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산업발전의 선진화와 기술사역할 강화방안

        김순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3 정책연구 Vol.- No.-

        가. 技術土法制定公布E 技術土會員의 愈求不滿에 대한 與論] 技術士活用施策上未治했던 技術士法저]6조(技術土事務所의 開設登緣)는 個A技術士專務所의 開設登錄만을 意圖한 대로 現實化되어버렸다. 技術士會에 登緣한 (個A) 技術士事務所가 93.7.3 1.현재 152件에 限한것이 그 實證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當初技術士會 立法草案에 있었던 個A. 슴同事務所와 聯合體構成이 母法에 條文化되지 못하였던 사항이 立法時憂慮한대로 구 欲求가 意氣衝天하고 있는 實情에 있다. 따라서 技術士會는 技術士法第1次 改訂試案을 年內作成하여 技術士法第13條에 根據한 짧議를 年內에 妥結짖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나. 技術士寶格試廳과 補修敎育의 現實化와 技術士合格者와 仲裁者가 되기 위한 數育동의 諸問題률 解決키 위해 國家技術寶格法에서 移讓받아 技術土法으로 還元시켜야한다. 이때에는 現技術士의 全面改正으로 對鷹하어야 할것이다.結論上의 要點을 적으면 다음과 같다. (1) 技術士活用施策의 法制化 據大① 技術士法 第l 次 改正試案作成提案(第5 條)② 活用施策上의 關聯法規의 補完. 隆正 促求③ 技術{中載의 法制化와 職務훌行을 위한 共濟事業推進과 技術法人化 促求④ 技術士責任保證保險制賽施⑤ 技術士職務用標遭約훌t 制定活用⑥ PQ制와 技術士의 活用施策據大{足求 (2) 科學技術및 塵業情報서비스 機能 强化① 技術士會內에 開設登錄技術士事務所臨議會創設運用 促求(要定敎上反映)② 技術士會業務의 各種D/B 化를 시작하여 技術土職務上 必要한 情報網體制化의 連用f足求③ 延擁輸出과 Engineering Service 의 連緊足求④ 技術A와 技術B의 合作짧力으로 技術C를 創出하는 事業支據據大t足求 2) 建 議가. 技術士法第1 ~ 改正試案을 技術士會는 作成提案하고 政府의 行政剛新施策에 副魔하는 擔置를 緊急히 取하여야 한다.나. 우리나라 塵業技術現實과 國際水揮에 適合한 技術士制度 硏究의 一環으로서 다음 課題도 繼續해서 그 흉當性, 合理的法制化方 案을 硏究토록 建議한다.< 課題硏究對象 >① 技術士寶格試廳힘j 度의 꿈f究② 技術士活用施策法制化方案짧f究

      • KCI등재

        기술사 평가제도 혁신방안 연구

        나승일,조정윤,강순희,이영민,오춘식,김영흥,아티카,조성은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formation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produce professional engineers that conform to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research were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in Korea and abroad,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ystem of professional engineers in selected advanced countries, visiting and meetings with officials in advanced countries to benchmark their best practices, meetings with stakeholders and technical experts, and through the consultation meetings with experts. First,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evaluation system in the U.S., Canada, Australia and Japan were reviewed and compared. This includes the standard for engineering disciplines, linkage with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testing methods and management, and consequently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for benchmarking were derived. Second, instead of the consolidation of all the existing professional engineering disciplines, a sustainable system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discipline system was developed which conform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uld strengthen professional engine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utonomous governance and the principles of flexible supply and demand balance. Third, the professional engineer disciplines should be revis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field. The proposed revision includes revising them according to 1) APEC technical field, 2)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3) systematization of new and reorganized items according to technical field or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Fourth, the proposed alternatives for the testing methods includes 1) a common basic subject and a major basic subject test; 2) a technical aptitude test; and 3) a measure which strengthen the first phase of the existing written test, to include common basic and basic practical subject test. The proposed ways to utilize these alternatives are 1) using these alternatives on a separate track for those who has obtained accredited engineering education qualification, and 2) utilizing it as part of the current professional engineer written test. Fifth, the improvement in the current standards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testing methods (application form and supporting document, written and interview test), and evaluation management were proposed.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기술사를 배출하기 위해 기술사 평가제도의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주요 연구 방법은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 주요 선진국의 기술사 평가제도 비교 분석, 선진국 벤치마킹 방문 및 관계자 면담, 이해당사자 및 기술사 면담,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첫째, 미국, 캐나다, 호주 및 일본의 기술사 평가제도를 종목체계 기준, 공학교육인증제와의 연계, 검정 방법 및 관리 차원에서 고찰 및 비교하였고, 결과적으로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차이점과 시사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현행 기술사 종목의 통폐합보다는 산업 및 기술 변화에도 지속 가능한 종목체계가 운영되고 국제적 통용성, 기술사 전문성, 자율적 거버넌스, 유연한 수급균형의 원칙이 더 강화되도록 ‘지속가능한 기술사 종목체계 모형’이 개발되었다. 셋째, 기술사 종목체계 개편안은 기술분야에 따라 추진되어야 하는데, 개편안은 1)APEC의 기술 분야, 2)공학교육인증제, 그리고 3)신설 및 개편하는 종목만 기술분야 혹은 공학교육인증제에 따라 체계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넷째, 기본시험 방안으로 1)공통기본 과목과 전공기초 과목 시험, 2)기술사자격적성시험, 3)현행 1교시 필기시험을 공통기본 및 기본실무 과목 시험으로 강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었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1)공학교육인증 이수자 별도 검정 트랙에서의 활용 2)현행 기술사 필기시험의 부분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넷째, 현행 기술사 자격검정 기준, 자격 검정 방법(응시원서 및 증빙서류, 필기 및 면접시험) 및 검정관리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 한국 기술사의 중국 엔지니어링시장 진출 방안

