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한인작가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모국 이해와 치유의 서사적 재현

        윤정화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40 No.-

        재일한인에게 모국은 상처다. 모국을 밝히는 순간, 정주국에서 배제되는 아픔의 기억은 오 랜 트라우마로 작용한다. 재일한인작가 이양지1) 또한 이러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었다. 일본에 서 여러 겹의 경계 밖에 살면서도 그녀는 자신의 불행을 끌어안고만 있지 않았다. 그녀는 상 처를 방치하지 않았고 자신의 상처를 들여다보고 적극적으로 그 상처의 기원인 모국에 대한 이해를 예술적으로 승화하기 위해 노력한 작가이다. 치유는 상처를 이해함으로부터 시작된다. 자신의 상처를 외면하지 않고 회피하지 않기란 쉽지 않다. 이양지도 처음에는 자신을 불행하게 하는 상처의 기원을 알고 외면하고 부정한다. 그러나 부정은 치유를 약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상처에 화해와 용서의 손을 내민 다. 그것은 이해하기의 행위이다. 그녀가 모국을 이해하기 위한 행위는 모국의 소리와 모국의 몸짓에 본능적인 끌림으로 재현된다. 1975년, 이양지는 가야금과 한국춤사위에 매혹당하고 그 소리와 몸짓이 자신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것을 느낀다. 이양지는 이 모국의 감각이 모국에 대 한 상처를 치유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녀는 이 모국의 감각을 직접 모국에서 체득하기 로 결정한다. 이양지는 <해녀>, <각>, <나비타령>과 <유희>에서 그녀가 체험한 모국을 재현한다. 그 녀는 소설에서 자신이 아닌 타자의 시점과 목소리로 자신을 대상화하고 객관화한다. 이러한 시점변화기법은 모국을 이해하고 치유하려는 역지사지, 입장바꾸기의 서사적 재현이라 할 수 있다. Korean-Japanese female writer Yang-Ji Lee is outsider, or minority, that has not been able to settle down in her host country. Lee is a subaltern who has suffered. At the origin of her pain is the fact that she has settled down in Japan as part of a diaspora. She experienced a higher degree of alienation and exclusion in her motherland, which she had visited out of longing. To the diaspora living in a host country, the motherland is a wound that can never be stitched up. However, she overcomes the violence prejudice of those that regard her as an object through efforts to objectify herself through her work. Yang-Ji Lee discovers her identity by reviewing and pondering her status as an 'other'–a status created through the views of the majority. The healing of her trauma is completed inside the novel, which is the space of writing.

      • KCI등재
      • KCI등재

        경계에 서기, 세계문학이 되기 위한 서사와 번역의 전략 - <엄마를 부탁해>의 작가 신경숙과 번역가 김지영 사례를 중심으로

        윤정화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4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역동적 장에서 나름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무엇을 쓸 것인가와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지속되어야 한다. 세계문학은 나름의 차이를 지닌 다양한 문학이 세계로 확산되어 만들어 가고 있는 역동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의 영미권 출판 시장의 개입의 사례를 통해서 세계문학의 장에 진입하기 위해 한국문학이 취해야 할 서사적 전략과 번역의 전략을 정리해 보았다. 신경숙 소설은 서사 전략에 대한 창조적 사유가 있었기에 새로운 차이를 가지고 한국문학 바깥의 문을 두드릴 수 있었다. 신경숙 소설의 서사적 전략으로 인해 반복되어 익숙한 원형으로서의 ‘엄마’는 ‘아무도 모르는’ 낯선 존재로서 우리 모두가 죄책감을 가지고 찾아야 할 대상이 된다. 원형의 존재인 ‘엄마’는 소설가 신경숙의 서사전략을 통해 경계적 존재인 ‘엄마’가 된 것이다. 그리고 경계인 김지영이라는 번역가의 프리즘을 통과한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는 경계인 번역가 김지영이 자신이 위치해 있는 경계에서 다시 쓴 새로운 창작품이 된다. 김지영은 미국의 수요에 응답하는 한국의 작품을 해석한 후 자신을 길러 준 문화적 시각으로 ‘다시 쓰는’ 재생산의 과정으로 번역을 창의적 활동으로 전환한다. 그리하여 이 경계의 긴장감으로 타 번역가와는 다른 차이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신경숙 작가와 김지영 번역가가 만들어낸 세계문학으로의 소통은 비서구와 서구가 함께 문학의 생산과 번역을 통한 수용 과정으로 구축해 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 대한 국내외 평가와 국내외 수용의 평가를 통해 앞으로 세계문학에서 한국문학이 더 많은 영역을 점유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1980년대 역사소설 『객주』에 투사된 대중의 復古的욕망과 유랑적 정체성 연구

