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평가 유형 연구 :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김민경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표준화된 한국어 능력 평가도구로서 시행하기 시작한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은 그동안 꾸준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을 거듭해왔다. 증가하는 응시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특히 유학이나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과 재외 동포의 수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우수 유학생을 선발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의 수학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시험(Academic TOPIK: A-TOPIK)의 시행을 준비 중에 있다. 한국어의 학습 목적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문을 익히는 것에 있다면 적정 기준을 충족한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은 마땅히 학업 성취에 별다른 지장이 없을 정도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유학생의 입학과 졸업의 자격 기준이 되고 있는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OPIK)은 이러한 사실이 반영된 평가 결과를 내어 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언어활동에 있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수준을 넘어 학업 수행이라는 특수성과 유용성이 고려되지 않은 평가 유형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현행 일반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쓰기 영역 문항 유형을 분석하여 본 결과 기본적으로는 평가 영역 간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드러났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 목표의 특수성과 유용성을 고려한 쓰기 능력을 직접 평가할 문항이 부족하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업 수행 상황에서의 유용성을 고려하여 쓰기 평가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는 문항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이 평가 취지에 맞는 타당하고 유용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 제시된 텍스트 특성 연구

        이은희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한국어능력시험은 공신력 있는 대표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수단으로서 다양한 평가 영역을 통해서 학습자들 의 한국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왔는데,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 평가의 틀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이 중심을 이루어 왔다. 그렇지만 언어활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기에 한국어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 해서는 언어활동의 대상으로서 텍스트가지닌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능 력시험에서 텍스트 특성을구현할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서 텍 스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틀과 평가 기준을 검토해 봄으로써, 한국어능력시험 평가문항을 구성하는 평 가 틀에서 텍스트 요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틀에 나타난 텍스트 관 련 기술은 텍스트 종류, 텍스트 내용, 텍스트 형태의 세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이 중 전체적으로 의미 를 지니는 요인은 텍스트 종류뿐이며,텍스트 종류들이 제시된 방식을 보면 개념 규정 및 체계성과 관련된 문 제점이 드러난다. 3장에서는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을 대상으로, 평가 문항에서 텍스트 특성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텍스 트 체재와 텍스트 유형이라는 두 가지 범주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서 나타나 는 텍스트 체재는 언어자료형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방식을 보이며, 텍스트 유형은 등급별 영역별로 일부 유 형에 편중된 모습을 드러내면서 언어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텍스트의 다양한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 고 있다. TOPIK, as the most authoritative Korean proficiency test, has beenevaluating learners' proficiency of Korean comprehensively through the variousevaluation domains. Its grading system has been made mostly in focusing onlearners’ cognitive ability. However, to test Korean proficiency properly,considering text is the basis of linguistic activities, it is essential that thecharacteristics of the text should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s a process forsuggesting a possibly ideal way for the text characteristics to be appliedsuccessfully in TOPIK, this study reviews how the characteristics are containedin the previous TOPIK evaluation questions. Analyzing question framework and evaluation criteria, chapter 2 examinesthe way in which text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theoretical framewhich comprises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OPIK. The descriptions regardingtext, shown in the TOPIK evaluation framework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kinds of text, contents of text, and forms of text. Among these, only kinds oftest can be regarded to some extent as a significant factor in overall situation. Despite the meaningful existence of the kinds of texts in TOPIK, in the waysthey have presented, many problems are found out related to their conceptsand structures. Chapter 3 investigates in terms of text types and structures how the text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he 34th TOPIK. Theinvestigation can be concluded as follows. The text structures of TOPIK aresimple, largely based on linguistic data types. As to text types, they do notreflect thoroughly diverse tex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process oflanguage use, in that they are given too much biased weight on certain types.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상린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riterions of evaluation in TOPIK and suggesting improved them after scrutinizing the question items in current reading test. At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sic principles of criterion construction related to reading evaluation. The next, I scrutinize the construction of criterion related to reading evaluation with the us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at. As the result, the elements of evaluation in current TOPIK are just showed by one dimension, and systemic division is very unclear between the intermediate scope and detail one. The more, the liaison from the novice level to the advanced level is very weak.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ed the frame of evaluation in reading scope of TOPIK. I, also, suggest that the evaluation frame should be approached by three dimensions, that is, situation, texts and aspect. and the criterion should be classified micro-criterion with systematic construction. The last the liaison from the novice level to the advanced level should be constructed. 이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평가 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주요 읽기 평가의 평가 틀을 분석하여 읽기 평가 틀 구성의 기본 원리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의 평가 틀에 대해 앞서 파악한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재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은 평가 구성 요소를 일원적으로만 제시하였고, 상위 영역과 세부 영역 간의 체계적인 구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의 각 구성 요소가 급별로 심화되는 연계성이 부족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평가 틀을 다원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기본 요소를 ‘상황’, ‘텍스트’, ‘양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 기본 요소 별로 세부 영역을 나누어 체계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중급, 고급 수준에서 각 평가 영역의 구성 요소가 연계성을 가지고 심화될 수 있도록 평가 틀을 구성해야 한다.

