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태준과 연안행

        장문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이 글은 김태준의 「연안행」을 독해하고자 한다. 김태준은 1946년 당시 남조선노동당과 조선문학가동맹의 정치적 입장에 근거하여 1944년11월 자신이 연안(延安)으로 탈출한 여정을 기록하였다. 그런데 연안행은 주체의 이동일 뿐 아니라, 언어의 횡단이기도 하였다. 그는 국경을 넘으면서 동아시아 언어들이 서로 교차하고 충돌하는 복잡한 언어 상황을 통과하였다. 또한 김태준은 연안행을 통해 지식인과 민중, 그리고 이성과 감성 등 문학의 근본적인 조건과 그 아포리아를 탐색할 수 있었다. 김태준이 연안행을 통해 발견한 다양한 사유와 실천의 계기를 재해석하는 것은 현재적인 과제이다. 這篇文章是爲解讀金台俊的≪延安行≫而寫的。金台俊根据1946年南朝蘚勞動黨朝輿文學家同盟的政治面貌記錄了1944年11月自己逃到延安的旅程。延安行不但是主體的遷移,而且是語言與文本的橫貫。他在越過國境中通過了一些東亞語言與文本互相交叉衝突的複雜語境。幷且金台俊通過延安行探索了知知分子與人民,理智與情感等文學的基本條件與其難題。重新定義金台俊通過延安行發見的各種思惟與實踐契机是現今要解決的課題。

      • KCI등재

        김태준 관련 새 자료 몇 가지

        이윤석(Lee, Yoon-Su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3 No.-

        이 글은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김태준에 관한 자료 몇 가지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자료를 통해 그에 대한 이해를 조금 더 깊이 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경성제국대학 예과의 학생 잡지 『청량(淸凉』에 실린 장자(莊子)에 관한 글이다. 김태준은 이 글을 한문으로 썼다. 둘째는 경성제국대학 조선문학 강좌 담당 교수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가 정년퇴임한 뒤에 김태준이 강사로 선임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와 『조선소설사』를 읽은 다카하시의 반응도 함께 살펴보았다. 셋째는 1945년 12월 김태준이 중국 연안에서 돌아온 후 1949년 11월까지 남한에서 나온 신문 기사 몇 가지이다. 뛰어난 학자이며 영웅적인 항일운동가에서 북한의 간첩으로 몰려 남한에서 사형당하기까지 김태준의 마지막 4년을 재구성해보았다. This article examines new materials on Kim Taejun(金台俊) that can give us deeper insights into him. First, it looks at the Zhuangzi, which was published in the preparatory course student magazine Seiryō of the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was written by Kim Taejun in Chinese. Second, it focuses on the process of Kim Taejun’s appointment as an instructor after professor Toru Takahashi retir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Takahashi’s reaction to Kim s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History of Korean Novels. Third, it introduces some of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December 1945 to November 1949, after Kim Taejun returned from Yanan, China. It is an attempt to recompose Kim Taejun’s last four years. It shows how a remarkable scholar and heroic anti-Japanese activist was accused of being a North Korean spy in South Korea.

