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No.-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ㆍ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ㆍ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ㆍ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The concept of alternative sphere is terminologically various; resistance media, counter media, minjung media, grassroots media, underground media, alternative media, civic media, etc. Each terminology reflect the feature of times and the emphasis of advocator. This article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In a world, Korea's alternative public sphere has changed as following: resistance media and liberty media in 70', counter media and minjung media in 80', alternative media in 90', and alternative media and civic media in 2000'. The motive of transformation is basically the expansion of civil society and extension of social movement in Korea. As social movement's character has changed, the feature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has also changed. Minjung movement played key role of social movement in 1980',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characterized as minjung media or counter media which was based on working class consciousness. After this, According as civil movement have initiative of social movement, the character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changed by alternative media and civic media. Besides, this article argue that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of Korea has changed dialectically with social movement.

      • KCI등재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전문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최성은 ( Sung Eun Choi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공동체 라디오가 정규사업으로 전환된 지 4년이 경과했다. 공동체 라디오는 애초 2003년부터 소출력 라디오라는 이름으로 시범사업 기간을 가졌고, 2009부터 정규사업으로 전환됐다. 시범사업에서 정규사업으로의 전환은 공동체 라디오의 사회적 가치를 확인한 것이었고, 이에 따른 활성화 역시 기대 됐었다. 하지만, 공동체라디오의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여전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규방송 도입 후 공동체 라디오의 운영구조를 평가하고, 정책적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언론학자 및 미디어단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정규방송 도입 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의 문제점, 둘째, 정책적 개선방안을 설정했다. 전문가들의 응답을 토대로 한 연구결과는 정규방송 도입 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에서는 출력, 편성, 재정 등에서 여전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며, 이에 공동체 라디오의 사회적 정의에 대한 명확한 정립, 출력 증강, 편성제한 폐지, 공적지원과 같은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Community Radio has operating adapted it`s institutionalization since 2009 in Korea. Primarily, Community Radio Project which called ``Low-Power Radio`` introduced in 2004, and this project changed ``Community Radio`` and Broadcasting act contained it`s regulation. As result, Broadcasting agency licensed seven community radio Station and now these groups are operating based on regional community. But, Community radio group and civil society still require improvement of community radio`s regulation. So, this research focus on what are the main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conditions for community radio`s activation. For this, e-mail in-depth interview was done based on broadcasting experts. The result show below; first, definite concept and social definition of community radio is called, second, the power of station frequency must amplify for the station`s active running. third, program restriction should ease to allow community news and current events. fourth, public funding must need for stabile and continuable operation of community radio in Korea.

      • KCI등재

        지역사회 초,중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미디어교육 실천방안 연구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강사들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2

        아동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이 일상화되면서 학교 내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공교육기관으로서의 학교가 가지는 중요한 역할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초.중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 준비과정과 실행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 그리고 지역사회 초.중등학교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의 목표 및 현실 여건을 점검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서 의미있게 살펴볼 수 있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해서는 미디어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에 참가했던 전문 강사들은 교수법에 대한 문제를 공통적으로 제기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미디어교육 강사 양성 과정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유의해야 할 사항이다. 둘째, 효율적인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해서는 관련 자료를 축적해 놓은 ``교육자료 아카이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참여 강사들은 교육자료 아카이브를 통해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자료가 더욱 풍부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셋째, 교육내용과 관련 유의해야 할 점은 아동청소년들의 미디어 경험과 일치하는 교육, 실기위주의 교육,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교육, 눈높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아동청소년들의 생태적 환경과 발달적 측면을 고려한 교육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현실적 측면에서 학교 당국의 관심과 지원이 학교 미디어교육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는 점이다. 현실적으로 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교 교육의 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형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 여부가 중요하다. 교육 주체들의 미디어교육 관심 정도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현장 경험을 통해 제기되고 있다. 다섯째, 학교 미디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과 미디어교육의 접목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참여 강사들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에 미디어교육을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ctual condition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For this, this article analyze practical experience. Media education lecturers are dispatched for after-school media education program which operate in prim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Through their experience we can search actual condition and the fact that suggest to improvement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like these; First, media education lecturer must learning teaching skills as well as knowledge about media. There are so many variable in schooling, especially prim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So, lecturer make provision for their class. Second, materials archive is necessary to efficient media education because good materials serve good teaching. Third, the curriculum for media education must construct to reflect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and living environment. Fourth, actually, the support and concern of school authorities is very important resources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Fifth, for successful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media education program must combine with regular curriculum in official schooling.