        하태정,임송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STEPI Insight Vol.- No.81

        중국은 현재 급속한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전문직 기술자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고급기술과 기능을 보유한 기술자가 매우 부족하다. 반면, 국내의 경우 엔지니어링 분야별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기술사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초과공급 상태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국내 기술사의 초과공급 및 중국의 고급기술자 초과수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Win-Win 전략으로 국내 기술사의 중국진출을 적극 도모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엔지니어링 분야별 감리기업 수, 영업이익, 고급기술자수 등에 관한 증가율 및 기여도 분석 결과, 건설 분야 수요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중국은 부족한 기술인력을 보충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기술인력 양성계획 추진과 함께 고도의 기술을 보유한 해외의 기술자들을 적극 유치하는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에 발맞추어 최근 한국 기술사들의 중국시장에 대한 진출 의욕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에 심화되고 있는 국내 기술사 시장의 초과공급 문제 해결과 고용조건 개선을 위해 민관합동으로 국내 기술사의 적극적인 중국진출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전문기술인력 수급현황과 한중간 전문기술인력 제도 운영을 비교해보고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과제 1] 정부차원에서 기술사 상호인정을 단계적으로 추진 [과제 2] 기술사회가 주도하여 기술사 파견 프로젝트 추진 [과제 3] 국내 기술사제도의 선진화를 통한 기술사 능력 및 국제경쟁력 제고

      • KCI등재

        지적기술사 자격제도의 도입경위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류병찬(Ryu, Buoung Chan) 한국지적학회 2011 한국지적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목적은 기술자격에 관한 법규의 제정과 개정연혁 및 지적기술자격제도의 도입경위와 발전과 정을 규명하고, 지적기술사 자격취득현황을 조사ㆍ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기술사 자격제도는 1963년에 기술사법을 제정함으로써 신설되었으며, 지적기술사 자격은 1973년에 국가기술자격법을 제정하여 탄생하였다. 지적기술사 자격시험은 1977년부터 시행하였는데, 1988년에 최초로 2명의 교수가 합격하였으며, 2010년 말까지 1,253명이 응시하여 155명이 합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적기술사 자격에 관한 문제점은 응시자가 적고 업무영역이 모호하며 자격취득자에 대한 처우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발전방향으로는 처우 개선과 더불어, 업무영역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지적측량성과 검사기관의 신설, 지적기술사의 채용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하여 지적기술사자격시험 응시자의 폭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actment and revision history of laws, introduction details and development process of Cadastral Professional Engineer system and then to deduce the problems with survey and analysis of Certification status of Cadastral Professional Engineer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Professional Engineer is established by enacting consultant engineer law in 1963 and Cadastral Professional Engineer was established by enact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in 1973. Cadastral Professional Engineer qualification examination has been performed since 1977 and first two faculty members were passed in 1988 for the first time and 155 people have passed among applying 1,253 people until the end of 2010. The problem concerning Cadastral Professional Engineer is that the applicants are not many and work boundary is vague and treatment for those who have the qualification is not good. Cadastral survey and inspection agencies and review for employment method of consultant engineer are required to expand the applicants of Cadastral Professional Engineer gradually.

