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카골드 팝업스토어에 나타난 공간형 콘텐츠 연구

        오승희,최진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동서식품의 모카골드는 국내 커피 시장 점유율이 30년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노후화된 브랜드 이미지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소비자에게 모카골드를 경험할 수 있는 경험 마케팅 팝업스토어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형 콘텐츠가 적용된 모카골드 팝업스토의 표현전 략과 가치를 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모카골드 팝업스토어 5개소이며, 연구 방법은 공간형 콘텐츠 요소인 디 자인 콘텐츠와 프로그램 콘텐츠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 를 토대로 공간형 콘텐츠 특성인 정체성, 복합성, 감수성, 체 험성, 관계성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조사를 실시 하여 정량평가 후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한다. 연구 결과 첫 째, 디자인 콘텐츠는 커피와 상관성이 결여된 공간에서 소비 자의 고정관념을 뒤엎은 콘텐츠로 경쟁브랜드와 동일성에서 벗어나 진정한 차별화로 독창적인 가치를 소비자에게 제시하 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 콘텐츠는 아날로그 감성의 스토리텔 링으로 소비자의 감성과 욕망을 자극하고 브랜드에서 제공한 프로그램 콘텐츠를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생각의 확장을 통 해 새로운 생각의 틀을 제공하고 있다. 셋째, 공간형 콘텐츠 특성은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특성들로 소비자의 변화하는 눈 높이와 삶의 방식에 맞춰가고자 브랜드 경험 확대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Mocha Gold by Dongsuh Foods Corporation has maintai ned the top spot in the domestic coffee market for 30 yea rs. However, the brand promoted experience marketing pop-up stores, where consumers can experience Mocha Gold, in order to improve the brand image due to deterior ating brand imag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presentational strategies of Mocha Gold pop -up stores, where space-based contents are applie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five Mocha Gold pop-up sto r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elements of space-base d contents such as design contents and program cont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is, focus group in terview was conducted with experts to quantitatively eva luate the properties of space-based contents, such as iden tity, complexity, sensibility, experientiality, and relations hip, and visualize them with a diagram. The research fin 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a space that lacks correlati on with coffee, design contents are showing unique value to consumers with contents that overturn consumers’ fix ed ideas and through genuine differentiation of moving a way from uniformity with competing brands. Second, pro gram contents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nd desire s through storytelling that reflects analog sensibility and provide the opportunities for consumers to personally par ticipate in the program contents provided by the brand. In addition, they provide a new framework of thinking by delivering messages socially and expanding ideas. Third, in response to the changing lifestyle and eye level of con sumers, the properties of space-based contents provide t hem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ir experiences the char acteristics unique to the brand.

