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기여에 관한 고찰

        김판준(Pan-Joon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3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3 No.2

        우리는 체류외국인이 153만 명에 이르는 다문화사회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사회에 관한 담론도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고 정부지원도 적극적이다. 그러나 이민자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역사가 일천하고 재정적·환경적 한계로 대상자 모두에 대한 사회통합차원의 다문화정책은 아직 시행하지 못하고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지원정책을 펴고 있지만 능력에 따른 차등적 지원이 아닌 일방적 지원과 부처간 중복지원이라는 이유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사회통합정책이 성공하려면 다문화사회에 신속한 대응과 적응이 필요하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역할분담을 통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한다. 다문화사회 구성원이 종래 단순기능 분야 종사자 중심에서 정치가·교수·공무원·결혼이민자·유학생·투자가 등 활동유형별로 다양화 되고 있다. 게다가 이주자의 유입증가는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부족한 경제활동 인구를 충원시키면서 인종적·문화적 갈등을 피할 수 없는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 동안 주로 문제점을 지적하는 담론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대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포커스가 맞춰져야 한다. 대안 없는 문제점 제기는 공염불로 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정부는 다양한 비판과 대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미래의 이민정책은 사회통합적 차원의 이민정책이 되어야하고 재외동포를 우수인재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과거의 이민정책이 국경심사와 체류관리에 집중이 되어 규제와 통제였다면 앞으로는 사회통합과 경제적 효과를 가미시켜야 하는 복합적 이민정책으로 바뀌어야 한다. 사회통합정책은 이주자 자녀의 교육과 정체성, 현역입대의 영향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다문화사회는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자 순리이며, 그 나라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느 국가나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민자와 원주민은 서로의 문화를 인정하고 포용해야 하며, 정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We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there are 1.53 millions residing in Korea. Under the circumstances,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are more activated than ever and the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is positive. The history on the migrants social integration policy is only a short time, and, due to the financial and environmental limits, the multicultural policy in a social integration level has not been implemented, but has been made with married migrants as the assistance objects. Besides, its policy has been attacked because of bilateral assistance instead of the graded assistance and overlapping assistance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In order to succeed in a multicultural policy, the government need to specially cope with and adapt itself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olicy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by dividing their roles. Constituents of multicultural society have been various ranging to politicians, professors, government officials, married migrants, students, investors etc., from pure labor field of the past. Furthermore, the increase of migrants changes into the circumstances which cannot escape the racial and cultural conflict as well as making up for the lack of economic activity population. Until now, the discussions were centered on pointing out problems, but from now on it will have to focus on presenting alternative ideas. Because only to point out problems without substitute proposals is likely to end in an empty talk, the government need to positively consider and listen to a variety of rebukes and proposals. The future immigration policy should be that of social integration level andshould consider making use of overseas ethnic Koreans as professional talents. While the past immigration policy was regulations and control by focusing on border inspection and stay management, the future policy will be inovated into the complex policy including so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effects.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is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consider the effects etc., of education, identity, and military forces entry, of migrants children, with various points of view.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flow of unavoidable world and reasonableness, and has not a litt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Accordingly, any nations have expected the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For that, migrants and original residents are to recognize and engage different cultures each other, and the government need to develop and assist a variety of programs.

