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연구 : I 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이경자(Lee, Kyeongja),유정민(Yoo, Jungm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I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고 나아가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해 대면 수업과의 차별적 인식을 조사하고,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실제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는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들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평가결과는 대면 수업과 차이가 없거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등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 이중적인 인식 기준을 보였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이 평가 공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며, 연구대상 학생들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경험에 따른 교육 경험이 평가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비대면 수업에 있어 수업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수자의 현존감과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점 등을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는 대면-비대면 융합형 수업 설계를 제안하며, 비대면 평가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별화된 평가방식의 개발 및 비대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화된 교육 형태의 개발과 개별화된 교육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및 온라인 학습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ensure their quality. It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 fac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 of I University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results for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discover what important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thes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s believe that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face-to-face classes. They conside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of non-face-to-face classes to be differentiated from face-to-face classes. However, they do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when it comes to actual evaluation results, and they were even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results under non-face-to-face systems, showing a degree of duplicity in their assessment. Further, they consider evaluation method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These results are also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ifferent class experiences.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a blended learning system should be adopted for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non-face-to-face classes, such as a shortage of actual conta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 also suggest that universities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applying various online education techniqu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must now cope with the problems and challenges of providing non-face-to-face classes.

      • KCI등재후보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에서 나타나는 무용실기의 수행불안과 기대감의 차이

        김나영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2 신체심리연구 Vol.8 No.1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o verify on levels of a dance education class in a college for psychological effects such as anxiety and expectation. The dance education program was differently constructed according to a group(n=33) with online lectures and an cont rol group(n=31) with in person lectur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nxiety levels of pretest were similar for both online lecture group and in person lecture group, while levels of anxiety for online lectures group demonstrated rapid increment at the post-test. Secondly, levels of expectation of the in person lecture group show grad ually decrease while the online lecture group demonstrates increasing levels of expectatio n. The result, levels of expectation for the online lectures group were demonstrated incre ments, while that of the in person lecture group showed a standstill, indicates that the samples in the online lecture group has considered their ability to sufficient perform dancing motion.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 무용실기 교과목으로 시행되는 무용실기 수업에 수강생이 비대면으로 참여하였을 때와 대면수업에 참여했을 때 나타나는 심리적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불안감과 과업수행에 관한 기대감의 차이를 조사하여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M대학 교양학부에서 시행되는 무용실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61명의 대학생이었다. 비대면수업에는 31명의 수강생이 포함되었으며, 대면수업은 30명의 수강생들이 포함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Rizzo, House와 Lirtzman(1970)의역할심리척도를 적용하여 심리적인 요인을 ‘수행불안’과 ‘기대감’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무용실기 수행에 관한 수행불안감은 측정시기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비대면수업 집단, 대면수업 집단)의 수행불안감은 수업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특히, 비대면수업 집단의 수행불안감은 증가한 반면, 대면수업 집단의 수행불안감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실기 수행에 대한 기대감 또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비대면수업 집단의 기대감이 대면수업 집단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수업 집단에게 주어진 피드백의 정도차이로 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수업평가 학습요인 비교 사례연구

        이정오 ( Jungoh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2020년 1학기 비대면 수업평가와 직전 동일 학기인 2019년 1학기 대면수업 평가 결과를 비교하고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교수·학습구성 요인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대학에서 실시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중 동일 학과 동일 교과목, 동일 교수, 동일 교재로 이루어진 245개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0.0을 활용하여 신뢰도 측정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계수와 피어슨 상관계수 그리고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과목을 계열별, 직능별, NCS/비NCS별로 조사하면 비대면 수업평가 평균은 대면 수업평가 평균 보다 모든 분류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면 수업에서 교수활동과 수업만족도 요인 간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비대면 수업에서는 학습 환경과 과제수행 요인 간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면 수업에서 교수활동 변인이 비대면 수업에서는 수업환경과 과제수행 변인이 종속변인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는 비대면 수업의 강의계획, 수업교재, 과제수행, 수업 몰입도, 수업 효율 면에서 대면 수업보다 더 많은 세심한 준비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어 관련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non-face-to-face (NFTF) class evaluation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face-to-face (FTF) class evaluation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position factors that affect class satisfaction.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245 subjects consisting of the same major, the same subject, the same professor, and the same material during FTF and NFTF classes conducted at C University. We processed the data using SPSS Ver. 20.0 and conducted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the NFTF class evaluation average was lower in all categories than the FTF class evaluation average when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family, job, and NCS/NNCS.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ctivity and class satisfaction factors in FTF classes, and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environments and task-performance factors in NFTF classes. Third, in FTF classes, teaching activity variables had a greater impact on class satisfaction, and in NFTF classes, the class environment and task performance variables had a greater impact on subordinate variabl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NFTF classes require more careful preparation in terms of lecture planning, class textbooks, task performance, class immersion, and class efficiency than FTF classes.

