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용 요소 분석을 통해 본 역사 교육과정 개정의 계열성 - 2007ㆍ2009ㆍ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辛素然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최근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방침이 철회됨에 따라 중․고등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한국사 영역과 교과서의 개정이 시급해졌다. 새로 개정되는 내용 체계의 조직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가. 시사점을 얻기 위해 가장 최근의 2007․2009․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재검토하였다. 여기에 반영된 계열성의 양상을 살피기 위함이다. 계열성은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마다 반영되어야 하는 중요한 원리였다. 그러나 매번 계열성은 구현되지 못하였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원인은 무엇인가. 본고에서는 이를 교육과정 내용 체계 하위의 내용 요소에서 찾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계열화 방식은 형식상 내용 체계 재조직이 중심이었으며 내용 요소는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를 위해 2007․2009 개정 역사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중·고등학교 전체 역사 교과서 중 일부 단원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역사 교육과정 내용 체계화 과정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 8학년「역사」는 정치사, 그리고 사상사를 제외한 문화사로 구성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10학년 「한국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역사」의 사회사와 사상사 내용 요소들이 옮겨져 새로운 장으로 구성되었음을 알았다. 이 외에 경제사가 별도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교류사가 덧붙여졌다. 이어 2015 개정 「역사」는 문화사가 삭제된 한편 세계사와의 완전 융합 내용을 주제별로 구성하였다. 「한국사」는 목표상으로는 정치사를 바탕으로 경제, 사회, 문화사의 내용을 통합한다고 하였으나 내용 요소 면에서 중학교 단계와 유사하였다. 이처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상의 문제는 학교급별 내용 요소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역사 교육과정의 개정 방식이 내용 체계 외형에 대한 재조직의 반복이었음을 의미한다. 교육과정 개정 시기마다 학교급별로 교육 내용이나 서술 방식을 차별화 하거나 아예 역사 시기를 구분함으로써 내용 체계를 계열화하고자 하였으나 정작 내부의 내용 요소는 별다르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교사와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핵심적인 내용 요소이다. 학교급에 따라 적절하거나 중시되는 내용 요소에 대한 이해, 그리고 동일한 내용 요소일지라도 학교급별 학습자의 이해의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학 및 역사교육 학계 연구자와 현장 교사들 사이의 긴밀한 논의와 충분한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학교급별 내용 요소의 삭제와 선정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 the standardization of history textbooks was withdrawn recently, the revision of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and the Korean history textbook also is in need of urgent revis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newly revised content, the current study reviewed the content of the latest version of the history curriculum (2007-2015). this was done specifically to review the sequence that was reflected in the history curriculum. Sequence is an important principle that should be reflected in every curriculum revision. However, it continues to be criticised that the sequence has not been adequately reflected in the history curriculum. Then what would be the reason behind this lack of reflec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incompleteness of sequence in the learning content. Until now, the method of integration was focused on reorganizing the systematics of the content. Moreover, the content-basis was not directly considered. To this end,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tent system and the content element of the revised history curriculum (2007․2009․2015). As a result, it was clear that the revised Korean history curriculum system was a repetition of restructuring of the cont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rious levels of secondary schools in terms of the content element. As most teachers and students regard the key content as be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secondary school classrooms, appropriate and important key content element needs to be selected. Also, despite dealing with the same content elemen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by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be considered.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설정 양상