      • KCI등재

        수운 최제우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시론(試論) -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自生) 문화인 동학(東學)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전략으로써 최제우의 역사적ㆍ문학적 콘텐츠를 공간형 콘텐츠로 활용하고 유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문화라는 콘텐츠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지역 문화 산업과 관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획-제작-유통의 전체 분야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가공과 창출까지의 과정을 하나로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제우 관련 역사 기록 및 문학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논한 후 이에 바탕하여 대구 소재 공간형 콘텐츠의 창출 과정이 진행된다. 영남지역은 한국 자생 문화 ‘동학’의 발상지이며 그중 특히 대구는 동학 교조 최제우(1824-1864)가 1864년 좌도난정(左道亂政)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된 곳이다. 당시 최제우의 체포와 처형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및 『천도교 창건사』에 기록되었다. 또한 이광수(李光秀)는 『개벽』수록소설 「거룩한 죽음」에서 최제우의 대구 처형 장면을 형상화하였다. 이들 세 자료들은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의 바탕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가 구상되었다. 즉 대* 본 논문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주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년도 제1차 전국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에는 수용공간ㆍ공감공간ㆍ체험공간이 구성되고, 각 공간의 핵심가치를 전달하는 소장 콘텐츠가 배치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에 대한 자긍심과 동학의 혁명 정신에 공감하는 대구 지역의 장(場)이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of applying and distributing Choe Je-u(崔濟愚)’s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nts to the space-type contents as a strategy for modern succession of the Donghak(東學) Spirit,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Thes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associated with the realistic regional cultural industry without remaining in the content zone called culture. In relation to this,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is demanded a research available for uniting the process from understanding the whole field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p to processing and creating into one. This study is discussed a meaning and a value of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literary work relevant to Choe Je-u, and then is progressed the creation process of space-type contents placed in Daegu on the basis of this. The Yeongnam region is the cradle of ‘Donghak’ that is Korea’s homegrown culture. Among the rest, Daegu is especially a place where Choe Je-u(1824-1864) as the founder of Donghak was executed under the name of a crime dubbed Jwadonanjeong(左道亂政) in 1864. What Choe Je-u was arrested and executed at that time was recorded in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and 『Cheondogyo-changgeonsa(天道敎創建史)』. Also, Lee Gwang-su(李光秀) embodied Choe Je-u’s scene of the Daegu execution in 「The Holy Death」, which is a novel of being included in 『Gaebyeok(開闢)』. These three materials correspond to the background of Choe Je-u’s space-type content situated in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ill need to be operated properly for each spatial function with being secured the acceptance space, the empathy space and the experience space.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being likely arranged a place of Daegu area that empathizes with the revolutionary spirit of Donghak in addition to a pride of Donghak,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 KCI등재

        공간형 콘텐츠로서 도산서당 활용에 대한 시론

        전성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의 도산서당을 ‘공간형 콘텐츠’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도산서당은 도산서원이 마련 된 뒤부터 부속건물의 위상으로 평가절하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도산서당은 그 자체로 퇴계의 교육철학이 구현되어 있는 공간이자, 소이연(所以然)으로서의 자연적 질서와 소당연(所當 然)으로서의 인문적 질서가 통합되어 있는 건축공간으로 이른바 ‘공간형 콘텐츠’를형성하고 있는 곳이다. 공간형 콘텐츠는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공간’이라는 미디어에 체화한 무형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도산서당이라는 문화적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라는 미디어로써의 ‘공간’에 구체화되어 있는 유교문화자원을 공간형 콘텐츠 관점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도산서당은 순임금과 도연명의 자연관과 인간관을 함께 담아내려는 퇴계의 천인합일 사상에서 마련된 공간이고, 자연과 인간이 일상을 공유하며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이며,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뛰어오르는 세계, 즉 천리가 유행하는 것을 체인할 수있는 공간이다. 퇴계 자신의 병약한 몸을 다스릴 수 있는 유식(遊息)의 공간이자, 자연을 공부의 대상으로 삼고자 했던 장수(藏修)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도산서당으로 가는 길에서 만날 수 있는 군자마을, 한국국학진흥원, 월천서당, 퇴계종택, 용수사 등은 도산서당 둘레길을 형성할 수 있고, 도산의 풍수는 낙천(樂天)을 느낄 수 있게 해주며, 도산 앞 낙천(洛川)은 해양 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곳이 될수 있다. 메타버스를 통한 도산서당을 포함한 도산서원의 가상세계를 통해 안동으로의 관광인원의 유입을 유도할 수도 있다. 그때 공간형 콘텐츠로서의 도산서당은안동문화의 상징으로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oegye Lee Hwang's Dosan Seodang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contents. Dosan Seodang has been devalued as an auxiliary building since Dosan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established. However, Dosan Seodang itself is a place where Toegye's educational philosophy is embodied, that is, it forms a so-called "space-type contents" called an architectural space. Space-type Contents can be said to be "an intangible result of cultural materials being specifically processed and embodied in the media called 'space'." In short,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the intangible results embodied in the "space" as a media called "Dosan Seowon-gil 154, Dosan-myeon, Andong-si, Gyeongsangbuk-do." Gunja Village, the Korea Institute of Korean Studies, Wolcheon Seodang, Toegye Jongtaek, and Yongsu Temple, which can be met on the way to Dosan Seodang, can form Dosan Seodang Dulle-gil, the feng shui (Wind-water) of Dosan allows you to feel optimistic, and Nak Stream in front of Dosan can be a place where you can enjoy marine leisure sports. It may be possible to induce the influx of tourists to Andong through the virtual world of Dosan Seowon Confucian Academy, including Dosan Seodang through the metaverse. At that time, Dosan Seodang as a Space-type contents should be prepared as a symbol of Andong culture.