      • 다문화가정 자녀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차이와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최충옥(Choi, Chung-Ok),이륜(Lee, Ryu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가정자녀들이 학급에서 통합되어 생활하는 경우와 학급 안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없는 일반학급의 경우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접촉 생활 경험과 다문화교육의 경험 유, 무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조사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지원관련 요소를 모색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통합학급과 일반학급의 인식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초등학교 또래학생들의 다문화 인식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교사의 경우 다양하고 실제적인 장학자료, 교수-학습자료 등 수업에 필요한 자료들의 개발과 접근성에 대한 요구를 하였고, 방과 후 교육을 통한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 지속적인 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요구하였다. 또한 학생지도를 위한 보조 인력과 가산점, 인센티브 제도, 수업프로그램 공모, 자격증, 체험학습 경비 등 행정적 인지원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학부모의 경우 방과 후 학교, 가정방문 형태의 학습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학생의 경우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개선 을 위한 교사의 노력을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일반학생틀간의 접촉 생활 경험을 늘이기 위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부정적이 아닌 긍정적 인식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도 차이로 보아 초등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문화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to check up on united class and unintegrated class among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from him or her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in touching with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f education with their and then analyze the needs of multi-culture educations from their and show suit my country's purpose of developmental direc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s.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to check up on united class and unintegrated class among child of multi-culture famil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n grade, sex. The second,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schoolchild's perceives o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f education with their appeared statistical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education group and un-education group. The third, the result of the need assessment of multi-culture educations from their is as follows. In the demands of a constituent by group, teachers requested the development and access to necessaries materials of lesson as such materials of Teaching & Learning and very practical plan also a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y after school, continuous consultation program, administrative support as such support staff for children, incentive, contest of lesson program, a certificate, expenses of experience learning, lastly various training program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school parent demanded a home visit program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getting the various information, during after school. Students requested the improve of friendly intercourse.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사회의 지역사회경찰활동 전략

        김순석 ( Soon Seok Kim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2

        한국사회는 외국인 노동자 수요의 증가와 국제결혼 등으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한국 다문화사회의 진전은 세계적 추세와 비교해 볼 때 다소 뒤늦게 시작되었지만 2008년말 현재 국내에 체류중인 외국인은 총 1,158,866명으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체류외국인 110만명의 다문화사회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한국사회는 다문화가정을 하나의 구성원으로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하여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상황에 놓여있다. 다문화사회의 경우 다양한 문화와 언어적 차이로 인하여 범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다문화사회의 새로운 불안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다문화사회의 급속한 진행과 더불어 우리 사회에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명확한 개념정의를 토대로 이미 다문화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선진국의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사례 검토를 통하여 변화하는 치안환경에 적합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의 친밀감 확대를 위한 근본적 노력과 더불어 경찰과 시민 모두 다문화사회의 개념이해와 지역사회경찰활동 대상으로서의 다문화사회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명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지역사회경찰활동에 적합한 인력 확충과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위한 다각적 홍보역량 강화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the number of aliens laborers is increasing and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marriages taking place in Korea. Such a trend in Korea started somewhat later than that in other countries, but it is very quick since a total of 1,158,866 aliens stayed at the end of 2008 and the number has been continually growing. In this situation, the Korean society is required to recognize multi-cultural families as its members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set up active plans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various cultures and different languages, many crimes take pla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ake it unstable as well. So, in order to keep a multi-cultural society from diverse social problems, advanced countries actively encourage community policing. This research aims to know the progress that the Korean society is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rimes occurring in the society, and community policing to maintain public order appropriate to the conditions of the society. Before activating community policing,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fundamental endeavors for strengthening the intimacy of a local society, for both the police and citizen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learly define the scope of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community policing will be developed. Furthermore, it is also required that enough manpower should be secured to develop community polic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at PR promoted and intensified in various ways to widely spread community policing.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이명희(Lee Myung-Hee),홍순옥(Hong Soon-Oh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의 차이를 교사의 배경변인(학력, 경력, 소속기관 유형)에 따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42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정도는 낮은 반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육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점은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다문화 교육자료 부족과 다문화 관련 교사 연수, 워크숍 부족 이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실태에 있어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육 경험은 부족하였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 경험이 많았다. 유치원보다 어린이집 교사들이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할 기회가 더 많았다. 경력이 높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을 더 잘 실시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다문화가정 유아가 없기 때문에 할 필요가 없다는 비율이 높아 다문화교육이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국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and the actual condition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the educational level, the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type of organiz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factor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the actual condition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y teachers' background factors? The objects of study was 341 teachers belong to the nationalㆍ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the Busan.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Jung, Sunhee(1997). This questionnaire was revised by Kim, Ahyoung(2oo4), Lee, Meesoo(2007), and Jun, Duksoo(2007). Researcher of this study adopted revised version with some reversion.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as Chi-squares to test difference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y the teachers, for the necessity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97.1% had answered positively.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the lack of the proper material" for the Korea situations and lack of the "teacher's training and the workshop" for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artly in the educational level, the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ype of organization. This study showed that longer teaching experiences had more experienc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child care teachers had more experiences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수용태도의 영향

