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민족주의는 우리 시대의 정치적 대안일 수 있는가? -두 가지 민족주의 옹호론에 대한 비평-

        장문석 한국서양사학회 2022 서양사론 Vol.- No.154

        Today, nationalism is such a hot issue that the ‘return of nationalism’ or the ‘reemergence of nationalism’ is much talked. This article aims to delve into the significance of nationalism in the era of globalization, reviewing two recently published books, Yoram Hazony’s The Virtue of Nationalism and Yael Tamir’s Why Nationalism. The authors argue in different way that nationalism can be a potent political alternative in our times, and these books help us understand the mor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of nationalist arguments today. In addition,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main issues in Nationalism Studies underlying those arguments. The issues such as the ethnic origins of n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ion and empire or nationalism and imperialism, typology of nationalism, the dialectic between structures/processes and agency in nationalis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ion-state and people-nation will be discussed based on the recent researches. 오늘날 ‘민족주의의 귀환’ 또는 ‘민족주의의 재출현’이라는 말이 자주 언급될 정도로 민족주의가 뜨거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에 출간된 두 권의 책, 즉 하조니의 『민족주의의 미덕』과 타미르의 『왜 민족주의인가』에 대한 비평의 형식을 빌려 세계화 시대 민족주의의 의미를 검토해보려고 한다. 저자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민족주의가 우리 시대의 유력한 정치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 책들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민족주의 옹호론의 도덕적⋅정치적 시각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글에서는 그런 논변들에 깔려 있는 민족주의 연구의 주요 쟁점들을 밝히고, 최근 연구 성과들을 참조하여 약간의 논평을 곁들이고자 한다. 민족의 종족적 기원, 민족과 제국 또는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의 관계, 민족주의의 유형, 민족주의에서 구조/과정과 행위주체성의 관계, 민족국가와 민중민족의 관계 등의 쟁점들이 토론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주세페 마치니와 애국심

        장문석 한국서양사학회 2017 서양사론 Vol.0 No.135

        Maurizio Viroli’s theory of republican patriotism issu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riotism and nationalism, republicanism and democracy, implying that patriotism ought to be treated as a important subject of historical studies. This essay explores a case of patriotism of Giuseppe Mazzini who represents the radicals or republicans of the Risorgimento in the nineteenth century Italy. Although republican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a open road to all directions, we can broadly explicate position and nature of Mazzinian patriotism following the road walked by Mazzini the republican. Above all, his patriotism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o-called ‘religion of duty’ by which he stressed duty and mission against right and interest. For Mazzini, patria was not a place of birth, but shared political ideals and sentiments of affection that connected individual with humanity. In his concept of nation, indeed, there were the pre-political factors like language, territory and ethnicity, but not sufficient by themselves to sustain nation building. Special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concept of nationality as a duty and mission toward humanity, distinguished from nationalism as a exclusive argument for national rights. While he expanded the concept of patria or nation into democratic republic and democratic nation, Mazzini suggested a moral purpose of democracy which let people associate and improve them, criticising socialist materialism. In short, it seems that Mazzini paved the road to ‘democratic patriotism’ beyond republican patriotism by combining duty toward patria, principle of nationality and democratic vision. 비롤리(Maurizio Viroli)는 공화주의적 애국심 이론을 통해 애국심이 역사 연구의 중요한 주제임을 보여주면서 애국심과 민족주의, 공화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토론을 자극했다. 이 글에서는 19세기 이탈리아 리소르지멘토의 급진파 혹은 공화파를 대표하는 주세페 마치니(Giuseppe Mazzini)의 사례를 통해 공화주의적 애국심의 실제를 고찰한다. 비록 19세기 유럽의 공화주의는 어디로든 연결될 수 있는 길이었지만, 공화주의자 마치니가 걸어간 길을 더듬어 찾아가다보면, 마치니적인 애국심의 위상과 성격을 대략적으로라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마치니의 애국심은 권리에 대해 의무를, 이해관계에 대해 사명을 앞세우는 ‘의무의 종교’라는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마치니에게 조국은 단지 태어난 공간이 아니라 공유된 정치적 이상과 사랑의 감정으로서, 개인과 인류를 이어주는 매개체였다. 물론 마치니의 민족 개념에도 언어와 영토, 종족 등 정치 이전의 요인들이 있었지만, 그것들은 민족 형성을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었다. 특히 이 글에서는 민족의 권리를 배타적으로 내세우는 민족주의와 구별되는, 인류에 봉사하는 민족의 의무와 사명으로서 민족성에 대한 그의 논변에 주목했다. 그의 조국 혹은 민족의 개념은 민주공화국 혹은 민주주의적 민족으로 확장되었는데, 그는 사회주의의 물질주의를 비판하면서 인간을 변화시키고 연대시키는 민주주의의 도덕적 목표를 제시했다. 요컨대 마치니는 조국에 대한 의무와 민족성의 원칙, 민주주의적 비전을 결합시킴으로써 공화주의적 애국심을 넘어 ‘민주주의적 애국심’으로 통하는 길을 닦았다고 말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성’과 웃음 - 식민지 공공영역과 재담(집)의 근대 -

