary knowledge formed through Vietnamese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reading, it is necessary to apply educational measur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pecifically explores the content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5~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문학 학습 용어의 양상

        양정실(Yang Jeong-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에서는 초등 5~6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문학 내용 성취 기준이 학습 용어로 구체화된 양상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는 학생들이 접하는 문학 텍스트뿐만 아니라 문학 학습을 통해 접하는 학습 용어에 의해 서도 형성된다는 점에서 문학 학습 용어 검토의 의의가 있다. 문학 학습 용어를 살펴본 결과, 문학 내용 성취 기준에 제시된 어휘보다 이를 구체화·상세화하는 어휘가 많았다. 성취 기준별로 학습 용어의 개수에 편차를 보이며 학습 용어의 확장성이 두드러지는 성취 기준은 문학 ‘(6) 작품의 일부를 바꾸어 쓰거나 다른 갈래로 바꾸어 쓴다.’ 성취 기준이고, 반면 문학 ‘(7) 자신의 성장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작품을 즐겨 읽는 태도를 지닌다.’ 성취 기준은 적합한 학습 용어를 동반하지 않은 채 다른 문학 성취 기준에 기대어 단원으로 구성된 현상을 보였다. 문학 ‘(2) 작품에서 말하고 있는 사람의 관점을 이해한다.’ 성취 기준에 대해서는 ‘말하는이’의 정의와 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작품의 선정이 적절하지 않아 성취 기준의 취지를 풍부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문학 학습 용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연구·개발 과정에서 성취 기준의 교재화 적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교과서 개발 단계에서 학습 용어를 정련하기 위한 체제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literary content standards are embodied in literary learning terms in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 korean textbook. Student 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literature are formed not only by the text they read but also by the literary learning terms they encounter in literary learning. Literary learning terms are consist of a few literary content standards terms and much conception and non-conception learning terms. And literary learning terms per standard differ in number. Literary learning term as such narrator is not explained correctly. To improve literary learning terms, it is needed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content standards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curriculum and to have proper form to refine literary learning terms in developing textbook.

      • KCI등재

        고전문학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 연구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6 No.-

        본 논문은 문학 교실 내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고전문학의 향유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고전문학의 심미적 체험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것이라는 관점에 의거하여 본 논문에서 기획하는 학습자 감상 질문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 비평적 유효성을 지닌 감상 질문을 생성함으로써 질문 주체가 감상 질문 생성 이전과는 다른 감상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문학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문학 교실 내에서 감상 질문 교육을 시행하려 한다면, 교사는 감상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 이루어지는 일을 파악하고자 할 것이다. 예상할 수 있는 바처럼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은 지극히 역동적일 뿐 아니라, 감각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에 주목하는 문학 이론ㆍ교육 이론에 의거하는 이론적 탐색과 학습자와 문학 작품 사이에서 이루어진 일의 결과물들로부터 과정을 유추하는 추론적 접근이 가능하다. 학습자의 감상 질문은 학습자가 텍스트와 접하며 재현한 ‘문학 작품’에서 틈새를 발견하고, 그것을 문학 작품의 구조 내 결핍감이나 부족함으로 인식할 때 비로소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문학 교실 내 학습자가 작품 감상 과정에서 만들어내는 ‘문학 작품’은 서로 다른 세계이고, 그 문학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학습자가 활용하는 요소가 다르며, 학습자들은 서로 다른 세계에 대해 질문하기 때문에 동일한 텍스트를 감상하고도 서로 다른 질문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이 자료로 삼은 문학 교실 내에서 학습자들이 감상 질문을 만드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크게 ‘문학 작품의 재현과 관련된 어려움’과 ‘감상 질문의 비평적 유효성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문학 교사가 제시할 수 있는 피드백 중 하나는 학습자가 감상 질문을 생성하며 경험했던 연쇄적 과정을 문학 교실 전체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문학 교실에서 감상 질문의 연쇄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제출한 선행 질문에 후속 질문을 제안하는 것이다.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을 학습자가 생성하도록 의도할 때 교사의 역할은 문학 교실에 제출된 감상 질문 사이의 의미 관계를 발견하여 학습자들의 감상 질문을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으로 연계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의 감상 질문들은 해당 작품을 감상하는 문학교실 속 그물망 속에서 감상을 위한 의미 요소로 기능하며 교사는 개별 감상 질문들 속에서 연계되는 속성을 찾아 감상 질문들의 연쇄를 구성해냄으로써 문학 교실 내 감상 내용을 조직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learners' queries in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at they enjoy in a literary classroom. Learners' enjoym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to continue experiencing the esthetic experience spontaneously and positively. Learners make queries while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hen they discover disparities and recognizes deficiencies in a literary work, or textual representation. Since learners utilize different facts to represent a literary work from a text, they make diverse and various queries for appreciating in a literary classroom.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represent a literary work from a text and to make queries regarding critical validity. The teacher could plan a course as a chain of queries, which a learner experiences a chain of queries in person through the process of queries while appreciating, in a literary classrooms.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와 수업 방안 연구 - 김애란의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중심으로 -