      • KCI등재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운영 현황 점검과 방향성 모색: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의 다문화미디어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1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은 참여적 미디어 활동을 통해 다문 화사회 구성원들이 공감과 소통을 장을 형성하는 한편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적 통 합을 이끌어 내는 핵심적 교육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미디 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의 특징과 개선점 등을 점검함으로써 다문화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가 전국적으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시민들의 참여적 미디어활동을 증진하고자 하는 ``시민미디 어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현황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를 시 민교육, 커뮤니케이션권 교육, 상호이해 증진 교육이라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지 향점 측면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해 실행 체계적 차원과 내용적 차원에서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실행 체계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각 기관의 특성을 살리고 이를 연계하는 ``상호협력적 네트워크`` 체계 구축, 공교육(학교교육) 차원에서 다문 화미디어교육의 시행, 다문화 채널 방송의 설립을 제안한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내용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대상이 다문화가족의 구성원과 그 이웃들을 포함한 전 국민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그 구체적 내용은 정보화교육,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 다문화교육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아울러,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은 영상 제작과 같은 미디어 활용 교육과 더불어 미디어를 매개로 소통과 표현의 증진, 그리고 콘텐츠의 비판적 이해를 함양하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as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Korean society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lays a vital educational role to build a specific spa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and leading to social cohes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by checking its features and improvements, and seek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Now, in Korea, there are two organizations that operat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is operating throughout the nationwid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Public Media Center`` which to promote citizens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all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that operated or operating by abov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conclusions in the systematic dimension and contents dimension to activate and substantiality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First, in the systematic dimension, it is necessary that build the ``mutual collaborative networks`` system which rai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and to make their connection,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 public schools(schooling), and establishment of a multicultural channel in Korean broadcasting system. Second, in contents dimension, we need to extend its range to all people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neighbors, and it``s contents should consist of IT training, media capacity building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지역신문 기자들의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연구 -전북지역 일간신문 기자들을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지역신문 기자들이 시민저널리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영역은 첫째,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지역신문 기자들의 일반적 인식, 둘째, 지역신문에서 시민저널리즘 적용에 대한 인식, 셋째, 시민저널리즘의 적용 방식 및 평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일간신문기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개방형 e-메일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집단은 전북지역의 일간신문 편집국장들이며, 2집단은 시민저널리즘을 실천하고 있는 전북지역 3개 지역신문 소속 기자들이다. 논의를 종합해 보면, 지역신문 기자들의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다. 시민저널리즘은 시민 및 지역사회 의제 설정, 다양한 의견수렴, 시민과의 상호 소통, 전문성 강화라는 장점을 제공한다고 바라보고 있다. 그러기에 시민저널리즘의 접목이 지역신문의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아울러 조사대상 지역인 전북지역에서 실재적인 시민저널리즘의 실천은 시민기자제의 유형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민기자제에 대한 평가로는 시민과 함께하는 신문, 지역신문에 대한 관심 유발, 지역의제공론화, 인력부족의 어려움 해소 등을 손꼽았다. 반면, 시민기자제 운영 문제, 자발적 참여 문제, 기사작성 방식, 재정적 문제 등을 어려움으로 호소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민기자제도 중심의 시민저널리즘 실천을 뉴스룸 확장 모델로 보고, 이의 국내적 의의 및 문제점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focus on how Journalist they who work in local Newspaper understand and estimate for civic journalism. For this, e-mail interview was done for low data. Twenty journalist who works in local newspaper in Jollabuk-d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First group is consist of 9 chief-editors, and second group is composed of 11 local newspaper reporters. There are 11 daily newspaper in Jollabuk-do province, but only three newspapers carry out a Civic journalism. The result show below. They all take an affirmative view of Civic journalism. And Civic journalism do and will be positively act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newspaper. In addition, Citizen-reporter system was mainly practised as the adoption of Civic journalism. However, voluntary participation, financial affairs, the skill for writing, and the reporter`s another load for citizen-reporter system arise from the adoption of Civic journalism in local newspaper. So, This article name citizen-reporter system as ``newsroom expansion model``, and explain the sense and key subjects.