      • KCI등재

        김태준의 시조관과 시조 연구

        박애경(Park, Ae-Kyung) 한국시조학회 2017 시조학논총 Vol.47 No.-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계급주의적 관점에 압도되어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김태준의 시조관과 시조 연구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김태준은 1933년부터『조선일보』지면에 연재된 ‘조선가요개설’에서 총 22회에 걸쳐 시조론을 전개하는 한편, 같은 시기 시조의 기원과 연혁에 대한 별도의 저작을 통해 시조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였다. 시조를 사적으로 체계화하고, 정리하려는 김태준의 의도는 시조를 포함한 시가에 대한 전체적 조망을 끝낸 1939년 교감·편찬한 김태준 본 『청구영언』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 연구에서는 시조를 사적으로 체계화한 ‘조선가요개설’과 청구영언을 중심으로 김태준의 시조관을 조명하고 그의 연구의 의미를 동 시대 시조 연구의 경향과 견주어 밝히려 한다. 김태준은 별곡 - 시조로 이어지는 시조의 연원과 가요사적 맥락을 살피면서도 이를 실증과 사회사적 기반을 중시하는 과학적 태도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시경(詩經)이나 악부(樂府)와 같은 동양 가요의 전통과 당대 사회사를 종횡으로 엮어가면서, 시조의 본질을 드러내려 하였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1920년대부터 지속되어 주류를 형성해 온 ‘민족문학, 근대적 시문학으로서의 시조’라는 입장과는 명백하게 다른 노선을 취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시조에 대한 그의 입장은 시조를 ‘朝鮮心’이라는 추상적 실체로 혹은 ‘국민’과 ‘민족’의 이름으로 신화화한 동시대 주류적 연구와는 다른 탈신화화의 한 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ill reflect on how Kim, Tae-Jun noted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who was an active comra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saw the tradition of the local three-stanza poems (Sijo) and what it means in the study of this literary form. Kim Tae-Jun published his arguments in a 22-time serial piece titled Introduction to the "Traditional Songs of Joseon" in the Chosun Ilbo, while continuing his infatuation with these traditional songs through separate works on its origins and history. His attempts to compile and organize the Sijo culminated with his 1939 version of the 18th century volume Chung-gu-young-un, in which he offers a comprehensive account of poetry including the Sijo. This study shall seek to shed light on his views centering on the two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on the significance of his work in comparison to the academic trends of his contemporaries. Kim Tae-Jun looked at the origins of the Sijo and its place in the timeline of Korean lyrics, but also kept an objective attitude emphasizing substantiation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s. In this process, Kim Tae-Jun weaves the traditions of oriental verses such as the “Sigyung(Chinese Book of Odes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societies they were born out of; seeking to arrive at the essence of the Sijo. Such an approach is a marked departure from the mainstream logics since the 1920s that sees Sijo in nationalistic and modern terms. In a sense, he was dispelling the myth that was the creation of the then mainstream academia to conjure up an abstract image of Sijo being the ‘ethos of Chosun’ with terms like ‘nation’ and ‘ethnicity’.

      • KCI등재

        초창기 한국 시가 연구자의 연구방법론-조윤제,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를 대상으로-

        한창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6 고전과 해석 Vol.1 No.-

        이 논문에서는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과 그 성격을 살피고자 했다.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연구 특징이 실증주의라는 기존의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향가, 시조, 가사 등의 갈래 연구와 율격 연구 검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초창기 국문학 연구의 대표자인 조윤제와 김태준이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실증주의적 세례를 받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형식’이나 ‘체계’에 대한 관심이 곧 방법론을 포함한 문학 연구에서의 실증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조윤제와 김태준은 항상 작품 자체의 귀납적 검토를 통해 이론을 세우려고 했지만, 이는 역으로 말해 항상 실제 작품을 대하면서도 그것의 기저를 설명할 수 있는 체계를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아울러 보여준다. 조윤제의 초기 시가 연구는 작품의 형식적 접근을 통해 그것의 기저가 되는 체계를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일종의 구조주의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이후, ‘민족주의 사관’이라 불리는 조윤제의 독특한 연구 방법론 수립에 바탕이 된다.김태준은 1935년 이전에는 소위 철저한 ‘문헌 실증주의’자로서 문학 연구를 수행했으나, 그 이후에는 유물사관에 바탕한 사회주의 문학 연구자로 변신했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조윤제가 시가 연구를 중심으로 했던 초기에는 ‘문헌 실증주의’적 자세를 보이다가, 국문학사 }서술을 계기로 ‘민족주의자’로 변신했다는 논리와 유사하다.결론적으로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을 전형적인 ‘실증주의’로 파악했던 기존의 통설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들은 방법론적 자각이 미약했던 초기 시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구조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보면, 조윤제와 김태준 문학 연구 전 과정을 단절이 아닌 연속적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has attempted to show the distinctive feature of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In summary, our discussion has developed four main points :(1) Certainly Jo Yunje. Kim Taejun, the leader of early study of Korean literature,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positivism. It seems that his interest in form or system mark him as a positivist.(2) Jo Yunje. Kim Taejun had always attempted to his own theory through a inductive study of literary works. At the same time, he had always kept a system which can explain the base of literary works in his mind.(3) Thus,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can be regarded as a structural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And it had functioned as a basis of the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the socialist viewpoint, Jo Yunje. Kim Taejun's creative methodology of study of Korean literature. (4) To conclud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mmon view regarding the distinctive feature of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as positivism. Premising it, we can see Jo Yunje's early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a continuous process.

