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권 성리학의 초기 정착 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임종진(Lim, Jong-ji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본 논문은 고려 말에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서 大邱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性理學의 초기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구권 성리학의 초기 성립 및 전개 양상을 파악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초기대구권 성리학의 사상사적 특징들은 어떠했는가를 분석해 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구권 성리학의 초기 정착 과정에 영향을 끼친 배경적 요인을 시대적 상황[시간], 지리적 조건[공간], 인적여건[인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역사적 자료가 남아 있는 全伯英, 徐居正, 金宏弼, 楊熙止등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초기 대구권 성리학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지역에 성리학[주자학]이 도입된 것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대구 지역의 성리학 수용과 전파에는 지역의 특정 가문들 중심의 家學을 통한 傳受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성리학의 정착 초기 때 대구는 영향력을 발휘하는 지역이라기보다는 주변 지역의 영향을 받는 곳이었다. 넷째, 고려 말의 이른바 절의파와 혁명파, 조선 초중기의 훈구파와 사림파라는 이분법적인 구도 속에서 대구의 인물들은 자신의 신념을 바탕으로 각자 주체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특징 중에는 한국성리학 전체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진 것도 있고, 대구만의 특수성을 가진 것도 있다. 그럼에도 대구라는 지역 이름을 붙인 것은, 이를 통해서 한국 성리학과 대구 성리학이 공유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드러내어 대구 성리학의 존재감을 확보하려는 의지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trac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Neo-Confucianism which had settled in the Daegu area from the late Koryo period to the early Choson period. It also aims to clarify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Daegu area, and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Daegu Neo-Confucianism. This paper tries to separate the situational factors that had influenced on the early establishment process of Neo-Confucianism into periodical situations(time), geographical conditions(space), and personnel circumstances(human being). Thus I have studied Bakyoung Jun, Geojung Suh, Goengpil Kim, and Heeji Yang of whom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rem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Daegu Neo-Confucianism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esumed that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into Daegu area had been relatively very early. Second, it seems that the adop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Neo-Confucianism in Daegu area had been made through the process of instruction by way of family academy. Third, Daegu at the time of the early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ism was not an influencing area but an area conditioned and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areas. Fourth, in the dichotomy of fidelity faction and revolution faction of the late Koryo period, and in the dualistic structure of Hoongu(central government centered) faction and Sarim(local academy) faction, the scholars of Daegu had made subjective choices according to the conviction of each of them. Among the characteristics, some are universalistic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Neo-Confucianism, but other have 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pplied only to the uniqueness of Daegu area. In spite of this fact, I name them Daegu Neo-Confucian scholars because I intend to secure the existential meaning of Daegu Neo-Confucianism by way of revealing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Daegu Neo-Confucianism.

      • KCI등재

        대구대학교 K-PACE센터의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실습 장소지정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략 고찰