        양가영 ( Yang¸ Ga-yo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3

        한국어와 한국학에 대한 교육의 수요가 비약적으로 늘어감에 따라,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심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재정의하고, 그에 따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논의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내용, 목표, 방안을 문학성에 기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 교육의 목표에서 문학성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문학성을 고려하였지만 한국문학을 타자화시키거나, 문학성을 고정된 이론적 지식으로 규정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런 이유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진행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교육 방안 또한 문학성을 반영하여 제시되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하고, 김인환과 윤혜준의 논의를 참고하여, 문학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의 체험와 문학의 조우이며, 교육자는 이를 위해 문학적 지식을 준비하고 학습자와 문학의 조우에 민감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며 도와야 함을 밝혔다. 여기서 문학성을 구성하는 문학적 지식은 문헌학, 해석학, 수사학의 층위로 구분할 수 있고, 외국인 학습자에 대해서는 세 층위에서 한국 학생에게 필요한 내용과는 다른 준비가 필요하다. 이는 학습자의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배경 그리고 한국어 능력에 기반하여 각기 다르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학습자의 문화, 역사, 사회를 교육자가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전제할 때, 교육에서 그 문학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고, 문학성이 있는 작품은 어려운 작품이라는 기존의 논의에 반박하였다. 문학성이 풍부한 작품은 그 문학성으로 인해 흥미와 공감을 유발하여 교육에서 용이할 수 있으며,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고, 고전보다는 현대문학에 대한 교육이 요구됨을 밝혔다. 나아가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문학 교육은 그 한계를 구분하고, 한국문학 교육으로 고급 학습자를 이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가 이와 같은 문학성과 용이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작품임을 보이고,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의의를 검토하고,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과정에서 문학 향유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담론-대화 중심의 수업 방안의 적합성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논의에 대한 반성적 재고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감상과 이해 그리고 표현이 중요함을 밝혔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소통, 결여, 자본에 대한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통찰을 담고 있는데, 이는 어려운 듯이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현대 사회와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삶에 대한 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전제이다. 이와 같이 깊이 있는 사고와 감각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학적 교재는 한국어 고급 단계의 성인 학습자에게 삶의 문제를 함께 생각하게 하는 충족감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국문학 향유의 결과는 고급 한국어의 학습을 포함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향유하는 과정을 주도하는 형태의 수업으로 담론-대화 중심의 수업 방안을 적합하다고 보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방안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인 세 담론인 소통부재, 결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소외로 정리하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방안을 계획 단계, 수업 단계, 외부로의 확장 단계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그 결과로 「나는 편의점에 간다」가 용이성과 문학성 그리고 현재성을 가진 한국문학 수업의 교재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수업에서 최대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문학성을 향유할수록 고급 한국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 향유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소통, 결여, 자본에 대해 문학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느끼고 사유하게 된다. 언어는 표현의 단계뿐만 아니라 사유와 감각의 단계에서도 작용한다. 끝으로,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이와 같이 고급 한국어 교육 또한 다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재이며,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각 수업이 포섭할 수 있는 문학성을 명료하게 인지하고 진행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문학이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으로 배제되고 소외되는 노동과 소비의 현실에서 소통과 연대의 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As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Korean and Korean studi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need to expand and deepen discussions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increasing. Accordingly, I redefin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a teaching plan. As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evious discussions didn’t consider literary nature analyzing content, goals, and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e education were discussed without profound study on literary character. For this reason,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ould not be conducted, and accordingly, the educational plan was not reflected in the literature. Being based on this critical review, and referring to the discussions of Kim In-hwan and Yoon Hye-jun,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is the encounter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literature, and the educator prepares literary knowledge for this and is sensitive and appropriate to learners’ and literature’s encounters. Educator needs to respond enthusiastically to help the students make their experiences encounter literature. Here, the literary knowledge constituting the literary characristic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emenscions of philology, hermeneutics, and rhetoric, and educator need to prepare for the knowledge foreign students need differently from Korean students depending on their cultural,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Korean proficiency.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ors to actively understand and learn the learner’s culture, history, and society. When presupposing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literary nature in education, and the existing debate that literary works are difficult works was refuted. The literature that is rich in literary nature can be facilitated in education by inducing interest and empathy due to its literary nature manly hermeneutics and rhetoric. Besides, literature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needs to be studied for adults, and education for modern literature rather than classics is required considering literary nature.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hich is being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distinguished by its limitations and progressed to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advanced learners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 Go to Convenience Store shows that it is a work that can secure such literary and ease at the sametime,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to realiz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uggesting a teaching exampl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appreciating literature in the course of I Go to Convenience Store I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course-convers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s a reflective re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discussion, emphathyzing learner ’ s voluntary and lead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it. I Go to Convenience Store contains literary, philosophical and social insights about communication, lack, and capitalism, which may seem difficult. However, this is a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premise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universal life of human beings now. The literary text that affects the entire process of deep thought and sensation as described above can enable the adult learners at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to think about the foundation problems of life. The results of this appreciation of Korean literature must include learning advanced Korean language. In this way, as a form of instruction that leads learners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the discourse-convers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is considered appropriate, and the teaching method of I Go to Convenience Store is presented as an example. The three main discourses to understand I Go to Convenience Store are summarized as absence of communication, lack, and alienation in a capitalist socie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 go to a convenience store” is suitable as a textbook for Korean literature classes with ease, literary and presentness. In the class, the more students learn and lead literacy, the more advanced Korean learning can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literature aimed at I Go to Convenience Store learners feel and think literarily and philosophically about communication, lack, and capitalism. Language works not only at the stage of expression but also at the stage of thinking and sense. Lastly, I Go to Convenience Store is a textbook that can be achieved in a multi-layered way as well as high-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need to recognize that it could cover where their class cover the literary nature of the work.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in the reality of labor and consumption that is excluded and alienated as a transnational aspect.