      • KCI등재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백목원(Baik Mok-Won),권순희(Kwon S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자체 개발한 평가 도구로 북한 이탈 고등학생 82명과 일반 고등학생 82명에게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실시 기간은 2015년 5월 20일부터 2015년 5월 30일까지이다. 국어 평가 도구는 신뢰도(Cronbach s α) .70 이상, 변별도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국어 능력에 있어 이질 집단으로 드러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 점수에 있어서는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12.8점이 낮았다. 문항 난이도 차이를 바탕으로 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 인식 능력, 문학 지식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문항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영역이다. 반대로 북한 이탈 학생은 기본적인 모어 능력, 사실적 독해 능력에서 일반 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첫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차이 및 문법 차이, 그리고 문학 작품을 목록화 한 교재 개발 둘째, 비판적 읽기 교육 및 민주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셋째, 한국에서의 평가가 생애 주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문항에 대한 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함께 평가 실습 교육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a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North Korean refuge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two groups of participants consisting of 82 North Korean refugee high school students and 8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respectivel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0/May/2015 to 30/May/2015.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 presented a reliability (Cronbach’s Alpha) of over 0.70, and an item discrimination index of over 0.40, indicating that the tool was appropriate in terms of the two aspects. Conducting an independent-samples t-test on the assessment scores of the two group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they were revealed to be nonequivalent in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e. The average score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was 12.8 point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From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thes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variations in item difficulty, the following conditions were shown. The areas in which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were Korean grammar and language awareness, literatur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and the ability to identify test question types. Convers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basic native language competence and factual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North Korean refugee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measured through the analysis of assessment items, the following needs to be implemented: firs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at catalogue the differences in vocabulary, grammar, and literacy works used in textboo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econd, the education of critical reading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third, the development of manuals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 testing systems and test items, along with subsequent education on practices for test, considering that assessments in South Korea are conducted throughout the stages of one’s life.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국어과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전망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2 No.-