        김영준,이근용,김화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대구대학교 K-PACE센터의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실습 장소지정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략 고찰김 영 준*ㆍ이 근 용**ㆍ김 화 수*** 요약: 본 연구는 현행의 한국 상황에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수요가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중요성을 문제 인식함으로써 대구대학교 K-PACE센터가 내부적으로 뿐 아니라 국가 및 지역적 수준에서 긍정적인 기대 효과와 리더십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연구 목적은 대구대학교 K-PACE센터가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을 위한 실습 장소로 지정되기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방략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대구대학교 K-PACE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영역(교수학습, 진로 및 직업지도 등)을 “분야 간 융합 양성 자격”, “자격 양성 실습 이수 기간 및 흐름”, “자격 양성 유형 및 지역 유관기관 연계”의 기준에 따라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은 대구대학교 K-PACE센터에서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이 양성되기 위한 실습 지정 장소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방략들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구대학교의 내외부적인 컨설팅과 국가 및 지역과의 협업적 거버넌스가 요구되었다. 핵심어: 대구대학교 K-PACE센터,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실습 장소, 교육과정 □ Received: Dec. 17, 2021, Revised: Jan. 16, 2022, Accepted: Feb. 20, 2022* First Author, Researcher, Duksung Women’s Univ. (주저자, 덕성여자대학교 연구원, Email: helperman20@hanmail.net)** Co-author, President, Daegu Cyber Univ. (공동저자, 대구사이버대학교 총장, Email: jutsg@naver.com)***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aegu Univ. (교신저자,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Email: whasoolang@hanmail.net) Innovation of K-PACE Center in Daegu University:Advance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Youngjun Kim, Kunyong Rhee, & Whasoo Kim Abstract: This study saw that Daegu University’s K-PACE Center can provide positive expected effects and leadership not only internally but also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by recognizing the position and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deman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sider the operating strategies of the curriculum to designate Daegu University’s K-PACE Center as a training place for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areas of th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career and job guidance, etc.) operated by the Daegu University K-PACE Center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qualification training through convergence between fields”, “practice completion period and flow to cultivate qualifications”, and “type and linkage with local institutions”. The contents of the study presented strategies for curriculum operation as a designated place for practice to cultivate th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t the Daegu University K-PACE Center. As a result of the study, cooperative governance with the country and region was required, including internal and external consulting at Daegu University. Key Words: K-PACE Center in Daegu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Qualification, Training Place, Curriculum

      • KCI등재

        대구대 중심의 한국 특수교육: 역사, 현상, 쟁점

        김병하 ( Byung Ha Kim ),이근용 ( Kun Yong Rhee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광복 후 초기의 한국 특수교육은 뜻 있는 민간인들이 앞장서 그 발전의 주역을 담당하였으며, 이들 선구자의 중심에 대구대학교와 그 부속 특수교육기관들을 설립한 이영식(李永植 1894-1982)과 이태영(李泰榮 1929-1995)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 두 사람이 주도하여 추진해 온 특수교육 사업(대구대학교 특수교육과 그 부속기관들)이 한국 특수교육 발전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가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영식 목사는 광복기념 사업으로 1946년에 대구맹아학교를 설립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의 개척자가 되었다. 이어 이영식 목사의 장남인 이태영은 1956년에 오늘의 대구대학교 전신인 한국 이공학원을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61년에는 정규 4년제 대학과정에 의한 특수교사 양성과정을 개설하기에 이르렀으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대학수준 특수교사 양성의 효시가 되었다. 그 후 대구대학교는 특수교육 분야 전문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1975년 대학원 박사과정에 특수교육학과를 개설하였으며, 그 후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 전문 인력배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재 대구대학교는 5개 장애 영역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의 특수학교와 재활과학대학을 운영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장애인 교육과 재활의 ‘총합성’(總合性)을 단일 기관 내에서 독특하게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대구대 특수교육은 1977년에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되는 과정에서 정부를 계도하고 입법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1980년대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국가수준의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위탁받아 개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며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그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이제 달라진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구대와 그 부속학교들의 특수교육이 그동안 축적해온 역사성에 걸맞게 그 리더십을 어떻게 발휘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省察)이 절실한 때이다. 특히, 한국에서 통합교육의 정착,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의 입장에서 본 특수교육 전문성의 재정립,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상응한 한국 특수교육 정체성 정립등에 걸쳐 새로운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구대 특수교육은 심각한 자기반성과 더불어 새로운 리더십의 발휘가 요청된다. This paper present the history, phenomenon, and issues of Daegu Univers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early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our country was led by private institutes or organization. Daegu University developed the first program of special education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in Korea. The University and attached special schools have played the important roles, such as the pioneer practice in educ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eparation of the professionals in special education, urging law-makers to establish the Special Education Acts, and developi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such important roles as a pioneer higher education, Daegu University need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and to show leadership agai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urther, the University must be able to cope with new problems and issues of special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사회 단평집을 통한 집단기억 확장의 가능성 고찰 -이목우의 『시대풍』을 통해 바라본 한국전쟁기 대구와 민중의 모습-