        김명순 ( Kim Myoung-so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60 No.-

        본고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내용 요소가 설정된 것을 계기로 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요소(학습 요소)가 설정되어 온 양상을 고찰하였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요소라는 용어가 쓰였는데, 알아야 할 것으로서의 교육 내용을 의미하며 본질, 원리, 태도 범주의 개별 교육내용(`내용`)을 가리켰다.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교육 내용과 구분하여 내용 요소를 설정하였다. 해당 성취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우고 가르쳐야 할 학습 내용을 의미하며 개별교육 내용에 부속시킨 하위 내용들(`내용 요소의 예`)을 가리켰다.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요소가 담화와 글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서 요구되는 세부적인 지식, 기능, 태도를 의미하고 개별 교육 내용(`내용 성취 기준`)을 가리켰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요소와 학습 요소가 모두 설정되었다. 내용 요소는 학년(군)에서 배워야 할 필수학습내용으로, 학습 요소는 성취기준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학습 내용을 핵심어로 제시한 것으로 규정되었다. 내용 요소는 개별 교육 내용(`성취기준`)을 추출하는 상위 자원으로, 학습 요소는 개별 교육 내용(`성취기준`)에서 제시되어 나오는 관계로 설정하였지만, 실제로는 내용 요소, 성취기준, 학습 요소가 차별성 없이 반복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고찰의 결과 전반적으로 내용 요소의 개념이 일관되게 사용되지 못한점, 내용 요소라고 하면서 요소로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점, 내용 요소의 층위 변동이 컸던 점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changed on the content elements which should be taught and learned from the 7th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 following table shows its results.

      • KCI등재

        자기성찰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 ― 국어과 예비교사의 수업시연 보고서를 중심으로

        신호철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elf-reflection reports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after teaching rehearsal, and to reclassify the content elements that should be written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based on the level of reflection. First, the introspections in the self-reflection report prepared by 45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 university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reflection on language expression, behavior, pedagogy, teaching contents, teaching material, and teaching progress. The elements of these six types of self-reflection report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flection, which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individual reflection level, practical reflection level, and critical reflection level. The first level, individual reflection level, focuses on the technical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own problems without direct relevance to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its descriptive aspects. It includes the introspections about language expression factors and behavior expression factors. The second level, practical reflection level, focuse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truction goals and the practical actions of the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teaching rehearsal. This level includes the introspections about the language expression factors, parts of the behavior expression factors, and pedagogical factors, except the introspections about the whole process and class factors. The final level, critical reflection level, focuses on the criticism of the value inherent in their teaching rehearsal. This level includes the introspections about pedagogical factors and class factors. 본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가 수업시연 후 작성한 자기성찰 보고서의 내용을 정리·분석하고, 또 자기성찰 보고서에 작성해야 하는 내용 요소를 반성적수준으로 재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C대학 국어교육과 3학년 45명이 작성한 자기성찰 보고서의 성찰 내용을 언어 표현 성찰 내용, 행동 표현 성찰 내용, 교수학적 성찰 내용, 수업 내용 성찰 내용, 수업 진행 성찰 내용, 수업자료 성찰 내용 등 6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이 6가지 유형의 자기성찰 보고서의 내용 요소를 반성적 수준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반성적 수준은 개인적반성 수준, 실천적 반성 수준, 비판적 반성 수준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먼저 1 단계인 개인적 반성 수준은 국어 수업과의 직접적인 관련성보다는 예비교사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의 근원적인 문제점에 대한 관심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집중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성적 수준에 포함되는 개인적 반성 수준의 내용 요소로는 언어 표현 성찰 내용 요소와 행동 표현 성찰 내용 요소가 해당된다. 그리고 2단계인 실천적 반성 수준은 예비교사가 수업시연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업 목표와의 적정성과 그에 부합하는 예비교사의 실천적 행위에 대한 반성에 집중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성적 수준에 포함되는 실천적 반성 수준의 내용 요소로는 언어 표현 성찰 내용 요소와 행동 표현 성찰 내용 요소의 일부와 교수학적 성찰 내용 요소 중 전 과정의 성찰 내용을 제외한 것과수업 관련 성찰 내용 요소가 해당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비판적 반성 수준은 예비교사가 수업시연을 실행한 이후에 그 속에 내재하는 가치에 대한 비판에 집중하는 것으로, 교수학적 성찰 수준의 내용 요소와 수업 관련 성찰 내용요소가 이에 해당된다.