        국어과 평가 논의에서 전제되어야 할 점은 국어과 평가가 교육 평가 일반론으로 환원되지 않는 국어과 평가의 특수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울러 국어과 하위 영역 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살리는 평가 담론들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 국어과 평가의 역할 위상을 학교 내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으로도 확장해 나아가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국어과 평가는 학문중심교육과정 하에서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가 주조를 이루었다. 또한 표준화와 공식적 평가(Formal evaluation)의 양태가 국어과 평가의 전부인 것처럼 단조롭고 획일적이었다. 이후 국어사용과정과 기능에 초점을 두는 활동중심 평가가 강조되고, 이어서 학습자중심의 언어체험의 수행성과 탐구과정을 강조하는 비공식성이 강한 평가들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다양한 문식성과 언어사용의 소통성을 강조하는 평가가 부각되고 있다. 국어과 평가는 1) 평가를 공학적 체제(engineering system)로 보려는 관점이 지배적이었고, 2) 언어수행에 대한 평가가 소극적이었으며, 3)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중심의 평가 관습에 지배되었고, 4) 수행평가 정착이 실패했으며, 5) 문학교육 평가의 답보가 두드러졌다. 이런 점이 국어과 평가의 결함으로 지적될 수 있다. 국어과 평가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요구된다. 1) 국가 수준의 국어 능력 평가 체제를 상시 체제로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각급학교 학생들의 국어 능력과 일반 국민의 국어능력을 종단 평가(縱斷平價)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2) 국어 수행 평가에 대한 다양한 배려가 필요하며, 평가 도구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어사용 생태 변화를 반영하는 살아 있는 평가 자료들을 개발해야 한다. 3) 국어과 평가의 자료와 피드백 방식을 질적으로 풍요롭게 해야 한다. 이는 국어사용과 관련한 지식, 기능, 태도, 윤리 등 국어과 평가 요소의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 4) 문화적 리터러시에 대한 국어과 평가의 새로운 영역을 확충해야 한다. The matter to presuppose in discussion about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is that it should pursue the peculiarity of Korean subject evaluation which is not restored to generalization of education evaluation. Furthermore, evaluation discourses that increas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subcategories of Korean subject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Moreover, the role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should be expanded from inside to outside the school. The mainstream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has been norm-referenced evaluation under academic-oriented curriculum for the past half of a century. Moreover, the pattern was monotonous and uniform as if only standardized and formal evaluation were existed. However, activity-oriented evaluation that was focused on function of the process to use Korean were started to be empathized. And then, some informal evaluations that were focused on performance and exploration process of learner-oriented language experience were started to get attention. Recently, evaluations that emphasize diverse literacy and communication of language use become significant.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was 1) predominant with the perspective to see evaluation as an engineering system, 2) passive for evaluation language performance, 3) predominant with summative evaluation, 4) failed to settle performance assessment, and 5) evaluation on literature education was clearly standstill. These can be pointed out as defects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Therefore, the following efforts are demanded for futuristic development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1) Stat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regular system. So Korean proficiency of all the students of nation should be chronically evaluated with a system. 2) Diverse concerns on Korean performance evaluation are necessary, and the evaluation tool should be diversified. So Korean subject evaluation should pursue to integrate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nd ethics. 3) Material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evaluation and feedback method should be plentiful with good quality. Living evaluation Material that reflects the change of Korean use mode are required. 4) Korean subject evaluation should establish a new field for cultural literacy.

      • KCI등재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 연구-국어과 평가 문항 양호도 분석틀 개발 연구(2)-

        정민주,서수현,남민우,최숙기,이상일,남가영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준점을 보다 정교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어교육 전문가 30명에게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특성에 대해 질문하고, 그 응답 내용을 질적 분석하여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의 국어과 평가 문항들(‘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2019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등학교 국어’) 중 영역별로 가장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좋은 문항이라 선택받은 문항의 양호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교육 전문가들은 ①목표 및 내용 타당도가 높은 문항, ②문제 풀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사고력을 요하는 문항, ③문항에 쓰인 지문과 자료가 교육적 가치가 있는 문항, ④교수·학습에 긍정적인 환류를 기대할 수 있는 문항, ⑤문항 형식상의 안정성과 완결성을 갖춘 문항을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의 요건과 기준을 도출하여 문항 제작 시 고려할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제 문항 평정을 통해 점검함으로써, 국어 교사들에게 ‘좋은 국어과 평가 문항’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준점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번역 학습자 번역 능력의 평가 구인 설정에 대한 제안