      • KCI등재

        고전시가 감상 국면의 재미 흥미 의미 - <백설이 □자진 골에>의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29 No.-

        본 논문은 고전문학의 감상 국면에서 학습자가 경험하는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통한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은 재미/흥미/의미를 유사한 범위의 개념 범주로 설정하고, 고전문학교육의 재미/흥미/의미에 관심을 지닐 때 고전문학교육의 어떤 사태에 주목하여 그것을 해결 할 수 있는가에 집중하였다. 고전문학의 재미/흥미/의미가 발현되는 위치는 ‘사이[between]’이다. 즉, 고전문학의 재미/흥미/의미는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시에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시작과 끝지점 사이에서 드러난다. 전자는 고전문학교육에서 발현되는 재미/흥미/의미의 주체 문제를 제기하며, 후자는 고전문학교육에서 재미/흥미/의미는 반드시 시간적 지속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고전문학교육의 목표인 학습자의 문학능력 신장을 위해 교사와 연구자가 체계화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교수-학습 활동을 ‘하나의 교육적 경험’[An Experience]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고전시가 학습자에게 익숙한 개념이되, 낯선 체험인 ‘감정이입’과 ‘공감’에 집중하여 하나의 교육적 경험에 산포되어 있을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감정이입과 공감의 공통점은 자아와 분리된 타자의 위치에서 ‘관점 취하기 [Perspective-Taking]’를 통한 정서 체험이라는 점이며 차이점은 취하는 관점의 방향에서 비롯한다. 본 논문은 학습자가 자신이 시적 화자와 같은 상황에 처할 경우 자신의 정서를 상상하는 것을 감정이입으로, 반면 학습자가 시적 화자의 위치에서 시적 화자의 정서를 상상하는 것을 공감으로 구분하였다. 학습자를 감정이입이나 공감으로 이끌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시적 화자의 자리에 위치’시키는 일이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는 시적 화자가 처한 자리, 곧 시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연결된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시적 상황에 내포된 모호성을 드러내는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할 수 있다. 고전시가의 해석 장면에서 찾아내는 모호성은 학습자들에게 선택 상황을 제공하며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근거를 요구하기에 더 깊은 이해로 나아가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후 학습자는 자신의 선행 경험을 끌어와 텍스트 내 시적 화자에게 감정이입하거나 시적 화자의 관점을 취하여 시적 화자의 행동과 처지를 이해하는 공감 활동을 시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전문학교육에서 감정이입과 공감 경험을 구체화하여 설계할 때, 교사와 연구자는 학습자가 감지할 재미/흥미/의미에 대해 단언할 수 없다. 다만 교육적 경험을 구체화하는 입장이라면 교육적 경험에서 비롯할 재미/흥미/의미의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을 뿐이다. 감정이입과 공감 경험은 학습자들이 ‘하나의 교육적 경험’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재미/흥미/의미, 다른 인물 되기의 재미/흥미/의미, 시적 모호성 속에서 문제 상황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주체가 되는 재미/흥미/의미, 자신의 선행 경험을 되돌아보거나 일상생활에서는 겪지 못한 상황 속 정서를 상상적으로 경험하는 재미/흥미/의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un, interest and meaning in the empathic experience when one appreciates a classical poem. In the Korean classical education, fun, interest and meaning between a Korean classical text and an learner are close categories in the way that they have similar operations and effects. This thema leads to pay attention to who the subject experiencing fun and interest and giving meaning is. It is a learner. This study designs an educational Experience - empathy which is familiar concept but strange experience - for fun, interest and meaning between a Korean classical poem and a learner. A method for a learner to experience empathy has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take a poetic speaker's position in a Korean classical poem. The second is to search for the ambiguities of the poem to understand the poetic situation. The