      • KCI등재

        비대면수업의 학습효과와 강의만족도에 따른 연구

        김서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6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비대면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 J지역과 K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48부 시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2.o 을 이용하였다. 비대면수업 기대효익 중 시간적 기대효익은 3.69점, 학습효과 기대효익은 3.46점으로 나타났고, 기 술적 친숙도는 3.47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는 3.58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효과 기대효익, 대학 만족도, 기술적 친숙도, 시간적 기대효익,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 수업 과목 수이었다. 학습효과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대학 만족도가 높을수록, 기술적 친숙도가 높을수록, 시간적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수업 과목 수가 많을수록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대면수업의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강의만족도에 있어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ectures. The subjects were 348 university student who attended from October 5 to October 23, 2020. The statistics program was SPSS win 22.o. Among the expected benefits of non-face-to-face classes, the temporal benefit was 3.69 points, the expected benefit of the learning effect was 3.46 points, and the technical familiarity was 3.47 point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was found to be 3.58 point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ectures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expected benefits of learning effect, university satisfaction, technical familiarity, expected benefits over time, and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desired for the next semester. Learning effect The higher the expected benefit, the high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chnical familiarity, the higher the expected temporal benefit, the higher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desired for the next semest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class lectur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the instructor was importa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face-to-face clas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ecture.

      • 출판학과 비대면 수업 연구

        김진두 출판문화학회 2020 出版 雜誌硏究 Vol.28 No.1

        이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19 감염으로 인한 출판학과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연구로, 출판학과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에 대해 심층면접을 하여 연구하였다. 이론 교과목과 실습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비대면 수업을 재택수업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 만족한다. 학습자들은 이론 교과목은 비대면 수업이 가능하다고 평가한다. 실습 교과목은 대면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둘째, 교수자들은 비대면 수업에 대체로 부정적이다. 비대면 수업을 위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했다. 교수자들은 학습자와 피드백이 없기 때문에 실습 교과목은 대면 수업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론 교과목의 비대면 수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셋째, 비대면 수업 개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점은 안정적인 통신망 구축과 화상프로그램의 개선이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과목의 특성에 따라 혼합할 것을 권장한다.

      • KCI등재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일반수학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연구

        박윤정(Yoon Jung Park),이광호(Kwang-Ho Lee),이헌수(Heon-S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대학생들의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M대학교 공과대학 3개 학과 1학년 학생 9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A학과 39명과 B학과 36명은 사전 녹화된 수업동영상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으로, C학과 1학년 22명은 대면수업을 진행하였고, 한 명의 교수자에 의해 수업 방식만 달리하여 동일한 교재와 동일한 내용, 동일한 유형의 문제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일반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중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A학과 학생 35명, B학과 학생 34명, C학과 학생 17명에 대한 고교내신등급을 수집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이 학생들의 2021학년도 1학기 일반수학교과목에 대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일반수학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의 수업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 college general mathematics between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For this study, we selected 97 first-year students from three departments of an engineering college at M University.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39 students in Department A and 36 students in Department B took remote classes using pre-recorded class videos, and 22 students in Department C took face-to-fac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by one professor as the same type of problem with the same content for the same textbook.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35 students in department A, 34 students in department B, and 17 students in department C who entered through rolling admissions were collected and homogeneity tests were conducted. And then we analyzed the scores of these students’ midterm and final exams for general mathematic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lso,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general mathematics subjects for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for all study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mathematics between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between face-to-face classes and non- face-to-face remote classes.

      • KCI등재

        대면/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학습만족도(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신애리(Ae-Ri Shin),심형순(Hyung-Soon Sh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에 대한 연구로 신입생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G대학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수업적 특성, 수업방법,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학생들이 선택한 효율적인 실기수업방법은 대면수업이었고 수업선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술기능력향상을 위해 선호하는 실습수업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전체 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업 중의 점검과 선택한 수업방법의 편리성 항목에서 대면수업이 유의하게 높은 학습만족도를 나타냈다. 또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면수업선택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입생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습수업 계획 시 대면수업이 필수적으로 포함된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s in the COVID-19 educational environment.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22 dental hygiene students of G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from October to November, 2020.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effective practical teaching method chosen by the students was face-to-fa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lass choice. The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red practice method for improving instrument technique. The face-to-face class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erms of checking on doing well study during class and the convenie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the choice of face-to-face class was confirm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lass that essentially includes face-to-face class when planning a practice class.