      • KCI우수등재

        종교콘텐츠로서 세종전통문화체험관의 조성이 잠재 향유자에게 미치는 기대효과

        이재민,윤설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8

        After content was introduced in Korean society, the scope of content expanded in various ways. The contents introduced in the digital realm were realizing new conten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not only tourism, education, advertisement, but also religion, as well as regions and villages, which are areas of daily life. In this situation, the Sejong CULTURAL CENTER of KOREAN TRADITION opened in Sejong City in August 2022, which is a Buddhist cultural content. The Sejong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Center was initially planned as a Korean Buddhist culture experience center, but efforts were made to move forward as an experience space for citizens to enjoy rather than a space for a specific relig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cted effects of the creation of the Sejong CULTURAL CENTER of KOREAN TRADITION on potential enjoyers. The four experiential economy theories of Pine and Gilmore were set as the framework for analysis, and the questions were form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84 people, and various techniqu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ctations for the name satisfaction were high, and the expectations for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the experience programs were high.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specificity of the name of the experience center and to secure specialized educational experience contents. 한국 사회에서 콘텐츠가 도입된 이후, 콘텐츠는 풍부한 문화적 소재의 활용·다양한 매체와의 결합 등을 통해 영역이 확장되어 갔다. 디지털 영역에서 도입된 콘텐츠는 관광·교육·광고 등은 물론 일상의 영역인 지역과 마을뿐만 아니라 종교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구현하고 있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세종특별자치시에 세종전통문화체험관이 2022년 8월 개관하였는데, 이는 불교문화 중심의 공간형 종교콘텐츠라 할 수 있다. 세종전통문화체험관은 당초 한국불교문화체험관이라 계획되었으나, 특정 종교를 위한 공간이라기보다는 시민 향유를 위한 체험 공간으로서 나아가기 위해 명칭을 변경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하였다. 이 연구는 세종전통문화체험관의 조성이 잠재 향유자에게 미치는 기대효과를 고찰하고자 진행되었다. Pine과 Gilmore가 제시한 네 가지의 체험경제이론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384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명칭 만족도에 대한 기대가 높으며, 체험 프로그램 중 엔터테인먼트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체험관 명칭의 구체성 확보와 특화된 교육 체험 콘텐츠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역 공간형 콘텐츠로서 상생형 문화거리의 가치와 의미

        이채론(Chaeron Lee),이재민(Jaemin Le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59 No.-

