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몰입과 직무동기의 다차원 관계 : 자기결정감에 의한 접근

        고수일,한주희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3

        몰입과 동기는 모두 조직의 유효성과 깊은 관련을 가진 개념으로서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두 개념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직무동기간에 자기결정성에 따른 위계적 구조가 나타날 것인가? 둘째, 조직몰입유형에 따라 직무동기가 달라질 것인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학자들이 꾸준히 제기해온 다차원적 동기의 존재성을 재입증하였다. 내재적동기와 외재적동기로의 이원화된 구조에 동일시동기 및 규범적동기 및 무동기가 부가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직몰입의 유형, 즉 감정적 몰입, 규범적 몰입 및 계속적 몰입에 대한 확인적 요인부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몰입 변수에 대한 측정모델은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셋째, 감정적 조직몰입은 내재적 직무동기및 동일시 동기를 모두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정적 조직몰입은 무동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규범적 조직몰입은 규범적 직무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무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계속적 조직몰입은 외재적 직무동기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무동기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조직에 대한 몰입의 형태에 따라 구성원의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following two objectives. First, is there a hierarchical structure,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mong job motivations? Second, are there any relationships among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job motivat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Firs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job motivation was composed of intrinsic, identified, introjected, extrinsic and amotivation elements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mposed of affective, normative, and transactional elements. Second, affective commitment increases 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s while it decreases amotivation. Normative commitment increases introjected motivation while it does not affect amotivation. Third, transactional commitment increases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Theses results show some implications that effects of job motivations vary across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동철(Kang, Dong-Chul)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2

        본고에서는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에 활용된 표본은 부산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에 소속된 지방공무원 218명이다. 본고의 목적에 따라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만들었다. 이 구조모형은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인간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비교할 수 있는 모형이다. 이 구조모형을 통하여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변수는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인간관계를 통해서만 감소시킨다. 다만,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변수들 중 규범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으며, 정서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동기는 인간관계에 긍정적 선행요인이며,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함의한다. 함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하면, 공무원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 정서적 동기를 고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적 동기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필요하며, 윤리적 리더십은 공명심(功名心)에 의한 발로보다 공명심(公明心)에 의한 발로가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으로 고취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고취된 윤리적 리더십은 정서적 동기에 긍정적이므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인간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that determined the relationship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variable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s on turnover intentions. The sample consisted of 218 Local Public servant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hypothesiz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 variables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reduced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sub-variables, and human relations had a significant contribution and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affective motives accounted for larger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s than from norm-based motives.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administr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study are discussed and put forward.

      • KCI등재

        교과내용학 : 현대윤리학에서 욕구의 의미 논쟁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2

        본고의 목적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가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형성한다 는 흄의 주장과 그 근거를 분석하고, 이러한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을 현대윤리학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구하는 것이다. 흄은 자신의 도덕적 구별 논변을 다음과 같 이 정당화한다. 첫째, 흄은 자신의 동기 유발 논변의 연장선상에서 이성이 아니라 정념(감정, 욕구) 이 행위를 동기 유발하기 때문에,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형성한다고 주장한 다. 둘째, 흄은 이성적 논증을 통해 도덕성과 도덕 판단의 원리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도덕의 규범적 근거는 이성이 아니라 행위 주체의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최근 3∼40여 년간 이루어진 현대윤리학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은 실천 이 성의 존재와 기능을 재조명하면서 이러한 흄의 도구주의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첫째, 흄 의 주장처럼 행위 주체의 욕구가 도덕적 행위를 동기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주체의 욕구는 도덕의 규범적 근거와 그와 관련된 실천적 추론에 의해 동기화된 결과로서 허사로서의 의미를 지 닌다. 둘째, 행위 주체의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는 규범적 도덕 이론에 요구되는 보편성과 객관성을 갖추기 어려우며, 행위 주체의 욕구는 오히려 행위 주체의 욕구와는 독립적이고 객관적 인 기준에 의해 평가되어야 한다. 셋째,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근거로 대체 하려는 흄의 시도는 일종의 ‘범주의 오류’를 범한 것이다. 요컨대, 최근 현대윤리학의 논쟁들은 흄 의 도구주의에서 벗어나 행위 주체의 욕구와는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의 규범적 근거의 존재와 그것의 동기화의 기능을 논증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and to criticize this argument from the viewpoint of a debate on normativity and motivation in the contemporary ethics.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is as follows: (1) Hume insists that moral distinctions are not based on the exercise of reason but rather the result of the exercise of passions(desires) because passions(desires) have power to motivate actions. (2) Hume insists that moral distinctions derive not from reason but from moral sense(emotions, passions, desires) because morality and normativity can`t be justified by reason and rational argument.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has been criticized over the last three or four decad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in the contemporary ethics. (1) Agent`s desire can`t motivate moral actions. Rather, it is the state of being motivated by normative reasons and practical reasoning. It has merely a kind of placeholder sense. (2) It is very difficult that agent`s desire meets the condition of moral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Agent`s desire should be evaluated by normative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agent`s desire. (3) Hume tries to substitute normative reasons(justifying reasons) with explanatory reasons. It is a kind of category mistake. In brief, there are normative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agent`s desire, and these reasons have motivating force.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PSM)와 조직분위기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그리고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강동철 ( Kang Dong Chul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방공무원의 동기부여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방공무원에게 특별히 부여된 동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한 지방자치단체에 근무 중인 지방공무원 21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고취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조직몰입과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토할 수 있도록 구조방정식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규범적 동기_공익을 위한 헌신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며, 정서적 동기_측은지심은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하지만, 자기희생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때문에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방공무원에게 공공봉사동기는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공직에 공공봉사동기를 느껴 지방공무원이 되었다면,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참여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body of work in this area by investigating the responses from 218 local public servants from one local govern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determine which specific motivation of local public servants has the largest effect on organizational climate of local government. This study also has conduct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 review the mediated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uman Relations in the process from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Organizational Climate. According to the results,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Compassion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Human Relations. However, Self-Sacrifice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uman Relations. Therefore, Local public servant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relevant factor in Organizational Climate. Local public servants who feel motivated with their public sector provide higher levels of Organizational Climate.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강동철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社會科學硏究 Vol.44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indirect relationships in the influence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 Job Performance. In the course of such analysis, sampling was made based on 218 local public servants from one local govern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lso has conduct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 review the mediated effect of the Human Relations in the process from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Compassion, and Self-Sacrifice were shown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Human Relations. However,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showed not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Human Relations. This study identifies the mediated variables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research model on factors affecting Job Performance. 본고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한 지방자치단체에 근무 중인 218명의 지방공무원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설문 조사한다. 실증 분석에서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설계한다. 이러한 구조모형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정서적 동기_측은지심과 정서적 동기_자기희생은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규범적 동기_공익에 대한 헌신은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본 연구는 정서적 동기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인간관계가 매개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 KCI등재