      • KCI등재

        한국 근대 민요론 연구 Ⅲ

        박선애(Park Seon Ae)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이 논문은 1930년대 대표적인 민요 연구자인 김태준과 김사엽의 연구를 일부만 비교 검토한 것이다. 민요의 정의를 보면 첫째, 김태준과 김사엽은 모두 민요의 정의를 서구와 일본에서 찾고 있다. 둘째 김태준은 민요는 무슨 필요에 의해 생겼다고 한 반면, 김사엽은 민요를 조선어로 나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셋째, 김태준과 김사엽은 모두 민요는 민중의 가요라고 하여 민요의 향유층을 민중으로 보았다. 그러나 김태준은 계급을 강조한 민중의 가요라고 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계급이란 주로 프로문학에서 거론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기반을 둔 민중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민요의 지역성에서 김태준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전승되고 있는 조선의 민요를 각 도-경상도, 전라도, 평안도, 함경도, 제주도, 황해도, 경기도-별로 소개했다. 반면에 김사엽은 조선민요를 유교문화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영남고유민요인 “쾌지나칭칭노-네”를 들어 조선가요의 향락성과 도피사상의 표리관계가 있음을 서술했다. 그리고 제주도민요는 이 섬의 제반생활기구가 민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조선민요의 보고라고 했다. 민요의 분류에서 먼저, 김태준은 ‘(1) 정연(情戀), (2) 서사(?事), (3) 생활(生活), (4) 의식(儀式), (5) 아가(兒歌), (6) 골계(滑稽)’의 6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민요 분류방법의 기준이 모호하다. 즉 그가 설명한 ‘정연’은 내용적인 분류이고, ‘생활’과 ‘의식’, ‘아가’는 기능적인 분류이며, ‘서사’는 장르적인 분류이고, ‘골계’는 미학적인 분류이다. 반면에 김사엽은 우선 표현형태로 분류하고, 다음으로 표현주체의 주객관계로 분류했다. 표현 형태에서 ‘(1) 동요(童謠), (2) 이요(俚謠), (3) 민요(民謠), (4) 신민요(新民謠)와 신동요(新童謠)’ 4항목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표현주체로는 서사민요와 서정민요로 분류했다. 이러한 김사엽의 민요 분류는 전중초부(田中初夫)의 민요 분류 방법을 차용하여 민요를 표현형태와 표현주체의 주객관계로 분류한 것이다. 1930년대 김태준과 김사엽의 민요론은 당대 민요 현실에서 요구되는 민요론을 제시하고, 문제점을 지적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thesis the studies of Kim Tae-jun and Kim Sa-yeop were compared and examined in part who are the representive folk song researchers of the 1930’s. To consider the definition of folk song, both Kim Tae-jun and Kim Sayeop firstly looked for the definition of folk song in West Europe and Japan. Secondly, Kim Tae-jun said that folk song came into being by some necessity, but Kim Sa-yeop emphasized that folk song should be represented in the Joseon(Korean) language. Thirdly, both Kim Tae-jun and Kim Sa-yeop said that folk song is the popular song of the people and considered the people to be the enjoying class of folk song.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Kim Tae-jun emphasized the class. Here the class can be said to mean the people based on the proletarian class mentioned in the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locality of folk songs, Kim Tae-jun introduced Joseon folk song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nationwide, by Gyeongsangdo, Jeollado, Pyeongando, Hamgyeongdo, Jejudo, Hwanghaedo and Gyeonggido. But Kim Sa-yeop explained Joseon folk songs in relation to the Confucian culture. And he mentioned “Koejinachingchingnone(쾌지나칭칭노-네)” a Yeongnam(嶺南) proper folk song and described that pleasure-seeking and escapist idea of Joseon folk songs are double-faced. And he explained that Jejudo folk songs are the treasure house of Joseon folk song, and the various living tools in Jejudo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folk song. Kim Tae-jun classified folk songs into 6 items of (1) love(情戀), (2) narration(?事), (3) living(生活), (4) ceremony(儀式), (5) children’s song(兒歌), and (6) joke(滑稽). But the criterion of classifying method of folk songs is vague. In his explanation ‘love’ is classification by the content, ‘living’ ‘ceremony’ and ‘children’s song’ are classification by the function, narration by the genre and, and by the aesthetics. But Kim Sa-yeop firstly classified by the expression form, and next by the subject-object relation of the expression subject. By the expression form into 4 items of (1) children’s song(童謠), (2) nature song(俚謠), (3) folk song(民謠), and (4) new folk song(新民謠)’ & new children’s song(新童謠). And by the expression subject into folk ballad(敍事民謠) and lyric folk song(抒情民謠). Kim Sa-yeop’s this classification of folk songs employed the folk song classsification method of Tanaka Hatshu(田中初夫) and classified folk songs by the expression form, and next by the subject-object relation of the expression subject. The folk song theory of Kim Tae-jun and Kim Sa-yeop in the 1930’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folk song theory demanded by the folk song reality of the day and indicated the problem.