        최근 거리·마을 등 우리의 일상 공간이 다양한 빛깔의 공간형 콘텐츠로 바뀌고 있다. 세종시에서도 2020년 ‘상생형문화거리’라는 문화적 실천을 통해 일상의 공간을 예술로 채우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세종시 예술가의 관점을통해 상생형문화거리가 지역의 공간형콘텐츠로서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로서, 이 사업에 참여한 예술가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예술가들이 인식하는 상생형 문화거리의 가치와 의미는 미시적·거시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었다. 미시적관점에서 가지는 가치와 의미는 지역 예술가의 활동 기회 마련과 예술인 네트워크 형성 가능성을 확대하였다는 점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가치와 의미는 공실 상가 활성화와 예술의 일상적 향유 가능성 확대를 꾀하였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문화 예술 기반 마련을 위한 거버넌스의 선순환 체계의 구현과 함께 로드맵 구현을 통한효율적인 문화예술 정책의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의 수행은 정책적인 관점에서 시사점을 도출할수 있었으며, 연구 방법에 따른 학문적 시사점을 기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상 나타나는 한계점은 후속연구로 남겨두고자 한다. Recently, our everyday spaces, such as streets and villages, are being transformed into spatial content of various colors. Sejong City also carried out work to fill everyday spaces with art through a cultural practice called ‘Cultural Street of Sangsaeng-hyung’ in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Cultural street of Sangsaeng-hyung as regional spatial content through the perspective of Sejong City artists. This study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Cultural street of Sangsaeng -hyung as perceived by artists could be divided into micro and macro perspectives. The value and meaning from a micro perspective is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local artists to work and expands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etwork of artists. The value and meaning from a macro perspective is that it sought to revitalize vacant commercial areas and expand the possibility of daily enjoyment of 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eed for an efficient culture and arts polic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roadmap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a virtuous cycle system of governance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ulture and arts was presented. The conduct of this research was able to derive implications from a policy perspective, and academic implications could be expected depending on the research method. Lastly, we would like to leav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method for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지역 공간형 콘텐츠의 조성이 주민 삶에 미치는 영향: 세종시 한글사랑거리 사례

        이재민,윤설민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2

        Recently, local streets are being created with spatial contents such as themed streets. This means that a simple everyday space is realized as a cultural space, and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medium to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life of the residents and further more realize the local identity. Sejong City, which was launched in 2012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lso intends to utilize ‘Hangeul’, the greatest achievement of King Sejong the Great, as a cultural material for realizing urban identity, and is creating a ‘Sa-rang Street for Hangeul’ in Hansol-dong, Sejong City. Sejong City established an ordinance to utilize Hangeul as a cultural material, and established an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base by establishing a Hangeul Promotion Department. The Hangeul Sa-rang Street was selected as the Hansol-dong where the first village is located through a local contes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patial content creation on the lives of residents using the Hangeul Sa-rang Street in Sejong City as a case, and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conduct the study.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211 peop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ame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Hangeul Sa-rang Street were all high with an average value of 4.0 or higher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ing convenience facilities’, and ‘creating a square’ were important for residents to create a Hangeul Sa-rang Stree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a-rang for Hangeul was generally positively perceived in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onclusion was firstly revealed that both local residents and merchants positively recognized and expected Hangeul Sa-rang Street. Second, in creating the Hangeul Sa-rang Stree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zas, and convenience facilities first. Third, it was analyzed that Hangeul Sa-rang Street needs to be implemented as a spatial content representing Sejong City through long-term and gradual supplementation rather than simply a space for tourism. 최근 지역의 거리가 테마거리와 같은 공간형 콘텐츠로 조성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일상공간이 문화공간으로 구현된다는 의미와 함께 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 제고, 나아가 지역정체성을 구현하는 매체로서 역할을 기대받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2012년 출범한 세종시 역시, 도시 정체성 구현을 위한 문화적 소재로서 세종대왕의 최대 업적인 ‘한글’을 활용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움직임으로서 세종시 한솔동에 ‘한글사랑거리’를 조성 중이다. 세종시는 한글을 문화적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례를 제정하고, 한글 진흥 담당부서를 신설하는 등 제도적⋅행정적 기반을 갖추었다. 한글사랑거리는 지역 공모를 통해 첫마을이 있는 한솔동으로 선정되었으며, 간판 개선⋅광장 조성을 통한 문화예술 콘텐츠 확대⋅오브제 설치 등을 통한 한글 경관 확대를 꾀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세종시 한글사랑거리를 사례로 공간형 콘텐츠의 조성이 주민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통계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11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한글사랑거리의 명칭과 발전가능성은 5점 리커트 척도 기준 4.0 이상의 평균값이 나타나 모두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글사랑거리를 조성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 ‘보행환경 개선’, ‘편의시설 개선’, ‘광장 조성’으로 나타나, 거리를 조성하는 데 있어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주민들은 한글사랑거리가 경제와 사회문화, 환경 등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론은 첫째, 지역주민과 상인 모두 한글사랑거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기대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둘째, 한글사랑거리를 조성하는 데 있어서 보행환경, 광장, 편의시설은 우선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글사랑거리를 단순히 관광만을 위한 공간보다는 장기적이며 점진적인 보완을 통해 세종시를 대표하는 공간형 콘텐츠로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테마파크의 ‘가상성’을 통한 관객성에 관한 연구