      • KCI등재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에 따른 고려시대 내용 체계와 내용요소 분석

        신소연 ( Sin So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1 No.-

        지금 현장에서는 2018년 7월에 최종 고시된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이 운용되고 있다.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큰 특징은 첫째, 학교급에 따른 한국사 영역의 시기별 분리로서 중학교 『역사』에서는 전근대사,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근현대사에 집중하도록 하였다. 이는 학교급별 계열성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등학교에서 전근대사 전체가 한 단원으로 감축된 것은 처음이다. 둘째, 고등학교의 전근대 한국사가 감축되는 가운데서도 ‘해동 천하’, ‘문벌’, ‘정호와 백정’, ‘향리’, ‘주현과 속현’ 등 새로운 고려시대 내용요소가 선정되었다. 전근대 한국사 영역은 교과서 서술 내용의 변화가 이제까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이번 교육과정의 고려시대 내용요소 변화는 특히 주목할 만 하다. 본고에서는 감축된 고등학교 전근대 한국사의 내용 체계가 중학교 단계로 이양됨에 따라 학교급별 내용요소에도 양질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려시대를 대상으로 2015년 9월에 최초 고시된 역사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내용 체계의 변화를 살펴본 후 집필 완료된 『역사』와 『한국사』 전체 교과서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문서상 내용 체계 자체는 학교급별로 확연하게 구분되었으나 교과서에 기술된 내용요소는 대부분 중복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새롭게 선정된 고등학교의 고려시대 내용요소들은 어떤 학문적,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위의 내용요소 가운데 ‘해동 천하’, ‘정호’ 등은 처음 등장하였다. 그러나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이들 내용요소는 현장 적합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교사들에게는 대단히 생경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교과서마다 서술 방향과 내용이 제각각이다. 과연 역사학계의 합의를 거친 중요 학설인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였다. 현장 적합성을 확보하지 못한 내용요소는 역사교육의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학교급별 계열성의 측면에서도 설명하기 어려운 처지였다. 구조적으로 전근대사를 약화시킨 고등학교 단계에서 중요한 내용요소라면 반드시 전근대사 중심의 중학교 내용요소에 포함되었어야 했다. 그렇지만 교과서 분석 결과 이들 내용요소를 중요하게 언급한 교과서는 거의 없었다. 결과적으로 ‘해동 천하’ 등 새로운 고려시대 내용요소의 선정은 신중함이 다소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에서는 한국사 내용 체계의 완전한 분리를 통해 반복 학습을 지양하고자 하였으나 내용요소의 차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새로운 내용요소의 현장 적합성도 현저히 부족하다. 그러나 현장 교사들이 당면한 이와 같은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당장 역사 교육과정을 재개정할 수는 없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대단히 신중해야 한다. 지금은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현장 운영을 통해 교육과정의 공과를 가려내야 할 때이다. The major features of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currently in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 period-by-time division of Korean histor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e emphasis was on pre-modern history for middle school and modern history for high school.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entire pre-modern history has been reduced to one unit in high school, as it was aimed at embodying the sequence of each school level. Second, new Goryeo Dynasty content Elements such as ‘Haedongcheonha’, ‘Moonbeol’, ‘Jungho and Baekjeong’, ‘Hyangri’ and ‘Juhyeon and Sokhyeon’ appeared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his change was therefore particularly noteworthy. At this high school, we wanted to see if the content system of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in the pre-modern period actually change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school level. For this purpose, the Goryeo Dynasty was chosen to compare the history curriculum that was first announced in September 2015. Afte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content system, the contents of the entire ‘history’ and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analyzed. What significance does the contents of the Goryeo Dynasty have in terms of academic and educational value in high school? A survey of teachers found that this content element was not suitable for the education field. It was a very strange concept for the teachers. Most of all, each textbook had different descriptions. There was a lack of evidence on whether it is an important theory that has been agreed upon by the history community.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education was also lacking because of the lack of applicability to school. This was also against the sequence inten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If it is an important content ele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it must be included in the middle school content element in order to allow continuity of the history content.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xtbooks, a few textbooks mentioned these elements as important. As a result, the selection of new Goryeo Dynasty content elements, such as ‘Haedongcheonha’, was not prudent. In short,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sought to avoid repetitive learning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Korean history. Nevertheless, the history curriculum cannot be revised immediately.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must be done in a very careful manner. Now, the government should determin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rough the stable operation in the field.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요소 분석