        윤정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Many of historical novels were popular especially in 1980s. The fact that the popular novel selected the historical of the place and the time not to reenact problematical person of the time shows the desire of readers which wanted to escape from the time. The Kim Ju-Yeong’s historical novel 『GaekJu』is the novel which is about capital flows in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 times and the peddler who reenact the capital flows as a historical person. These feelings of hesitation and dither of modern times appear in Kim Ju-Yeong’s『GaekJu』. That’s because the description of the people who hover around the margins of the flow at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mainly appears in the novel. 『GaekJu』is a historical novel but it emphasize descriptive truth which is true feeling that the public wish from the point of the present rather than the way to meet with history or the historicity of the affair. The recursive desire of the public who miss the pass appears in『GaekJu』and the vagarious peddler reenacts the self-awareness of the public of 1980s. The historical view which Kim Ju-Yeong tried to say consistently through the historical novel 『GaekJu』and the vagarious characters in many of novels was the miss of precious value which was left in the pass. And the location of historical main agent which is realized by regretting this is just situated in ‘now, this place’. 1980년대에 특히 많은 역사소설이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대중소설이 역사적시공간을 선택한다는 것은 당대로부터 탈주하고 싶은 독자의 욕망이 투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980년대 역사소설 김주영의 『객주』는 근대형성기 자본의 흐름을역사적 인물 보부상을 통해 재현한 소설이다. 그런데 김주영의 『객주』에는 이러한근대 자본에 대한 욕망과 흐름에 대한 주저함, 머뭇거림이 나타나고 있다. 『객주』는 역사소설이지만 역사와 만나는 방식이나 사건의 역사성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현재의 시점에서 대중이 원하는 욕망의 진정성이라는 서사적 진실이 더강조된 소설이다. 『객주』에는 과거를 그리워하는 대중의 복고적 욕망이 나타나고있으며 1980년대 대중의 자기인식이 유랑하는 집단인 보부상으로 재현되고 있기때문이다. 『객주』의 유랑하는 집단 보부상은 시대의 흐름에 표류할 수밖에 없는주변인으로서의 80년대 대중을 은유한다. 김주영은 『객주』의 역사적인 중심사건으로 임오군란을 선택했다. 구 군인들이일으킨 반란이라는 임오군란의 성격과 그 후 대원군의 옹립이라는 점에 주목한다는 것은 인물이 지향하는 가치가 사실은 전통적 가치관의 수호였으며 과거라는 시간으로의 회귀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김주영이 역사소설 『객주』를 통해 그리고 그 외 수많은 작품에서 떠도는 자들을 통해 일관성 있게 말하고자 하는 것은 과거에 놓고 온 소중한 가치에 대한 아쉬움이다. 그리고 이를 반성함으로써 깨달을 수 있는 역사적 주체의 위치는 바로 ‘지금,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삼보태감서양기통속연의(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에 투영된 역사와 시대 의식

        윤정화(尹正華),김태만(金泰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7

        China has a long history of maritime affairs and never stopped researching the oceans. After reforming and opening up, China has witnessed a great change in economy, science, medicine, military etc. The commencement of “the 600 anniversary of Zheng He"s voyages” in 2005 and the release of “The Rise of the Great Powers” in 2006 had aroused a widespread concern in the country, which has shown the review of history is extremely popular and beneficial.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secrets from the process of the Zheng He"s voyages described in a book named “SanBao’s Expedition to the Western Ocean”, and explain its significance for the present economy, sea power, and marine consciousness development, meanwhile, to comprehensively show the remolding image of Zheng He and other characters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SanBao’s Expedition to the Western Ocean”, one hundred chapters to a total of two volumes, was published in the Ming Dynasty (1598). After many years’ compiling, the book described a story about Zheng He, who did not fear the danger to go to the Western. With the help of the Jinbi peak Zen master and Zhang Taoist master, Zheng He slayed demons, offered amnesty to minorities and hunted treasures. In the real history, the expedition to the western ocean was completed by Zheng He and Wang Jinghong. Novels are different from the history, the main reason is problem in the era of the author. It is the late Ming Dynasty, when everything was declining, foreign aggression was increasing and who wanted to complete a similar voyage alone is impossible. The author edited this novel to recall the prosperous period of the Ming Dynasty and criticize that present time. The book embodied the author"s ideas about loyalty, Taoism and marine consciousness etc. This paper first explained the author, the book, and the historical period to analyze the reason of establishing the image of Zheng He. Through describing Zheng He"s image, this paper reflected the China"s political, cultural and people"s thoughts in that era.