        칸트 덕론에서 덕의무의 성격과 의의

        노영란(Roh, Young R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칸트의 『도덕형이상학』의 덕론에 대한 논의는 의무윤리 체계 내에서 전개되는 칸트의 덕론 자체에 대한 탐구에서부터 상반되는 경쟁이론으로 여겨지는 덕윤리와의 비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맥락에서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칸트의 덕론이 가진 기본 성격을 파악하고 이러한 성격이 칸트윤리학 내에서 그리고 덕윤리적 논의에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칸트 덕론의 핵심 개념인 덕의무(a duty of virtue)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보고 칸트가 이 개념을 생각하는 이유가 동기화에 있으며 유덕한 사람에게 의무로부터의 행위는 도덕적 목적을 위한 행위가 된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덕의무를 통한 칸트의 동기화방식이 우리가 어떻게 의무로부터 행동하게 되는지 그리고 의무로부터 행동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해명해줌으로써 의무로부터의 행위라는 도덕적 동기의 요구가 직면하는 비판들에 대응할 방안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서 덕의무를 통해 규범적 정당화에 근거한 동기화를 추구하는 칸트의 방식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윤리의 동기화방식이 직면하는 규범적 정당화의 문제를 피해갈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덕윤리적 시사점을 가진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가능성을 덕의무를 수행하여 수립되는 목적의 준칙과 덕윤리의 덕규칙을 비교하면서 살펴본다. The discussions on Kant’s doctrine of virtue in Metaphysics of Morals have taken place in a variety of contexts, ranging from the inquiry of Kant’s doctrine of virtue itself to its comparison with virtue ethics considered as conflicting.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Kant’s doctrine of virtue and to examine its significance on his ethics of duty and also virtue ethics. For this I shall first look into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a duty of virtue, the core concept of Kant’s doctrine of virtue and then insist that Kant introduces the concept to elucidate the motivation for an act from duty. The concept of a duty of virtue reveals that for a virtuous person an act from duty becomes an act for moral ends. Second, I shall claim that Kant’s way of elucidating the motivation through a duty of virtue has an significance of responding to the criticisms on an act from duty in that it shows how one comes to do an act from duty and what an act from duty is like. The third thing of my examination is to argue that Kant’s way of pursuing the motivation based on the normative justification through a duty of virtue has a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problems of the Aristotelian way of the motivation. The possibility in question is investig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maxim of ends in Kant’s doctrine of virtue with the virtue rule in virtue ethics.