        정경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4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실과 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분석을 통해 2015개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식생활 단원 집필 및 차기 교육과정 개선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의 균형 잡힌 식생활’ 단원 중 ‘나의 영양과 식사’ 소단원은 교과서별로 선정된 학습내용요소에 큰 차이가 없었다. ‘건강 간식 만들기’소단원은 건강 간식 만들기 실습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2007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1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삭제된 조리기구의 종류 및 쓰임새 알기, 연소 기구의 안전한 사용법 알기 등과 같은 기능적 요소들에 대해 교과서별로 학습내용요소 선정 여부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단원 중 ‘건강하고 안전한 식사’ 소단원은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음식 만들기와 식사예절’소단원은 우리 전통 음식의 우수성과 관련된 부분은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밥을 이용한 한 끼 식사 만들기 실습과 관련된 내용에 있어서는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5학년의 ‘건강 간식 만들기’ 단원과 ‘조리과정(절차)’, ‘조리기구 및 가열기구의 사용’, ‘조리시 주의할 점’ 등의 내용이 중복되어 교과서별로 학습내용요소 선정 여부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 식생활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5개이며 이 중 4개 성취기준의 내용이 2011개정 교육과정과 유사하게 연계되고 있다. 따라서 차기 교과서의 학습내용요소를 선정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factors of the 'Dietary life' area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2011. The learning factor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not different in the subunit 'My nutrition and diet' of the unit 'My balanced diet'. For the subunit 'Cooking healthful snack', learning factors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about use of cooking utensils or burner, etc.) were slightly different in several textbooks.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s of achievement standard between the revised curriculum 2011 and the revised curriculum 2007. The learning factor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not different in the subunit 'Healthy and safety diet' of the unit 'Practice of heathy diet'. For the subunit 'Cooking and dining etiquette', the learning factors about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Korean foods were not different but the learning factors related to cook dishes using steamed rice were slightly different in several textbooks. It is because that the learning factors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are repeated at 'Cooking healthful snack' for 5th grade and at 'Cooking and dining etiquette' for 6th grade. There are 5 achievement standards for 'Dietary life' in the revised curriculum 2015. Four achievement standards of them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revised curriculum 2011. Therefore, the learning factors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1 suggested by this study results are useful, when selecting the learning factors for the unit 'Dietary life' of new practical arts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2015.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 도출: 발명교육 내용표준을 중심으로

        문대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content element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20 expert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vention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method was performed to calculate content validity rati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ly, 3 content standard domains such as ‘understanding invention’,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among 5 domain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These content standard domains could be used as main frame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Secondly, 7 content standards such as ‘foundation of invention’, ‘history of invention’, ‘problem and observation’, ‘searching problem’, ‘invention and thinking skill’, ‘invention problem solving’, and ‘invention and living’ among 16 standard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These content standards could be utilized to design curriculum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hirdly, 23 content standard elements such as ‘meaning and concept of invention’, ‘importance and value of invention’, ‘human history and invention’, ‘ground-breaking stuff’, ‘ground-breaking inventor’, ‘observation and invention’, ‘problem confirmation skill’, ‘problem finding of stuff’, ‘divergent thinking skill’, ‘convergent thinking skill’, ‘process of problem solving for invention’, ‘problem confirmation for invention’, ‘information gathering for invention’, ‘idea creation for invention’, ‘information searching for invention’, ‘idea evaluation for invention’, ‘idea realization for invention’, ‘assessment of invention’, ‘invention in life’, and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among 67 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 standard were valid. These content standard elem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에서 다루어야 할 발명교육 내용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과교육과 발명교육 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 비율을 산정하는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 내용표준의 5개 영역 중에서 ‘발명 이해’, ‘문제 발견’, ‘문제 해결’의 3개 영역이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로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실과에서 발명교육의 기본 틀은 이러한 3개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발명교육 내용표준 16개 중에서 ‘발명의 기초’, ‘발명의 역사’, ‘문제와 관찰’, ‘문제 찾기’, ‘발명과 사고기법’, ‘발명 문제해결’, ‘발명과 생활’ 등과 같은 7개 내용표준이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로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7개 내용요소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발명교육 내용표준 하위요소 67개 중에서 ‘발명의 의미와 개념’, ‘발명의 중요성과 가치’, ‘인류 역사와 발명’, ‘세상을 바꾼 발명품’, ‘세상을 바꾼 발명가’, ‘관찰과 발명’, ‘문제 확인 기법’, ‘발명품 문제 찾기’, ‘확산적 사고기법’, ‘수렴적 사고기법’, ‘발명 문제해결의 과정’, ‘발명 문제 확인’, ‘발명 문제 정보수집’, ‘발명 아이디어 창출’, ‘발명 아이디어 정보검색’, ‘발명 아이디어 평가’, ‘발명 아이디어 실행’, ‘발명 평가’, ‘생활 속의 발명품’, ‘지식재산의 가치’ 등과 같은 23개 하위요소가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로서 타당하다.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간의 발명 내용 요소의 일치율 분석