      • KCI등재

        50년대 유종호론 -페허 위에 비평의 새 집 짓기-

        윤정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0 No.-

        In 1950s, many professional critics appear. Their activities are summarized as positioning as new criticism. Among these new generation critics, Yu, Jong-ho reviews the position of criticism which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literature in a new perspective, and emphasizes the spirit of criticism as an intellectual reflection. This reflects Yu's views that criticism should participate as an alternative writing to solve the problems during the time. Yu's argument was similar to building a strict and firm new house on the rubbles of the post-war ear in the 1950s. This was because the ruins of the generation shared similar traits with the non-existence of genres. Yu was the first critic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nfigure the basics of the criticism by recognizing that his generation lacked literalism in the era of no professional criticism. Yu's view was that the duty of critics was to contribute by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rough interpreting complex literature, and that this recreated criticism into a creative criticism. At this point, he argued that criticism should position itself as rebelling against the violence during the 1950s when the society forced people to take sides. This means that criticism should stand against violence by maintaining balanced views as a language of moderation in the era of forcing people to be purist or participants. Yu's methodology of criticism is concluded as his interest on literature language itself, and this literature language means aboriginal mother language. In this case, mother language is not defined as regional Korean language, but encompasses Chinese characters with long history. The final destination of literature language he wanted to reach was works which could depict Korean literature language's aesthetic culmination; for poems, it can be created through musicality, and sincerity for proses. Yu configured the position of the critics in the field of writers who create communication as the language of moderation, and sought for a real modernization by expanding the boundaries of language which were the objects of criticism. At this point, literature should possess truth, and through this sincerity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analytic view on the actual criticism on literature, he has shown an good example of literature which the generation should pursue. The writers who fall into Yu's selective standards include Kim, So-wol, Jeong-Ji-yong, Seo, Jeong-joo, Yun, Dong-joo, Hwang, Soon-won, and Sohn, Chang-sup.

      • KCI등재

        <목주잡가>의 창작 배경과 작품 세계

        윤정화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0 No.-

        This thesis gives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background of writing <Mokjujapga>, a kind of traditional three verse stanza by written Hwang Yon Seok, connecting with the status of local noblemen , the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of the latter of the 18th.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Mokjujapga>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er was heavily scrutinized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is poem. Also by looking into the structures of <Mokjujapga>, the universal characteristic of Yeonsijo was examined. Surveying the life of Hwang Yoon seok and the settlement of his family in Ho-nam area, it can be revealed that <Mokjujapga> was closely concerned with his government official life and his family destiny. He wrote this work while he was serving as top leader of Mokcheon, Mokcheon-hyongam. He governed an town for the first time and he thought this period as a good chance to show his ability. He created <Mokjujapga> to arrange new turning point for his political path. In <Mokjujapga>, Hwang Yoon Seok expressed the gratitude for the king, his will to reward king's favor and an overwhelming moment of appointment as Mokcheon-hyongam. He displayed his agony over political state of that era, too. He intended to boost honor to his family by presenting the settlement background of his family in Ho-nam area and tracing his brilliant family origin, especially by emphasizing that his descendants inherited and followed the teachings left by his ancestors. In other words his intends to regain his identity and to enhance the status of his family were implied in this work. Also he dealt with the idea and practice of Neo-Confucianism to which he was devoted for his whole life. Above all he put emphasis on a practicing Neo-Confucianism which was based on building an upright character, referring to the Neo-Confucianism view of the world and the attitude toward developing one's mind. A certain way and principle in developing poetic concept could be found in <Mokjujapga>. Hwang Yoon Seok used the basic pattern which starts from himself and reaches his family or his ancestors. He developed three main concepts by using the ways repeatedly. It could be concluded that he had much interest in conveying meaning of poem rather than the form of Yeonsijo. 이 논문에서는 이재 황윤석의 연시조 작품인 <목주잡가>의 창작배경을 18세기 후반 향촌사대부로서의 위치와 당대의 정치․사회적 여건과 관련하여 고찰하고, 작품 분석을 통해 작품의 전반적인 성격과 작가의 의식세계를 논의하였다. 또 <목주잡가>의 구성방식을 고찰하여 연시조로서의 성격을 검토해 보았다. 황윤석 가문의 호남 정착과 생애를 통해 볼 때, <목주잡가>는 그의 관직생활과 그를 둘러싼 가문의 운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작품은 그가 수령직인 목천현감에 부임한 시기에 지은 것으로, 처음으로 한 고을을 맡아 다스리게 됨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인식하고 이런 계기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행보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해 창작한 것이다. 정치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자신의 일생을 되돌아보고 삶의 자세를 재정립하는 계기를 갖기 위해 <목주잡가>를 창작한 것으로 보인다. <목주잡가>의 작품세계를 고찰한 결과, 황윤석은 군은에 대한 감사와 보답의지, 목천현감 제수에 대한 감격과 기대감을 표출하고, 현실정치 상황에 고민과 갈등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조들이 호남에 정착하게 된 배경과 가문의 빛나는 내력을 제시하고 후손들이 선조의 유훈을 잘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가문의식을 고양시키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개인적인 정체성 회복과 함께 이재 가문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담겨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 성리학적 이념과 실천의 문제를 다루고 있었는데, 자신이 일생동안 매진하고 탐구했던 성리학적 세계관과 심성 수양의 자세에 대해 언급한 뒤 인성론에 바탕을 둔 실천적인 면모를 강조하고 있었다. <목주잡가>의 시상 전개에서 일정한 구성 방식이나 원리를 찾을 수 있었는데, 황윤석 개인에서 출발하여 가족이나 가문으로 시상이 확대되는 방식을 기본 패턴으로 삼고, 이 방식은 세 가지 중심 내용이 전개되면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황윤석은 연시조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연시조의 형식보다 작품에 담을 내용과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