        권오수(Gwon, O-Su)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4

        본고에서는 영남일보 기자 이목우의 『시대풍』을 근거로 한국 전쟁기 대구에 대한 집단기억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했다. 한국 전쟁기라는 특정 시기와 대구라는 특정 지역에 대한 관찰자 이목우의 기록을 통해 당대의 대구에 대한 기억을 확장하고 이목우가 인식한 인류학적 장소(anthropological places)로서의 대구를 고찰하고자 했다. 한국 전쟁기 대구에 대한 지배적 기억은, 당시 종군 · 피난 등의 이유로 대구에 머물렀던 문인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고은, 최정희, 윤금숙 등의 회고록과 최인욱, 장덕조 소설에서 제시한 대구는 당대의 지역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지만, 시선의 고정성과 장소 인식의 측면에서 한계를 발견할 수 있다. 문인들의 시선은 대구, 그중에서도 향촌동에 한정되어 머물러 있었으며, 대구라는 특정 지역에 대한 시선이 아닌 ‘대구에서의 활동’에 시선이 집중되어 있다. 또한 문인들이 인식한 대구는 그들에게 임시 거처로서 작용했으나 ‘장소’가 되지 못했다. 종군, 혹은 생존이라는 호명에 의한 임시적 거처로서의 대구가 제시될 뿐이다. 지적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필자는 『시대풍』에서 기억하고 있는 당대의 대구와 민중을 제시했다. 『시대풍』에서, 관찰자 이목우의 시선은 대구의 거리, 대구로 온 피난민에게 향해 있다. 대구에 머물며 함께 머물고 있는 동료 문인들에게 향해 있던 문인들의 시선과는 달리 후방 대구의 풍속과 생활 양상, 민중과 피난민의 생활상을 경험한 관찰자 이목우가 장소로서 인식한 대구의 모습을 담고 있는 『시대풍』을 학술적 논의의 장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collective memory of Daegu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a book entitled 『Sidaepung』 written by Mok-woo Lee, a reporter for the Yeongnam Ilbo. This paper intends to expand the memory of Daegu at the time and examine Daegu as an anthropological place recognized by Mok-Woo Lee through the records of Mok-Woo Lee, an observer of a specific period of the Korean War and a specific region of Daegu. During the Korean War, writers who stayed in Daegu for reasons such as military service or evacuation developed dominant memories of the city. Daegu as shown in the memoirs of Go Eun, Choi Jeonghee, Yoon Geumsook, Choi Inwook, and Jang Deokjo’s novels is a useful resource that can validate one part of the historical period, although limits exist in terms of fixed gaze and place recognition. The writer’s attention was limited to Daegu, particularly Hyangchon-dong, and was centered on ‘activities at Daegu’ rather than a specific place designated Daegu. Also, Daegu, which the writers acknowledged, served as a temporary dwelling for them but did not become a ‘place.’ Daegu is only depicted as a temporary dwelling in the name of war or survival. To go beyond the constraints stated, the author offered the Daegu and Minjung remembered in 『Sidaepung』. The gaze of the observer Mok-Woo Lee in 『Sidaepung』 is aimed onto the streets of Daegu, the refugees who have come to Daegu. Contrary to the gaze of writers who were looking towards fellow writers who were staying in Daegu, it was intended to introduce the 『Sidaepung』, which contains the appearance of Daegu as a place for an academic discussion by Mok-Woo Lee, an observer who has experienced the customs and lifestyles of the backside of Daegu, as well as the lives of the people and refugees.