      • KCI등재후보

        김태준 문학사 방법론 재고(1) : 조선소설사

        이상욱 (Lee, Sang-wook) 洌上古典硏究會 2008 열상고전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천태산인(天台山人) 김태준(金台俊, 1905-1949)의 문학사 기술의 방법을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 첫 번째 연구로 본고는 󰡔조선소설사󰡕(증보, 1939)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분석한다. 종래의 연구에서 󰡔조선소설사󰡕는 실증주의 사관이나 유물사관의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그의 소설사 구성은 대개 일정한 방법이나 체계를 결여하고 있다고 평가되어 왔다. 이러한 경향은, 당시 그가 소위 실증주의의 본산이던 경성제국대학 출신이라는 점과 해방 전후에 사회주의 계열의 운동에 투신했다는 점 등 저술 외적 사실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문학사 방법론은 ‘모순된 방법론의 혼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특정한 문제의식을 결여하고 있는, ‘자료의 나열’ 정도로 폄하되어 왔다. 이 같은 결과는 김태준이 이후의 국문학에서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는 ‘문학적’ 방법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먼저 대상의 개념을 확정하고, 과거의 ‘역사적’ 현실을 그와의 관련성 안에서만 인지하고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기호학적 분석에 의하면, 대상의 역사적 동일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써 ‘개념’(내포)을 우위에 두는 것이다. 이 방식 안에서, 과거의 특정한 작품의 ‘소설사’에서의 위상은, 그 작품의 속성과 근대소설 개념과의 유사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과거의 역사적 명명(命名) 행위(기표와 기의의 관계)의 기호적 관계는 무시된다. 쉽게 말해, 예전에 소설이었던 것이, 현대의 소설사에서는 소설이 아닌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 중심주의’는 물론 서양의 가치체계(보편적인 것으로 인식된)의 전면적인 수입에 기인한 것이다. 김태준의 󰡔조선소설사󰡕는 이러한 문학의 ‘보편적’ 방식을 소설사 방법에 전면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거부한다. 김태준의 이 선택적 행위는 근대 문학적 방식을 전면적으로 수용한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수준 미달’로 비판 받았고, 그 행위의 문제의식은 인지되지 않았다. 역설적이게도, 김태준은 자신이 과거의 대상(소설)을 기술함에 있어 거부한 바로 그 방법(보편을 지향하는 문학적 방법)에 의해 과소평가 되고 있다. 김태준은 소설-novel의 개념을 통해, 또 그 원근법을 통해 과거의 대상을 바라보았을 때, 벌어지는 사태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그것은 당시 ‘세계 소설’의 기준에 심각하게 미달되거나 아예 역사라는 인과관계로 연결될 수 없는 사태였다. 그렇다고 과거의 ‘조선소설’을 단지 현재와 관련이 없는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자면, 또 소설-novel과 문학-literature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대세가 된 것을 인정하자면, 조선적인 특수성을 담보하는 어떤 것도 남지 않게 된다. 김태준의 문제의식은 바로 여기서 비롯되며, 이에 그가 내세운 것은 기표로서의 소설이다. 그는 통역사적 개념을 소설을 규정하는 동일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소설 기표와 기의의 역사적 변화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각 시대별로 기표가 지칭하는 대상과 내포에 대한 기술을 통해 소설사를 구성한다. 예전 사람들이나 요즘 사람이 소설이라 칭하던 대상은 김태준에게도 똑같이 소설인 것이다. 이 방법은 민족, 소설, 역사라는 근대적 욕망이 소설사 또는 문학사 기술에 과도하게 개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동일성도 전달하는 기표의 특징을 통해 조선의 전통적 특수성의 물꼬를 현대 소설로 열어 놓는다. The purpose of this series of studies is to re-examine the method of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by Kim Tae Jun (1905-1949). In this paper, the critical point and the methodology of <History of Chosŏn Sosŏl> (enlarged edition, 1939) will be studied. In the previous studies, <History of Chosŏn Sosŏl> has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sitivism or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history and his work was considered lacking a system. These critics have been affected by the facts that he graduated from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in which the positivism was a dominant method and that he devoted himself to the socialist movement afterwards. In addition, his methodology was thought to be unsystematic because modern literary historiography was based on methodology which was considered as 'orthodox' and 'universal'. However, Kim Tae Jun did not apply these 'orthodox' methods to his study. The orthodox method of the modern literary study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object and recognized objects only through the established concept. From a semiotic perspective, In this method, for example, of a Sosŏl piece in the history of Sosŏl, is determined by the similarity between an attribute of the piece and the concept of modern novel. The historical naming, in other words, historical semiotic relationships between 'signifiant' and 'signifié', is disregarded. Consequently, modern literary historians may exclude the 'Sosŏl' in the past from their history of Sosŏl. This connotation-centered method was caused by the import of the Western value system which was considered universal. However, Kim Tae Jun refused to apply this 'universal' system to his <History of Chosŏn Sosŏl>. His selection method was underestimated by the scholars who applied this very system and the important point of his action was not recognized. He recognized the result of taking the method of seeing the past through 'the perspective'. Most pieces of Chosŏn Sosŏl were estimated as significantly inferior from the standard of 'the world novel' and it could not described as 'the history' which affected 'the present'. However, if he put these pieces just in the memory of the past and admitted new paradigm of the modern literature, there would be no means to make the Chosŏn Sosŏl special. This was his critical point at the beginning of <History of Chosŏn Sosŏl> and he presented 'Sosŏl as signifiant' in his historical method. He did not admit a historical concept of Sosŏl (novel). Instead, he composed his <History of Chosŏn Sosŏl> through historical conceptualization of Chosŏn Sosŏl. In short, he called it 'Sosŏl' if it was called 'Sosŏl' in the past and included it in his <History of Chosŏn Sosŏl> as an object. This method minimizes interventions of 'modern desires' such as nation, literature and history in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t the same time, it intended to open a passage which could make it possible to carry specialty of Chosŏn's past to the pres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the signifiant.