      • KCI등재

        WECHAT 이모티콘 사용동기 및 인문학적 해석 -화(和)와 예(禮)를 중심으로-

        강샤오멍,김세화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motivation of SNS emoticons in Northeast Asian culture regions, with the strong influence of normative society and to interpret these characteristics based on traditional humanistic thought. Since the mainstream SNS of each country is different, this study focused on China's WeChat. For the research, we found 38 motivations for the use of emotic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21 users, and we surveyed 209 participants for usage moti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x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motivation for use of emoticons, these factors were named emotional expressions, aesthetics, usability, impression management, entertainment, and sense of collectivism. Second, we explained how the ideas of 'Hwa(和)' and 'Ye(禮)' appeared in the use of emoticons, focusing on 'Impression management' and 'Sense of collectivism' among the motives of using emoticons. Hwa(和) is interpreted as a factor of 'sense of collectivism' which intends to strengthen the feeling of belonging in the chat room using emoticons and actively emphasize oneself and to be well integrat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Ye(禮) is interpreted as a factor of 'impression management' which forms and maintains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moral code of ethics.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사회의 영향이 강한 동북아시아 문화권에서 SNS 이모티콘 소통의 특징을 찾아 전통 인문사상을 기반으로 이 특징들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주류 SNS가 상이하므로, 구체적으로 중국의 위챗(Wechat)을 중심으로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동기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연구와 21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여 38개 사용동기 항목을 도출하고, 272명에게 이모티콘 이용동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챗의 이모티콘 사용동기로 6개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들을 감정 표현, 심미성, 유용성, 인상관리, 재미, 소속감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위챗 이모티콘 사용의 동기요인들 중 규범적 사회의 특징에 부합하는 ‘인상관리’와 ‘소속감’ 요인을 중심으로 유가의 인문정신인 ‘화(和)’와 ‘예(禮)’사상이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이 되는지에 대해 해석하였다. ‘화(和)’는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여 소통 과정에 잘 어우러지고자 하는 ‘소속감’ 요인에서 나타난다. ‘예(禮)’는 도덕적 윤리 규범을 강조하는 것으로, 도덕적 윤리 규범에 적합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관계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인상관리’ 요인에서 나타난다.

      • KCI등재

        부양 경험이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양 동기에 따른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하석철 ( Seok Cheol Ha ),홍경준 ( Kyung Zoon H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부양의 경험이 부양자인 자녀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부양의 동기를 규범적인 동기와 교환론적인 동기로 구분함으로써 부양에 있어서 동기의 차이가 부양자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점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미부양자보다는 부양자가, 규범적인 동기에 의한 부양자보다는 교환론적인 동기에 의한 부양자가 노년기에 그들의 자녀로부터의 부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가족부양체계의 지속을 설명하던 효 규범에 기초한 부양이 그것의 정당성과 공정성을 상당 부분 상실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교환관계로서의 부양이 미래 한국사회의 가족부양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aregiving experience affects the perception of old-age ca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caregiving is divided into normative caregiving and caregiving for resource exchange to investigate how caregiving motives influence the perception of old-age care. The result shows that caregivers of their parents prefer to reside with their own children in the future more than those who do not care for their parents. Furthermore, caregivers who have the caregiving motive for resource exchange tend to prefer to reside with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more than caregivers who have the normative caregiving mo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ing based on the norm of filial piety has lost its fairness and equity, although it has been the basis of the continuance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for a long time. Instead, caregiving for the purpose of exchange will be an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for the future family support system in Korean society. These finding have suggested theore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일-학습 병행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규범적 신념, 순응적 동기,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정한호(Hanho Jeo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 및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향을 설명하는 구조적인 모형을 구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신념, 순응적 동기, 긍정적 태도, 부정적 태도 등을 변인으로 설정하고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에 다니면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 252명(여 99, 남 153)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학업에 대한 규범적 신념이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향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업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태도가 규범적 신념 다음으로 학업지속의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학업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순응적 동기가 긍정적/부정적 태도를 매개로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이론적, 실제적으로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adult learners to continue their stud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we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the intention of the adult learners who are learning in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ur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252 adult learners (99 female, 153 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first, we found that normative beliefs about academic achievement have the greatest impact directly or indirectly on adult learners’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tudies. Second, we found that the attitudes of adult learners to the stud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education after normative beliefs. Third, we found that the motivation to comply of adult learners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study through the positive/negative attitude. In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신(新) ‘카더라통신’의 동기적 요인효과

        차유리(Yuri Cha)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2

        The significance of the rumor issue has become more conspicuous across various areas, notably politics, economics, health, and entertainment. In this study, an approach is made, and also verified, for an integrated model that explains the intention of spreading tendential (base) Internet rumors of both the soft and hard varieties. The data validation in the survey targeting Korean online community users ( N = 400) shows that the appropriateness of this new model is better than the independent use of STOPS or TPB. The dependable variable that shows the most powerful effect in the integrated model with the intention of spreading tendential Internet rumor messages was ‘normative constraint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a greater ‘alternative efficacy for problem resolution’ to verify the truth resulted in a less powerful intention of spreading tendential and hard Internet rumors. This proves that the chilling effect on tendential online rumor spreading can be led by the public, that is, a group engaged in problem solving, and by its norm. It signifies that a more active interest in academics and policy is required in the proper mixing of fact-finding and relationship-enhancement motiv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