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 번역, 그 해석과 창안의 여정에 대한 탐구–R. Rutt의 시조 영역을 예로

        염은열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is expand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nd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targeting foreign language readers is also demanded. In this situation, Korean researchers need to know how sijo(時調) is being translated, what difficulties there are, and how sijo is being recreated by responding to the difficulties. This is the critical mind of this thesis. For specific discussion, Rutt's Sijo translation was taken as an example. By carefully examining the translation of Rut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translating Sijo, a cultural and literary text. Specifically, there is the problem of translating an article that does not exist in the grammatical system of English but affects the overall atmosphere or tone of a poem, the problem of translating an adjective that is an evaluative word that describes a situation or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multiple meanings are compressed. And there was the problem of translating special poetic and cultural languages such as '절로', and above all, there was an aesthetic problem of translating '시조다움(Sijo-likeness)' into English. The sijo translated by Rutt can be said to be Rutt's answer and creative solution to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all dimens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n English sijo similar to the original sijo but distinct from it was bor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Rutt and his collection of Sijo translated into English, understanding Rutt's translation itself has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aesthetics of English Sijo. Furthermore, it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what challenges to face or solve when trying to translate Sijo into other languages, how to respond to those challenges, and what will happen as a result. Of course, the sijo translated into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Rutt's, is not perfect. However, this paper did not point out and criticize the parts that deviated from the original sijo or changed parts. Because I didn't see it being productive. The translation is incomplete and always a kind of alternative, and the journey to find a better translation of Sijo is still ahead of us. New answers to the various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translation are possible. It is hoped that Korean researchers will also participate in various ways and levels in the translation of sijo, which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ity of sijo as world literature and the uniqueness of sijo as Korean literature, and confirm the productivity of sijo. As a result, I hope that the aesthetics of Sijo as world literature will expand and evolve.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외국어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학 번역 및 교육의 필요성 또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조 종주국의 연구자들이 시조 번역이 어떤 실천적 행위이며 어떤 어려움이 있고 그 어려움에 어떻게 대응함으로써 원 시조가 영역 시조로 어떻게 재창조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하여 럿트의 시조 영역 활동을 예로 삼았다. 럿트의 영역 시조를 원 시조와 견주어 살펴봄으로써, 문화 텍스트이자 문학 텍스트인 시조 번역의 어려움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영어의 문법 체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시조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어조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를 번역하는 문제, 상황이나 상태를 기술하는 평가어인 형용사를 번역하는 문제, 여러 의미가 압축되어 있는 한자어를 번역하는 문제, ‘절로’ 등 특별한 시어이자 문화어를 번역하는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시조 형식과 관련하여 시조다움을 영어로 옮겨야 하는 미학적 차원의 문제가 크게 부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럿트가 번역한 시조는 그 모든 차원의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그의 답변이자 창조적 해결이라고 할 수 있는데, 럿트는 번역을 통해 원 시조와 유사하지만 동시에 구별되는 영어 시조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럿트와 그의 영역시조집이 끼친 영향력을 감안해볼 때 럿트의 영역에 대한 이해는 그 자체로 영어 시조의 미학이 탄생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시조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려고 할 때 부딪치거나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그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그 결과 어떤 일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깊게 해준다. 럿트를 비롯한 미국 내 번역가들의 영역 시조가 완벽한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원 시조에서 벗어난 부분이나 달라진 부분 등을 찾아 지적하고 비판하지는 않았다. 그것이 생산적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번역은 미완이고 늘 차선이며 더 나은 시조 번역을 찾아 떠나는 여정이 우리 앞에 여전히 놓여 있기 때문이다. 번역의 여러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새로운 답이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시조의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한국문학으로서의 고유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시조의 생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조 번역에, 고시가 연구자들 역시 여러 방식이나 수준으로 참여하기를 희망한다. 그 결과 세계문학으로서의 시조의 미학이 확장되고 진화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표현교육에서 지식의 성격에 대한 고찰 : 표현 지식의 구조화 방향과 관련하여

        염은열 한국문학교육학회 1999 문학교육학 Vol.3 No.-

        Knowledge, whatever kind it is, must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s the same case in express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what knowledge is needed in expression education an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knowledge and expression ability. Procedural knowledge (know how) has been regarded as the more important contents than declarative knowledge (know that) in expression education. We have shown that it is not right anymore. All kind of knowledge which is taught, is accepted as a mode of propositional knowledge to students. Therefore it is urgent for us to construct the concept of expression knowledge beyond the above primitive understanding about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is a kind of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includes in machenism of expression. So being seperating from real expression, procedre of expression-planning, constructing ideas, expressing and adjusting……-must be not presented in expression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쓰기 교과서의 ‘활동’ 구성에 대한 연구

        염은열 청람어문교육학회 2006 청람어문교육 Vol.33 No.-

        <Abstract> A Study of the Direction of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Yeom, Eun-yeol Recently, on developing a new national curriculum, how to develope and design a new Korean textbook has raised at issue. By the way, textbook development is not simple task. Lots of elements is working, effecting, and interacting one an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point out the issues and problems on a textbook development (specially Korean writing textbook for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propose a point of view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As a result, we suggest as follows: In developing writing textbook, what student should experience is considered. This experience should include not only knowledge, skill and strategy related with writing act but also content to write. If it do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ositively a new point of view(that is ‘writing to learn’ concept) into our textbook development, and to design ‘content based activities’ Of course, before developing a new textbook, we should consider what is the aim of Korean education and who are our students. And the result of this consideration should be melted in a new textbook as proper activities. <초록> 쓰기 교과서의 ‘활동’ 구성에 대한 연구 염은열 최근 교과교육연구자나 실천가들 사이에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편의 방향과 그 구체적인 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활동’ 구성의 관점과 방향에 대해 생각해봄으로써, 교과서 제작의 방향이나 관점과 관련하여 함께 논의할 과제를 분명히 하고 쟁점을 형성하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좋은 교과서 만들기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로 국한하여 연구를 수행했으며, 현재 쓰기 교과서의 활동 구성 방식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현행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단절될 활동들을 나열하고 있는 점과 하위 활동들이 문제풀이형 접근을 요구한다는 점, 활동의 소재가 아동의 일상으로 국한되어 있다는 점 등을 큰 문제로 지적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쓰기교육의 목표에 대해 점검하고, 그 목표에 따라 무엇을 경험하게 할 것인지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학습을 위한 글쓰기 개념을 도입하고 내용 중심의 활동 구성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논의의 전 과정에서 필자는 쓰기 교과서의 문제가 쓰기교육의 패러다임은 물론이고 그것을 반영한 교육과정, 그리고 학교 현실과도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문제임을 다시 한번 인식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