third is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one is self oriented perspective-taking, the other is other oriented perspective-taking. There might be various fun, interest and meaning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 for example fun, interest and meaning of taking par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being another character, finding a problematic situation and solving it in the ambiguities of the poem, reflecting the previous life or imagining emotions that a learner has never undergone.

      • KCI등재

        고전문학 ‘학습(學習)’의 경험과 ‘재미’의 문제에 대한 논의

        염은열 ( Yeum Eun-yeu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재미’라는 말이 오늘날 학생들이 고전문학의 재미를 경험하지 못하는 문제적 사태에서 부각된 개념임에 주목하였다. ‘어려워서 재미가 없다’는 학생들의 말을, 낯선 고전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해석한 경험, 즉 성공한 학습의 경험이 없다는 고백의 말로 보고 고전문학의 재미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학습[배움]은 학습자가 낯설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만나 자신의 이해 지평을 넓히는 창조적인 행위다. 이러한 ‘학습’의 본질에 비춰볼 때 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어려워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교육적 사태이며, 학습자들이 그 어려움을 주체적으로 극복하였을 때 고전문학의 재미나 즐거움 또한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교수ㆍ학습의 차원에서 놀이나 게임, 흥미 있는 소재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줄여주고자 노력할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의 본질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게 하고 학습 주체로서 인지적 어려움이나 곤란함을 극복하고 작품에 대한 자기만의 이해 및 해석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식을 보다 구조화하여 교육 내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특정한 교수ㆍ학습 방법이나 접근 방법을 고수하기보다는 우연성이 개입하는 학습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필요하다고 보았다. 나아가 제도적ㆍ공적지지가 사라진 시대, 고전문학 학습의 새로운 전통과 문화를 마련하려는 일이 시급함을 주장하였다. In this paper, we supposed the word 'interest' was caused by problematic situations that our student didn't experience pleasure or interest in Korean old literature in school. This statement "I am not interested in Korean old literature because of its unfamiliarity or difficulty" is a kind of confession that students has no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of Korean old literature. Successful learning is started by being confronted with cognitive difficulty and is come to a period by expanding cognitive horizon by overcoming difficulty. From the viewpoint of learning, the cognitiv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Korean old literature is meaningful itself. It is important for us to know the natur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o recognize our role as assistant and facilitator to help students' learning of Korean old literature. For students' successful learning, we suggested that structured knowledge have been constructed (or discovered) and supplied as contents of Korean old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 and flexible and creative response and intervention had been required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not only looking for fascinating method or items. All these efforts should contribute to create a new tradition of learning of Korean old literature in these days.