        고현 ( Hyun Goa ),최진숙 ( Jin Sook Choi ),김성미 ( Seoung Mi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수용태도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영유아 교육경험과 다문화교육수업 경험이 있는 예비 유아교사가 경험이 없는 예비 유아교사보다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수용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수용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수용태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다문화 감수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시대에 유아교사로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 유아교사들은 다문화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고 수용할 수 있는 관심과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s an empirical research aimed to analyz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31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that the study had come up wit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multi-cultural infants and in leading a cla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report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ones who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Seco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se variable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in terms of relative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study learned that multi-cultural sensitivity has even a greater effect.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ha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such as degrees of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of confidence in interaction as well as attitude of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now suggest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pay constant attention to multi-cultures if they want to improve their competenc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roperly enough to keep up with this era of multi-culture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현황과 문제점 - 다문화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식의 기본 프레임을 점 검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모습의 다문화 의식을 추적하여 우리나 라 다문화주의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둘째, 다문화 사회의식 개혁에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얻고 있는 공익광고 속의 다문화 이해와 사회의식을 살펴보고, 셋째, 다문화 공익광고의 사회적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조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지금까지 추진된 다문화정책과 교육 사업 덕택에 우리의 다문화 감수성과 친화력은 크게 높아졌지만, 그것이 다 문화 사회가 요구하는 의식개혁으로 이어질 지에 대한 평가는 유보적이다. 둘째, 공익광고가 다문화의 이해와 수용에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내고 있지만, 그것은 광고라는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새로운 사회의식을 제시하는 단계에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통합의 과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정책 및 교육이 국민의 의식개혁과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다문화 의식 프레임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다문화 공익광고에 대한 질적 분석과 그에 대한 해석이라는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결 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 및 지원 사업에서 발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basic frame of Korea's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understand multicultur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First, this study traces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at can be ascertained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us and problems of Korea's multiculturalism. Second, this study understands multiculture and identifies the reality of social awareness in the public advertisement that gains positive expected benefits through reform of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Third, this study review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ocial effects of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The reason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public advertisement in the review of social awareness is that it has purpose to change people's awareness and behavior into the pursuit of public benefits. Therefore, public advertisement, based on publicness and pan-national attributes, offers various analysis factors, through which community awareness on pending social issues in the contemporary era can be understood. The analysis object from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is social messages that the advertisement intends to deliver through the subject of the advertisement and subject consciousness. Through this, this study reviews the reality and problems of social awareness on multiculture, and offers a new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improve the problem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in limited scope, namely, within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ulticultural public advertisement. Therefore, there is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however,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seek developmental alternatives in education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society integration.

      • KCI등재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이 다문화가정 자녀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박상지(Park Sang Ji),방기혁(Bang Gi Hyeo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이 연구는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이 다문화가정 자녀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연구의 대상은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 25명과 어머니 25명으로 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법으로 설계하여 1년간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검사도구는 자기효능감, 사회성(자녀용), 결혼 만족도, 우울감(어머니용)으로 구분하여 개발하고, 자료 분석은 동일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서 변인인 자기효능감에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 프로그램이 매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도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 프로그램의 영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난 후 매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우울감도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 후에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를 통해 다문화 오케스트라 활동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신감 향상, 교우 관계 개선, 교사와의 관계 유지 등에 영향이 있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배우자와의 결혼 만족도 향상 및 우울감 감소 등에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multicultural orchestra activity affects the emotions of children and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25 children and 25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orchestra activity program. The research developed multicultural orchestra activity program and applied the method of before and after test for single group.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developed and applied the instrument for examination of self-efficacy and sociality. For th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developed and applied the instrument for examination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shown in the following; Self-efficacy which was a variable of emotions such as self-efficacy and socialit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much improved after the test compared to the test before. And marital satisfaction by th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much improved after the test compared to the test before. Moreover, the multicultural orchestra activity had great impact on abating depression of the mothers.