      • KCI등재

        1930년대 중국 경험 이후 김태준의 조선학 연구와 역사동력 인식

        채관식(Chae, Kwan Shik)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9 No.-

        김태준은 1930년대 초 중국의 사회변화를 목도하며 좌파 문학 운동을 경험하고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을 수용했다. 그는 사상 대립의 축으로 신문화운동 이후 보수화된 국고정리운동 그룹과 함께 국민정부를 설정했다. 김태준은 두차례의 중국 사상문화 체험에서 사회 현실을 통제하고 있는 국민정부의 실상을 확인하고, 대중과 결합되지 않은 국가 정책의 허상을 파악했다. 중국의 혁명적 변화 가능성을 기대했던 김태준은 국민정부의 보수적인 학술 문화정책과 사상통제에 실망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조선학 연구에도 반영되었다. 1933년 김태준은 조선학의 ‘국학적’ 연구를 비판하고 ‘사회학적’ 연구를 지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때 ‘국학적’ 연구에는 일본의 국수주의적 국학뿐만 아니라 시대착오적인 중국의 국고정리운동과 파쇼적인 국민정부의 국사 정책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인식 하에서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학은 조선 연구의 대립축으로 설정되었다. 김태준은 조선학운동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았고, 역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절대시하면서도 연구 방법론의 단계적 발전을 부정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은 ‘사회학적’ 연구로 심화되었다. 김태준은 세계사적 발전 법칙에 의거한 고전의 역사성 탐구와 과거의 재인식을 주장했다. 그러나 역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부정하는 주류 마르크스주의자의 정체적 조선 연구에 대한 대립적 인식은 명확하지 않았다. 김태준은 씨족사회에 대한 연구에서 역사발전의 동력에 대하여 기술의 진보를 통한 생산력의 발전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씨족사회의 해체기에 나타난 ‘지배자의 철학’이 봉건사회의 해체와 함께 파탄되었음을 증명하며 이를 복원시키려 하는 민족주의 계열을 비판했다. 그리고 역사상 민란을 검토하며 새로운 계급적 주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무산대중의 적극성을 강조하고 혁명적 정당의 필요성을 주장한 3.1운동사 이해는 이러한 인식의 정점이었다. 조선학의 ‘국학적’ 연구를 배격하고 ‘사회학적’ 연구의 내부 분화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 채, 주체적인 부르주아의 형성을 간과했던 김태준의 행보는 해방 이후 무산계급의 영도권을 주장하는 남로당을 향했다. In the early 1930s, in China, Kim Tae-jun witnessed a social change and experienced the leftist literature movement, as well as embraced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Along with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group that became conservative after the May Fourth Movement, Kim established the Nationalist Government in the ideological conflict. In his two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culture in China, Kim saw the state of affairs of the Nationalist Government that was controlling the social reality and realized the illusion of national policies that did not reconcile with the public. Kim anticipated the possibility of China’s revolutionary change, however was disappointed with the reality of China under the increasingly conservative Nationalist Government. His disappointments were also reflected in his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1933, Kim Tae-jun criticized the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argued for promoting ‘sociological’ research. In this criticism of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he included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of China which was anachronistic as well as the national history policies of the fascist Nationalist Government. With such awareness, Kim established Korean studies affiliated with nationalism as being contradictory to Korean studies. Kim did not acknowledge the meaning of the Korean studies movement, and while he considered the legalistic development of history as absolute, he contradicted himself when he denied the gradual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In the meantime,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intensified as a ‘sociological’ research. Kim argued for an inquiry into the historicity of the classics based on the rules of world history an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ast. However, he was not clear on the conflicting awareness regarding the identity-oriented Korean study of the mainstream Marxists who rejected the legalistic development of history. In the research on clan society, Kim Tae-jun understood the driving force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productivity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He proved that the ‘philosophy of the ruler’ that appeared at the period of dissolution of clan society had dissolved with the dissolution of feudal society, and he criticized the nationalist affiliations that tried to restore this. Furthermore, he re-examined people’s insurrections throughout history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new class-based identity. The histor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which he emphasized the initiative of the people and the need for a revolutionary political party was the peak of his perspective on history. Denouncing the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deferring his judgement on the internal division of ‘sociological’ research, Kim overlooked the formation of an autonomous bourgeoisie. After Korea’s liberation, his actions targeted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which argued for the proletariat’s right to lead.