        장민수,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2

        Starting wi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ventions continue to appear in the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Although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for each of the 12 publishers recognized as textbooks contain different contents, there is no research on confirming the unity between textbook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m for systematic invention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the content elements in the current 12 types of textbooks, and to check whether the presented content elements meet the invention-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nalysis target was selected, the textbook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problem-solving stage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concordance rate of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invention area between textbook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lements of inven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1 of 12 middle schools, the concordance rate of five content element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ion and Social Change', Concept of Patents', Ty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Diffusive-Convergence Thinking Technique' was the highest at 100%. Second, among the 20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each publisher's textbook,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13 content elements were concordant, 7 were ‘very concordant’, 3 were ‘concordant’, and 3 were ‘norm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invention unit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1’textbook conform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when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the textbook writers should improve the content and system of invention education by increasing the concordance rate of invention content elements between textbooks.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기술·가정 과 교육과정에 발명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교과서로 인정되는 12곳의 출판사별 발명교육 내용이 서로 다른 내용을 담고 있으나, 체계적인 발명교육을 위한 교과서 간의 통일성 확인과 개선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2종 중학교‘기술·가정’교과서 내에 수록된 발명 내용 요소 간의 일치율을 분석하고, 제시된 내용 요소와 발명 관련 성취기준 간의 부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의 선정, 교과서 분석, 기술적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교과서별 발명 단원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 간의 일치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 중학교‘기술・가정 1’교과서에 제시된 발명 내용 요소 중에서, 기술적 문제해결과정 , 발명과 사회변화 , 특허의 개념 , 지식재산권의 종류 ,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 의 5개의 내용 요소의 일치율이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각 출판사별 교과서에 제시된 20개의 발명 내용 요소 중에서, 매우 일치 가 7개, 일치 가 3개, 보통 이 3개로, 총 13개의 내용 요소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터하여, 중학교‘기술・가정 1’교과서의 발명 단원에 제시된 대부분의 내용 요소들이 2015 개정 중학교‘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발명 관련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해설에 부합하고 있었으며, 12종 교과서 간의 내용 요소 또한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시 교과서 집필진이 교과서 간의 발명 내용 요소의 일치율을 높여 발명교육의 내용과 체계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15 실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가정생활분야의 중복성 분석

        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s especially in family life between practical arts and other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key-concept of family life in practical arts and in other subjects. The key concept 'development' overlapped with the key concept and content element in physical education. The key concept ‘relation’ overlapped with the key concept and content element in social studies, moral life, inquiring life and pleasant life. The key concept ‘living culture’ overlapped with the key concept and content element in social studies. The key concept ‘safety’ overlapped with the key-concept and content el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science. The key concept ‘Management’ overlapped with the key concept and content element in moral educaion and pleasant life. The key concept ‘Life planning’ overlapped with the keyconcept and content el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moral life. Second, we foun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 of moral life, inquiring life, pleasant life,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and physical education were overlapped with practical arts educati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nd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are the dupl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 ‘Life culture and safety’ is not the dupl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 The problem with the duplication of the curriculum could be confusing to the speciality of the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or distinguish differentiated terms by reflecting the philosophy of the subject.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실과교육과정의 가정생활분야와 다른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학습요소 등의 중복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중복성 분석 결과, 첫째, 실과교과 가정생활분야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핵심개념과 내용요소를 기준으로 다른 교과의 핵심개념과 내용요소를 분석한 결과 핵심개념 ‘발달’은 체육교과의 핵심개념과 내용요소에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으며, ‘관계’는 사회과와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의 핵심개념 및 내용요소에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다. ‘생활문화’는 사회교과의 핵심개념과 내용요소, ‘안전’은 체육과 과학교과의 핵심개념과 내용요소에서 찾을 수 있었다. ‘관리’는 도덕교과와 즐거운생활에서, ‘생애설계’는 사회교과와 바른생활에서 중복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실과교과의 성취기준과 학습요소의 중복요소를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자원관리와 자립영역의 성취기준과 학습요소에서 중복되는 교과를 찾을 수 있었으나 생활문화와 안전영역의 성취기준과 학습요소는 중복되는 부분을 찾을 수 없었다.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은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사회, 도덕, 체육교과의 성취기준과 중복이 되었으며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과 사회교과의 학습요소와 중복이 되는 요소들이 있었다. 자원관리와 자립은 즐거운생활, 슬기로운생활, 도덕, 사회교과의 성취기준과 중복되었으며, 바른생활과 즐거운생활, 사회교과의 학습요소가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중복성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교과의 정체성에 혼동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교과의 철학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용어의 선택이나 구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세계지리에서 권역 단원의 조직 방안과 필수 내용 요소의 탐구