      • KCI등재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운영 현황 점검과 방향성 모색: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의 다문화미디어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1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은 참여적 미디어 활동을 통해 다문 화사회 구성원들이 공감과 소통을 장을 형성하는 한편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적 통 합을 이끌어 내는 핵심적 교육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미디 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의 특징과 개선점 등을 점검함으로써 다문화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가 전국적으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시민들의 참여적 미디어활동을 증진하고자 하는 ``시민미디 어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현황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를 시 민교육, 커뮤니케이션권 교육, 상호이해 증진 교육이라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지 향점 측면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해 실행 체계적 차원과 내용적 차원에서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실행 체계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각 기관의 특성을 살리고 이를 연계하는 ``상호협력적 네트워크`` 체계 구축, 공교육(학교교육) 차원에서 다문 화미디어교육의 시행, 다문화 채널 방송의 설립을 제안한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내용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대상이 다문화가족의 구성원과 그 이웃들을 포함한 전 국민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그 구체적 내용은 정보화교육,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 다문화교육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아울러,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은 영상 제작과 같은 미디어 활용 교육과 더불어 미디어를 매개로 소통과 표현의 증진, 그리고 콘텐츠의 비판적 이해를 함양하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as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Korean society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lays a vital educational role to build a specific spa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and leading to social cohes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by checking its features and improvements, and seek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Now, in Korea, there are two organizations that operat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is operating throughout the nationwid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Public Media Center`` which to promote citizens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all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that operated or operating by abov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conclusions in the systematic dimension and contents dimension to activate and substantiality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First, in the systematic dimension, it is necessary that build the ``mutual collaborative networks`` system which rai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and to make their connection,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 public schools(schooling), and establishment of a multicultural channel in Korean broadcasting system. Second, in contents dimension, we need to extend its range to all people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neighbors, and it``s contents should consist of IT training, media capacity building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과 고정관념이 다문화 교수효능감과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한송(Kim, Han-song),오재연(Oh, Jae-yeon),김경란(Kim, Kyung-ra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과 다문화 교육적 태도에 미치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과 고정관념을 살펴보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2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문화경험, 다문화 고정관념, 다문화 교수효능감, 다문화 교육태도를 설문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교직경력,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라 다문화경험, 다문화고정관념, 다문화 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 태도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과 고정관념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다문화고정관념의 긍정적 형용사’와 다문화경험 중 ‘미디어 경험’,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변인으로는 ‘긍정적 형용사’, ‘미디어 경험’과 ‘가족친인척의 경험’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유아를 다루는 유아교사들에게 긍정적 측면과 다문화에 대한 가족이나 친인척 또는 간접경험의 기회를 자주 접하게 하여 다문화에 대한 깊은 지식과 체계를 구축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fixed ideas on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multicultural experiences, multicultural fixed idea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cultural experiences, multicultural fixed idea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were par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academic qualification, work experience, teaching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Whe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fixed ideas on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analyze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 adjective’ among multicultural fixed ideas and ‘media experience’ among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addition, ‘positive adjective,’ ‘media experience’ and ‘experiences of family and relativ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dealing with multicultural young children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positive multicultural experiences, to contact multicultural family or relatives, or to have indirect multicultural experiences so that they build more profound and systematic multicultural understa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