        태지호(Tae Ji-Ho)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가상성을 통한 관객성에 관한 논의이다. 테마파크는 공간형 콘텐츠로서 최근 문회콘텐츠의 종합체라 할 수 있을 만큼 그 문화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이에 따른 주목도도 커지고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테마파크를 가상성에 기반 한 문화콘텐츠라고 가정하고 이를 그 관객과 연관하여 논의한다. 이를 위해 우선 가상성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을 한다. 이는 가상과 실재라는 차원에서 미디어의 사실주의의 계보를 통해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르크 개념과 피에르 레비의 가상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테마파크의 가상적 측면을 논의하는데, 이는 이야기적 측면, 시공간적 측면, 시각적 측면으로 각각 나누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가상성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테마파크의 가상성은 결국 관객이 몰입하게 되는 요인이 되는 것인데, 이를 통해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며, 관객성은 응시, 소비, 놀이의 측면으로 나타난다. 이는 테마파크 역시도 경험재라는 차원에서 심리적인 측면이 중요함을 뜻하는 것이며,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하는 요인은 결국 테마파크의 실제 구성요소들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객성의 구분은 실제 상보적이기도 하며 순환적으로 나타나는 것이지만, 기존의 능동과 수동의 형태로 이용자를 구분하였던 것보다는 다층적이며, 실제 관객의 행위와 연관하면서 동시에 콘텐츠의 본질과 그 요소를 통해 설명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Only few attempts have so far been made at virtuality in space based contents. So,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study spectatorship with virtuality in theme park among the space based contents. For thi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ddresses theories of virtuality. This focus on arguments of Jean Baudrillard and Pierre Levy. And then, this dissertation concentrates on characteristics of virtuality in theme park. That is based on three theses which are story, time/space and visuality.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immersion of spectators. So virtuality changes spectatorship forms into gaze, consumption and play. And these are reusult of participation at virtuality in theme park.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virtuality, building on studies which explore diverse spectatorship in theme park.

      • 공간형 콘텐츠 개념을 통해 살펴본 서원 활용 방안 연구 : 2016 살아숨쉬는 향교·서원 경북지역 서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해빈,태지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

        2014년부터 시작된 살아숨쉬는 향교·서원을 통해 서원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문화재인 서원이 공간으로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공간형 콘텐츠 개념을 통해 2016년에 진행된 서원 활용을 살펴보았다. 이야기의 공간, 스펙터클의 공간, 가상의 공간, 참여의 공간에 맞는 다양한 서원의 프로그램을 예시로 들어 서원 활용을 분석하고 있다. 서원은 역사 스토리텔링의 공간이자 교육의 공간, 유교문화의 공간이다. 서원의 활용을 위해서는 서원이 있는 지역의 특성과 현황을 고려하여야 하며, 연령대별로 다른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 KCI등재