        전종한(Jong-Han J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세계지리 과목을 대상으로 권역 단원의 조직 방안과 필수 내용 요소의 선정 방안을 탐구한 것이다. 여기서 권역 단원의 조직이란 조직의 틀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권역 구분 방식, 권역의 적정 수효와 명칭, 각 권역에 대한 접근법 등을 포함하는 조직 방식의 측면을 지칭하는 것이고, 필수 내용 요소란 학습자가 각 권역을 이해 하기 위해 꼭 배워야 할 핵심 내용 요소를 말하는 것으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이른바 빅 아이디어들을 염두에 둔 것이다. 먼저, 연구자는 세계지리 과목의 권역 구분에는 종합적 지역 개념이 적용되는 것이 최근 추세라는 점과, 권역 의 수효가 이상적으로 제시되기 보다는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적정화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각 권역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는 단일 접근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서로 다른 접근법의 장점을 절충하는 통합적 접근법을 구체적 예시와 함께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필수 내용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주제 중심의 접근에 의한 4개 요 소와 지구적 쟁점 중심의 접근에 의한 1개 요소를 합쳐 모두 5개의 빅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필수 내용 요소들을 선정 하고 단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때 권역별로 특화될 수 있는 필수 내용 요소들을 일부 선 택하여 구성하되, 전체 권역 단원을 총괄해서 볼 때에는 모든 필수 내용 요소들을 골고루 학습하는 결과가 되도록 하 는 점에 특별히 유의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device for the organizational frameworks and essential (content) elements of world realms in world regional geography subject. Here, the term ‘organizational framework’ means the method of realms division, reasonable number and naming of realms, and approaches to reams inclusively. And the term ‘essential elements’ designate the core elements as big ideas that every student must study through world reams. To approach these thesi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re is a growing trend of a combined regional concept to apply for reams division, that it is necessary to rationalize the number of realms and to prepare rather a synthetic approach to realms than a single one. And then, the author presents five essential elements as big ideas of world reams that composed of four by thematic approach and one by global-issue approach. But, this study emphasizes that in organizing the essential elements for a realm it is a better strategy to bring elements selectively with a realm because certain element fulfils function specially to certain realm.

      • KCI등재후보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2005,2014학년도를 중심으로

        안근재 ( Keun Jae Ahn ),오홍식 ( Hong Shik Oh ),강경희 ( Kyung Hee K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5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생물과 교과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근거로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빈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물 교과의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는 타교과목에 비해 너무 세분화된 경향을 보였다. 출제 문항 분석 결과 생물과 분야별 출제 비중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각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빈도도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 내용 요소들 중 57%만이 출제문항과 연계되어 출제 내용의 편중성을 보였다. 이는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들이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목에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출제 경향 분석을 토대로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 선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blems related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5 to 2014.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were more divided than those of other subj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atios of the contents covered in certification examination according to biology subject domains. Also the frequencies of issued the tests were showed 57% of evaluation contents items related to problems of th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not effective in aspect of balance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ing abou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in the basis of trend analysis in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