      • KCI등재

        김태준의 유행가론 연구

        박애경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49 No.-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유행가론을 살피고, 이를 그의 문학관과 가요관 그리고 동 시대유행가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살피려 한다. 김태준이 국문학 연구 초창기부터 전 분야를섭렵했던 만큼, 그의 국문학 연구와 그 의미에 대해서는 연구 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유행가 연구에 대해서는 시가 연구에 부수되어 부분적으로 거론되었을뿐, 그 전모가 충분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 김태준은 193년부터 이듬해까지 조선일보 지면을 통해 연재한 “조선가요개설”에 5회에 걸쳐 유행가 편을 연재하여 유행가에 대한관심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이 지면에서 김태준이 논증한 유행가는 근대 이후 새롭게불린 동요와 아리랑과 같은 민요로, 문화산업에 의해 전승되는 유행가와는 기본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그는 조선가요개설의 연재를 마친 후 바로 ‘조선의 가요는 어데로’라는 기획물을 통해 동 시대 유행가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조선민요의 개념’이라는 연재물을 그 후속으로 연재하여, 유행가와 민요의 관계를 재정립하려 하였다. 그의 유행가론은기본적으로 그의 문학 연구를 지배했던 계급주의적 시각, 한글로 된 시가 문학을 ‘가요’라는 전통 안에서 해명했던 그의 시가관과 무관하지 않다. 이로 보아 김태준의 유행가 연구는 그가 꾸준히 해왔던 국문학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그는 유행가가 세대와 계급, 생활양식을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유행가 개량운동을 생활 내에서 실천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김태준의 유행가론이 1930 년대 ‘유행가의 시대’의 개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당시 생성되기 시작한 유행가 담론과 의 관련 속에서 그가 행한 유행가 연구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아울러 동 시대 평단과 언론에서 제기한 유행가론과의 접점과 간극도 살펴보면서, 김태준의 유행가론이 가지는 동 시대성에 대해 규명하려 한다. 이를 통해 문학연구자 김태준이 조선의 유행가 연구에 미친 파장이 총체적으로 재구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한학자’ 김태준에 대하여 - 經學院 直員·明倫學院 講師 재직 10년간