      • KCI등재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제언

        김영준,이근용,김화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제언김 영 준*ㆍ이 근 용**ㆍ김 화 수*** 요약: 본 연구는 대구대학교에 신설될 발달재활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대구대학교는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등의 인프라를 통해 발달장애인 맞춤형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활발히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을 통해 학위제 중심의 학과(전공)가 신설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자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내용과 적용 방법의 두 가지 범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는 발달장애인들의 독립생활을 위해 전 성인기 생애 동안 평생교육 지원체제의 기반을 형성하는 주요 토대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인평생교육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 연계도 리더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핵심어: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제언 □ 접수일: 2022년 2월 28일, 수정일: 2022년 3월 2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조선대학교 연구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hosun Univ., Email: helperman20@hanmail.net)** 공동저자, 대구사이버대학교 총장(Co-author, President, Daegu Cyber Univ., Email: jutsg@naver.com)*** 교신저자,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평생교육원 K-PACE 센터 소장(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aegu Univ., Email: whasoolang@hanmail.net) Proposal of the Direction of Operation for the Curriculum of the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at Daegu UniversityYoungjun Kim, Kunyong Rhee, & Whasoo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to be newly established at Daegu University. Daegu University actively develops and operates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rough infrastructure such as the K-PACE Center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through this background, a degree-oriented department (major) can be establish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expert advice.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wo categorie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of Daegu University’s 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and the application method. As a result, Daegu University’s Department of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was analyzed as a major foundation for forming the basi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during the entire adult life for the independent life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t can lead the linkage of curriculum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Key Words: Daegu University, 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Curriculum, Direction of Operation, Suggestion