      • KCI등재후보

        기술사 노동시장 수급현황 진단과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

        홍성민,김갑수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7 직업과 자격 연구 Vol.6 No.1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ere the number of professional engineers is absolutely large.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for stabilizing supply and demand of professional engineers are deriv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otal number of skilled engineers who have completed 9~12 years of experience and earned enough experience to fulfill the tasks of professional engineers is 109,000.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active professional engineers who updated their career in the technical manpower database within the last 5 years is only 14.6% of those skilled engineer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abor market supply and demand of major occupations engaged by professional engineers in terms of changes in employment and wag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traint of labor supply may be a main factor impeding the facilitation of related labor supply and demand. In the end, the policy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 engineer system should be the introduction of schedule to announce the number of passers who passed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to expand professional engineer emission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ccelerate the investmen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ngineers by promoting the capacity development program of the engineer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supply.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사 검정의 난이도가 너무 높은 등의 문제로 기술사 배출이 노동시장에서 필요한 규모보다 적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주장을 검증해 보는 데 있다. 기술사 자격 배출을 늘리는 방향으로 검정 제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지, 이런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노동시장의 균형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지 진단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기술사에 해당하는 역량을 갖춘 기술인력은 현재 기술사 규모의 최소 4배 넘게 활동하고 있어, 기술사 검정 개선을 통해 기술사 배출을 확대하는 정책이 바람직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사의 임금 및 고용에 대한 대리지표 분석 결과도 노동수요의 증가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어서, 기술사 확대 배출이 노동시장을 교란할 가능성도 낮다고 판단된다. 다만 기술사 확대 배출을 위한 정책은 기술사 자격의 직업 매력도를 저해하지 않도록 역량 개발 프로그램과 함께 단계별로 추진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연구: 국가기술자격법상 기술사 자격을 중심으로

        조정윤,배을규 한국공학교육학회 2009 공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교육훈련-자격-노동시장의 연계 차원에서 기술사 제도를 관리․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둘째, 기술사의 공통직무능력표준을 검정기준, 출제기준, 면접시험 기준 등의 개선에 활용할 뿐만 아니라 기술사 계속교육훈련과정 개발, 공과대학 등의 정규교육과정 개발, 기업의 인사관리제도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술사 관련 제도를 국제적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기본여건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직무능력표준과 관련된 이론적 문헌과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표준 개념 정의와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법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뉴질랜드, 영국과 같이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을 제정하여 활용하고 있는 사례와 국제기술사의 직무능력표준을 조사․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진이 도출한 공통직무능력표준(안)을 최종적으로 수정․보완하여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안)의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ational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for professional engineer and s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into an international level. First,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the national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for professional engineer that contributes to maintain and enhanc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engineers in terms of a linkage among education and training, qualification, and labor market. Second, this study aim to obtain the national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for professional engineer that applies to reform the criteria of certification, testing, and interview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as well as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system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corporations. As a result, a final draft of the national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for professional engineer was confirmed to include 12 clusters of competency standards and 56 elements of competency standards.

      • KCI등재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조정윤,김현수,김덕기,박종성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and definition of competency for professional engineer in term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to manage and operate professional engineers'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demand-driven system by linking between education & training, qualification, and labor market.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consist of 12 major groups, and also each major group could be divided into several sub-major groups. In parallel with developing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definition of competency for professional engineer has been developed, which would be barometer to figure out professional engineers' qualification status in engineering industry and detailed jobs in terms of competency. It is composed of role & function, and major jobs, which would be carried out professional engineer. Generic competency standards and definition of competency for professional engineer would be applied to improve and reform of certification, testing, and interview criteria i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because professional engineers' qualification is operating under this system, and also they would be used to develop CPD curricula, formal curricula of engineering college, and also apply to prepare personal management system in companies, etc.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자격-노동시장의 연계를 통해 수요자 중심으로 기술사 제도를 관리․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과 직무능력정의를 개발하는데 있다. 직무능력표준과 관련된 이론적 문헌과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표준 개념 정의와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법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한국 기술사의 「공통직무능력표준」의 12가지 대영역과 그에 해당하는 중영역의 적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사 자격 취득자를 대상으로 업무수행 시 중영역에 제시한 항목의 활용빈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대영역과 중영역으로 제시된 내용의 타당성과 적정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의견 및 수정․보완 사항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기술사 직무능력정의에 대한 타당성과 적정성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토의견도 수렴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진이 도출한 공통직무능력표준을 최종적으로 수정․보완하여 기술사 공통직무능력표준과 기술사 직무능력정의의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 기술사의 공통직무능력표준이 기술사가 실제 작업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과 어떻게 관련되는 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기술사 업무수행 역량군과 공통직무능력표준과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건설분야의 기술사 인력수급 현황 및 분석