        유군군 ( Liu Qunq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한국어번역 학습자 번역 능력 평가 기준 개발의 일환으로 평가 구인 체계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절차를 밟아서 평가 구인 체계를 개발하였다. 첫째, 번역 능력 평가의 개념을 검토하고 재정립하였다. 기존 번역 능력 모델의 구성 요소를 전반적으로 범주화하여 새로운 번역 능력 모델을 조작하여, 크게 ‘출발어 능력’, ‘도착어 능력’, ‘주제 지식 능력’, ‘번역 전략 능력’의 4개의 대범주를 설정하고 총 17개의 하위 요소를 제시했다. 둘째, 현행 및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번역 능력 평가 항목들을 조작된 번역 능력 모델에 따라 재분류하여 총 380개의 평가 항목을 수집하였다. 각 평가 항목에 고빈도로 나오는 ‘행동’을 표현하는 키워드 23개와 ‘기준’을 표현하는 키워드 29개를 추출하여 평가 세부 내용 작성의 기반 자료를 만들었다. 이러한 기반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출발어 능력’ 범주에 4개, ‘도착어 능력’ 범주에 14개, ‘주제 지식 능력’ 범주에 5개, ‘번역 전략 능력’ 범주에 18개로 총 41개의 세부 내용을 제시하여 평가 구인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번역 교육에서 평가 연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평가 기준 구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truct to assess Korean translation learners’ competence. The construct was developed following 2 procedures. First, the concept of translation competence assessment was reviewed and redefined. Previous research on translation competence was analyzed. A new translation competence model was developed with four components-“source language competence”, “target language competence”, “subject knowledge competence”, “translation strategy competence”- and 17 sub-elements. Second,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translation assessment rubric. A total of 380 assessment items were collected and reclassified. 23 keywords describing “behavior” and 29 keywords describing “criteria” were extracted to create the basis for detailed assessment content.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developed the construct with 41 items to assess translation competence: 4 items for “source language competence”, 14 items for “target language competence”, 5 items for “subject knowledge competence”, and 18 items for “translation strategy competence”. This study opens new perspectives for assessment in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and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ranslation competence assessment rubric.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성취도 평가 분석 사례 연구 : 특정 대학 기관 중급 성취도 평가의 내용 타당도를 중심으로

        구민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특정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이하 A기관)에서 사용되는 성취도 평가 도구의 문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A기관 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제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는 중급 성취도 평가 도구의 문항 전체를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해 보고자 교과 내용과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범주에 대한 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A기관의 성취도 평가 도구는 교과 내용을 고르게 평가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능력 평가에 있어서도 문법적 능력과 담화적 능력 평가에 비해 사회언어학적 능력과 전략적 능력 평가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내용 타당도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영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평가 영역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평가틀을 적용하여 개발함으로써 공인 타당도를 높이려고 한 점은 인정되나 실제 교육 현장의 평가 도구는 평가의 목적이 한국어능력시험과는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한국어능력시험 평가틀의 적용은 의사소통 능력 평가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개발 방향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 내용을 고르게 다루어야 하며 이는 출제계획표 작성과 영역별 출제계획표의 교차 검토로 충분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을 '고르게' 그리고 '제대로' 평가하는 것은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고 의사소통 능력의 구인을 모색하는 기본적인 연구부터 시작하여 평가에 대한 심도 깊고 폭넓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즉, 평가 구인 모색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실제 평가 현장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achievement t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For the specific purpose, all the items on intermediate level achievement test are analyzed, which are actu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a certain University. Moreover, the aspect of evaluating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the four categories of communication skill is examined for investigat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chievement test. By analyzing the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achievement test fail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t can be also suggested that it may not be sufficient enough to evaluate the sociolinguistic competence and the strategic competence. Furthermore, the goal of the tes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OPIK. Therefore, an excessive usage of the TOPIK frame is not a desirable way of developing test when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es.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content in the test, it is necessary to fairly deal with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is can be solved by the test specification and the cross-checking of each categorial test planning chart. However, it is not a simple matter to 'objectively' and 'properly' evaluate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deeper and wider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testing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basic study of seeking the Constru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s.