      • KCI등재

        조선 후기 『대구읍지』 편찬과 사족의 대응 -과거편과 인물편의 인물 수록 시기 분석을 중심으로-

        이재두 ( Jae Doo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29

        이 글은 조선 후기 『대구읍지』의 편찬과 증보 과정 및 과거편과 인물편의 인물 수록 시기 분석을 통하여 읍지 편찬을 둘러싼 대구 지역 사족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대구읍지』는 1637년 처음 편찬된 이래, 1697년 현감 우석규, 1757년 진사 조춘경에 의하여 증보 작업이 이루어졌다. 현전하는 『대구읍지』(1768)는 조춘경 등이 『여지도서』의 저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1786년에는 우재악, 서발, 도술모 등에 의해 읍지가 수정·보완되었다. 『대구읍지』는전국 읍지 상송령에 따라 편찬된 『경상도읍지』(1832)·『영남읍지』(1871)·『영남읍지』(1895)의 일부, 혹은 『대구부읍지』(1899)로 보관되어 있으며, 『경상도읍지』(1832)의 초고본인 국립중앙도서관의 『대구부읍지』로도 남아 있다. 17세기 말 풍각과 화원 지역이 대구에 편입되면서 『대구읍지』의 증보가 필요하였다. 1697년 읍지 과거편에는 밀양을 연고로 하는 많은 인물들이 수록되었다. 『대구읍지』 과거편은 1786년을 마지막으로 19세기가 끝나가도록 추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1786년 이후 『대구읍지』에서 18세기 말 이후의 과거 합격자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사실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1786년 추가된 인물 10명 중 8명은 고려 말 이래 인조 때까지의 인물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보 사항은 『경상도읍지』(1832)부터 확인할 수 있는데, 1786년의 읍지는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대구읍지』 인물편 수록 인물의 추가 과정을 통해 조선 후기 대구 지역 사회를 주도해 나간 사족의 확대 양상을 살필 수가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읍지만으로는 1637년 읍지를 처음 편찬할 당시 수록되었거나 수록되었다가 빠진 인물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대구 지역 사족들은 『대구읍지』에 입록하기 위하여 자신의 선조들이 정구의 문인임을 밝히려고 노력하였음을 확인할 수있다. 『대구읍지』 인물편에 보이는 정구의 문인 22명은 1637년 4명이 처음수록된 이래, 1697년 15명이 추가되었고, 1832년 3명이 추가되었다. 조선 후기 지역 사회에서 읍지 입록은 후손들이 사족으로 인정받고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노력한 결과였다. 대구 지역에서는 읍지 편찬 과정에서 새로 편입된 화원 지역(화원 8방) 사족들의 불만이 강하였다. 화원 지역에서는『대구읍지』에 화원 지역 인물들이 제대로 수록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품고화원읍지라 할 수 있는 『금성집언』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관과 유착된 서인·노론계 사족들이 읍지 편찬을 주도하면서 이들에 대한 지역내 남인계 사족 세력이 불만을 가졌거나, 아예 사족 세력을 배제하고 관이 중심이 되어 향리들이 주도하여 읍지를 편찬하였으리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이는 19세기읍지에 지역 사회의 주요 인물들을 전혀 수록하지 않은 데서도 알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mpiling and revising of Daegu Eupji(the town record of Daegu), and the people in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and People Sections of the Eupji, and looked into the response of the gentry of the Daegu area. Daegu Eupji was first compiled in 1637 and revised by the mayor Wu Seok-gyu in 1697 and Jinsa(low-ranking public officer) Jo Chun-gyeong. The surviving Daegu Eupji(1768) seems to have appeared while Jo Chun-gyeong and others were making the original script of Yeojidoseo, the national geographical book. The Daegu Eupji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Wu Jae-ak, Seo Bal and Do Sul-mo in 1786. Daegu Eupji is kept as a part of Gyeongsang Province Eupji(1832), Yeongnam Eupji(1871), and Yeongnam Eupji(1895), or as Daegu District Eupji(1899), and is left as Daegu District Eupji, which is the first edition of the Gyeongsang Province Eupji(1832). In the late 17th century, Daegu Eupji needed to be revised because Punggak and Hwawon areas were included in Daegu. In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Section in the Eupji in 1697 many people who had a connection with Miryang city were included.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Section in the Daegu Eupji did not have any additions since 1786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Another proof of this fact is that since 1786, Daegu Eupji has not added anyone who passed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after the end of the late 18th century. The eight out of ten people who were added in 1786 were the people who lived betwee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King Injo(1623∼1649)periods. This shows that the Eupji is the products of the efforts of the Daegu gentry of the late 18th century who included their ancestors in order to enhance their status in their town society. However, this addition can be confirmed from Gyeogsang Province Eupji(1832) since the 1786’s Eupji has not survived. Looking into the process of adding people to the People Section in Daegu Eupji, we can find expanding influence of the gentry who led Daegu society. By looking at the surviving Eupji,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eople who were added, or who were added and then removed from the Eupji since it was first compiled in 1637. We can only confirm that the Daegu gentry tried to prove that their ancestors were the followers of the scholar Jeong Gu in order to include their ancestors in the Daegu Eupji. Out of the 22 followers of Jeong Gu in the People Section in Daegu Eupji, four people were first added in 1637, 15 in 1697 and three in 1832. In the local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dding their ancestors to the Eupji was the result of the descendants’ efforts who wanted to be recognized as part of the gentry. When Punggak and Hwawon areas were newly added in the Eupji during the compiling time, the gentry in Hwawon(8 sub-divisions) were strongly dissatisfied with the compiled contents. They were dissatisfied that people in Hwawon area were not added properly, so they compiled the Geumseong Jipeon, a version of Hwawon Eupji. It is presumed that while the Westerners and the Norons who were linked to the seat of political power were instrumental in compiling the Eupji, the Southerners of the area were dissatisfied with the content.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main local leaders were not recorded in the 19th Eupji.