      • KCI등재

        실시간 화상강의로 진행한 회계사례수업의 학습 효과

        박종찬(Jongchan Park),정주렴(Juryum Chung)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사례만으로 구성된 수업의 내용 및 진행 과정을 소개하고,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진행되는 사례수업이 코로나19로 인해 불가피하게 진행된 비대면 방식에서도 대면 방식처럼 사례를 통해 회계가 어떻게 실무에 적용되는지 학습하는 효과를 달성했는가를 수강생의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2020년부터 기존의 대면 방식의 회계사례수업은 Zoom을 이용한 비대면 실시간 화상강의로 전환되었다. 온라인 수업 특성상 학생들의 대면 발표를 대신하여 모든 수강생이 수업 전에 해당 사례에 관해 수행할 과제를 신설하였다. 수업은 우선 강의자가 사례의 배경을 설명하고, 수업전 과제를 강의자가 준비한 파워포인트를 화면 공유하되 가능한 수강생이 자발적으로 답하고 강의자는 보충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강의자는 수업전 과제 외에도 미리 준비한 질문을 제기하여 수강생의 자발적 대답을 듣고, 부족한 부분은 강의자가 설명하여 사례와 관련된 주요 사항을 모두 다룰 수 있도록 한다. 수업전 과제가 끝나면 사례에 대한 수강생의 질문을 받는다. 수강생은 수업 전에 미리 사례를 읽고 하나의 질문을 작성하는 질문과제를 수행한다. 질문에 대해 다른 수강생에게 답할 기회를 먼저 주고, 없다면 교수자가 답변한다. 비대면 수업의 시험은 LMS의 퀴즈 기능을 이용하여 모든 수강생이 웹캠을 켜 둔 상태에서 오픈북으로 실시하였다. 중간시험 이후 비대면 회계사례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시간 화상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75%를 차지하였다. 또한 회계사례수업 진행 방법으로 대면 수업, 녹화 동영상 수업, 실시간 화상강의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실시간 화상강의를 택한다는 응답이 48%로 대면 수업을 택한 응답 31%보다 오히려 높았다. 단 실시간 화상강의에서 가장 힘든 것으로는 비대면이기에 집중이 잘 안 된다는 점이 가장 많았으므로 효과적인 실시간 화상강의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업참여에 충분한 준비가 되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참여에 소극적이거나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교수자가 격려하고 배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례로만 구성된 수업에 대한 예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다른 수업에 참고용으로 활용될 수 있고, 또 한 실시간 화상강의가 대면 수업의 한시적인 대체 수단을 넘어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유용한 교수 방법임을 확인하였다는 데 공헌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ynchronous video teaching after COVID-19 in a case-based accounting class, which includes student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unlike traditional accounting classes focusing on journalizing and problem-solving. Synchronous video teaching of the case-based accounting class with Zoom includes pre-class assignments instead of students’ presentations in a face-to-face class. The class begins with the teacher’s explanation of the background of the case, followed by the review of pre-class assignments, additional discussions of the issues involved, and students’ voluntary questions and answers. Quizzes in the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are used as open book exams for online assessment. The survey result over two semesters shows that 99%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 case-based accounting class is more effective that traditional accounting classes and 75% of students feel that synchronous video teaching is also effective. The most chosen mode of teaching was synchronous video teaching(48%), followed by face-to-face teaching(31%). Students selected lack of concentration as the most challenge in synchronous video teaching. Most of students(65%) responded class participation should be included in course grading. Students rated learning how accounting is applied in real business as the best, but feeling pressure in class participation as the worst in synchronous video teaching. The survey result indicates that synchronous video teaching is not just a temporary substitute for face-to-face teaching, but a useful teaching method overcoming spatial constraints. Effective synchronous video teaching requires the class design to prepare class participation adequately and teachers’ careful concern for students burdened by class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관한 학습 태도와 수업 만족도 조사연구

        김혜진,김미경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던 수업이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으로 병행되었고 이를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태도와 수업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수업 설계및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소재 S대학 교양 수업을 듣는 학생 중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 경험이 있는 총 13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학습 태도 및 수업 만족도 조사를 위해 총 86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비대면 수업에서 복습 효과, 학습자료 제공, 학습 계획, 지속적인 수강 여부 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면수업에서 지식 습득 정도, 수업에 대한 이해도,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수업의 필요성 등으로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 환경 측면에 있어서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비대면 수업의 내실화와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과 라포 형성을 위한 교수자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며 비대면 학습자의 주도적인 학습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면/비대면 수업을 이용한 영어작문 교육의 효과

        박미숙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본 연구는 코로나전염병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실행했던 비대면수업과 현재의 대면수업을 통해 영어작문 지도가 학생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시행되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영어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작문 전공수업에서 실제로 실시한 대면/비대면 수업의 효과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작문능력 향상과 효과적인 첨삭지도가 대면과 비대면 수업형태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두 수업형태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학습효과와 교수자가 분석한 교육적 효과를 고려할 때 통제작문, 유도작문을 주로 다루었던 비대면수업에서는 학습자 개인별로 즉각적인 수정지도가 잘 이루어졌으며 자유작문과 그룹워크 활동은 대면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대면/비대면 수업을 적절히 활용하는 교수자의 지도전략이 영어글쓰기 지도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앞으로 비대면수업 형태를 통해서도 작문지도는 어느정도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데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