      • KCI등재

        문학하는 시대, 다시 문학 속으로

        염은열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9

        The perspective, concepts, and practices of education have all changed significantly following the pandemic. This paper diagnoses the situation as a serious challenge that requires not just quantitative prescriptions but a comprehensive adjustment and restructuring of the literary education ecosystem. In response to this problem,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learners, and literary classroom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change our questions from “how to use media” to “how to live with media,” and to consider new educational systems that suit the learning styles of Phono sapiens while also recognizing the need to change modern literature education from being reading-focused.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in order to emphasize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the “agency” of students as the topic of fu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and reconstruct the ecosystem of literary education, starting with the concepts. Although it may conflict with other orientations and philosophies, ultimately, proposals, discussions, experiments, and solidarity related to these concepts must be developed in research and practice if the concepts of “well-being” or “agency” are to occupy a significant place(niche) in the ecosystem of literary education. In addition to expanding our perspective on literature from “reading/writing” to “doing,” there is a need for innovation in educational methods that places the learner's literary assets at the center, respects and understands their participation and execution. As designers of the learning journey, literature teachers should support learners in experiencing positive learning and remembering the experiences of discovery and achievement, enabling them to explore the world of literature in-depth and extensively using their digital devices and other assets. 팬데믹 이후 교육에 대한 생각과 실천 양상 등 모든 것이 달라졌다. 양적 처방을 더하는 수준에서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문학교육 생태계 전반을 조정하고 재구성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도전의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먼저 매체 환경과 학습자 및 문학 교실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넘어 ‘미디어와 더불어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로 우리의 질문을 바꿀 필요가 있으며, 포노 사피엔스들의 학습 방식에 맞는 새로운 교육 제도에 대해 고민하는 한편, 읽기 중심의 근대식 문학교육 역시 달라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습자 개인의 ‘성장’이나 ‘발전’이 아니라 개인은 물론이고 공동체의 ‘웰빙’이, 학생의 ‘행위주체성(주도성)’이 미래 교육의 화두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문학교육 개념 생태계, 나아가 문학교육 생태계 역시 이 두 개념을 중심으로 조정되고 재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다른 지향과 철학을 담고 있는 기왕의 개념들과 갈등하겠지만, 결국에는 ‘웰빙’이나 ‘행위주체성’이 문학교육 개념 생태계에서 적소를 차지할 것이라고 낙관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연구 및 실천의 장에서도 여러 관련 제안과 논의, 실험 및 연대가 있어야 한다. ‘읽다/쓰다’를 넘어 ‘하다’로 문학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학습자의 문학 자산을 존중하고 파악하는 한편, 학습자의 참여와 실행을 중심으로 교육 방법 역시 혁신할 필요가 있다. 학습 여정의 설계자인 문학교사가 학습자들이 긍정적 문학(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언젠가는 학습자들 스스로 그 발견 및 성취의 경험을 기억하며 자신이 보유한 디지털 기기 등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학의 세계를 깊이 그리고 두루 탐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이란 결국 자기 학습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며, 공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는 오늘날의 문학교육 구도와 내용 전반을 해체하고 비판적으로 조정 및 재구성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