      • 최계란 명창과 “대구아리랑” 고찰

        손태룡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Arirang, Korean folk song,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 various regions, with Kin-arari sung in Kangwŏn Province and Chajin-arari sung while conveying rafts along Han River spreaded. Futhermore, A variety of Arirang song was made after Bonjo-arirang (Seoul-arirang) and used in movie Arirang by Na Un-gyu(1902-1937), has known to public in 1926. In this social circumstance, Taegu-arirang was made and embeded in SP record by Ch'oe Kye-ran. The SP record was Taegu-arirang released by Million in 1936. Taegu-arirang has eight-ten time and Ŏnmori-changdan. The song was accompanied by Sŏnyang Orchestra with Kayagŭm, Changgu and violin. Sŏnyang Orchestra (鮮洋樂團)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Kayagŭm, Changgu and violin perform together. Ch'oi Gye-ran who was born in Bongmu-dong, Tong-gu, Taegu went to Taegu-arirang in Taegu at age of 10, 1930 and was tutored by Kang T'ae-hong. And she made his appearance in Kyŏngsŏng broadcasting and recorded Taegu-arirang while performing, with her position belonging to Chosŏn-Kwŏnbŏn. The form of lyric and melody in Taegu-arirang in Million recorded by Ch'oi Gye-ran was old-fashioned. Especially, the song added familiarity by using terrain in Taegu such as Nakdong River and Gŭmho River. For Taegu-arirang to be regarded as one of representative and distinct folk songs in Taegu, Many things about the song should be discovered and many people should sing and pass down the song continuously. And better plan to pass down and conserve the song is required from now on. 우리나라 민요 <아리랑>은 강원도지역에서 모심기 때 불린 “긴아라리”와 대원군(李昰應, 1820-1898)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한강으로 뗏목을 옮기면서 부른 “자진아라리”가 전국으로 전파되면서 각 지역의 <아리랑>이 새롭게 탄생하게 되었다. 더욱 1926년 나운규(羅雲奎, 1902-1937)가 제작한 무성영화 <아리랑>에 사용된 “본조아리랑”(서울아리랑, 나운규 편곡, 노래 이상숙)이 알려지게 된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지역별 <아리랑> 노래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대구아리랑”이 창작되어 최계란(崔桂蘭, 1920-2001)에 의해 SP음반에 취입되었다. 그 음반이 바로 1936년 밀리온(Million)에서 발매한 “대구아리랑”이다. “대구아리랑”은 자진모리로 된 전주-간주-후주를 포함하여 8분음10박자의 엇모리장단으로 되어 있다. 반주로 사용된 장구와 가야금 그리고 바이올린과 함께한 선양악단(鮮洋樂團)이 반주를 하였다. 선양악단이라고 한 것은 장구와 가야금의 조선악기와 바이올린의 서양악기가 함께 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대구시 동구 봉무동 출생인 최계란은 1930년 10세 때 대구 달성권번에 들어가 강태홍(姜太弘, 1893-1957)의 지도를 받았다. 그리고 임종성(林鍾成)에 의해 서울의 경성방송국 출연과 조선권번에 기적(妓籍)을 두고 활동을 하면서 “대구아리랑”을 취입했었다. 최계란이 밀리온음반에 취입한 “대구아리랑”의 선율과 가사의 형태는 고제(古制)에 해당된다. 특히 낙동강, 금호강 등 대구지역과 관련되는 지형을 가사에 이용함으로써 더욱 친밀감을 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구아리랑”을 취입한 최계란은 누구이며, “대구아리랑”은 어떠한 음악인지를 밝히는 작업이 연구목적이었다. 연구를 위해서 최계란을 추적하였고, 유성기음반에 담긴 “대구아리랑”을 통해서 가사를 채록하고 음원을 채보하여 오선보로 악보화 했다. 앞으로 “대구아리랑”이 대구지역의 특색 있는 대표적 민요로 규정되려면 지속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계속 불러 전승될 때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나은 전승 보존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 KCI등재