        이용범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6 No.-

        This paper sheds light on Kim Tae-joon(1905-1949) as a traditional scholar who worked at Myungnyunhakwon(明倫學院) and on his practices based on Korean tradition. The article explains the origins of his pennames, Seongam(聖巖) and Cheontaesanin(天台山人). As the successor of the old Sungkyunkwan(成均館) of the Chosun Dynasty, Kyeonghakwon(經學院, 1911-1945) only retained its ceremonial function. It recovered its educational function in 1930 in response to complicated circumstances, including Koreans’ constant requests, the colonial government’s demands for Confucianis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Kim Tae-joon was appointed as soon as he graduated from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secured a very stable position as an employee of the Government-Generals Office of Korea. His light workload allowed him to devote a large share of his time to his own research. In the 10 years he worked at Myungnyunhakwon, he ceaselessly maintained his traditional practices—composing Chinese poems, collecting old books, transcription—, and passed them down to his pupils. He was able to identify Lee, Hak-kyu(李學逵, 1770-?) as the author of Nak ha saeng go『洛下生藁』 almost 50 years before the Korean academy confirmed it. As the Japanese mobilization intensified in the late 30s, it became hard to enjoy a peaceful life at school. Almost all of his colleague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lonial government policy, while Kim chose to resist by joining the Keijo communist group. He could only perform a limited role within the group and was soon arrested. The article reveals another side of Kim Tae-joon as a traditional scholar, and shows the necessity to refer to the wider East Asian context and historical perspective to interpret Kim’s life and works. 이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천태산인 김태준의 명륜학원 재직기 및 한문학적 전통의 실천에 주목하여, 기존 연구사의 구도에서는 명확하게 포착되기 어려웠던 ‘한학자’로서의 새로운 면모들을 밝혀낸다. 성암과 천태산인 등의 필명의 의미를 전통학술의 맥락에서 설명하였다. 김태준의 명륜학원 임용에 있어 무정 정만조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도쿄제국대학 교수진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한학자’들과의 관계, 그리고 한시 수창이 중요한 매개를 담당했음이 드러난다. 성균관의 제례기능만을 계승했던 경학원은 부설 명륜학원의 설치로 교육기능을 부분적으로 회복하게 되며, 그것은 조선유림들의 지속적인 요구, 식민지 정부의 유학 이용의 필요성, 경성제국대학이라는 근대 아카데미의 설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경성제대 졸업직후 곧바로 명륜학원의 강사로 임용된 김태준은 조선총독부 직원이라는 안정적인 신분과, 비교적 적은 교수부담으로 연구활동에 유리한 요건들을 확보하게 된다. 김태준은 명륜학원 재직기 한시 수창, 고전적(古典籍)의 수집과 필사 등 한문학적 전통의 실천을 이어나가며, 그것을 자신들의 제자들에게 전수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김태준이 1930년대 이미 낙하생(洛下生)을 이학규로 낙점할 수 있었던 것은 지속적인 한문학 전통 실천활동의 수확이기도 했다. 그러나 전시체제기의 격화와 더불어 평화로운 명륜학원의 일상에 균열이 찾아오게 된다. 명륜학원의 동료들이 대부분 적극적인 체제협력에 나서던 시점, 김태준은 경성꼼그룹 참여를 통해 항일을 선택한다. 그의 선택은 예과시절부터 보여주었던 강렬한 민족의식이 예고하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김태준은 경성꼼그룹의 지도부로부터 의혹의 눈초리를 받으며 연락책이나, 확실한 신분에 기댄 은신처 확보 등의 제한적 역할만을 수행하다가 체포되고 만다. 본고에서 밝혀진 명륜학원 강사이자 한문학 전통의 실천자로서의 면모는 특히 「연안행」을 중심으로 구축된 기존의 ‘혁명가’ 이미지를 재고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김태준이라는 인물과 그의 학술활동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한·중·일을 아우르는 동아시아 역내의 장기역사적 맥락, 그리고 전통의 ‘외부’에 위치한 비판자가 아닌 내부와 외부를 아우르는 시각을 확보한 비판적 계승자라는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이 확인된다.

      • KCI등재

        추천석사논문 : 김태준(金台俊)과 궈모뤄[郭沫若]