        장문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3 No.-

        Since Choseon dynasty, many Koreans enjoyed the witticisms, especially story about ‘sexuality’. In colonial public sphere of Choseon, many collections of the witticisms were published, also. This study call witticisms of pre-modern Choseon dynasty 'the traditional witticism’ and witticisms after 20c ‘The Modern Witticisms’.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Witticism’, ‘The modern Witticism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husband and wife. And those relation made a laugh to reader. Also, the beauty controlled under the capital was important element of ‘The Modern Witticisms’. It is especially pertinent to the change of mentality and social system of Choseon. The censorship of the empire, the discourse from mass media, mass culture of the colonial Choseon, and the tradition since the middle age were complexly produced the ‘The Modern Witticisms’ and ‘Sexuality’ in the colonial public sphere.

      • KCI등재
      • KCI등재

        댄디와 양반: 여천 이원조 연구(1)

        장문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이 글은 댄디와 양반이라는 열쇠말로 여천 이원조를 분석하면서, 아울러 기초적인 사실들을 통해 식민지 시기 그의 삶을 재구성하였다. 이원조는 일본 유학과 불문학 지식에 기반한 댄디로서 서구적 근대성에 깊이 공명하면서, 『조선일보』 학예면을 운영하며 문화횡단적인 조선의 근대문화를 기획하고 실천하고자 하였다. 다른 한 편, 이원조는 퇴계 이황의 후손이자 양반으로서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 양반 출신 지식인들과 친분을 쌓고 교유하였으며, 그들과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식민지 조선의 문화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들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의 이러한 두 가지 면모는 각각 서구 지식에 기반한 근대적인 글쓰기와 동아시아 문화 전통에 기반한 한문 글쓰기로 현상하였다. 비평가로서 이원조는 식민지 공공영역에서 근대적인 글쓰기를 수행하였고, 동시에 전통 지식인으로서 이원조는 사적인 영역에서 한문 글쓰기에 기반하여 양반 출신 지식인들과 소통하였다. 이원조의 이러한 두 가지 양식의 글쓰기는 한국근대문학사에 양층언어현상과 관련된 주요한 연구 과제가 있음을 환기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Yeocheon Yi Won-Jo with the concepts of Dandy and Yangban. It also confirms historical facts about Yi Won-Jo. Yi studied French Literature in Japan and was deeply interested in Modernity. Finally he became a dandy himself and managed the literary page of Daily Choseon, promoting transcultural modernity. On the other hand, having been born to Yangban, he was married to a woman from the royal family of Choseon Dynasty and associated with the intellectuals from Yangban. These two aspects of him were reflected on the two modes of his writings, the modern and the traditional. Yi, as a critic, published critiques written with modern writing in the public sphere. But Yi wrote traditional writings when he communicated with the Yangban intellectual group.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more research to be done in modern Korean literature studies, especially related to diglossi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