      • KCI등재

        미디어교육에 대한 도시와 농촌 간의 실태 차이 비교 연구

        김은규(Kim, Eun-Gyoo)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미디어교육의 영역에서도 도농 간의 교육격차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육과정 요인 중에서 미디어 이용 실태, 미디어교육 현황,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도농 간의 차이를 점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디어교육의 교육요건, 교육현황, 인식 등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도농 간의 큰 격차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의 교육문제에서 교육격차,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하고 있을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다행스러운 일이다.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도농 간의 큰 격차가 없는 이유로는 정보격차 및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 지역에 대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농촌 지역학교의 유휴시설의 전환으로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교육여건이 확충되고 있다는 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교육과정에서 아직 미디어교육의 비중이 크지 않기에 미디어 교육에 대한 도농 간의 격차 역시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이해의 문제, 도농 간의 큰 편차가 없는 조사대상의 범위 문제 등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media-education gaps are exist or no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schooling. In the concrete,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edia use, the pres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for media educ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is aims, this study use survey research method. The sample are taken in the whole primary-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In conclusion, there are a little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relation to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Reflecting on the state of educational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result is very fortunate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reasons are assumed like these; 1) expand and improve the facilities for educational gaps and information divide, especially rural areas. 2) make use of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has so far remained unused in order to schooling in rural areas. 3) because media education is given little weight in the total schooling, gaps are still might not appeared. Partly, this research have limitation; if the extension of research areas which have big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the result might be chang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역신문 지원 조례(안)" 비교분석을 통한 현실적 쟁점 고찰

        김은규 ( Eun Gyoo Kim ),최낙진 ( Nak Jin Choi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3