      • KCI등재

        다문화 학습자 대상 한국어 읽기 능력 평가

        우창현(Woo, Chang Hyun)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8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8 No.1

        이글은 읽기 평가 요소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다시 이러한 평가 요소들이 실제 한국어능력시험에 제대로 반영되어 출제되고 있는지를 한국어능력시험 52회 출제 문항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능력시험은 2013년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를 보이는데 가장 큰 차이는 구토픽에서 시행되었던 ‘어휘·문법’ 영역을 신토픽에서는 제외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었던 어휘·문법이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직접적인 요소일 수 없다는 논의와 궤를 같이 한다. 즉, 구토픽에서 한 영역을 차지했던 ‘어휘·문법’이 신토픽에서는 제외가 되어 ‘읽기, 듣기, 쓰기’ 세 영역으로 시험 체제가 재편된 것이다. 다만 이처럼 평가 영역에서는 ‘어휘·문법’이 제외되었지만 실제 시행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는 아직도 ‘어휘·문법’ 관련 문제가 읽기 영역에서 12문제 출제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지금처럼 ‘어휘·문법’이 읽기 영역에서 출제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이글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52회 읽기 문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구인과 연관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 문항 수를 현재와 같이 50문항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지 그렇지 않으면 40문항으로 문항 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article analyzes and presents what is in the element of a reading evaluation, and then presents questions that are correctly reflected in the actual Korean proficiency test 52 times.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2013, with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that it excludes the vocabulary and grammar sections that were conducted in the Old Topics. This is the same argument that vocabulary and grammar, which have been steadily raised so far, can not be a direct factor in assessing language ability. In other words, the test system was reorganized into three sections: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However, while vocabulary and grammar have been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section, it is true that the Korean proficiency test still contains 12 questions related to vocabulary and gramm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vocabulary and grammar’ to be written in the reading area as it is now. Accordingly, the article analyzed 52 Korean proficiency tests and presented the results in relation to construct. Based on this, it was deemed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should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50 questions.

      • KCI등재

        KSL 대상 한국어능력 진단 평가 및 보정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및 과제

        노정은,장미정,박진욱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8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language proficiency diagnosis and correction education for KSL learners and deriving future tasks. Announcing its annual plan to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2006,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working on a support syste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Looking 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plan to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it emphasizes the need to accurately diagnos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to help them achieve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prior studies, researches related to diagnosis and correction educatio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were reviewed. As of January 2020, 27 papers were analyzed, excluding those not within the category of diagnosis evaluation and correction education, out of a total of 57 papers that were searched as the search term 'diagnosis evaluation, correction education, Korean(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Korean(as a first language), English, KSL,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Future challenge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is needed to set specific goals and scope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diagnosis-correction training and subjects. Second, research on evaluation methods at various levels is needed to accurately measur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and obtain useful information. Third,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learners' lack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ials for diagnosis and correction education of Korean proficiency. Fifth, The scope of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research on the subject of evalu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in relation to 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이 연구는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능력 진단 및 보정 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도출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부는 2006년부터 매년 다문화 교육 지원 계획을 발표하면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을 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교육부의 다문화 교육 지원 계획을 살펴보면, 이들의 한국어 능력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들에게 맞춤형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의 진단 및 보정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봤다. 2020년 1월 기준 논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 ‘진단 평가, 보정 교육, 한국어, 국어, 영어, KSL, 다문화 배경 학습자’로 검색한 총 57편의 논문을 찾고, 진단 평가와 보정 교육의 범주 안에 들지 않는 논문은 제외하고 2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능력 진단-보정 교육의 목표 및 범위, 대상자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차원에서의 평가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한국어능력이 부족한 원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한국어능력 진단-보정 교육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어능력 진단-보정과 관련해 평가의 주체,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