        순천만 국가정원의 공간적 특성

        김용철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5 南道文化硏究 Vol.0 No.29

        전라남도 순천에 있는 순천만 국가정원은 2015년 9월 5일 대한민국 제1호 국가정원으로 지정되었다. 지방의 중소도시에 있고 생태라는 다소 먼 이념을 구현하고 있음에도불구하고 국가에서 공인받은 생태정원이 된 것이다. 2013년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의성공적인 개최를 잇는 후속조치 중 하나였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아직까지 인문학자들의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글에서는 순천만 정원이 가진 인문학적 특성을 공간을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순천만 국가정원은 테마파크의 유형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말은 순천만국가정원의 공간적 특성이 공간형 콘텐츠 곧 실제 공간 속에 문화적 콘텐츠를 투여하여사람들에게 관람시키는 것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순천만 국가정원은 공공성과 이념성이라는 측면에서 테마파크와는 완전히 다른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즉 생태라는 기본 이념이 각각 국제, 시민, 국가라는 이념과 결합하여 현재까지 불가능했던 하지만 미래에는주류가 될 정원공간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순천만 국가정원은 한반도에서 역사상 성공했던 여러 이상적인 공간 즉 고전적 가치를 구현한 고전공간들의 맥을 잇고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은 한반도의 고전공간을 현대적으로 새롭게 변형시켜 자신의 공간을 옛것이면서 새것으로 만들었기 때문에성공했던 것이다. 순천만 국가정원이라는 공간 속에는 사찰, 누정, 궁궐, 풍수 등 다양한형태의 고전공간들이 녹아있다. 이글은 순천만 국가정원이라는 텍스트를 인문학적 시선과 방법으로 바라보고 그 특성을 규명하려는 한 시도이다. 앞으로 공공성, 도시계획, 비일상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인문학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그리고 순천만 정원이 가진 이념성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인문학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located in Suncheon, Jeollanam-do. It was designated as the No. 1 national garden of the Republic of Korea on September 5, 2015. Despite its location in a small city and its implementation of a somewhat distant idea of the ecology, a nationally approved ecological garden was born. This designation is one of the follow-up actions from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2013 Suncheon Bay Garden Expo. However, strangely, humanities scholars haven’t paid attention to this garden until recent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humane characteristics of the Suncheon Bay Garden focusing on its space. First,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can be categorized into a type of theme park. This means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deploys spat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enable people to enjoy the contents. However,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has a completely different feel and concept from other theme parks. In other words, the basic idea of ecology combines with the ideas of international culture, citizens and nations to create a main stream garden space that has been impossible until now.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continues the context of classic spaces that implement various idealistic spaces and timely values successful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successful as it transforms the classical spaces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modern formations making its spaces seem both vintage and new.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bears classical spaces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Buddhist temple, the gazebo, the royal palace and feng shui.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view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n the perspective and methods of the humanities and to define its characteristics. Human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in various fields focused on public use, urban planning, ideology and non-daily life style.

      • KCI등재

        문화적 재전유의 공간 모색을 위한 <국립한글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태지호 ( Tae Ji-ho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문화적 재전유의 공간 모색을 위한 <국립한글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박물관을 `기호`로 전제하고, 박물관의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격적인 <국립한글박물관>에 대한 논의는 `전시실`과 `제도`의 관점에서 진행하였으며, 특히 전시실에 대한 분석은 이야기와 담화의 차원에서 다루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이라는 테마를 통해 공간형 콘텐츠의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는 이야기, 스펙터클, 가상, 참여의 공간이라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한글을 전유하는 공간으로서 현재와 같은 <국립한글박물관>의 모습을 넘어서 문화적 재전유의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립한글박물관>은 관람객 `유치`가 아니라 관람객 `개발`의 관점에서 박물관의 운영과 관리를 지속하여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communication in < The National Hangeul Museum > to make space for cultural re-appropriation. This author supposes museums are the `signs` and examines what constructs a museum and what a museum`s communication model can be. The genuine discussion over < The National Hangeul Museum > starts in the perspectives of `exhibition` and `institute`, and particularly, analysis on exhibition is done in the aspects of story and discourse. The discussion results are as follows: presently, < The National Hangeul Museum > distinctly reveals the aspects of spatial contents with its theme of Hangeul, and this is expressed as the characters of story, spectacle, virtuality, and space for participation. The present study presents the potential of < The National Hangeul Museum > as space for cultural re-appropriation, not just as space appropriating Hangeul like now. To realize it, < The National Hangeul Museum > should continue to be operated and managed not to `attract` the visitors but `develop`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