        2004년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이 제정되어 지역신문에 대한 지원을 공적지원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지역신문에 대한 공적지원은 지역의 여론다양성 확보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지역신문을 진흥시키겠다는 의지의 산물이다. 중앙정부의 지역신문 지원정책에 힘입어 각 지역자치단체에서도 지역신문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신문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0년 경상남도에서 최초로 지역신문 지원 조례가 제정된 이후 부산, 충남 등 광역자치단체와 서울 동작구, 경기도 의정부시 등 기초자치단체에서 조례가 제정되었다. 더불어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광주광역시 등에서도 지역신문조례 제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조례가 제정되었거나 현재 논의 중인 지자체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은 조례를 통해 지역신문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모두 공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원 조례에 대한 이견들로 인해 일부 지자체의 조례 제정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제정되어 운용되고 있거나 아직 논의 중인 조례안 검토를 통해 지역신문 지원 조례의 현실적 쟁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검토 결과 첫째, 지원대상의 범위의 문제로 인터넷신문의 포함 여부, 둘째, 지원 자격의 조건으로 지원기준의 절대 요건과 우선요건의 문제, 셋째, 상위법인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과의 차별성, 넷째, 지원 조례에 따른 재원의 형성, 다섯째, 지원조례 운용을 위한 위원회의 구성 등의 문제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례 제정의 방향성과 관련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 지방자치단체의 홍보예산 문제가 지역신문 지원과 연동되어 지역신문 난립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 지역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는 첫째, 지역신문 지원과 관련 연차별 지원 대상을 구분하여 진행, 둘째, 개별 신문사별 지원 방식 대신 기획취재 사업, 소외계층교육 사업 등과 같이 사업별 공모제 실시, 지역사회 공헌을 고용인원, 세금, 4대보험 지급 등 지역의 고용 안정과 기여 면에서 가중치를 크게 두는 방안을 고려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Support for local newspaper has been carried out in a public support level, after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local newspaper development in2004. The public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the product of the government``s will to improve the local newspaper by acquiring the opinion diversitiy in local community. Alo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for the local newspaper, regional governments also t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newspaper by establishing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fter the first local newspaper ordinance was enacted in Gyeongsan Province in 2010, the same ordinance was established in municipal corporations like Busan, Chungnam and local governments like Seoul Dongjak gu, Gyeonggi Province Ujjeongbu. Also, the movement for enacting the local newspaper ordinance is very active i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nlado, and Gwangju city. The common thing that is confirmed both in local communities in which the ordinance was established or is being under discussion i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needed through the ordinance. However, due to the discordance in opinions about the supporting ordinance, the process of enacting the ordinance is undergoing the difficulties in some regional communities. Therefore, this paper reconsiders the realistic issue in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nd finds the better solution by analyzing the ordinance which is either being actually performed or being under debates. After thorough analysis, five issues are recognized; first, whether internet newspaper is included in terms of coverage of supporting, second, absolute condition and priority condition in terms of the qualification of applying, third, the difference from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the local newspaper``s development which is in a higher rank, fourth, securing finances after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fifth, establishing the committee for operating the ordinance. So this study emphasizes that select and concentration principal should be maintained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the ordinance, that publicity budget of the regional communitie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n order to remove the cause of excessive establishment of local newspapers, and that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the local newspaper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the solutions with realistic base are first, to carry out the ordinance by dividing the subjects for the annual support of the local newspaper, second, to put more importance in employment security and contribution in local community such as tax, four major insurance, employment rate by having contests for individual businesses like covering a in-depth case or a special feature, and educating underprivileged class.

      • KCI등재

        문화시장개방, 국제규범, 글로벌 거버넌스

        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5 No.-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강화되면서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논쟁 역시 강화되고 있다. 사장개방 촉진자들은 문회영역의 생산물 역시 타 상품과 같은 조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강변한다. 이의 반대자들은 문화란 개인과 공동체의 의식과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에 상품교역에 있어서도 예외성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같은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국제 관계의 흐름은 국제사회의 의사결정과 관리에 대한 규범 창출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국제규범과 이의 행위자들에 대한 고찰을 글로벌 거버넌스라는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화시장 개방을 촉진하는 WTO, GAIT, GATS와 같은 국제협약 및 행위자들을, 그리고 그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문화적 다양성' 논의를 이끌고 있는 국제협약 및 행위자들을 글로벌 거버넌스 라는 틀 속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논쟁과 충돌은 패권국가의 힘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아니라 다양한 국제사회의 행위자들이 참가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그 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As neoliberal Globalization is reinforced, the debating of international stage about cultural market is heated up. People who insist market opening claim that cultural product has to be handled in condition such as other goods. However, the dissenter of cultural market-opening assert 'cultural exception' in goods trade because culture affects in individu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dentity. The dispute encompassing cultural market raise the concept of Global Governance which presents theoretical frame about international society's decision-making and administration. Thus, this article explore international norms which encompass cultural market and its stakeholder through Global Governance frame. Specifically, first, this article review the theory of Global Governance. Second, this article examine international norms such as WTO, GATT, GATS, and also study its opponent who advocate 'cultural diversity'. Consequently, this article argue that the debating and conflict about cultural market should be resolved, not by hegemony state, by Global Governance frame which all stakeholder take part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