        일제강점 말기관찬 지방사에서의 지방 구현- 『대구부사(大邱府史)』(1943)를 중심으로 -

        정상우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5

        This paper examines local history compil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Daegu-busa (大邱府史; The History of Daegu), a text published in 1943. Since the Joseon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yangban (在地士族) had compiled local histories for governing local society and ensuring their superiority in these areas. The local history of Daegu was also compiled during the Joseon period. Its main contents are administration, population, land, significant installations, and famous persons in Daegu. Even after Korea became a colony, local history continued to be compiled in Daegu, but this was undertaken primarily by Japanese who had settled in Daegu. Such compilation was to say that the development of Daegu owes to Japanese and colonial ru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1930s many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s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Chōsen (朝鮮總督府) had published local histories, and had thus called in historians. Daegu-bu (大邱府) invited Suematsu Yasukazu (末松保和), who was a professor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and deeply involved in the Association of the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朝鮮史編修會), to compile Daegu-busa. This book, while covering the local history of the past, has attracted academic attention in two ways. One is that famous scholars, represented by Suematsu, were assembled. The other is that they utilized reliabl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朝鮮王朝實錄). Daegu-busa presented Empress Jingu’s (神功皇后) “Sankan seibatsu” (三韓征伐), or the conquest of the Three Han, as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Daegu, and explained the history of Daegu in the relationship with Japan from its origins in to the Joseon period. In other words, Daegu-busa imparted new meanings to Daegu as “Daegu in Korea-Japan relations” and “Daegu in the empire,” but not as “Daegu in Korea.”The new meanings for Daegu have been demonstrated by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historical materials cited in Daegu-busa have one point in common. This is a result of the Government-General’s investigat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Chōsenshi (朝鮮史), which was compiled by the Association of the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General’s investigat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ensured the “scientific objectivity” of local history such as Daegu-busa. And Daegu-busa, whose text was based upon the historical materials summarized by the central authority, depicted Daegu as “Daegu of the Japanese Empire.” 이 논문은 식민지기 지방사 편찬을 1943년 대구부에서 간행한 『大邱府史』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식민통치기 지방사 편찬의 목적과 추이 및 일제 식민지배 말기 지방의 특성을 어떻게 역사적으로 드러내었으며, 중앙사 편찬과 지방사 편찬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지방사․지방지 편찬은 조선 시대 이래 중앙에서 지방 통치를 위해 편찬한 地誌나 재지사족들이 향촌에서 자신들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편찬한 邑誌와 같이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지나 읍지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대구 역시 그 행정적 위상, 호구, 토지, 시설물, 인물 등에 대한 사항이 파악되었다. 지방사지류의 편찬은 강점 이후에도 계속되었는데 주로 지방청이나 대구에 이주해 온 일본인들에 의한 것이 많았다. 이는 이른바 일본인과 식민통치에 의해 대구가 발전했다는 것을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지방사 편찬과 더불어 1930년대에 접어들어 대구 지방의 청소년 교육을 위한 독본류의 간략한 교육용 교재도 등장하였으며, 지방의 유지이자 ‘當局’과 연결된 유림층들이 총독부의 유교정책에 호응하여 전통시대의 것과 비슷한 체제와 내용의 읍지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1930년대 중반 이래 조선총독부의 지방청에서는 전문 역사가를 기용하여 ‘道史’, ‘府史’를 발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대구부 역시 조선사편수회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던 京城帝大의 助敎授 末松保和에 의뢰하여 1943년 『大邱府史』를 간행하였다. ‘沿革編’, ‘府政編’, ‘特殊編’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大邱府史』는 조선 시대 이래 편찬된 대구 지역의 지방사지를 포괄하면서도 대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강점 후 大邱府 설치 이후 대구의 변화상을 제시하고 있는 ‘府政編’의 경우 식민지화 이후 대구부의 발전을 드러내어 식민통치를 선전한다는 점에서 대구의 일본인들이 편찬했던 지방사와 대동소이하다. 그렇지만 ‘沿革編’과 ‘特殊編’은 발간 당시 학계의 주목을 끄는 것이었다. 이는 末松保和와 같은 당시 명망있는 학자들을 기용했다는 점과 조선왕조실록으로 대변되는 다양하고 확실한 사료를 활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特殊編’은 末松만이 아니라 당대 내노라하는 10명의 학자들이 자신들의 전공분야와 관련지어 대구를 분석한 논문을 싣고 있는데, 이는 『大邱府史』가 단순히 대구의 발전상을 과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적 권위를 갖는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편찬을 담당한 末松保和의 역량이 가장 현저히 드러나는 것은 ‘沿革編’이었다. 300여 페이지의 방대한 분량을 과시하는 이 부분은 대구의 역사를 종합한 것으로, 역사가로서 末松保和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역사상 대구가 처음으로 드러나는 사건으로 神功皇后의 三韓征伐을 제시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 전기 한일 무역에서, 임진왜란 당시 군사적 요충지로서, 또 일본에서 필요한 약재의 주요 시장으로서 대구가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즉 『大邱府史』에서 파악하고 있는 대구의 역사적 특성은 일본과의 관련성 속에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구는 일본과의 관련 속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내었고, 그 특성 역시 일본과의 관련성 속에서 부각되었다. 이때 대구는 ‘조선의 대구’라기 보다는 ‘한일관계 속의 대구’가 되며, 더 나아가서는 ‘제국의 대 ...