        이용범 ( Yong Beom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김태준의 유물사관 도입이라는 인식론적 전환 과정에 있었던 궈모뤄[郭沫若]와 그의 『중국고대사회연구(中國古代社會硏究)』(1930)의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주력하였다. 학술활동의 초기 김태준은 근대적 의미의 문학사이지만 동시에 전통 한문학 비평의 영향력이 강한 『조선소설사』와 『조선한문학사』, 두 편의 산문 장르 문학사를 공간한다. 그의 전통 한문학에 대한 지식은 1930년 북경행에서 궈모뤄의 시경 재해석인 『권이집(卷耳集)』(1923)을 접하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조선문학 전반의 사적 체계를 세우기 위해1932년경 운문장르로까지 관심분야를 확장하던 중 그는 선행연구가 매우 희소한 조선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본과 중국의 연구서들을 참조한다. 그 중 중국의 시경연구서들은 5.4 신문화 운동 및 ‘국고정리’ 운동의 경향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김태준은.시경연구.를 통해 중국의 최신 학술계 동향을 조선에 소개하기도 한다. 김태준에게 동시대 중국의 시경연구서 중 한 권이었던 궈모뤄의 『중국고대사회연구』는 전통적 유교 경전의 세계를 전복하고 유물사관에 근거한 새로운 중국의 고대사를 제시한다. 이는 김태준에게 말 그대로 하늘과 땅이 뒤집히는 수준의 충격을 준 것이었다. 그로 인해1933년에는 ‘조선학’ 연구의 지향으로 이 책이 제시된다. 1934년 여름 이후 김태준의 글에서는 본격적인 유물사관의 활용이 관찰되기 시작하며, 이는 『중국고대사회연구』를 번역.소개하던 시점과 일치한다. 유물사관 구축에 있어서 다른 영향관계들도 개연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사의 관점인 백남운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며 오히려 차이점들이 두드러지는 반면, 궈모뤄의 언어가 김태준의 글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1935년 김태준은 단군의 해석을 위주로 논쟁이 전개되던 조선의 학술장에 개입하게 되며, 궈모뤄의 신화해석의 구도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확인된다. 문헌고증의 맥락이었던 궈모뤄의구도를 신화가 기록되던 시대의 시대상에 보다 집중하는 자신의 방식으로 전유하면서 그는유물사관 도입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족보열 등을 비판하는 자신의 관점을 확장.심화시키는 데에 궈모뤄를 응용하기에 이른다. Early Korean literature pioneer scholar Tae-joon Kim shows epistemic change, and this paper was written to track the scholarly influence from China interposed in such change. The arguments about his scholarly methods were mostly either positivism or historicalmaterialism, however this does not seem to be enough to analyze Kim’s research process and his scholarship. Kim once sai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his epistemic change was Guo Mo Ruo’s ‘Researches in Ancient Chinese Society(zhongguo gudai shehuiyanjiu)’, but the research of the book’s effect to Kim has not been done yet. By bringing the Kim’s transition in,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dichotomy and also to have anew overall understanding of Kim. Kim was highly active in the 1930s and what started to appear in the academic field at that time was ‘chosun studies(Cho sun hak)’, which is a consecutive study of ‘Nationlogy(Kuk’hak)’in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Kim puts himself into the ‘scientific’ researcher group such as Nam-cheol Shin and Nam-woon Paek, and harshly criticized the unscientificscholars and those who are in the government’s pocket. ‘Researches in Ancient Chinese Society’ published in 1930 by Guo Mo Ruo was considered to be well inherited the outcome of the ‘Rearranging National Heritage Movement’ in the 1920 and also to build a foundation for ‘Social History Controversy’ in the 1930s. Guo’s new interpretation of the ancient Chinese history was highly acclaimed by non-Marxist scholars. Kim’s early literature history writings do not show any clear historical awareness. Literature history about two proses written before 1931 is more like a list of works. Later, as his scholarly interests extended to verse, thoughts about history started to appear. Since it was the first stage of Chosun literature as modern study at the moment, it is assumed that he used contemporary Chinese and Japanese books. The Chinese books heused for his study were mostly dealing with the new understanding of ‘Shijing’. These books were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Rearranging National Heritage Movement’ and‘New Culture Movement’ in the 1920 and thus advocated anti-Confucius and anti-tradition. Guo’s Researches in Ancient Chinese Society and ‘Quanerji’ were two of them. Kim shows in-depth understanding and contemporariness of Chinese academic arena of that time, and he chose to quote Guo, not by coincidence. Guo challeng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in 1924, while translating ‘Society Organization and Social Revolution’ written by Kawakami Hajime, he started to focus on historical materialism. In 1930, he even suggested a brand new interpretation of ancient Chinese history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which overturn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At the same time, the mainstream of the classical studies inChosun were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considering such academic condition, Kim would have been shocked by the new point of view and methods. From 1934, the terms and outlooks of the worl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started to show in Kim’s writing. There would have been various routes in regard to Kim’s historical materialism studies, and among them, the effects of ‘Researches in Ancient Chinese Society’ is noticeable. Since 1935, Kim had broadened his research to history and published many articles about ancient history of Korea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In those days, the study of Dan goon was the main theme and Kim published an article titled as ‘Research on Dan goon Mythology’ and here, he assimilated Guo’s historical research methods and applied it to extend and reinforce his own arguments. As can be seen from above, the research process of Kim, especially the sustainability of Chinese academics to the interposition of materialism to his view, could be verified. However, aside from the proof confirmed in this research paper, Kim’s study was formed in the midst of various academic arenas of Korea, China and Japan. Thus, Kim’s complicated academic history such as traditional studies, Keijo Imperial University, Japanese Orientalism and Marxism, should also be pursued and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