        김선국,조용훈,Kim Sun-Kuk,Cho Yong-H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3

        최근 WTO 협약에 의한 기술개방, 국가간 기술사 상호인증, 이공계 교육 활성화 및 선진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술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법 제도적 기반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기술사의 인력수급 전망을 조사하여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고급 기술자로서의 기술사 인력 육성 및 활용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우수 기술사의 육성은 그 가치가 결정되는 적정한 수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제도에 의한 기술사 인력 수급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기술사 인력의 수급을 조정하기 위해 제도적인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선진수준의 기술사 인력수급체계 구축은 물론 효율적이고 일관된 기술사 양성 및 활용 체계구축에 이용될 것이다. 아울러 시장 개방과 관련 기술사간 국제 통용성 확보 등 우리기술의 국제무대 진출체제 확립을 위한 정부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 order to respond the opening of technology market by the agreement with WTO, the mutual authentic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PEs) by nh, and the promotion and encouragement of education in technology, the preparation of robustic regulation and regal system to secure the authority of PE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is required. And a scheme to train PEs with the advanced country level of quality and secure the practical use of PE's expertise should be developed to cope with current issues after the survey of supply and demand for PEs.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construction PEs is surveyed under the current regal system and the idea to regulate the supply and deman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egal system is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used for building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quality PEs and the efficient training and practical arrangement system. Furthermore, the result would be used for th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the government policy about PEs.

      • KCI등재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

        나태희,나승일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2 직업과 자격 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실무능력 및 직무수행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은 모든 기술사로서 표본크기는 420명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은 모집단의 특성, 개인정보 접근 문제와 종목 간 차이를 구명하는 연구목표를 고려하여 8개의 종목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기술사회의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총 3,582명의 기술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종목별 최소 35부 이상, 총 420부가 회수되어 자료수집을 종료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맞지 않는 9개의 설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1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 집단간 차이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83)이고 실무능력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84)이었다. 기술사법의 16개 직무의 평균 중요도는 기본직무보다는 약간 중요한 수준(M=3.84)이었으며,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반영한 기술사의 직무수행 수준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M=3.37)이었다. 둘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종목, 응시자격 요건, 실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수행 수준은 실무경력이 많을수록 높았다. 셋째, 기술사의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β=.846)과 직무수행(β=.640), 실무능력은 직무수행(β=.628)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학기초능력은 실무능력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β=.32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보지향성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능력의 매개효과 및 기술축적역량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성현,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corporate workers. Information Orientation consisted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consisted of product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as sub-variables,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was used as a coordinating variable.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49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orporate employees. Analysis results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4 First, information orientation and technical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In addition, information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the productive capacity and the productive capacity in the variable of competency wa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but the influence on marketing capability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ults.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were in order. Second, the product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performance independently of information orientation. Third, the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chnical performance, bu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in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of transit was not significant. Fourth, only the interaction terms of production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were significant among the sub-variabl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commercialization capacity, and marketing a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capacity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can be interpreted as lower in firms with high technology accumulating ability than in lower firms,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the introduction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model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arameters and control variables. 본 연구는 기업 근무자를 대상으로 정보지향성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보지향성은 정보기술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행위 및 가치를 기술사업화능력은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을 하위변수로 구성하였고 기술축적역량을 조절변수로 하였다. 기업 직장인으로부터 수집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 349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한 분석결과 첫째, 정보지향성과 기술성과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지향성이 기술사업화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기술사업화능력의 변수에서 제품화능력과 생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정보기술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행위 및 가치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마케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앞선 결과와 다르게 정보행위 및 가치, 정보관리능력, 정보기술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지향성과 독립적으로 기술사업화능력의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은 기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기술능력과 정보관리능력은 기술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행위 및 가치에서 제품화능력과 마케팅능력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생산화능력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사업화능력의 하위변수 중 생산화능력과 기술축적역량의 상호작용항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기술축적역량과 제품화능력, 마케팅능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생산화능력과 기술성과 간의 관계가 기술축적능력이 높은 기업이 낮은 기업보다 낮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로는 다른 독립변수의 도입, 매개변수 및 조절변수가 도입된 모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