      • KCI등재

        18세기 감영도시 대구와 낙동강 중류지역의 역사공간적 특징

        김정운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학논집 Vol.- No.85

        This paper is a study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Daegu was the center of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in two aspects, one is the institutional aspect of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here observers resi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Gyeongsang-do Gamyeong in 1601. Because of this, people and goods gathered. Daegu was the largest city in Gyeongs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ies are places where people and goods gather, and an open and inclusive culture is create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Nakdonggang River is joined by several streams of water in Yeongnam and gathers into one to penetrate the center of Yeongnam. The Nakdonggang River is a symbol of Yeongnam and penetrates the whole, forming a cultural area called Yeongnam Culture. This Yeongnam Culture created a variety of cultures by forming several cultural areas again. Daegu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wo regions meet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ltures. Daegu was a place where both acade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v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onfirmed the urban aspects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in the daily lives of its members. The daily life of Cho Jae-ho (1702-1762), who lived in Daegu as an observer of Gyeongsang-do in the 18th century, brings together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s of Daegu, an administrative city. The daily life of Choi Heung-won (1705-1786), the nobleman who lived in Daegu at the same time, showed the life and ideas of the nobleman in the city. In this way, Daegu in the 18th century, seen from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en, was an open city where various cultures were fused. 본 논문은 18세기 대구의 역사공간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대구는 경상도의 중심이었다. 두 측면에서 그렇다. 하나는 행정의 중심이라는 제도적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적인 측면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도 감영이 자리한 이후 관찰사가 거주하는 행정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경상도 전지역에서 사람과 물산이 대구로 모였다. 대구는 사람과 물산이 모이는 곳이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문화가 만들어졌다. 다른 하나는 문화적 측면이다. 낙동강은 여러 물줄기가 합해서 영남의 중앙을 관통한다. 낙동강은 영남의 상징이며, ‘영남문화’로 일컬어지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였다. 이 ‘영남문화’는 다시 몇몇의 문화권역을 형성하면서 다채로운 문화를 포함하였다. 대구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면서 경상도 전역의 문화가 만나는 지점에 있다. 조선후기 대구는 영남의 학문적·문화적 특징이 모두 수렴되는 곳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고는 18세기 대구의 모습을 구성원의 일상에서 확인하였다. 경상도 관찰사로 대구에서 지냈던 조재호(趙載浩, 1702~1762)의 일상은 행정도시 대구의 다양하고 포괄적인 모습을 모여 준다. 같은 시기에 대구에서 거주하였던 사대부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일상은 대구 사대부의 생활과 관념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사대부의 일상에서 본 18세기 대구는 개방적이고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는 도시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